KR102109236B1 -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236B1
KR102109236B1 KR1020170173961A KR20170173961A KR102109236B1 KR 102109236 B1 KR102109236 B1 KR 102109236B1 KR 1020170173961 A KR1020170173961 A KR 1020170173961A KR 20170173961 A KR20170173961 A KR 20170173961A KR 102109236 B1 KR102109236 B1 KR 10210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support
coupled
rod member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856A (ko
Inventor
백종수
김영태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6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of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은 지지바디부재, 상기 지지바디부재에 연계되며, 시편이 제공되는 시편홀딩부재 및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일단부가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가 연계되며,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된 지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내부가 고온 환경으로 형성된 가열로, 상기 시편지지유닛 및 상기 시편지지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시편지지유닛을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시키는 반복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Test piece holding unit and high temperature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기계에 적용되었던 일반강은 고온과 배기가스 등의 산화 부식환경에 열악하여 이러한 산화 부식환경에서 제품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인리스 강재로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배기계에 적용되는 강재는 약 800 ~ 900℃의 고온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고 엔진이 멈추면 다시 냉각되는 반복적인 가열 및 냉각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배기가스에는 수분(H2O)을 비롯하여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 오존(O3),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x) 등 다양한 화학성분이 존재하며, 이러한 성분들이 고온상태에서 배기계를 통과하며 산화와 부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에 강한 내열성 및 내산화성 강종 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강종의 개발을 위해서는 상기 환경에서 시편을 테스트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시편을 지지봉부재에 거치한 후에 고온 환경의 가열로로 진입과 이탈을 반복시키면서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부재는 지지바디부재에 일단부가 나사로 체결되고, 이렇게 상기 지지바디부재에 일단부가 결합된 지지봉부재에 시편이 걸려지게 체결된 후에, 상기 지지봉부재의 타단부에 이탈방지마개가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시편의 이탈을 방지하게 구비된 후에 실험을 진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지지봉부재는 상기 시편의 무게 및 가열로 내의 고온 환경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부재는 상기 지지바디부재와의 체결 부분의 결합력이 약하여 결합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복 적인 실험 과정에서 가열로 개구부와 상기 시편 또는 상기 지지봉부재의 충돌 및 파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편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이탈방지마개를 제거하고 복수의 시편들을 교체해야 하는데, 상기 이탈방지마개의 나사 결합된 부분이 고온환경의 반복적 노출에 따른 산화 등으로 변형되어 결합 해지가 어려워 시험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시편의 지지 구성이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시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은 지지바디부재, 상기 지지바디부재에 연계되며, 시편이 제공되는 시편홀딩부재 및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일단부가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가 연계되며,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되되,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연장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는, 상기 지지봉부재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에 상기 지지봉부재가 삽입되게 연계되어 장착되며, 상기 연결홀의 적어도 일부 내면이 상기 지지봉부재의 외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앵커 및 시편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앵커에 형성된 안착홀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되, 상기 안착홀에 삽입되는 양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시편거치봉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앵커 중 하나만 상기 지지봉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봉부재에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의 상기 지지봉부재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지지파이프 및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나선형으로 구비된 냉각유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의 상기 지지봉부재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부에 인접한 측면 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이탈방지탭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의 상기 시편홀딩부재는, 상기 시편거치봉에 결합되는 시편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편거치봉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내부가 고온 환경으로 형성된 가열로, 상기 시편지지유닛 및 상기 시편지지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시편지지유닛을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시키는 반복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반복 시험장치의 상기 가열로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시편지지유닛이 진입하는 상기 가열로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조정하는 개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시편을 지지하는 지지봉부재의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가열로 등의 진입시의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시편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실험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에서 지지봉부재에 연결앵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에서 시편이 장착된 시편거치봉을 연결앵커에 결합하기 위해 연결앵커의 변경된 배치 상태를 포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에서 시편거치봉이 연결앵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에서 시편거치봉에 간격유지링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온반복 시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편지지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편(T)을 지지하는 지지봉부재(130)의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가열로(200) 등의 진입시의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는 시편(T)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실험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100)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은 지지바디부재(110),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 연계되며, 시편(T)이 제공되는 시편홀딩부재(120) 및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의 일측면에서 일단부가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120)가 연계되며,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된 지지봉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가열로(200) 등의 고온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냉각유로에 의해서 냉각이 수행되므로, 열변형에 의한 휨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바디부재(110)는 후술할 가열로(200) 등으로 진입되기 위한 반복구동기(30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관통되어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타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편홀딩부재(120)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상기 시편(T)을 제공하기 위한 매개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시편홀딩부재(120)는 상기 시편(T)의 결합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앵커(121), 시편거치봉(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시편홀딩부재(120)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장착되는 한 쌍의 연결앵커(121) 및 시편(T)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앵커(121)에 형성된 안착홀(121a)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시편거치봉(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앵커(121)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결합되는 구성이고, 상기 시편거치봉(122)은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시편거치봉(122)은 봉재 형상으로 양단부가 상기 연결앵커(121)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되므로, 상기 연결앵커(121)를 비스듬하게 배치시키면서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일단부를 상기 연결앵커(121)에서 이탈시킬 수 있고, 또한 그 반대의 동작으로 상기 시편거치봉(122)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그 결합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앵커(121)가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결합된 상태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삽입되는 연결홀(121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봉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앵커(121)에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앵커(121)에 형성된 안착홀(121a)에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걸리도록 상기 시편거치봉(122)에는 안착홈(12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상기 시편홀딩부재(12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상기 시편홀딩부재(120)에 제공되는 시편(T) 등의 무게를 지탱하여야 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의 일측면에서 연장된 자유단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고온 환경의 가열로(200) 등에서 열변형에 의한 휨 변형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온 환경에서도 열변형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지지파이프(131), 냉각유로관(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지지파이프(131) 및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내부에 나선형으로 구비된 냉각유로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유로관(132)에 의해서 상기 시편홀딩부재(120)가 연계되는 상기 지지파이프(131)가 열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파이프(131)는 상기 냉각유로관(132)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게 내부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파이프(131)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소재들을 복합하여 내측은 금속 소재 외측은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유로관(132)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내부 중공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파이프(131)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로관(132)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내부에서 나선형으로 배치되게 냉각유로를 형성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파이프(131)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게 배치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일단부에 인접한 측면 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이탈방지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파이프(131)에서 상기 시편홀딩부재(120)의 연결앵커(121)가 결합되면, 상기 연결앵커(1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탭(133)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파이프(131)는 상기 연결앵커(121)에 형성된 연결홀(121b)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앵커(121)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앵커(121)가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자유단인 일단부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일단부에 상기 이탈방지탭(133)을 구비시키되, 상기 지지파이프(131)의 일단부에 인접한 측면 상으로 상기 돌출되게 구비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탭(133)은 상기 지지파이프(131)에 나사 결합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탈착 가능하여 상기 지지파이프(131)에 상기 연결앵커(121)가 결합된 후에 상기 이탈방지탭(133)을 결합시키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지지봉부재(130)는,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 관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의 일측면에만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관통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상기 지지바디부재(110)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어, 자유단인 일단부의 휨을 방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100)에서 지지봉부재(130)에 연결앵커(12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100)에서 시편(T)이 장착된 시편거치봉(122)을 연결앵커(121)에 결합하기 위해 연결앵커(121)의 변경된 배치 상태를 포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연결앵커(121)는,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삽입되는 연결홀(121b)의 적어도 일부 내면이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외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결앵커(121)가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결합된 상태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봉부재(130)가 삽입되는 연결홀(121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봉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연결앵커(121)의 연결홀(121b)의 직경을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게 제시한 것이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로 상기 연결홀(121b)과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외경을 형성한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연결홀(121b)이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121b)의 일부 내면과 상기 지지봉부재(130)의 외면에 일정 간격이 형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앵커(121)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되어 있던 시편거치봉(122)을 상기 연결앵커(12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다시 연결앵커(121)를 비스듬하게 배치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삽입될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시편거치봉(122)을 상기 연결앵커(121)의 안착홀(121a)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은 상기 연결앵커(121) 중 하나만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시편거치봉(122)을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할 때, 일측의 연결앵커(121)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시편거치봉(122)이 일측의 연결앵커(121)에 형성된 안착홀(121a)에 삽입되기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100)에서 시편거치봉(122)이 연결앵커(12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시편거치봉(122)은, 상기 안착홀(121a)에 삽입되는 양단부에 안착홈(1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앵커(121)에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앵커(121)에 형성된 안착홀(121a)에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걸리도록 상기 시편거치봉(122)에는 안착홈(12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상기 연결앵커(121)에의 결합 후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상기 지지봉부재(130)에 결합된 한 쌍의 상기 연결앵커(121) 중에 고정된 연결앵커(121)의 안착홀(121a)이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일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22a)이 걸려지면,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일단부가 일시적으로 지지점 역할을 하게 되고, 나머지 연결앵커(121)의 안착홀(121a)에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상기 연결앵커(121)에 결합된 후에는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자중(自重)과 상기 시편거치봉(122)에 결합된 시편(T)의 무게 의해서 상기 시편거치봉(122)의 안착홈(122a)이 상기 연결앵커(121)의 안착홀(121a)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지지유닛(100)에서 시편거치봉(122)에 간격유지링(123)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지지유닛(100)의 상기 시편홀딩부재(120)는, 상기 시편거치봉(122)에 결합되는 시편(T)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편거치봉(122)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링(1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편거치봉(122)에 복수 개의 시편(T)이 결합될 때, 상기 시편거치봉(122)이 상기 앵커부재에 결합될 때 경사진 형태로 위치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상기 시편(T)들이 일측으로 쏠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편(T)들 사이에 상기 간격유지링(123)을 배치하여 복수의 시편(T)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유지링(123)은 시편(T)들 사이의 설정될 간격을 고려하여 폭을 설정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시편(T)들 사이에 넓은 간격이 필요한 경우에는 폭이 넓은 간격유지링(123)을 시편(T)들 사이에 배치하거나, 복수의 간격유지링(123)을 시편(T)들 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온반복 시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반복 시험장치는 내부가 고온 환경으로 형성된 가열로(200), 상기 시편지지유닛(100) 및 상기 시편지지유닛(100)이 결합되고, 상기 시편지지유닛(100)을 상기 가열로(200)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가열로(200)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시키는 반복구동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편(T)을 고온 및 저온 환경에 반복하여 노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가열로(200), 시편지지유닛(100), 반복구동기(30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반복구동기(300)는 시편(T)이 구비된 시편지지유닛(100)을 고온환경의 가열로(2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시험하려는 시편(T)의 고온과 냉각의 반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시편(T)을 가열로(200)에 자동 장입시키고 일정한 시간 유지 후 자동 인출하여 냉각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일정 횟수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산화를 유도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이클이 완료되면 산화층을 제거한 후 실험 전 후 시편(T)의 무게감량을 분석하여 강종간 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시험을 데이터를 도출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반복 시험장치의 상기 가열로(200)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시편지지유닛(100)이 진입하는 상기 가열로(200)에 형성된 개구부(200a)의 개폐를 조정하는 개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편지지유닛(100)에 의해서 시편(T)이 상기 가열로(200)의 개구부(200a)로 진입할 때는 상기 개폐기(400)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시편지지유닛(100)이 상기 가열로(200)에서 이탈한 후에는 상기 가열로(200) 내부의 고온 환경 유지를 위해서 상기 개폐기(400)는 상기 개구부(200a)를 폐쇄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시편지지유닛 110: 지지바디부재
120: 시편홀딩부재 121: 연결앵커
122: 시편거치봉 123: 간격유지링
130: 지지봉부재 131: 지지파이프
132: 냉각유로관 133: 이탈방지탭
200: 가열로 300: 반복구동기
400: 개폐기

Claims (11)

  1. 지지바디부재;
    상기 지지바디부재에 연계되며, 시편이 제공되는 시편홀딩부재; 및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일단부가 연장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가 연계되며,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되되, 타단부가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되게 연장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바디부재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봉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시편홀딩부재는,
    상기 지지봉부재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에 상기 지지봉부재가 삽입되게 연계되어 장착되며, 상기 연결홀의 적어도 일부 내면이 상기 지지봉부재의 외면과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앵커; 및
    시편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앵커에 형성된 안착홀에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되, 상기 안착홀에 삽입되는 양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시편거치봉;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앵커 중 하나만 상기 지지봉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지지봉부재에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시편지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재는,
    내부 중공이 형성된 지지파이프; 및
    상기 지지파이프의 내부에 나선형으로 구비된 냉각유로관;
    을 포함하는 시편지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부재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부에 인접한 측면 상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이탈방지탭;
    을 포함하는 시편지지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홀딩부재는,
    상기 시편거치봉에 결합되는 시편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편거치봉에 구비되는 간격유지링;
    을 포함하는 시편지지유닛.
  10. 내부가 고온 환경으로 형성된 가열로;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편지지유닛; 및
    상기 시편지지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시편지지유닛을 상기 가열로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상기 가열로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시키는 반복구동기;
    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시편지지유닛이 진입하는 상기 가열로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를 조정하는 개폐기;
    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KR1020170173961A 2017-12-18 2017-12-18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KR10210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61A KR102109236B1 (ko) 2017-12-18 2017-12-18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61A KR102109236B1 (ko) 2017-12-18 2017-12-18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56A KR20190072856A (ko) 2019-06-26
KR102109236B1 true KR102109236B1 (ko) 2020-05-11

Family

ID=6710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61A KR102109236B1 (ko) 2017-12-18 2017-12-18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578B1 (ko) 2015-01-26 2016-05-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부식 시험용 시편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8545U (ko) * 1987-05-26 1988-12-02
KR19980018605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금속시험편 연마용 지그
JP3766509B2 (ja) * 1997-05-08 2006-04-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温引張測定装置および該装置用加熱炉
KR101207611B1 (ko) * 2010-12-27 2012-12-03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설치장치
KR20130011416A (ko) * 2011-07-21 2013-01-30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버너노즐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59162B1 (ko) * 2011-09-23 2014-02-06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시편장입장치
KR20160010204A (ko) * 2014-07-18 2016-01-27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578B1 (ko) 2015-01-26 2016-05-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부식 시험용 시편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56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1758A1 (en) Thermal shock resistance testing method and thermal shock resistance testing apparatus
GB2548951A (en)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outer wall surface of pipelines of a nuclear power plant
KR102109236B1 (ko) 시편지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고온반복 시험장치
US10274099B2 (en) Spring actuated thermal valve
JP2006292523A (ja) 熱衝撃試験装置
JP2010091220A (ja) 耐火壁装置および熱交換器
CN103727521A (zh) 一种温度测量元件固定装置及锅炉
US5067324A (en) Engine nozzle liner retainer
US3204939A (en) Heat treating apparatus
KR101879039B1 (ko) 온도측정장치
KR101907428B1 (ko) 고온수증기 산화성능 시험장치
JP2013119982A (ja) 運転管理システム
KR102493453B1 (ko) 열전도관 성능검증용 고온고압 가스냉각장치
US10442999B2 (en) Radiant tube support system for fired heaters
CN203927876U (zh) 一种温度测量元件固定装置及锅炉
JP6111699B2 (ja) 燃焼灰測定装置および燃焼灰測定方法
CN201215510Y (zh) 刀刃表面热电偶
KR101025062B1 (ko) 고열부하 반복 시험 방법 및 장치
JP4343156B2 (ja) 減温管
KR0149728B1 (ko) 시편의 자중낙하 급냉장치
JP7067063B2 (ja) 測温装置、熱サイクル試験用の供試体保持具、及び、熱サイクル試験装置
JP5703937B2 (ja) コークス炉燃焼室の温度測定装置及びコークス炉
KR20100094772A (ko) 퍼니스를 이용한 열구배 피로 시험기의 냉각장치
CN215004517U (zh) 一种用于分析高温窑炉内气体成分的取样装置
KR20220140127A (ko) 열전도관 성능검증용 고온고압 가스냉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