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80B1 -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80B1
KR102106780B1 KR1020190041515A KR20190041515A KR102106780B1 KR 102106780 B1 KR102106780 B1 KR 102106780B1 KR 1020190041515 A KR1020190041515 A KR 1020190041515A KR 20190041515 A KR20190041515 A KR 20190041515A KR 102106780 B1 KR102106780 B1 KR 10210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device
oral
body portion
tongue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에드워즈 경준 문
Original Assignee
이승희
에드워즈 경준 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희, 에드워즈 경준 문 filed Critical 이승희
Priority to KR1020190041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80B1/ko
Priority to PCT/KR2019/004958 priority patent/WO20202094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80B1/ko
Priority to US17/496,172 priority patent/US2022002309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구강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몸체부(10)와, 볼 근육을 외측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장치{Oral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용시에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을 원활하게 하는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호흡을 할 때 특히 수면 도중에 호흡할 때에는 볼 근육이 안쪽으로 몰리면서 입이 오므려지면서 앞으로 나오며 그러한 상태에서는 연구개(soft palate) 근육과 외재 혀근육(extrinsic tongue muscle)들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혀가 앞으로 나오고 위로 올라 가기도 하여, 입이 열려서 코로 호흡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면 연구개(soft palate)가 혀쪽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또한 구강 바닥(floor of mouth)도 입천장(palate)쪽으로 올라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연구개는 비인두(naso-pharynx)를 막게 되며, 구강 인두(oro-pharynx)로 연결되는 목구멍(fauces)이 제대로 닫히지 못한다. 따라서, 결국 코를 통한 호흡 보다는 입으로 호흡하게 되며, 저산소증(hypoxia), 무호흡중, 코골기, 중이염, 혀의 잘못된 움직임에 의한 치열 변형, 주위산만 및 발성 장애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그리고 스포츠 분야에서 운동 선수도 운동을 하는 동안 위와 같은 안면, 구강, 인두 연결 근육들의 불균형(imbalance)으로 인해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이 원활하지 못해서 선수가 가진 최대치의 운동 능력을 이끌어 내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특허 제10-1463021호 (2014년 11월 18일 등록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을 할 때에 공기가 의도치 않게 위로 들어가거나 침이 폐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는 구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면 근육, 구강 근육, 인두 연결 근육들을 올바르게 작용할 수 있게 하여 치열과, 치의학적 아치(dental arch)를 바로 잡아서 교정 효과도 가지는 구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구강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몸체부(10)와, 볼 근육을 외측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에 연결된 연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는, 혀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날개부(20) 및 연결부(3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일 수 있다.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배열을 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몸체부(10)는, 적어도 일부 치아를 수용하는 치아 수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구강의 윗니쪽에 제공되는 제1 부분(10c)와, 구강의 아랫니쪽에 제공되는 제2 부분(10d)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부분(10c)과 제2 부분(10d)은 서로 연결되어 입이 열리지 않게 하도록 될 수 있다.
제1 부분(10c)과 제2 부분(10d)은 구강의 전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액체 수용 용기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와, 액체 통과가 가능한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는, 구강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몸체부(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10)는 혀를 눌러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에 연결되는 연결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의 연결부(30)는 구강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구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볼록하거나 하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몸체부(10)는, 치아의 바깥쪽에서 치아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측면 몸체부(70)와, 측면 몸체부(7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며 상하측에서 치아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내측 연장부(80)와, 측면 몸체부(70)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여 볼 근육을 외측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한 쌍의 측면 몸체부(70)를 연결하는 연결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연장부(80)는 혀를 눌러 혀의 내재 근육(in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에 의하면, 올바른 근육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비인두를 통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올바른 근육 작용(corrective and proper muscle transition)이라 함은 볼의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입술이 앞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연구개(soft palate)가 비인두를 막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이다. 더 나아가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tongue muscle)을 이완시키고, 혀의 외재 근육(extrinsic tongue muscle)을 활성화시켜서 혀가 앞으로 나오거나 위로 가는 것을 방지하고, 구강 바닥부(floor of mouth)가 구개(palate)쪽으로 올라오고 연구개(soft palate)가 혀쪽으로 내려가게 함으로써 목구멍(fauces)이 닫히게 되므로, 어느 상황에서도 구강 인두보다는 비인두를 통한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무호흡증, 호흡 장채, 코골기, 중이염, 혀의 잘못된 움직임에 의한 치열 변형, 주위 산만, 발성 장애, 가스통(gas pain), 운동 능력의 저하 등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6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측면도.
도 20은 도 1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1은 도 6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2는 도 2의 변형례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가 액체 수용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가 액체 수용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26는 도 25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측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구강 장치의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측면도.
도 30는 도 29의 구강 장치의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며, 본 발명의 본질과 관계가 없는 구성요소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언급되는 구성요소들만을 포함하는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는 비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만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언급되는 주요 구성요소 일부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開示)되는 장치의 구조, 기능, 제작 및 용도와 방법의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여기에 구체적으로 기재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 및 방법이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의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되어 도시되고 설명되는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특징과도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modification) 또는 변경(variation)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정의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의 각 구성요소는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된 형태, 크기, 치수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 크기, 치수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강 장치"라 함은 구강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괄하며, 그 종류를 가리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공갈 젖꼭지, 빨대, 코골이 방지 장치, 음료 음용 매개 장치, 무호흡 교정 장치, 구강 습관 교정 장치, 치아 교정 장치, 기능성 마우스피스, 스포츠용 마우스피스, 구강에 진입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용기의 토출구 등 구강 내에 배치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본 명세서의 "구강 장치"의 범위에 포함되며, 비록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장치라도 구강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구강 장치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측"은 구개(palate) 방향을, "하측"은 혀쪽 방향을, "전측"은 입술 앞 방향을, "후측"은 구강 안쪽 즉 목구멍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여 볼의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적어도 일부분이 사용자의 치아에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치아에 접촉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날개부(20)는 몸체부(10)의 양측에서 연장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에서만 연장하도록 할 수도 있고, 연장하는 범위도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날개부(20)와 몸체부(10)는 서로 별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날개부(20)는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측면에서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날개부(21)가 제공될 수도 있다. 날개부(20)는 볼의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 있으면 어느 형태라도 선택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날개부(20)의 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하면 볼의 내측 근육에 좀 더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몸체부(10)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배열을 따르는 형태일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아 수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수용부(40)는 윗니 및 아랫니 전체를 수용할 수도 있고, 치아의 전측 부분만 수용할 수도 있고, 치아의 뒷측 부문만 수용할 수도 있는 등 적어도 일부 치아만 수용할 수도 있다.
치아가 맞물렸을 때에 치아의 형태에 맞게 변형되어 자연스럽게 치아 형태를 따르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치과 임프레션용 소재로 치아 수용부(40)를 만들어 몸체부에 부착시켜도 되고, 그러한 소재로 몸체부(10) 자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치아가 몸체부(10)를 눌렀을 때에 치아 수용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가 치아의 배열을 따르지 않는 실시예의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와 날개부(2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도 1 또는 도 2의 구강 장치와 달리 치아의 배열을 따르지 않으며, 양 측면에 날개부(20')가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후술하는 연결부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는 몸체부(10')가 직사각형의 형태를 따르는 것으로 도시되고, 날개부(20')는 타원형을 따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몸체부 및 날개부의 형태는 다른 종류의 다각형 또는 기하학적 정의할 수 없는 어떤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의 전측의 폭과 후측의 폭이 다를 수도 있으며, 전측의 두께와 후측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몸체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부분(10a, 10b)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날개부(20)는 분리된 각각의 부분(10a, 10b)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도 6에는 분리된 부분 모두로부터 날개부(20)가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중 어느 하나의 부분에서만 날개부(20)가 연장할 수도 있다.
몸체부(10)와 날개부(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면서, 몸체부(10)는 서로 분리된 실시예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각각의 부분들(10a, 10b)은 서로 연결 스트랩(60)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 스트랩(60)이 없을 수도 있다. 연결 스트랩(60)이 있는 상태에서, 몸체부의 각 부분들(10a, 10b)을 연결하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연결부(30)가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연결 스트랩(60)은 외부의 부분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헬멧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스트랩(60)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로 분리된 몸체부(10a, 10b)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연결 스트랩(60)은 소프트한 재질일 수도 있고 딱딱한(hard) 재질일 수도 있다.
날개부(20)가 구강내에서 측면 볼 근육을 바깥쪽 방향으로 밀면 입술도 옆으로 확장되고, 혀를 후측 방향으로 이완시키고 연구개(soft palate)를 아래로 내려서 비인두(naso-pharynx)를 개방한다. 그렇게 되면 비인두를 통한 호흡이 원활해짐으로써 예를 들어 수면시에, 침이 폐나 코뒤쪽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저산소증, 무호흡증, 구강 호흡의 문제, 혀 수축증, 코골이, 중이염 등의 문제를 상당히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동시에 비인두를 통한 호흡이 원활해짐으로써 운동 능력의 최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도 있다. 날개부(20)는 예를 들어 입천장혀근(palatoglossus)이나 입천장인두근(palatopharyngeus)을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에 연결된 연결부(3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연결부(30)는 도 8에서와 같이 몸체부(10)의 안쪽 일부를 채우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 안쪽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외측에서 몸체부(10)를 연결하는 연결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연결부(30)의 위치와 형태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연결부(30)는 가요성(flexible) 소재로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측으로 휘어서 사용하거나, 하측으로 휘게 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몸체부(10)가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실시예에 연결부(30)가 제공되는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 10에는 몸체부(10)와 날개부(20)가 일체형인 실시예에 연결부(30)가 제공되는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30)가 구강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경우에 혀를 누르므로 혀의 내재 근육(intrinsic tongue muscle)을 이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30)가 구강 내측에 배치되면서도 혀를 누르지 않을 수도 있다.
구강 장치의 착용시에 연결부(30)는 혀의 상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함으로써 착용자의 혀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이 수축하는 것을 방지해서 혀가 앞으로 나오거나 또는 위로 올라오지 못하게 한다. 혀의 내재 근육이 수축하여 혀가 위로 올라오게 되면 측면 볼 근육이 함몰하고 입이 앞으로 모이기 때문에, 구강 인두가 열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이 어려워지고 삼키는 것도 어려워져서 사레에 걸리거나, 공기가 위로 유입되어서 가스통(gas pain)에 걸릴 수도 있는 등 등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혀를 연결부(30)가 누르게 되면, 해부학적으로 혀의 외재 근육(extrinsic tongue muscle)이 혀를 후측 방향으로 밀어주고 연구개가 내려오며 구강 바닥(floor of mouth)이 위로 올라오면서 목구멍(fauces)이 닫혀서, 비인두를 통한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작용 효과가 있다.
혀를 눌러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는 연결부(30)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 착용시에 혀 근육의 수축과 측면 볼 근육의 함몰을 방지하며, 올바른 근육 작용에 따라서 비인두를 통한 착용자의 호흡이 원활해지게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날개부(20)가 구강내 측면 근육을 측방향 즉 바깥쪽으로 밀어서 연구개가 비인두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고, 연결부(30)가 혀를 직접적으로 눌러서 외재 근육(extrinsic muscle)이 연구개를 아래로 내리고 구강 바닥(floor of mouth)을 올라오게 함으로써 구강 인두를 막게 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30)는 혀를 누르는 형태나 위치가 아닐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된 몸체부(10a, 10b)를 연결하는 기능만 할 수도 있으며,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몸체부(10)에 연결된 부재가 될 수도 있다.
연결부(30)의 두께는 일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측 부분(31)과 후측 부분(32)의 두께와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연결부(30)의 두께는 몸체부(10) 및/또는 날개부(2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11에는 연결부(30)가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연결부(30a)가, 도 12에는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연결부(30b)가, 도 13에는 구멍(35)이 제공되는 형태의 연결부(30a)가, 도 14에는 상측으로 볼록하면서 물결 형태를 가지는 연결부(30d)가, 도 15에는 하측으로 볼록하면서 물결 형태를 가지는 연결부(30e)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는 연결부(30)의 단면이 타원 형태를 따르는 실시예의 구강 장치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30)를 휘게 하는 실시예에서 연결부(30)의 곡률이나 두께 등은 사용자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13과 구멍(35)을 연결부(30)에 형성하면, 혀를 눌러서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는 효과는 달성하게 하면서 착용자의 답답함과 침이 고이는 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3에는 구멍(35)이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멍은 그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특정 형상으로 정의될 수 없는 형태도 취할 수 없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구강 장치는 몸체부(10)와, 연결부(30)를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날개부(20)는 없다.
도 17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볼의 내측 근육을 직접적으로 바깥쪽으로 멀어주지는 못하지만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킴으로써 입술이 앞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여전히 볼의 내측 근육이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구강 바닥부(floor of mouth)가 위로 올라오고, 연구개가 내려가게 함으로써 구강 인두를 닫을 수 있어서 여전히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된다.
도 18에는 몸체부(10)와 연결부(30)가 일체인 본체부(35)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의 평면도가 있다. 도 18의 구강 장치에서 본체부(35)는 혀를 눌러서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켜 구강 바닥부(floor of mouth)가 위로 올라오게 함으로써 구강 인두를 막을 수 있어서 여전히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된다.
도 18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사용상 편의와 안전을 위해 연결부 또는 연결 손잡이(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 손잡이(60)은 없을 수도 있다. 연결 손잡이(60)은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형태로 만들어져 외부의 부분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복 또는 헬멧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손잡이(60)은 소프트한 재질일 수도 있고, 가요성(flexible) 재질일 수도 있으며, 딱딱한(hard) 재질일 수도 있으며, 모양과 크기, 두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연결 손잡이(6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이 아니라 플레이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19에는 몸체부(10)가 윗니와 아랫니를 수용하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형태의 구강 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부(10)는 구강의 상측 즉 윗니쪽에 제공되는 제1 부분(10c)과, 구강의 하측 즉 아랫니쪽에 제공되는 제2 부분(10d)을 포함한다. 제1 부분(10c)과 제2 부분(10d)은 서로에 대해서 전측 단부(12)에서 연결되어 입이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에는 구강 전측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10c)과 제2 부분(10d)은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중간 부분에서 연결될 수도 있고, 아예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구강 장치에서는 상측의 제1 부분(10c)으로부터 날개부(20a)가 연장하고, 하측의 제2 부분(10d)로부터 날개부(20b)가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부분(10c)과 제2 부분(10d) 중 어느 하나에서만 날개부가 연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는 다양한 외부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는, 예를 들어 음용 가능한 액체가 수용된 용기가 될 수 있다. 음용 가능한 액체가 수용된 용기 예를 들어 병(bottle)의 개구에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가 체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강 장치의 작동 기전에 의해서 사용자가 음용할 때에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3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채용한 채용한 음용 매개 장치(200)가 용기(100)에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설명에서는 "음용 매개 장치"로 지칭하지만 음용 매개 장치도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한 종류이다. 음용 매개 장치(200)는 몸체부(210)와, 연결부(230)와, 액체 통로(24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에는 용기(100)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는 스크류 체결부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억지 끼워 맞춤부가 될 수도 있으며, 그밖의 다른 체결 방식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 없이 몸체부(210) 자체가 용기(1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액체 통로(240)는 높이 방향으로 용기(100)의 상단부터 구강 장치의 상단부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몸체부(210)에 형성된 개구(opening)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 24에는 도 23의 음용 매개 장치(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음용 매개 장치(100)를 입에 물고서 음용할 때에, 연결부(230)는 구강 내에 진입해서 입술이 앞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볼의 내측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어 줄 수 있고 혀를 눌러서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켜 구강 바닥부(floor of mouth)를 올려 주고 연구개를 내려 주어 구강 인두(oro-pharynx)을 닫을 수 있다. 그러한 작용으로 인해서 음용시에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이 원활해지도록 해 주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음용하면서도 계속 호흡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25에는 도 24의 다른 형태에 의한 음용 매개 장치(200)가 액체 수용 용기(100)에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가, 도 26에는 도 25의 음용 매개 장치(2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볼의 내측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어 줄 수 있는 날개부(220)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도 25에 의한 음용 매개 장치(200)는 날개부(2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비인두를 통한 호흡 원활화라는 효과가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의한 음용 매개 장치(200)는 연결부(230)와 날개부(220)를 모두 포함하지만, 날개부(220)만 포함하는 음용 매개 장치도 가능하다. 날개부(22)의 모양, 크기, 두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27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400; 음용 매개 장치)의 측단면도가, 도 28에는 도 27에 도시된 구강 장치(4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의 구강 장치(400)는 외부 장치에 체결되거나 연결되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음용 가능한 용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강 장치(400)는 연결부(430)와, 체결부(405)와, 액체 통로(500)를 포함한다. 액체 통로(500)는 예를 들어 빨대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체결부(405)는 액체 수용 용기와 스크류 체결되는 부분이 될 수도 있고, 구강 장치를 액체 수용 용기에 억지 끼워 맞출 수 있는 체결부가 될 수도 있다. 도 27에 도시된 구강 장치(400)를 액체 수용 용기의 개구에 체결해서 사용자가 음용하게 되면 연결부(430)가 사용자의 입술이 앞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고 혀를 눌러서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고, 그로 인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이 원활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9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측면도(도 29(a))와 단면도(도 29(b))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0에는 도 29에 도시된 구강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연결부(530)와, 체결부(505)와, 액체 통로(540)을 포함한다. 액체 통로(540)가 액체 수용 용기측을 향해 더 연장하여 구강 장치의 체결부(505)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액체 통로(54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액체 통로(540)의 끝이 구강 장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29에 도시된 것보다 아래쪽으로 더 연장할 수도 있다. 액체 통로(540)는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액체 통로(540)의 모양과 형태는 다양하게 예를 들어, 나선 형태로 연장할 수도 있고, 원호의 일부로 휘어서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액체 통로(540)는 하나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 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액체 통로(540)가 별체인(separate) 빨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9에 도시된 구강 장치에서도 연결부(530)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입술이 앞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고 혀를 눌러서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고, 그로 인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인두(naso-pharynx)를 통한 호흡이 원활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도 31에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구강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된 구강 장치는, 치아의 바깥쪽에서 치아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측면 몸체부(70)와, 측면 몸체부(7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여 상하측에서 치아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내측 연장부(80)와, 측면 몸체부(70)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여 볼 근육을 외측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20)와, 측면 몸체부(70)를 연결하는 연결부(60)를 포함한다. 측면 몸체부(70)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측면 몸체부(70)는 치아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60)는 구강의 외측에서 측면 몸체부(70)를 연결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구강의 내측에서 측면 몸체부(7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내측 연장부(80)의 상하는 각각 윗니(300)와 아랫니(320)에 물릴 수 있다. 내측 연장부(80)는 혀를 눌러서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에 의하면, 볼의 근육을 바깥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입이 앞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고, 연구개(soft palate)가 비인두(naso-pharynx)를 막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혀를 눌러서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켜 혀의 외재 근육(extrinsic muscle)이 혀의 내재 근육을 바깥쪽 그리고 후측 방향으로 당겨주어, 구강 바닥부는 위로, 연구개는 하측 즉 혀쪽으로 내려가게 함으로써 목구멍(fauces)을 닫고 구강 인두를 닫아서 어느 상황에서도 비인두를 통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저산소증, 무호흡증, 호흡 장채, 코골기, 중이염, 혀의 잘못된 움직임에 의한 치열 변형, 주위 산만, 발성 장애, 가스통(gas pain), 운동 능력의 저하 등의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작용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20: 날개부
30: 연결부 40: 치아 수용부
60: 연결 손잡이 100: 액체 수용 용기

Claims (17)

  1. 구강 내에 배치되며 상하 입술에 의해 물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몸체부와,
    입천장혀근(palatoglossus) 및 입천장인두근(palatopharyngeu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측으로 밀어서 비인두를 개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는, 혀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도록 되어 있는,
    구강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부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구강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부는, 날개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인,
    구강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는 치아의 배열을 따르는 형태인,
    구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몸체부는, 적어도 일부 치아를 수용하는 치아 수용부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몸체부는 구강의 윗니쪽에 제공되는 제1 부분와, 구강의 아랫니쪽에 제공되는 제2 부분를 포함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입이 열리지 않게 하도록 되어 있는,
    구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구강의 전측에서 연결되는,
    구강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액체 수용 용기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와,
    액체 통과가 가능한 통로를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11. 구강 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 입술에 의해 물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혀의 내재 근육(instrinsic muscle)을 이완시켜 혀를 후측 방향으로 밀고 연구개를 내려 오게 하도록 혀를 누르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강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몸체부에 연결되는 연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부는 구강의 외측에 배치되는,
    구강 장치.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연결부는 구강 내에 배치되며, 상측으로 볼록하거나 하측으로 볼록한,
    구강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는, 치아의 바깥쪽에서 치아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측면 몸체부와, 측면 몸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며 상하측에서 치아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는 내측 연장부와, 측면 몸체부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여 볼 근육을 외측으로 밀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내측 연장부는 혀를 눌러 혀의 내재 근육(intrinsic muscle)을 이완시키도록 되어 있는,
    구강 장치.
KR1020190041515A 2019-04-09 2019-04-09 구강 장치 KR10210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15A KR102106780B1 (ko) 2019-04-09 2019-04-09 구강 장치
PCT/KR2019/004958 WO2020209436A1 (ko) 2019-04-09 2019-04-24 구강 장치
US17/496,172 US20220023092A1 (en) 2019-04-09 2021-10-07 Or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15A KR102106780B1 (ko) 2019-04-09 2019-04-09 구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80B1 true KR102106780B1 (ko) 2020-05-06

Family

ID=7073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515A KR102106780B1 (ko) 2019-04-09 2019-04-09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23092A1 (ko)
KR (1) KR102106780B1 (ko)
WO (1) WO202020943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065A (ko) * 2004-08-02 2006-02-07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JP4035574B2 (ja) * 2004-04-07 2008-01-23 株式会社パタカラ 哺乳瓶用の吸口
JP2008067732A (ja) * 2006-09-12 2008-03-27 Kiyoshi Yasumuro 口腔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20120033385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턱관절 교정 패드
JP5858549B1 (ja) * 2014-11-17 2016-02-10 株式会社壮健 睡眠時無呼吸症候群改善用補助器具
KR20170109439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2574A (en) * 1975-03-17 1978-06-06 Sidney Berger Pipe joint for metal conduit
WO2006063403A1 (en) * 2004-12-15 2006-06-22 John Razmovski Oral cavity manipulator
US8371309B2 (en) * 2010-03-26 2013-02-12 Neslon R. Diers Intraoral apparatus for treating upper airway disorders
US9662275B2 (en) * 2015-07-02 2017-05-30 Sue S. Lee Oral devices
US10328225B2 (en) * 2015-10-20 2019-06-25 Garner Geniothrust Llc Dental appliance apparatus and respiratory performance
US20170151086A1 (en) * 2015-12-01 2017-06-01 Behzad M. Fareid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EP3530231A4 (en) * 2016-10-20 2020-09-23 DIO Corporation DENTAL RETRA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5574B2 (ja) * 2004-04-07 2008-01-23 株式会社パタカラ 哺乳瓶用の吸口
KR20060012065A (ko) * 2004-08-02 2006-02-07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JP2008067732A (ja) * 2006-09-12 2008-03-27 Kiyoshi Yasumuro 口腔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20120033385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턱관절 교정 패드
JP5858549B1 (ja) * 2014-11-17 2016-02-10 株式会社壮健 睡眠時無呼吸症候群改善用補助器具
KR20170109439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3092A1 (en) 2022-01-27
WO2020209436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63724B (zh) 口腔训练器具
US77981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allow control resulting in improved posture
US20070240724A1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habits of an oral cavity
NZ738327A (en) Oral appliance
WO2005000142A3 (en) Sleep appliance
US20130263864A1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US10874593B2 (en) Pacifier to train proper tongue position
JP6333487B1 (ja) 嚥下機能訓練具、嚥下機能訓練キット、及び嚥下機能訓練方法
WO2020014748A1 (en) Oral appliance
WO2017173485A1 (en)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KR102106780B1 (ko) 구강 장치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RU24790U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CN210727900U (zh) 儿童肌功能矫治器
RU2773363C2 (ru) Внутриротовое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22027583A1 (zh) 下颌骨调整装置
TW202206039A (zh) 下頜骨調整裝置
JP2014147623A (ja) 呼吸矯正具
TW202145976A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RU2213537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