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511B1 -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511B1
KR102106511B1 KR1020180012845A KR20180012845A KR102106511B1 KR 102106511 B1 KR102106511 B1 KR 102106511B1 KR 1020180012845 A KR1020180012845 A KR 1020180012845A KR 20180012845 A KR20180012845 A KR 20180012845A KR 102106511 B1 KR102106511 B1 KR 10210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high voltage
ray
generator
tub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335A (ko
Inventor
박래준
김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엑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엑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엑스엘
Priority to KR102018001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5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을 발생하고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엑스선을 발생하는 장치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별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충전, 또는 절연물 고형체로서 전기적 절연성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세라믹 재질의 부재가 설치되고, 절연 공간의 기밀 유지 및 내부 발생열을 외부로 방열하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와;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엑스선관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는 엑스선이 전방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하고, 다른 부분으로 엑스선이 누출되는 것을 차폐하는 엑스선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엑스선관을 교체할 시, 고전압 발생부의 절연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엑스선 차폐부재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 엑스선관 어셈블리를 해제하여 엑스선관을 교체한 후 다시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엑스선 차폐부재를 재조립한다. 따라서, 엑스선관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Portable x-ray gen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엑스선관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크기가 소형이고 무게가 경량이면서 고출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X-ray)은 산업, 과학,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파괴 검사, 재료의 구조 및 물성 검사, 영상 진단, 보안 검색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엑스선 형광(XRF) 및 엑스선 회절(XRD)용 엑스선원이나 유방 촬영용 엑스선원,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용 엑스선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휘도의 엑스선을 장시간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 발생장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와 교류 고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변환 및 승압시키는 고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그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엑스선관을 포함하는 엑스선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엑스선 발생장치는 고전압 발생부와 엑스선 발생부로서의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각 부품들이 일체형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그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소모품인 엑스선관을 교체할 시, 일체형 몸체 전체를 분해하여 엑스선관을 교체하고, 각 부품들을 재조립 및 절연유를 재충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엑스선관의 교체 시, 몸체 전체를 분해함에 따라 몸체 내부의 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절연유가 유출될 수 있고, 그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엑스선관이 내부 절연구조 공간에 설치되어 있어 엑스선관 교체 시, 몸체 전체를 분해하고 재조립한 후 절연유를 재충전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전압 발생부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엑스선 발생장치의 소형, 경량 구조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650호(특허문헌 1)에는 "휴대용 엑스레이 발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휴대용 엑스레이 발생 장치는 전방을 향해 엑스레이 빔이 조사되도록 엑스레이 빔을 발생시키는 엑스레이 튜브가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 케이스; 상기 엑스레이 튜브 또는 본체 케이스의 전방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엑스레이 빔의 조사 영역을 한정하는 차단 어댑터 모듈;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방에 장착되는 콜리메이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 케이스에는 상기 엑스레이 빔의 조사 영역을 육안 식별 가능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 표시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엑스레이 빔의 조사 영역을 한정할 수 있도록 엑스레이 빔을 차단하는 엑스레이 차단판을 엑스레이 튜브에 근접하게 장착하고 조리개 형태가 아닌 고정형 플레이트 형태로 장착함으로써, 엑스레이 차단판의 크기 및 중량을 작고 가볍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콜리메이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이 또한 구조적으로 엑스레이 튜브가 본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엑스레이 튜브를 교체할 시, 본체 케이스 전체를 분해하여 엑스레이 튜브를 교체한 후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650호(2017.06.08. 공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엑스선관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크기가 소형이고 무게가 경량이면서 고출력, 고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내부에 충전되며, 내부 기밀을 유지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상기 절연유의 부피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을 발생하고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엑스선을 발생하는 장치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별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충전, 또는 절연물 고형체로서 전기적 절연성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세라믹 재질의 부재가 설치되고, 절연 공간의 기밀 유지 및 내부 발생열을 외부로 방열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와;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 및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는 엑스선이 전방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하고, 다른 부분으로 엑스선이 누출되는 것을 차폐하는 엑스선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엑스선관을 교체할 시, 고전압 발생부의 절연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엑스선 차폐부재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 엑스선관 어셈블리를 해제하여 엑스선관을 교체한 후 다시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엑스선 차폐부재를 재조립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 발생부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와;
상기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에 의해 발생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과;
상기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필라멘트전원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와, 상기 음극부에서 방출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양극부를 구비하는 엑스선관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 엑스선관을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 및 고전압 발생부와 절연시키는 절연지지체와;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고전압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고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절연상태로 상기 엑스선관에 공급하는 고전압 부싱; 및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의 하부 일정 영역을 에워싸도록 엑스선관의 하부에 장착되어 엑스선관의 양극에 인가된 고전압을 절연시키는 고전압 절연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엑스선관의 하면부와 상기 절연지지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엑스선관의 양극과 접촉되어 엑스선관을 지지하면서 양극에서 발생한 열을 절연유 충전 공간으로 방열시키는 방열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전방에는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에 끼워져 상기 고전압 절연체를 압착하는 누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링의 전방에는 상기 누름링을 누름으로써 상기 고전압 절연체를 압착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 발생부와 엑스선관 어셈블리가 각각 다른 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엑스선관이 원통형 절연지지체에 수납된 상태로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엑스선관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엑스선이 전방으로 조사되는 구조로서 크기가 소형이고 무게가 경량이면서 고출력, 고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의 조립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의 조립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의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조립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엑스선 발생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100)는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 고전압 발생부(110),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 엑스선관 어셈블리(120), 엑스선 차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그 내부에 충전되며, 내부 기밀을 유지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절연유 또는 가스의 부피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벨로우즈(110b)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는 내부의 기밀유지 및 방열을 위해 밀봉한다.
고전압 발생부(110)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을 발생하고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엑스선을 발생하는 장치(여기서는 후술하는 엑스선관(121))로 공급한다.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와 별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충전, 또는 절연물 고형체로서 전기적 절연성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세라믹 재질의 부재가 설치되고, 절연 공간의 기밀 유지 및 내부 발생열을 외부로 방열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110c)와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에는 방열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되거나,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의 외부 표면이 요철(凹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엑스선관 어셈블리(120)는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한다.
엑스선 차폐부재(130)는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의 내부 및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엑스선관(121)으로부터 발생하는 엑스선이 전방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130h)를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하고, 다른 부분으로 엑스선이 누출되는 것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엑스선 차폐부재(130)의 재질로는 납(Pb)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100)는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120)의 엑스선관(121)을 교체할 시, 고전압 발생부(110)의 절연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엑스선 차폐부재(130)(엑스선관(121) 전방에 결합된 엑스선 차폐부재)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로부터 분리하고 엑스선관 어셈블리 (120)를 해제하여 엑스선관(121)을 교체한 후 다시 엑스선관 어셈블리(120) 및 엑스선 차폐부재(130)를 재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엑스선관(121)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121)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압 발생부(110)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미도시)와; 상기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에 의해 발생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미도시)과; 상기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필라멘트전원 트랜스포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120)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110)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와, 상기 음극부에서 방출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양극부를 구비하는 엑스선관(121)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엑스선관(121)의 몸체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 엑스선관(121)을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120c) 및 고전압 발생부(110)와 절연시키는 절연지지체(122)와; 상기 엑스선관(121)과 상기 고전압 발생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고전압 발생부(110)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절연상태로 상기 엑스선관(121)에 공급하는 고전압 부싱(123); 및 상기 엑스선관(121)의 몸체의 하부 일정 영역을 에워싸도록 엑스선관 (121)의 하부에 장착되어 엑스선관(121)의 양극에 인가된 고전압을 절연시키는 고전압 절연체(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고전압 절연체(124)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엑스선관(121)의 하면부와 상기 절연지지체(122)의 바닥면 사이에는 엑스선관(121)의 양극과 접촉되어 엑스선관(121)을 지지하면서 양극에서 발생한 열을 절연유 충전 공간(120s)으로 방열시키는 방열베이스 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전압 절연체(124)의 전방에는 상기 엑스선관 (121)의 몸체에 끼워져 상기 고전압 절연체(124)를 압착하는 누름링(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링(126)의 전방에는 상기 누름링(126)을 누름으로써 상기 고전압 절연체(124)를 압착하는 누름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는, 고전압 발생부와 엑스선관 어셈블리가 각각 다른 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엑스선관이 원통형 절연지지체에 수납된 상태로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엑스선관 교체시 내부의 고전압 절연구조를 파괴함 없이 외부에서 엑스선관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고, 엑스선이 전방으로 조사되는 구조로서 크기가 소형이고 무게가 경량이면서 고출력, 고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110: 고전압 발생부 110b: 벨로우즈
110c: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 120c: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
121: 엑스선관 122: 절연지지체
123: 고전압 부싱 124: 고전압 절연체
125: 방열베이스 부재 126: 누름링
127: 누름판 130: 엑스선 차폐부재
120s: 절연유 충전 공간 130h: 엑스선 조사구

Claims (6)

  1. 절연유 또는 가스가 내부에 충전되며, 내부 기밀을 유지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상기 절연유의 부피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벨로우즈를 구비하는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을 발생하고 직류전압으로 정류하여 엑스선을 발생하는 장치로 공급하는 고전압 발생부와;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별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몸체의 내부 공간에는 절연유 또는 가스가 충전, 또는 절연물 고형체로서 전기적 절연성능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세라믹 재질의 부재가 설치되고, 절연 공간의 기밀 유지 및 내부 발생열을 외부로 방열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 케이스와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와;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 및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는 엑스선이 전방에 형성된 엑스선 조사구를 통해서만 방출되도록 하고, 다른 부분으로 엑스선이 누출되는 것을 차폐하는 엑스선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의 엑스선관을 교체할 시, 고전압 발생부의 절연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엑스선 차폐부재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로부터 분리하고 엑스선관 어셈블리를 해제하여 엑스선관을 교체한 후 다시 엑스선관 어셈블리 및 엑스선 차폐부재를 재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부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와;
    상기 고전압발생 트랜스포머에 의해 발생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 및
    상기 고전압 정류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극 필라멘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필라멘트전원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는,
    상기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부와, 상기 음극부에서 방출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양극부를 구비하는 엑스선관과;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 엑스선관을 상기 엑스선관 어셈블리 케이스 및 고전압 발생부와 절연시키는 절연지지체와;
    상기 엑스선관과 상기 고전압 발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고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절연상태로 상기 엑스선관에 공급하는 고전압 부싱; 및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의 하부 일정 영역을 에워싸도록 엑스선관의 하부에 장착되어 엑스선관의 양극에 인가된 고전압을 절연시키는 고전압 절연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관의 하면부와 상기 절연지지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엑스선관의 양극과 접촉되어 엑스선관을 지지하면서 양극에서 발생한 열을 절연유 충전 공간으로 방열시키는 방열베이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절연체의 전방에는 상기 엑스선관의 몸체에 끼워져 상기 고전압 절연체를 압착하는 누름링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링의 전방에는 상기 누름링을 누름으로써 상기 고전압 절연체를 압착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KR1020180012845A 2018-02-01 2018-02-01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KR10210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45A KR102106511B1 (ko) 2018-02-01 2018-02-01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45A KR102106511B1 (ko) 2018-02-01 2018-02-01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35A KR20190093335A (ko) 2019-08-09
KR102106511B1 true KR102106511B1 (ko) 2020-05-11

Family

ID=6761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45A KR102106511B1 (ko) 2018-02-01 2018-02-01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00B1 (ko) * 2021-04-30 2022-07-15 성기봉 휴대용 엑스선 촬영기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761B1 (ko) 2021-02-24 2023-03-31 주식회사 일렉필드퓨처 엑스레이 튜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12Y1 (ko) 2005-12-15 2006-03-23 권영배 이동형 엑스레이 발생장치의 고전압 튜브탱크
KR101177864B1 (ko) 2011-09-23 2012-08-28 주식회사엑스엘 일체형 엑스선 발생장치
KR200467938Y1 (ko) 2012-11-16 2013-07-12 권영배 이동형 엑스레이 장치의 고전압 튜브 탱크
KR101374058B1 (ko) 2012-10-26 2014-03-12 주식회사엑스엘 일체형 엑스선 발생장치
KR101586342B1 (ko) 2014-07-28 2016-01-20 (주)엑스엘 제전 범위 및 방열 기능이 향상된 연엑스선 발생 장치
KR101791909B1 (ko) 2016-04-01 2017-10-31 주식회사 바텍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288B1 (ko) * 2008-06-27 2011-01-17 동양미래대학 산학협력단 케이스 탱크가 개선된 엑스선 발생장치
KR101763418B1 (ko) 2015-11-27 2017-08-02 주식회사 포스콤 휴대용 엑스레이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12Y1 (ko) 2005-12-15 2006-03-23 권영배 이동형 엑스레이 발생장치의 고전압 튜브탱크
KR101177864B1 (ko) 2011-09-23 2012-08-28 주식회사엑스엘 일체형 엑스선 발생장치
KR101374058B1 (ko) 2012-10-26 2014-03-12 주식회사엑스엘 일체형 엑스선 발생장치
KR200467938Y1 (ko) 2012-11-16 2013-07-12 권영배 이동형 엑스레이 장치의 고전압 튜브 탱크
KR101586342B1 (ko) 2014-07-28 2016-01-20 (주)엑스엘 제전 범위 및 방열 기능이 향상된 연엑스선 발생 장치
KR101791909B1 (ko) 2016-04-01 2017-10-31 주식회사 바텍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00B1 (ko) * 2021-04-30 2022-07-15 성기봉 휴대용 엑스선 촬영기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335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9111B1 (en) Portable x-ray generation device having electric field emission x-ray source
ES2611943T3 (es) Conjunto de tubo de rayos X de ánodo rotativo
KR101334659B1 (ko) X선 발생 장치
US10636613B2 (en) X-ray tube, X-ray tub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X-ray tube device
JP4889979B2 (ja) X線源
KR102106511B1 (ko) 휴대용 엑스선 발생장치
KR20140043146A (ko) 방사선 발생장치 및 방사선 촬영장치
JP2011119084A (ja) X線発生装置及び携帯型非破壊検査装置
EP2823502A1 (en) Compact x-ray sources for moderate loading with x-ray tube with carbon nanotube cathode
KR20080052552A (ko) X선관 및 이를 포함하는 x선원
US10568592B2 (en) X-ray module assembly for portable X-ray device
KR20150089950A (ko) X선관 유닛
JP3961262B2 (ja) X線発生装置
JP7089396B2 (ja) X線発生装置
JP2010211939A (ja) X線管装置
CN111955057B (zh) X射线发生装置
KR101791909B1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US8929513B2 (en) Compact radiation generator
JP5931500B2 (ja) X線管装置
JP2003142292A (ja) X線発生装置
WO2021210239A1 (ja) エネルギー線照射装置
JP2010244941A (ja) 回転陽極型x線管装置
KR20170112777A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KR101791913B1 (ko)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JP2004213974A (ja) X線源および非破壊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