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786B1 -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 Google Patents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786B1
KR102108786B1 KR1020190143904A KR20190143904A KR102108786B1 KR 102108786 B1 KR102108786 B1 KR 102108786B1 KR 1020190143904 A KR1020190143904 A KR 1020190143904A KR 20190143904 A KR20190143904 A KR 20190143904A KR 102108786 B1 KR102108786 B1 KR 10210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masonry wall
connection
mai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호
Original Assignee
강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호 filed Critical 강준호
Priority to KR102019014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04B1/761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 E04B1/761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with insulation-layer locating devices combined with wall 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제1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는 1개의 메인고정플레이트;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제2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게 하되 메인고정플레이트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1개 이상의 보강조립플레이트; 메인고정플레이트의 일단면에 연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에 비해 테이퍼형 몸체의 선단부 측 직경이 축소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되는 관통중공을 갖는 체결지지부; 체결지지부 측 단차 구조를 갖는 관통중공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체결지지부 측 테이퍼형 몸체를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고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핀부와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 상에 배치되고 외력을 가하기 위한 타격핀부를 갖는 내력벽체결부재; 메인고정플레이트와 보강조립플레이트의 연결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연결고정홀 측에 삽입된 채로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 구조의 체결볼트부를 상하단부에 각각 갖는 연결매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력벽체에 밀착시켜 단열재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더불어 조적벽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시공시 노동력을 절감 및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주변 여건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결 조립하여 시공 및 사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FIXTURE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MASONRY WALL}
본 발명은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력벽체에 밀착시켜 단열재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더불어 조적벽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체와 내외부를 장식하는 조적벽체로 구분할 수 있다. 내력벽체는 거푸집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수직 설치함에 의해 중력방향의 힘에 견디거나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기둥 역할을 하게 되며, 조적벽체는 보통 벽돌 등을 쌓아 올려서 만드는 벽체로서 장식 등을 이루는 벽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내력벽체는 철근콘크리트 이외에도 다양한 소재로 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적벽체는 대부분이 복수의 벽돌을 적층하여 쌓으면서 그 적층되는 사이에 시멘트 몰탈을 투입함에 의해 벽돌간 접합되도록 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적벽체에는 시공시에 대부분이 조적벽체의 균열이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브래킷이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보강하는 작업을 하는데, 보강 작업에 사용되는 브래킷이나 고정부재는 일단이 내력벽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조적벽체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브래킷이나 고정부재에 대해 종래에는 대부분이 체결볼트 또는 앵커볼트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본원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85666호를 비롯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816114호 및 제10-1009478호 등 다양한 구조를 갖는 고정부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벽돌을 쌓아 적층하는 작업인 조적벽체의 시공 이전에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열재를 함께 시공하기도 하는데, 종래에는 단열재를 수작업으로 직접 시공하는 형태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단열재에 대해 단부가 뾰족하게 마련된 고정철물의 단부를 공구로 밀어넣어서 한 번에 시공하는 형태로 작업하고 있다.
하지만, 고정철물을 끼우기 전에 공구 단부에 핀을 먼저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작업자들이 핀이 없을 때는 고정철물만 시공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고정철물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6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61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94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력벽체에 밀착시켜 단열재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더불어 조적벽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타격하여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지지부 및 내력벽체결부재를 일체로 갖게 한 메인고정플레이트에 1개 이상의 보강조립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브래킷을 사용시 고정브래킷마다 내력벽체에 체결하여야 하던 작업공정을 없애는 등 고정브래킷의 사용에 따른 시공성을 높이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몸체를 갖는 고정브래킷 측 보강 구조를 접목함으로써 자체적인 강도 향상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조적벽체 측 시공 안정성 및 내구성까지 높일 수 있도록 한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은,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고정플레이트;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게 하되 메인고정플레이트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보강조립플레이트; 메인고정플레이트의 일단면에 연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에 비해 테이퍼형 몸체의 선단부 측 직경이 축소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되는 관통중공을 갖는 체결지지부; 체결지지부 측 단차 구조를 갖는 관통중공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체결지지부 측 테이퍼형 몸체를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고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핀부와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 상에 배치되고 외력을 가하기 위한 타격핀부를 갖는 내력벽체결부재; 메인고정플레이트와 보강조립플레이트의 연결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연결고정홀 측에 삽입된 채로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 구조의 체결볼트부를 상하단부에 각각 갖는 연결매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요홈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를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가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면으로 돌출 및 터널형 구조로 보강터널부를 형성하고, 보강터널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를 타단부에서 일단부를 향해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가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와 테이퍼형 몸체의 외주면에는 톱니형 요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상하면의 표면을 널링(knurling) 가공하여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구조, 상면이나 하면의 어느 일측 또는 상하면 모두에 엠보싱 돌기를 다수 형성하는 구조 중에서 어느 1군을 선택적으로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표면 전체에 걸쳐 부식 방지를 위한 내식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력벽체에 밀착시켜 단열재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더불어 조적벽체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하여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지지부 및 내력벽체결부재를 일체로 갖게 한 메인고정플레이트에 1개 이상의 보강조립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고정브래킷을 사용시 기존에 고정브래킷마다 각각의 체결을 통해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여야 하던 작업공정을 없애는 등 고정브래킷의 사용에 따른 시공성을 높이면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시공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주변 여건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결 조립하여 시공 및 사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몸체를 갖는 고정브래킷 측 보강 구조를 접목하여 구비함으로써 자체적인 강도 향상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적벽체 측 시공 안정성 및 내구성까지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나타낸 개략적 조립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있어 메인고정플레이트 측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있어 보강 바의 조립을 위한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있어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 측 보강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에 있어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 측 표면처리구조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을 사용한 시공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사용되는 용어 중 일단부나 일단면 또는 일측은 조적벽체와 내력벽체를 기준으로 할 때, 내력벽체를 향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고, 타단부나 타단면 또는 타측은 조적벽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100)은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고정플레이트(110), 보강조립플레이트(120), 체결지지부(130), 내력벽체결부재(140), 및 연결매개플레이트(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는 장방형 구조의 플레이트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몸체 상에는 다수의 몰탈채움홀(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배열된다.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에는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112)이 형성되며, 연결 조립의 용이함을 위해 복수의 다열 배치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는 조적벽체(1)를 형성하는 벽돌(2)과 벽돌(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벽돌과 벽돌의 접합에 사용되는 용도인 시멘트 몰탈이 벽돌과 벽돌 사이에 채워질 시 몰탈채움홀(111)에도 투입되어 채워져 고정된다.
즉,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는 조적벽체(1)를 형성하는 벽돌(2)과 벽돌(2)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시멘트 몰탈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상기 보강조립플레이트(120)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에 높낮이 방향으로, 즉 위 또는 아래로 연결하여 사용함과 더불어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간에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보강조립플레이트(120)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벽돌간 높이에 맞추어 조적벽체(1) 측 벽돌(2)과 벽돌(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로부터 분기(分岐)되는 형태로 연결 사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부연하여, 상기 보강조립플레이트(120)는 장방형 구조의 플레이트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몸체 상에는 다수의 몰탈채움홀(1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배열되고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1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고정홀(122)은 연결 조립의 용이함을 위해 복수의 다열 배치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는 체결지지부(130)와의 일체 구성을 통해 내력벽체결부재(140)의 조립 결합과 더불어 내력벽체(3) 측 체결에 의한 고정성을 갖게 한 것이고, 상기 보강조립플레이트(120)는 메인고정플레이트(110) 측 체결 고정성을 이용하여 조립 연결을 통해 지지 고정력을 갖게 하면서 조적벽체(1) 측 배치에 의한 내구성을 보강하는데 사용토록 한 것이다.
때론, 조적벽체(1)의 시공시 아주 큰 내구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며, 서로 다른 메인고정플레이트(110) 간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영역에 있는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간을 연결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연결매개플레이트(150)를 사용하여 높낮이 방향으로 보강조립플레이트(120)를 연결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적벽체(1)의 시공시 건축물의 여건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아주 다양한 형태로 연결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적벽체(1) 측 시공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결지지부(130)는 메인고정플레이트(110)의 일단면에 연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메인고정플레이트(1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131)와 이에 연결되는 테이퍼형 몸체(132)로 구비되며, 이들에는 관통중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중공(133)은 후단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몸체(131)에 비해 선단부에 위치하는 테이퍼형 몸체(132) 측 직경이 축소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지지부(130)는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메인고정플레이트(110) 측과 분해 결합하는 조립 구조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부연하여, 상기 체결지지부(130)는 원통형몸체(131)의 후단부 하측으로 플레이트수납부(134)를 연장하여 돌출 형성하고, 메인고정플레이트(110) 측 일단부를 상기 플레이트수납부(134)에 삽입 끼움하여 고정 결합하는 형태로 조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지지부(130)는 내력벽체결부재(140) 측 체결핀부(141)를 이용한 내력벽체(3) 측 고정 결합을 위해 체결시 체결력 및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통형 몸체(131)와 테이퍼형 몸체(132)의 외주면에 톱니형 구조의 요철부(13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력벽체결부재(140)는 체결지지부(130) 측 단차 구조를 갖는 관통중공(133)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체결지지부(130) 측 선단부에 위치한 테이퍼형 몸체(132)를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고 끝단부에 대해 뾰족한 첨단 구조로 형성하여 내력벽체(3)에 박아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핀부(141)와, 체결지지부(130) 측 원통형 몸체(131) 내에 내재되고 내력벽체(3)으로의 고정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외력을 가하기 위한 타격핀부(142)를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핀부(141)와 타격핀부(142)는 일체형 몸체로 구비할 수 있고, 때론 분리형 몸체로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매개플레이트(15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의 연결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120) 끼리의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연결구조체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형 몸체로 구비되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가 갖는 각 연결고정홀(112)(122) 측에 삽입된 채로 고정너트(152)의 체결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한쌍 구조의 체결볼트부(151)를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를 사용함에 있어 몰탈채움홀(111)(121)의 형성에 의해 이들의 강성이 약해져 쉽게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자체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유형으로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각각에는 다수의 몰탈채움홀(111)(121)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113)(123)를 형성하고, 상기 각 요홈부(113)(123)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160)를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160)가 다수의 몰탈채움홀(111)(121)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다른 유형으로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각각에는 다수의 몰탈채움홀(111)(121)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면으로 돌출시키되 중공을 갖는 터널형 구조로 보강터널부(114)(124)를 형성하고, 상기 각 보강터널부(114)(124)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160)를 타단부에서 일단부를 향해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160)가 다수의 몰탈채움홀(111)(121)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의 각각에 대해 자체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상면이나 하면의 어느 일측 또는 상하면 모두에 엠보싱돌기(115)(125)를 다수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돌기(115)(125)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각각에 단독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때로는 상기한 일 유형 또는 다른 유형의 실시예에 더하여 함께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110)와 보강조립플레이트(120) 각각에 있어 상하면의 표면에 대해 널링(knurling) 가공하여 거친 표면을 형성하거나 널링홈(116)(126)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조적벽체(1) 측 벽돌(2)과 시멘트 몰탈과의 지지력 및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래킷(100)에 대해 표면 전체에 걸쳐 부식 방지를 위한 내식코팅층(170)을 형성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내식코팅층(170)은 아크릴과 스티렌모노머를 공중합한 아크릴에멀전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히드록시기나 카르복실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비닐부티랄수지 10~30중량부, 아연이나 티타늄 또는 지르코늄 분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군의 방청분말 20~50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청도료로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100)을 통해 내력벽체(3)에 밀착시켜 단열재(4)를 안정되게 고정함과 더불어 조적벽체(1)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으면서 고정브래킷(100)의 사용에 따른 시공성 및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조적벽체(1)를 형성하는 주변 여건 또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결 조립하여 시공 및 사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고정브래킷 110: 메인고정플레이트
111: 몰탈채움홀 112: 연결고정홀
113: 요홈부 114: 보강터널부
120: 보강조립플레이트 121: 몰탈채움홀
122: 연결고정홀 123: 요홈부
124: 보강터널부 130: 체결지지부
131: 원통형 몸체 132: 테이퍼형 몸체
133; 관통중공 140: 내력벽체결부재
141: 체결핀부 142; 타격핀부
150: 연결매개플레이트 151: 체결볼트부
152: 고정너트 160: 보강 바

Claims (6)

  1.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고정플레이트;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게 하되 메인고정플레이트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보강조립플레이트;
    메인고정플레이트의 일단면에 연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에 비해 테이퍼형 몸체의 선단부 측 직경이 축소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되는 관통중공을 갖는 체결지지부;
    체결지지부 측 단차 구조를 갖는 관통중공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체결지지부 측 테이퍼형 몸체를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고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핀부와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 상에 배치되고 외력을 가하기 위한 타격핀부를 갖는 내력벽체결부재;
    메인고정플레이트와 보강조립플레이트의 연결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연결고정홀 측에 삽입된 채로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 구조의 체결볼트부를 상하단부에 각각 갖는 연결매개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요홈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를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가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2. 삭제
  3.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고정플레이트;
    다수의 몰탈채움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플레이트몸체로서, 플레이트몸체의 일측단부 상에 한쌍 구조의 연결고정홀이 형성되고, 조적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배치되게 하되 메인고정플레이트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는 보강조립플레이트;
    메인고정플레이트의 일단면에 연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몸체의 후단부에 비해 테이퍼형 몸체의 선단부 측 직경이 축소되도록 단차 구조로 형성되는 관통중공을 갖는 체결지지부;
    체결지지부 측 단차 구조를 갖는 관통중공에 삽입 끼움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체결지지부 측 테이퍼형 몸체를 관통하여 돌출 배치되고 내력벽체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체결핀부와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 상에 배치되고 외력을 가하기 위한 타격핀부를 갖는 내력벽체결부재;
    메인고정플레이트와 보강조립플레이트의 연결 또는 보강조립플레이트 간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연결고정홀 측에 삽입된 채로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한쌍 구조의 체결볼트부를 상하단부에 각각 갖는 연결매개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상하면으로 돌출 및 터널형 구조로 보강터널부를 형성하고,
    보강터널부에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 바를 타단부에서 일단부를 향해 끼움 삽입하여 고정 배치하되 보강 바가 다수의 몰탈채움홀을 경유하여 지나가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지지부 측 원통형 몸체와 테이퍼형 몸체의 외주면에는 톱니형 요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고정플레이트 및 보강조립플레이트에는 각각,
    상하면의 표면을 널링(knurling) 가공하여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구조, 상면이나 하면의 어느 일측 또는 상하면 모두에 엠보싱 돌기를 다수 형성하는 구조 중에서 어느 1군을 선택적으로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에는 표면 전체에 걸쳐 부식 방지를 위한 내식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KR1020190143904A 2019-11-12 2019-11-12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KR10210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04A KR102108786B1 (ko) 2019-11-12 2019-11-12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04A KR102108786B1 (ko) 2019-11-12 2019-11-12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786B1 true KR102108786B1 (ko) 2020-05-11

Family

ID=7072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904A KR102108786B1 (ko) 2019-11-12 2019-11-12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7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152A (ja) * 2000-09-06 2002-03-2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煉瓦組積構造、煉瓦組積工法及び煉瓦製造方法
KR101009478B1 (ko) 2010-02-18 2011-01-19 임병균 개선된 구조의 단열재 고정구
KR20160050276A (ko) * 2014-10-29 2016-05-11 강성득 단열재 조적용 브라켓
KR101816114B1 (ko) 2015-11-24 2018-01-09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KR200485666Y1 (ko) 2017-07-17 2018-03-22 강준호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152A (ja) * 2000-09-06 2002-03-2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煉瓦組積構造、煉瓦組積工法及び煉瓦製造方法
KR101009478B1 (ko) 2010-02-18 2011-01-19 임병균 개선된 구조의 단열재 고정구
KR20160050276A (ko) * 2014-10-29 2016-05-11 강성득 단열재 조적용 브라켓
KR101816114B1 (ko) 2015-11-24 2018-01-09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KR200485666Y1 (ko) 2017-07-17 2018-03-22 강준호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056B2 (en) Multipurpose concrete anchor clip
US20170089062A1 (en) Multi-story building floor support system
KR101815825B1 (ko)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CN108331594B (zh) 一种用于软弱围岩隧道的支护结构
KR102108786B1 (ko) 조적벽체용 단열재 고정브래킷
CN219240553U (zh) 一种喷射混凝土厚度及基层粘接强度控制器
CN108625534B (zh) 一种压花式植筋锚头装置
KR102011191B1 (ko) 치장벽돌 보수 보강용 멀티 브라켓
CN210216741U (zh) 一种干式连接的装配式rc剪力墙结构
KR102135318B1 (ko)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JP3892764B2 (ja) 法面受圧板
CN110424574A (zh) 一种预制墙、预制墙与现浇构件水平连接节点及施工方法
CN220117581U (zh) 一种可拼装的预制装配式混凝土构件
JP3143573U (ja) 鉄筋支持用インサート
CN215671501U (zh) 一种预制围护墙及其连接结构
CN219491492U (zh) 一种钢筋混凝土锚固连接结构
KR20200085261A (ko) 개선된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CN214302479U (zh) 一种快接易拼型空腔楼盖构件
CN216516341U (zh) 保温砌体预制填充墙与剪力墙的连接结构
Subramanian et al. Installation, behaviour and design of bonded anchors
CN216276306U (zh) 一种装配式结构墙体底部连接构造
CN212295646U (zh) 一种用于狭窄沉降缝处的工具式加固模板组件
CN210369570U (zh) 一种一体化免现浇构造柱
CN219240528U (zh) 一种建筑工程抗浮锚杆
WO2019214638A1 (zh) 双腹板h型钢及其与混凝土预制板的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