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731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731B1
KR102106731B1 KR1020190054702A KR20190054702A KR102106731B1 KR 102106731 B1 KR102106731 B1 KR 102106731B1 KR 1020190054702 A KR1020190054702 A KR 1020190054702A KR 20190054702 A KR20190054702 A KR 20190054702A KR 102106731 B1 KR102106731 B1 KR 10210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projection
diamet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19005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넥부에 결합하며 제1 홀을 포함하는 캡; 상기 제1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탄성 변형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에 결합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 상기 캡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넥부에 결합하고, 상기 스포이드관이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와이퍼;및 높이 방향으로 상기 캡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돌기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의 외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는, 상기 캡의 하면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와이퍼의 상면이 이루는 홈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실시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는 스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포이드는 펌핑부가 눌린 상태에서 확장하여, 스포이드관을 통해 화장품을 빨아드린다. 빨아드린 화장품은 사용자가 펌핑부를 재차 누르면 스포이드관의 외부로 토출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945호(2017.09.01.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스포이드를 포함하는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용기는 용기본체의 넥부에 결합하는 캡과 캡에 결합하는 스포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캡을 회전시켜 넥부에서 분리시킨 후, 스포이드를 펌핑하여 화장품을 흡입한 후 토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사용할 때마다 캡을 돌려 용기본체에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할 때마다 캡을 돌리면 캡의 코팅이 쉽게 벗겨져 제품의 이미지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캡의 표면에 금속부재를 결합시키는 제안이 있지만, 캡에 금속부재를 결합시키면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포이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캡을 돌려 용기본체에서 분리하면, 용기본체의 잔여 화장품이 적은 경우, 스포이드의 스포이드관이 잔여 화장품에 닿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945호(2017.09.01. 공고)
본 발명은 캡을 용기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스포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넥부에 결합하며 제1 홀을 포함하는 캡과, 상기 제1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탄성 변형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에 결합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와, 상기 캡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넥부에 결합하고, 상기 스포이드관이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와이퍼 및 높이 방향으로 상기 캡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돌기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의 외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는, 상기 캡의 하면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와이퍼의 상면이 이루는 홈에 배치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바디는 하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외경은 하단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외경은 제1 홀의 직경과 대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상향하여 경사지게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최외측을 수평하게 지나는 기준선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상기 기준선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돌기로 구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제2 돌기의 길이는 상기 제1 돌기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의 상면에 접촉하는 환형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돌기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캡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캡을 용기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스포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포이드를 사용할 때,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잔여 화장품이 적은 경우에도, 스포이드의 스포이드관이 잔여 화장품에 충분히 닿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넥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펌핑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펌핑부의 돌기가 삽입되는 홀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캡에서 분리되는 스포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0)와, 캡(200)과, 스포이드(300)와, 와이퍼(400)와, 실링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넥부(110)를 포함한다. 넥부(1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배치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에는 화장품이 수용된다.
캡(200)은 넥부(1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스포이드(300)는 펌핑부(310)와 스포이드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31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 질 수 있다. 펌핑부(310)는 내부에 공간을 포함한다. 펌핑부(310)는 캡(200)에 결합한다. 스포이드관(320)은 펌핑부(310)에 결합한다. 스포이드관(320)의 내부는 펌핑부(3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스포이드관(320)의 하단은 와이퍼(400)를 관통하여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와이퍼(400)는 넥부(110)에 배치된다. 와이퍼(400)는 캡(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와이퍼(400)의 상단의 단턱구조가 넥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와이퍼(400)의 대부분은 넥부(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와이퍼(400)는 스포이드(300)가 용기본체(100)에서 분리될 때, 스포이드관(320)의 표면에 묻어 있는 화장품을 ?어내리는 역할을 한다.
실링부재(500)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캡(200)과 넥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00)는 캡(200)과 넥부(110) 사이의 틈으로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화장품이 누설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5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넥부(11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캡(200)은 펌핑부(3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홀(210)을 포함한다. 와이퍼(400)는 제2 홀(410)을 포함한다. 스포이드관(320)은 제2 홀(410)을 관통한다. 제2 홀(410)의 하단 직경은 스포이드관(320)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홀(410)의 상단 직경(D3)은 스포이드관(3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홀(210)은 실링부재(500) 및 제2 홀(4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00)의 내경(D1)은, 제1 홀(210)의 직경(D2)과 제2 홀(410)의 상단 직경(D3)보다 크다. 이는 돌기(도 4의 312)가 끼워지는 홈(도 4의 G)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펌핑부(3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펌핑부(310)는 제1 바디(311)와, 돌기(312)와, 제2 바디(133)와 지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1)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바디(311)는 사용자가 누르는 곳이다. 제1 바디(311)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후, 본래 상태로 복원된다. 돌기(312)는 제1 바디(311)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돌기(312)는 환형의 부재일 수 있다. 돌기(312)는 펌핑부(310)를 캡(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 바디(133)는 제1 바디(311)에서 연장된다. 제2 바디(133)는 돌기(312)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돌기(312)의 외경은 제1 홀(210)의 직경(D2)과 제2 홀(410)의 상단 직경(D3)보다 크다. 그리고 돌기(312)는 상향하여 경사지게 제1 바디(3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312)는 곡면을 포함하고, 돌기(312)의 최외측 지점(P) 수평하게 지나는 기준선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돌기(312a)와 기준선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돌기(312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제2 돌기(312)의 길이(L1)는 제1 돌기(312)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312)의 형상은 스포이드(300)를 캡(200)에 결합시킬 때, 돌기(312)가 캡(200)의 제1 홀(210)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형상을 갖는 돌기(312)는, 스포이드(300)가 캡(200)에 결합된 이후, 펌핑부(310)가 캡(2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바디(133)는 하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33)의 상단 외경(D4)은 하단 외경보다 크고, 제2 바디(133)의 상단 외경(D4)은 제1 홀(210)의 직경(도 2의 D2)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디(133)의 표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포이드(300)를 캡(200)에 결합시킬 때, 제1 홀(210)에 제2 바디(133)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2 바디(133)는 와이퍼(400)의 제2 홀(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스포이드(300)를 캡(200)에 결합시킬 때, 제2 바디(133)가 제2 홀(410)의 내측에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펌핑부(310)는 환형의 지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4)는 제1 바디(3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캡(20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4)의 외경(도 2의 D5)은 돌기(312)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4)는 스포이드(300)를 캡(200)에 결합시킬 때, 스토퍼 역할할 뿐만 아니라, 캡(200)의 상면과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스포이드(30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펌핑부(310)의 돌기(312)가 삽입되는 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돌기(312)는 홈(G)에 배치된다. 홈(G)은 캡(200)의 하면(220)과 실링부재(500)의 내주면(510)과 와이퍼(400)의 상면(420)이 이루는 공간에 해당한다. 돌기(312)가 홈(G)에 끼워지면, 펌핑부(310)는 캡(2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실링부재(500)의 외주면은 캡(20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펌핑부(311)가 캡(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314)의 하면은 캡(200)의 상면(230)에 접촉한다. 실링부재(500)의 상면은 캡(200)의 하면(220)에 접촉할 수 있다.
도 5는 캡(200)에서 분리되는 스포이드(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캡(200)을 분리하지 않고, 펌핑부(310)를 당겨 캡(200)에서 스포이드(300)를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펌핑부(310)를 당기면, 돌기(312)가 변형되어 제1 홀(210)을 관통하여 펌핑부(310)가 캡(200)에서 분리된다. 스포이드(300)가 캡(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스포이드(300)의 펌핑부(310)를 캡(200)에 끼워넣으면, 돌기(312)가 홈(G)에 걸리면서, 캡(200)에 펌핑부(310)가 고정된다.
캡(200)을 용기본체(100)에서 분리하지 않고, 스포이드(30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캡(200)의 코팅이 벗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금속부재를 캡(200)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캡(200)의 높이로 인하여 스포이드관(320)이 잔여 화장품에 닿는 길이를 손해보지 않기 ?문에, 화장품이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포이드관(320)이 잔여 화장품에 충분히 닿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본체
110: 넥부
200: 캡
210: 제1 홀
300: 스포이드
310: 펌핑부
311: 제1 바디
312: 돌기
313: 제2 바디
314: 지지부
320: 스포이드관
400: 와이퍼
410; 제2 홀
500: 실링부재

Claims (6)

  1.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넥부에 결합하며 제1 홀을 포함하는 캡;
    상기 제1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탄성 변형하는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에 결합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는 스포이드;
    상기 캡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넥부에 결합하고, 상기 스포이드관이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는 와이퍼;및
    높이 방향으로 상기 캡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배치되는 환형의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부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돌기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의 외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상기 제2 홀의 상단 직경보다 크고,
    상기 돌기는, 상기 캡의 하면과 상기 실링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와이퍼의 상면이 이루는 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바디는 하향할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외경은 하단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바디의 상단 외경은 제1 홀의 직경과 대응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향하여 경사지게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화장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의 최외측을 수평하게 지나는 기준선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돌기와 상기 기준선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돌기로 구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제2 돌기의 길이는 상기 제1 돌기의 길이보다 긴 화장품 용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의 상면에 접촉하는 환형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경은 상기 돌기의 외경보다 큰 화장품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캡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54702A 2019-05-10 2019-05-10 화장품 용기 KR10210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02A KR102106731B1 (ko) 2019-05-10 2019-05-10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702A KR102106731B1 (ko) 2019-05-10 2019-05-10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31B1 true KR102106731B1 (ko) 2020-05-04

Family

ID=7073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702A KR102106731B1 (ko) 2019-05-10 2019-05-10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354U (ko) * 1974-12-27 1976-07-10
KR200452316Y1 (ko) * 2009-09-14 2011-02-22 (주)아우딘퓨쳐스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40110263A (ko) *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구 체결장치
KR101775945B1 (ko) 2016-01-04 2017-09-08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170103387A (ko) * 2016-03-04 2017-09-13 최종서 오일류 화장품 용기의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354U (ko) * 1974-12-27 1976-07-10
KR200452316Y1 (ko) * 2009-09-14 2011-02-22 (주)아우딘퓨쳐스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40110263A (ko) *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구 체결장치
KR101775945B1 (ko) 2016-01-04 2017-09-08 (주)아모레퍼시픽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170103387A (ko) * 2016-03-04 2017-09-13 최종서 오일류 화장품 용기의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S51-86354U (1976.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784B1 (ko) 도포기 부착 용기
US6209737B1 (en) Cup assembly for bottle with attachment mechanism
KR101714743B1 (ko) 화장품 이액용기
KR102106731B1 (ko) 화장품 용기
JP6043609B2 (ja) ポンプ式注出器
US20080029180A1 (en) Drip chamber dropper bottle
KR10234344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JP2013249084A (ja) 二重容器
EP4327693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utomatic dropper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KR102473311B1 (ko) 리필 화장품 용기
JP2008189317A (ja) ポンプ容器
US11160732B2 (en) Spittoon lid for disposable containers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JP5148255B2 (ja) 液体噴出容器
JP2016049994A (ja) 揮散容器
JP4018017B2 (ja) 液体噴出器
JP7330614B2 (ja) スポイト容器
KR102650924B1 (ko) 이중용기용 펌프캡
RU2526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их препаратов
JP5850500B2 (ja) 液体吐出器
JP4999534B2 (ja) ノズルヘッド、それを備える蓄圧式噴出器
KR10254610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CN209740659U (zh) 一种安瓿开瓶器及使用装置
JP2008054882A (ja) 化粧料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