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529B1 -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529B1
KR102106529B1 KR1020180030047A KR20180030047A KR102106529B1 KR 102106529 B1 KR102106529 B1 KR 102106529B1 KR 1020180030047 A KR1020180030047 A KR 1020180030047A KR 20180030047 A KR20180030047 A KR 20180030047A KR 102106529 B1 KR102106529 B1 KR 10210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lide block
hole
ball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696A (ko
Inventor
최연범
최상훈
이중근
Original Assignee
최연범
자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범, 자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연범
Priority to KR102018003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5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61C7/026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twist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압박볼이 설치된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케이싱의 테이퍼부와 슬라이드 블록의 압박볼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삽입구멍으로부터 도입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결찰할 수 있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DENTAL DEVICE FOR LIGATING WIRE}
본 발명은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를 파지하여 굽히거나 서로 꼬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와이어의 사용이 빈번하다. 예컨대 치열 교정을 위해서는 치아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각 브래킷을 와이어로 연결, 고정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견인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두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꼬아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통상 '결찰(ligation)'이라고 칭한다.
결찰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데, 좁은 구강 내에서의 작업이므로 작업하기가 곤란하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나아가서 결찰이 정확하지 않으면 장기간 사용 중 와이어가 풀림으로써 치열 교정 등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컨대 등록특허 제10-0472905호는 콜레트척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파지한 채로 콜레트척을 회전시키는 결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결찰 장치로 두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꼬기 위해서는, 하나의 콜레트척에 두 가닥의 와이어를 나란히 포개어 삽입해야 하며, 이는 와이어들의 꼬임이 길이방향에 따라 균일하지 않거나, 콜레트척의 파지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와이어가 콜레트척에 대해 미끄러지면, 콜레트척이 와이어에 대해 헛도는 만큼 와이어의 꼬임이 저하되므로 꼬임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 가닥의 와이어를 원활히 꼬을 수 있는 와이어 결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조절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한 쌍의 삽입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멍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구멍이 관통 형성된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볼구멍에 삽입된 압박볼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절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손잡이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제1 단부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한 쌍의 삽입구멍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에서 서로 이격된 구멍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볼구멍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구멍은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3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볼은 상기 3개의 볼구멍에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멍은 각각 제1 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파지구멍은 일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 손잡이는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찰할 와이어들을 각각의 삽입구멍으로 도입되게 한 뒤 파지구멍 내에서 압박볼에 의해 파지할 수 있으므로 좁은 구강 내에서도 와이어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가 파지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를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두 가닥의 와이어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대 위치에서 꼬이기 시작하므로 균일하고 원활한 꼬임이 가능하다. 아울러, 파지구멍 내에서 와이어가 압박볼이나 파지구멍에 대해 미끄러지더라도 삽입구멍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두 가닥 사이의 꼬임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제1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2의 길이방향 단면도로서, 제2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케이싱(110)은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그 길이방향 양 끝단에 각각 제1 단부(110a)와 제2 단부(110b)가 위치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케이싱(110)이 대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도 원통 형상임을 전제로 하여 원주, 반경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케이싱(110)이 반드시 원통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통 또는 다각통의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은 제1 단부(110a)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111a)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절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구멍(112)은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하게 형성된다. 또한 내부 공간(111)으로부터 제1 단부(110a)에 이르기까지 관통하여 한 쌍의 삽입구멍(11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113)은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시에는 두 가닥의 와이어가 한 쌍의 삽입구멍(113)에 각각 나뉘어 삽입된다. 삽입구멍(113)은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그 외부로 개방된 한쪽 끝단이 확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반대쪽 끝단, 즉 이하에서 설명할 슬라이드 블록(120)을 향한 반대쪽 끝단에서는 두 삽입구멍(113)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는 각 삽입구멍(113)으로부터의 두 가닥의 와이어를 슬라이드 블록(120)에 형성된 하나의 파지구멍(121)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구멍(113)의 끝단과 파지구멍(121)의 끝단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도시된 것과 달리 삽입구멍(113)은 슬라이드 블록(120)을 향한 끝단에서 하나로 합쳐지지 않고 여전히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싱(110)은 제1 단부(110a) 측의 일부분과 중앙 부분, 그리고 제2 단부(110b) 측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3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조각의 수는 제조, 조립 등의 편의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케이싱(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들은 끼워맞춤이나 나사결합 또는 접착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120)은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슬라이드 블록(120)의 외경면 중 일부는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는 제2 테이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테이퍼부(123)는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111)의 제1 테이퍼부(111a)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그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구멍(121)은 케이싱(110)의 삽입구멍(113)을 통해 도입된 와이어를 이어서 수용하는 부분으로, 삽입구멍(1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끝단이 확장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볼구멍(122) 및 압박볼(130)의 작용을 위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이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최대한 전진한 상태에서 적어도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에 이를 정도의 길이로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
파지구멍(121)으로부터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볼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볼구멍(122)은 제2 테이퍼부(123)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슬라이드 블록(120)는 헤드(120a) 및 로드(120b)와 연결블록(120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파지구멍(121)과 볼구멍(122), 따라서 제2 테이퍼부(123)는 모두 헤드(120a)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120a), 로드(120b) 및 연결블록(120c)은 특히 도 3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부재로 만들어져 끼워맞춤, 나사결합 등 통상의 방식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시된 예에서 볼구멍(122)은 3개가 서로 120°의 중심각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데, 볼구멍(122)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블록(120)의 볼구멍(122)에는 압박볼(130)이 수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압박볼(130)은 볼구멍(122)의 수에 맞추어 3개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압박볼(130)의 수가 볼구멍(122)의 수에 맞추어 증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압박볼(130)은 슬라이드 블록(120)이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슬라이드됨에 따라 압박볼(130)의 최외곽면이 제1 테이퍼부(111a)와 접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감소하는 제1 테이퍼부(111a)에 의해 압박되어 파지구멍(121) 내로 진입하며, 파지구멍(121)에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를 파지구멍(121)의 반대편 내벽 또는 다른 압박볼 쪽으로 압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와이어는 파지구멍(121)의 내벽과 압박볼(130) 사이 또는 압박볼들 사이에 파지된다. 계속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이 제1 단부(110a)측으로 진행하면 슬라이드 블록(120)의 제2 테이퍼부(123)가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와 접촉하며, 이 지점이 슬라이드 블록(120)의 제1 단부(110a)를 향한 슬라이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반대로 슬라이드 블록(120)을 케이싱(110)의 제2 단부(110b) 측으로 이동시키면 압박볼(130) 제1 테이퍼부(111a)의 직경이 점차 커지므로 압박볼(130)은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따라서 파지구멍(121)에 삽입되어 있던 와이어에 대한 압박이 해제된다. 요컨대, 압박볼(130)의 직경, 따라서 볼구멍(122)의 직경을 적절히 선택하면 제2 테이퍼부(123)가 없어도 압박볼(130)이 파지구멍(121) 내의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에 대해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테이퍼부(123)는 생략되거나, 직경이 급작스럽게 확대된 확경부 또는 걸림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블록(120)의 슬라이드 움직임을 바이어싱하기 위해 스프링(150)이 슬라이드 블록(120)과 케이싱(110)의 제2 단부(110b)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프링(150)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슬라이드 블록(120)과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인장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120)과 제1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작동 손잡이(14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케이싱(110)의 조절구멍(112)을 통해 슬라이드 블록(120)과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 손잡이(140)는 대체로 조절구멍(112)의 길이만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작동 손잡이(140)는 케이싱(110)의 둘레방향 어느 쪽에서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작동 손잡이(140)는 슬라이드 블록(120)의 연결블록(120c)에 나사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슬라이드 블록(120)의 다른 부분, 예컨대 헤드(120a)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결합수단 또한 나사 이외의 다른 통상의 수단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예시된 제1 사용 상태는 와이어의 파지를 준비하는 상태로서, 작동 손잡이(140)를 케이싱의 제2 단부(110b) 측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블록(120)을 후퇴시키고 스프링(150)을 압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케이싱(110)의 한 쌍의 삽입구멍(113)에 두 가닥의 와이어를 각각 나누어 삽입시키고 계속하여 슬라이드 블록(120)의 파지구멍(121)에 두 가닥의 와이어가 합쳐져서 삽입되도록 한다. 와이어가 파지구멍(121)에 충분히 삽입되면, 즉, 적어도 압박볼(130)과 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삽입되면 작동 손잡이(140)를 잡고 있던 외력을 해제한다. 그러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스프링(150)이 원래 상태로 팽창하면서 슬라이드 블록(120)을 케이싱(110)의 제1 단부(110a)를 향해 전진시킨다. 이 때 압박볼(130)들이 케이싱(110)의 제1 테이퍼부(111a)에 접하면서 압박되어 파지구멍(121) 내의 와이어를 파지하게 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110)을 회전시키면, 두 가닥의 와이어가 서로 꼬이고, 결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결찰이 완료되면, 다시 작동 손잡이(140)를 후퇴시킨 채로 결찰된 와이어가 파지구멍(121), 나아가서 삽입구멍(113)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한 다음, 와이어의 꼬이지 않은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결찰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8)

  1.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조절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으로 한 쌍의 삽입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한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파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구멍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구멍이 관통 형성된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볼구멍에 삽입된 압박볼과,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상기 조절구멍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맞물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손잡이와,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제1 단부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한 쌍의 삽입구멍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에서 서로 이격된 구멍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일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서로 가까워지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내경이 작아지는 제1 테이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케이싱의 제1 단부를 향해 외경이 작아지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볼구멍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제2 테이퍼부에 형성된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구멍은 동일한 중심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3개의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볼은 상기 3개의 볼구멍에 하나씩 삽입되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타단 사이에 배치된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삽입구멍은 각각 제1 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파지구멍은 일단부로의 개구가 확장되어 있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손잡이는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분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KR1020180030047A 2018-03-15 2018-03-15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KR10210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47A KR102106529B1 (ko) 2018-03-15 2018-03-15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47A KR102106529B1 (ko) 2018-03-15 2018-03-15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96A KR20190108696A (ko) 2019-09-25
KR102106529B1 true KR102106529B1 (ko) 2020-05-06

Family

ID=68068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47A KR102106529B1 (ko) 2018-03-15 2018-03-15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5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6567A (ja) * 2014-01-24 2015-07-30 佩祺 李 歯科矯正用自動結紮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6002A (en) * 1943-12-20 1947-02-18 John J Greer Wire twisting hand tool
JPS4810872B1 (ko) * 1968-11-14 1973-04-07
GB8628091D0 (en) * 1986-11-25 1986-12-31 Beckett D Tool
CH677185A5 (ko) * 1988-05-19 1991-04-30 Peter Reinhard
US9893507B2 (en) * 2014-11-14 2018-02-13 Robert Findley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6567A (ja) * 2014-01-24 2015-07-30 佩祺 李 歯科矯正用自動結紮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96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7736B (en) Hand held tool and handle therefor
JPH0370576A (ja) 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0541A (ja) 歯科用あるいは外科用ハンドピース
CN107225417A (zh) 具有滑动式压紧结构的弹簧夹头
KR102106529B1 (ko) 치과용 와이어 결찰 장치
JP4679508B2 (ja) 歯間隙クリーニング装置
WO2014132527A1 (ja) 内視鏡処置具の進退補助具
KR20190011102A (ko)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CN109847173A (zh) 可调弯导丝装置
US2728257A (en) Interchangeable bristles for drummer's brushes
CA2323313A1 (en) Electrical conductor splicing assembly having spring with opposite end portions captured by and interconnecting conductor gripping members
JP4180510B2 (ja) ねじ込みインサートを取り付ける工具としての予備巻取り装置
KR102015350B1 (ko) 교체사용이 용이한 전선 꼬임장치
CN105228544A (zh) 高频处置工具
JPH10258069A (ja) リガチャワイヤ用ツイスター
US5125830A (en) Apparatus for affixing a ligature to braces of teeth
JP7330947B2 (ja) 歯間ブラシ
KR100926355B1 (ko) 치과용 드라이버
KR200473486Y1 (ko) 치공용 와이어 절곡 터릿
JP4297454B2 (ja) 内視鏡用穿刺具
US20090133775A1 (en) Wire-tying tool having clutch mechanism
KR102301975B1 (ko) 치아 교정용 스크류 드라이버 장치
CN208726521U (zh) 可调弯导丝装置
KR20110058197A (ko) 나사 홀더
KR20100129007A (ko) 치과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