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353B1 -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353B1
KR102107353B1 KR1020180153785A KR20180153785A KR102107353B1 KR 102107353 B1 KR102107353 B1 KR 102107353B1 KR 1020180153785 A KR1020180153785 A KR 1020180153785A KR 20180153785 A KR20180153785 A KR 20180153785A KR 102107353 B1 KR102107353 B1 KR 10210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nsing
chamber
cooking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비
Priority to KR102018015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는 내부에 가열 구역과 조리 구역으로 구분되는 설정 체적의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가열 구역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공되는 가열 부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가열 구역과 상기 조리 구역 사이에 공기가 순환되게 하는 순환 부재; 및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장치{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습도가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이나 일반 가정에서 감자튀김이나 기타 통닭, 돈가스와 같은 튀김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식용유가 담긴 조리용 팬을 가열해 식용유를 일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다음 조리대상물을 기름 속에 집어넣어 튀겨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조리대상물은 냉동, 냉장, 상온, 또는 온장 온도 상태로부터 준비될 수 있으며 보통 패스트푸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고효율 지방유 튀김기는 약 3분 30초 내에 약 1½ 파운드(0.68 kg)의 냉동된 0.25 인치(0.64 cm)의 튀김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방유 튀김기의 처리량은 약 60 pounds/hr(27.22 kg/hr)이다.
그런데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는 기름 또는 지방을 덜 사용하여 준비된 건강 음식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지만 튀겨서 조리한 음식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유의 고소함을 즐기기 위해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은 알지만 이와 같은 음식들은 여전히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관심사를 반영하여 뜨거운 공기를 공급해 조리대상물을 튀겨내는 조리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가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조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가열 구역과 조리 구역으로 구분되는 설정 체적의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가열 구역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공되는 가열 부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가열 구역과 상기 조리 구역 사이에 공기가 순환되게 하는 순환 부재; 및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는 커패시터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감지부; 및 설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1 감지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도전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가 고정되는 유속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속 보정 부재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으로 제공되는 덕트부; 및 일측 단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덕트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유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부재가 고정되는 유속 보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속 보정 부재는 일측이 개방되어 유입구가 형성되고 설정 길이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제공되고, 길이 방향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습도가 효과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조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습도가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조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순환 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순환 부재의 배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분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감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감지 부재와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회로부가 감지 부재에 연결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속 보정 부재에 감지 부재가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감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공급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공급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무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분무 부재의 다른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는 챔버(10), 공급관(20), 가열 부재(30), 순환 부재(40), 분무 부재(50) 및 감지 부재(6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내부에 설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챔버(10)는 조리 장치(1)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챔버(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조리 구역(11) 및 가열 구역(12)으로 나뉠 수 있다. 조리 구역(11)에는 조리 장치(1)에 의해 요리될 음식물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 구역(11)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 부재(13)가 제공될 수 있다. 물은 가열 구역(12)에서 증기화 된 후, 조리 구역(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조리 구역(11)이 위치되는 되는 방향을 향하는 쪽을 전방이라 하고, 가열 구역(12)이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는 쪽을 후방이라 한다.
챔버(10)의 하부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4)는 조리 구역(1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조리 구역(11)에서 발생한 액상의 물질 또는 저온의 증기는 배출구(14)로 배출될 될 수 있다. 배출구(14)는 배출관(15) 및 분리 배출관(16)과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14)로 배출된 물질 중 저온의 증기는 배출관(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4)로 배출된 물질 중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은 분리 배출관(1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급관(20)은 가열 구역(12)으로 액체(물 또는 세척액)을 공급한다. 공급관(20)의 일측 단부는 전환 부재(21)에 연결될 수 있다. 전환 부재(21)에는 급수관(22) 및 연결관(23)이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22)은 급수원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한다. 급수관(22)에는 급수 밸브(22a)가 제공되어, 급수관(22)을 개폐하거나, 급수관(22)을 흐르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관(23)은 저장조(25)와 연결되어, 저장조(25)에 저장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전환 부재(21)는 급수관(22)이 공급관(20)과 연결된 상태와 연결관(23)이 공급관(20)과 연결된 상태 사이로 전환되게 한다.
연결관(23)은 제1 연결관(23a) 및 제2 연결관(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23a)은 제1 저장조(25a)와 연결되고, 제2 연결관(23b)은 제2 저장조(25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장조(25a)와 제2 저장조(25b)는 각각 세척액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연결관(23a)에는 제1 조절 밸브(24a)가 제공되어, 제1 연결관(23a)을 개폐하거나, 제1 연결관(23a)을 흐르는 세척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연결관(23b)에는 제2 조절 밸브(24b)가 제공되어, 제2 연결관(23b)을 개폐하거나, 제2 연결관(23b)을 흐르는 세척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챔버(10)이 일측에는 공기 배관(27)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관(27)은 가열 구역(12)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관(27)은 챔버(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배관(27)에는 흡기 밸브(27a)가 제공되어, 공기 배관(27)을 개폐하거나, 흡기 배관을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가열 부재(30)는 챔버(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공된다. 가열 부재(30)는 가열 구역(12)에 위치될 수 있다. 가열 부재(30)는 저항열 방식으로 가열되는 구조, 내측에 고온의 유체가 유동하는 열 전도성 소재의 배관 구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순환 부재(40)는 가열 구역(12)과 조리 구역(11)사이에 공기 및 증기가 순환되도록 한다. 순환 부재(40)는 축(51)에 연결되어, 축(51)과 함께 회전 되면서 주위에 위치한 유체가 순환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순환 부재(40)는 공기 배관(27)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순환 부재(40)의 배면은 공기 배관(27)의 단부와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축(51)은 모터 등과 같은 구동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 부재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 될 수 있다. 축(51)의 길이 방향은 조리 구역(11)과 가열 구역(12)이 이격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순환 부재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순환 부재의 배면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순환 부재(40)는 지지부(401) 및 블레이드(402)를 포함한다.
지지부(401)는 축(51)에 연결되어, 축(51)과 함께 회전 되게 제공된다. 지지부(401)는 조리 구역(11)과 가열 구역(12)이 이격된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정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4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지부(401)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블레이드(402)는 지지부(401)에서 축(51)이 연결된 영역(이하, 지지부(401)의 중심 영역)에 대해 외측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402)가 복수 제공될 때, 블레이드(402)는 지지부(401)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401)의 배면에는 보조 블레이드(403)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403)는 챔버(10)와 연결된 공기 배관(27)의 단부와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403)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403)들은 설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보조 블레이드(403)는 챔버(10)와 순환 부재(4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여, 공기 배관(27)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분무 부재(50)는 공급관(20)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가 무화(霧化)되게 한다. 분무 부재(50)는 순환 부재(40)의 전방 중앙 영역에 위치되어, 조리 구역(11)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분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무 부재(50)는 연결부(501) 및 분무부(505)를 포함한다.
연결부(501)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501)는 순환 부재(40)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연결부(501)는 지지부(401)의 전면 중심 영역에 연결된 연결축(410)에 연결되어, 지지부(401)의 전면에서 전방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501)의 중심 영역에는 연결축(410)이 삽입되는 결합홀(502)이 형성될 수 있다.
분무부(505)는 핀 구조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연결부(501)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분무부(505)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분무부(505)들은 설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분무부(505)들은 공급관(20)의 단부를 둘러 싸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는 챔버(10)의 내측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감지 부재(60)는 가열 구역(12)에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는 순환 부재(40)에서 조리 구역(11)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경로 상에 위치되도록, 순환 부재(40)의 외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 부재(60)는 순환 부재(40)의 외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챔버(10)의 내측면에 위치되거나, 챔버(10)의 내측 상면 또는 챔버(10)의 내측 하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부재(60)는 조리 구역(11)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감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 부재(60)는 제1 감지부(601) 및 제2 감지부(602)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601)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1 감지부(601)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감지부(601)는 도전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감지부(602)는 설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어, 제1 감지부(601)의 내측에서 제1 감지부(601)와 동일한 축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감지부(602)는 도전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감지부(602)의 외측면은 제1 감지부(601)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감지부(602)는 도시되지 않은 보조물을 통해 제1 감지부(601)에 연결되어, 외측면이 제1 감지부(601)의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 감지부(601)에 대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보조물은 절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감지부(601)의 내측면과 제2감지부(602)의 외측면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흐를 수 있다.
도 6은 감지 부재와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 부재(60)에서 감지된 습도는 제어부(80)로 제공되어, 제어부(80)는 챔버(10)의 내부 공간의 습도가 설정 습도 또는 설정 범위의 습도가 되도록 조리 장치(1)의 구성 요소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는 감지된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급수관(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감지된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공기 배관(27)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감지된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되면, 급수관(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소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감지된 습도가 설정 습도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되면, 공기 배관(27)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 부재(60)는 커패시터로 기능한다. 제1 감지부(601)와 제2 감지부(602) 사이에 채워지는 공기의 습도에 따라, 감지 부재(60)의 커패시턴스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제어부(80)는 감지 부재(6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감지 부재(60)와 제어부(80) 사이에는 출력 회로부(70)가 제공될 수 있다. 출력 회로부(70)는 감지 부재(60)와 연결되어, 공기의 습도 변화에 대응하여 변하는 설정 형태의 전기적 신호가 제어부(80)로 출력되게 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회로부가 감지 부재에 연결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출력 회로부(70)는 신호 증폭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는 접지된 상태로 마이너스 입력단(701, 이하, 제1 입력단(701))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입력단(701)은 제1 저항(711) 및 제2 저항(712)에 의해 기준 전압(Vo)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입력단(701)은 제2 저항(712)에 의해 출력단(703)에 연결된다. 또한, 기준 전압(Vo)은 제1 저항(711)에 의해 출력단(703)에 연결된다. 플러스 입력단(702, 이하, 제2 입력단(702))은 제3 저항(713)에 의해 출력단(703)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입력단(702)은 접지된 제4 저항(714)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입력단(702)은 제5 저항(715)에 의해 기준 전압(Vo)에 연결된다. 제1 입력단(701)의 전압이 제2 입력단(702)의 전압보다 작으면, 출력단(703)은 기준 전압(Vo)으로 수렴한다. 제1 입력단(701)의 전압이 제2 입력단(702)의 전압보다 크면, 출력단(703)은 그라운드 상태로 수렴한다. 또한, 제1 입력단(701)으로 입력되는 전압은 감지 부재(60)가 충전되는 정도에 따라 변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703)으로는 주기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출력단(703)으로 출력되는 주기 신호의 주파수는 감지 부재(60)의 커패시턴스에 따라 달라진다. 제어부(80)는 출력 회로부(70)가 제공하는 주기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습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조리 장치(1)가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조리 장치(1)를 구동 시키면, 축(51)의 회전에 따라, 순환 부재(40) 및 분무 부재(50)가 회전 된다. 그리고, 공급관(20)에 의해 분무 부재(50)의 내측 영역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분무 부재(50)의 내측 영역으로 공급된 물은 분무 부재(50)와 충돌하는 과정에서 작은 알갱이 형태로 무화된 후, 분무부(50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비산된다.
조리 장치(1)의 내측에는 순환 부재(40)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순환 부재(40)의 외측에는 순환 부재(40)의 중심 영역에서 외측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후, 공기는 챔버(10)의 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가열 구역(12)에서 조리 구역(11)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공기는 조리 구역(11)의 중앙 영역 방향으로 수렴되게 유동한후, 조리 구역(11)에서 가열 구역(12)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순환 부재(40)에 의해 형성된 공기의 유동과정에서 분무 부재(50)에 의해 알갱이 형태로 공급된 물이 공급된다. 또한,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순환 경로에 위치된 가열 부재(3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 구역(11)에 위치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 때, 가열 부재(30)는 공기 및 물을 200℃이상으로 가열하여, 증기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조리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감지 부재(60)는 유속 보정 부재(90)에 위치될 수 있다.
유속 보정 부재(90)는 덕트부(901) 및 유로 형성부(902)를 포함한다.
덕트부(901)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덕트부(901)의 내측에는 제1 감지부(601)와 제2감지부(602)가 위치한다. 제1 감지부(601)와 제2감지부(602)는 덕트부(901)와 동일한 축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902)는 덕트부(901)의 외측에 위치된다. 유로 형성부(902)는 일측 단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덕트부(901)에서 유로 형성부(902)에 수용된 영역의 타측에는 유입구(905)가 형성되고, 덕트부(901)의 외측면과 유로 형성부(902)의 내측면 사이에는 연결 유로(906)가 형성되고, 유로 형성부(902)의 전단부에는 배기구(907)가 형성된다. 유로 형성부(902)의 전단은 덕트부(90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감지 부재(60)는, 일측은 덕트부(901)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유로 형성부(902)를 관통하도록, 유속 보정 부재(90)에 고정된다. 감지 부재(60)는 덕트부(901)의 길이 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의 길이 방향은 유속 보정 부재(9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감지 부재(60)의 전단부는 유입구(905)에서 후방으로 설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설정 길이를 갖는 유로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감지 부재(60)의 내측을 유동하는 공기는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난류가 발생하면, 감지 부재(60)로 유입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고 내부로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해를 받는다. 이에 따라, 감지 부재(60)가 위치된 영역을 유동하는 공기가 감지 부재(60)로 유입되어 습도가 측정되기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감지 부재(60)의 내측에서 발생된 난류는 감지 부재(60)의 커패시턴스 값에 영향을 주어, 습도에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해한다.
유속 보정 부재(90)는 감지 부재(60)의 내부에서 난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의 습도 측정에 시간 지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유속 보정 부재(90)가 동작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유속 보정 부재(90) 및 감지 부재(60)는 길이 방향이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공기는 유입구(905)를 통해 유속 보정 부재(90)로 유입된다. 유속 보정 부재(90)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감지 부재(60)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연결 유로(906)를 통해 배기구(907)로 배출된다. 이 때, 배기구(907)에는 유속 보정 부재(90)의 외측 둘레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이 작용한다. 유입구(905)와 배기구(907) 사이 구간의 유속 보정 부재(90)의 외측면과 공기 사이의 마찰 저항으로 인해, 배기구(907)의 앞쪽의 공기의 압력은 유입구(905)의 앞쪽의 공기의 압력보다 낮다. 즉, 유입구(905)와 배기구(907) 사이에 압력차가 형성되고, 압력차에 의해 유입구(905)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력이 보정된다. 그리고, 속력이 보정된 상태로 유속 보정 부재(9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감지 부재(60)로 유입되어 난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속 보정 부재에 감지 부재가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속 보정 부재(91)는 일측이 개방되어 유입구(915)가 형성되고, 설정 길이를 갖는 용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속 보정 부재(91)의 길이 방향 측면에는 배출구(916)가 형성된다. 배출구(916)는 유입구(915)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된다. 배출구(916)는 유속 보정 부재(9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유입구(915) 방향으로 설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916)에는 유속 보정 부재(91)의 외측에 인접하게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유속 보정 부재(91)의 동작 원리는 도 8의 유속 보정 부재(90)와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 부재(61)는 제1 감지부(611) 및 제2 감지부(612)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611)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2 감지부(612)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1 감지부(611)와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감지부(611) 및 제2 감지부(612)는 도전성 소재로 제공되어, 감지 부재(61)는 커패시터로 기능한다. 감지 부재(61)에 의해 습도가 감지되는 과정은 도 5의 감지 부재(6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리 장치(1a)는 챔버(10a), 공급관(20a), 가열 부재(30a), 순환 부재(40a), 분무 부재(50a) 및 감지 부재(60a)를 포함한다.
챔버(10a)의 일측에는 보조 챔버(18)가 위치되고, 감지 부재(60a)는 보조 챔버(18)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챔버(18)는 가열 구역과 연결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챔버(18)와 챔버(10a) 사이에는 공기 유입구(18b)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18b)는 순환 부재(40a)의 외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챔버(18)는 순환 배관(18a)에 의해 챔버(10a)와 연결될 수 있다. 순환 배관(18a)은 순환 부재(40a)의 배면과 마주보는 영역에서 챔버(10a)와 연결될 수 있다.
순환 부재(40a)의 회전에 따라, 순환 배관(18a)이 챔버(10a)와 연결된 영역에는 압력이 낮아 진다. 이에 따라, 보조 챔버(18)의 공기는 순환 배관(18a)을 통해 챔버(10a)로 유입되고, 챔버(10a)의 공기는 보조 챔버(18)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챔버(10a)와 보조 챔버(18a) 사이의 공기의 순환은 가열 구역과 조리 구역 사이의 공기 순환과 유사한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감지 부재(60a)는 조리 구역과 유사한 환경에서 공기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부재(60a)가 위치되는 보조 챔버(18)가 제공되는 점 외에, 챔버(10a), 공급관(20a), 가열 부재(30a), 순환 부재(40a), 분무 부재(50a) 및 감지 부재(60a)의 구성 및 동작, 감지 부재(60a)가 유속 보정 부재(90)에 위치될 수 있는 점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리 장치(1b)는 챔버(10b), 공급관(20b), 가열 부재(30b), 순환 부재(40b), 분무 부재(50b) 및 감지 부재(60b)를 포함한다.
챔버(10b)에는 감지 배관(19)이 연결될 수 있다. 감지 배관(19)은 가열 구역과 연결되게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배관(19)의 일단은 순환 부재(40b)의 배면과 마주보는 영역에 연결되고, 감지 배관(19)의 타단은 순환 부재(40b)의 배면과 마주보는 영역 밖에 연결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b)는 감지 배관(19)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배관(19)의 기능은 도 11의 보조 챔버(18) 및 순환 배관(18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챔버(10b), 공급관(20b), 가열 부재(30b), 순환 부재(40b), 분무 부재(50b) 및 감지 부재(60b)의 구성 및 동작, 감지 부재(60b)가 유속 보정 부재(90)에 위치될 수 있는 점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감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챔버(10c)의 내측에는 보조 챔버(110)가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챔버(110)는 일측이 개방되어, 챔버(10c)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게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챔버(110)는 가열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감지 부재(60c)는 보조 챔버(11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감지 부재(60c)는 상술한 유속 보정 부재(90)와 결합된 상태로 보조 챔버(110)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공급관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공급관(20a)에는 원주 분사구(201) 및 중심 분사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분사구(201)는 공급관(20a)의 둘레 방향에 형성된다. 원주 분사구(201)의 단면적은 공급관(20a)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분사구(201)는 공급관(20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주 분사구(201)는 공급관(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상이한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분사구(201)는 분무 부재(5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공급관(20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무 부재(50)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공급관(20)의 일단에는 중심 분사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중심 분사부의 단면적은 공급관(20a)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20a)에 의하면, 공급관(20a)은 복수의 경로를 통해 분사되는 형태로 물을 분무 부재(5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물과 분무 부재(50)가 충돌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물은 공급관(20a)의 외측 둘레에서 분무 부재(50)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분무 부재(50)와 보다 효과적으로 충돌하여 무화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공급관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공급관(20b)에는 무화 보조부(210)가 제공될 수 있다.
무화 보조부(210)는 공급관(20b)의 외측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무화 보조부(210)는 서로 연통되는 공극들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무화 보조부(210)는 분무 부재(5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공급관(20b)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무화 보조부(210)와 공급관(20b)의 외측 둘레가 접하는 영역에는 원주 분사구(211)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관(20b)의 일단에는 중심 분사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 분사구(211) 및 중심 분사구의 구조는 도 5 및 도 6의 공급관(20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급관(20b)에 의하면, 원주 분사구(211)에서 배출된 물은 무화 보조부(210)를 경유하여, 분무 부재(50)로 공급된다. 무화 보조부(210)에는 서로 연통되는 공극들이 형성됨에 따라, 물은 공극을 통과한 후 공기 중으로 뿌려지는 과정에서 효다 효과적으로 작은 알갱이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챔버(10)의 내측에 형성된 기류가 무화 보조부(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급관(20b)에서 공급되는 물은 직접적으로 기화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분무 부재(50a)는 연결부(511), 분무부(515) 및 유입부(516)를 포함한다.
연결부(511)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511)는 순환 부재(40)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연결부(511)는 연결축(410)에 연결되어, 지지부(401)의 전면에서 전방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511)의 중심 영역에는 연결축(410)이 삽입되는 결합홀(512)이 형성될 수 있다.
분무부(515)는 핀 구조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연결부(511)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분무부(515)는 복수 제공될 수 있다. 분무부(515)들은 설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분무부(515)들은 공급관(20, 20a, 20b)의 단부를 둘러 싸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유입부(516)는 링 형상을 가지고, 분무부(515)의 타측 단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분무 부재(50a)는 일측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부재(50a)에 의하면, 분무부(515)의 양측 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 과정에서 분무부(515)가 파괴되는 빈도가 감소되고, 분무 부재(50a)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무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분무 부재(50b)는 연결부(521) 및 분무부(525)를 포함한다.
연결부(521)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521)는 순환 부재(40)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연결부(521)는 연결축(410)에 연결되어, 지지부(401)의 전면에서 전방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521)의 중심 영역에는 연결축(410)이 삽입되는 결합홀(도 11의 522)이 형성될 수 있다.
분무부(525)는 내측에 설정 체적의 공간이 형성된 배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일측 단부는 연결부(521)에 연결될 수 있다. 분무부(525)의 둘레에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연통홀(526)이 형성된다. 연통홀(526)은 분무부(525)의 둘레를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526)은 슬릿 형상으로 제공되어, 연통홀(526)의 길이 방향은 분무부(525)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연통홀(526)은 분무부(525)의 후방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연통홀(526)의 길이는 분무부(525)의 길이의 1/2이하로 제공되고, 분무부(525)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분무부(525)의 전단부의 1/2 영역은 둘레 방향을 따라 닫힌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분무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분무 부재의 다른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분무부(525)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의 단면적은 전단부보다 후방 영역이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무부(525)의 내측면은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무부(525)의 내측면은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에서 멀어지되 라운드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무 부재(50b)가 회전됨에 따라, 분무 부재(50b)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물에는 원심력이 작용한다. 이 때, 분무부(525)의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물은 분무 부재(50b)의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연통홀(526)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후, 물은 연통홀(526)을 통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깨어 지면서 원주 방향을 향해 비산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챔버 11: 조리 구역
12: 가열 구역 14: 배출구
20: 공급관 21: 전환 부재
22: 급수관 30: 가열 부재
40: 순환 부재 50: 분무 부재

Claims (5)

  1. 내부에 가열 구역과 조리 구역으로 구분되는 설정 체적의 공간을 갖는 챔버;
    상기 가열 구역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어,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제공되는 가열 부재;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가열 구역과 상기 조리 구역 사이에 공기가 순환되게 하는 순환 부재;
    상기 챔버의 내측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감지 부재가 고정되는 유속 보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부재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으로 제공되고, 도전성 소재로 제공되는 제1 감지부; 및
    설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감지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1감지부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제1감지부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고, 도전성 소재로 제공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속 보정 부재는,
    설정 길이를 갖는 배관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가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에서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연결 유로가 상기 덕트부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유로 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구는 상기 덕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유입구 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사이에 채워지는 공기의 습도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는 조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부재는,
    축과 함께 회전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면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들; 및
    상기 지지부의 배면에서 상기 지지부의 중심 영역을 기준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원주 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보조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부재의 전방 중앙 영역에 위치되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가 무화되게 하는 분무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무 부재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순환 부재에 고정되는 연결부; 및
    핀 구조를 가지고, 일측 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분무부들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
  5. 삭제
KR1020180153785A 2018-12-03 2018-12-03 조리 장치 KR10210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85A KR102107353B1 (ko) 2018-12-03 2018-12-03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785A KR102107353B1 (ko) 2018-12-03 2018-12-03 조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353B1 true KR102107353B1 (ko) 2020-05-07

Family

ID=7073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785A KR102107353B1 (ko) 2018-12-03 2018-12-03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4464A1 (en) * 2021-07-28 2023-02-02 Breville Pty Limited Cooking appliance and humidity sensor for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431B2 (ja) * 1998-12-11 2004-01-19 ビーエーイー・システムズ(デフェンス・システムズ)リミテッド センサ
KR20150054894A (ko) * 2012-09-14 2015-05-20 스튜어트 니콜슨 습도 감지 시스템
JP2017142043A (ja) * 2016-02-12 2017-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431B2 (ja) * 1998-12-11 2004-01-19 ビーエーイー・システムズ(デフェンス・システムズ)リミテッド センサ
KR20150054894A (ko) * 2012-09-14 2015-05-20 스튜어트 니콜슨 습도 감지 시스템
JP2017142043A (ja) * 2016-02-12 2017-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4464A1 (en) * 2021-07-28 2023-02-02 Breville Pty Limited Cooking appliance and humidity sensor for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3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ingredients with hot air and fluid introduced thereinto
US4763568A (en) Popcorn popper
CN107105936B (zh) 用于制备食物的装置和方法
US8707862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US4478140A (en) Fryer with oil circulation and conveyor
US7755005B2 (en) Oven including smoking assemb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additional food preparation assemblies
CN101221063A (zh) 水位传感器、蒸汽发生器、加热炊具及其控制方法
CN109792800A (zh) 厨房器具和烹饪监控方法
KR102107353B1 (ko) 조리 장치
EP3372900A1 (en) Oven with forced convection steam assembly
KR101181717B1 (ko) 커피로스터
EP2398367A1 (en) Fryer having an angled frypot bottom
JP7478380B2 (ja) 霧状化水粒子と空気を利用した調理方法及び装置
CN114680657A (zh) 烤架式电器中的烟熏功能
KR20080114508A (ko) 가열 조리기
US750328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water
CN216079909U (zh) 一种具有烹饪装置的集成灶
KR102107358B1 (ko) 조리 장치
CN108937537A (zh) 一种智能的低温烹煮器
KR20010014317A (ko) 요리 장치용 열 교환기
AU2019236214B2 (en) Fluid top-off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JP2002119423A (ja) 蒸し器
KR20210121580A (ko) 스팀 발생장치를 갖는 에어 프라이어
WO2020141457A2 (en) Self-cooking devices
US20200041135A1 (en) Slim Profile Spray Nozzle for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