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504B1 -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504B1
KR102106504B1 KR1020180112468A KR20180112468A KR102106504B1 KR 102106504 B1 KR102106504 B1 KR 102106504B1 KR 1020180112468 A KR1020180112468 A KR 1020180112468A KR 20180112468 A KR20180112468 A KR 20180112468A KR 102106504 B1 KR102106504 B1 KR 10210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ster module
slave
master
l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050A (ko
Inventor
김영석
김수영
민우식
Original Assignee
민우식
김영석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우식, 김영석, 김수영 filed Critical 민우식
Priority to KR102018011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5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44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signal delay or phase shi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마스터 모듈과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에 내장된 연산부는,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를 처리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object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objec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션 센서, 연산장치, 통신모듈 등을 이용하여 소지품과 같은 사물의 분실 여부를 판단하고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것이다.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새로운 물건을 구입하거나 물건을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비되어 불편함을 겪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소지품의 분실 또는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간단하게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의 유무로부터 소지품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부터 가속도 센서와 같은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분실 방지 대상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분실 방지 대상의 분실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단거리 통신 수단의 유무에 의해서만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단점은, 안테나의 위치와 자세에 따라 통신가능 거리가 매우 달라지기 때문에 거리에 대한 재현성이 좋지 않아 완전한 분실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비하여 모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3축 가속도 값의 이중 적분에 의하여 원점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거리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히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경우 이러한 분실방지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MEMS센서의 드리프트 특성 때문에 이중 적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가 시간에 따라 너무 커져서 정확도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조금만 시간이 경과하여도 실질적인 적용이 매우 곤란해진다. 더욱이 사람이 소지품을 지니고 움직이거나 소지품을 다루는 동작은 매우 복잡한 운동이기 때문에 그 가속도 값으로부터 수 미터 정도의 거리를 신뢰성 있게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속도센서로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는 오류 경보(false alarm)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어 실제 사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71642호
본 발명은 종래의 모션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에 의하여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실 여부의 관리가 필요한 사물과 이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소정의 패턴정보로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사물과 사용자간 또는 사물들간의 분실 또는 도난이 실제로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마스터 모듈과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에 내장된 연산부는,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를 처리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4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분실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만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중첩되는 면적 비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진동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실 경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통신 연결이 지속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통신 단절이 확인된 경우에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3축 각속도 신호패턴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센서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마스터 모듈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포함하는 분실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은 운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하면, 센서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의 운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마스터 모듈의 운동 정보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분실 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고부는,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모듈,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 및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마스터 모듈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이 동시에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을 모두 갖고 이동하는 경우와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에 분실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경우를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을 모두 갖고 이동하되,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흔들림이 다를 경우에도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의 분실 또는 도난 여부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 또는 도난 판단에 대한 정확성이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분실 경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로 거리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 기존 방법의 기술적 난이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알고리즘에서 최대한 저전력모드를 사용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소모가 많은 연산부를 휴대폰과 같이 일상적으로 휴대하는 기기를 이용함으로서 모듈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용 마스터 모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의 신호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의 신호패턴을 도시한 그래프 및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상황에 따른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상황에 따른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상황에 따른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x축, y축 및 z축 각속도값의 신호패턴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실 방지 장치(10)은 서로 통신이 가능한 마스터 모듈(100)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105)로 구성된다.
마스터 모듈(100)은 센서(110), 수신부(120), 연산부(130), 송신부(140) 및 경고부(150)를 포함하며, 배터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모듈(100)은 슬레이브 모듈(105)과 통신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모듈(105)에 포함된 센서(115)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를 송신 받을 수 있다.
슬레이브 모듈(105)은 센서(115), 수신부(125), 송신부(145) 및 경고부(155)를 포함하며, 배터리(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10) 및 슬레이브 모듈(105)에 포함된 센서(115)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110, 115)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 115)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운동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운동정보는 3축 가속도 값 및 3축 각속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수신부(120)는 슬레이브 모듈(105)에 포함된 송신부(145)로부터 슬레이브 모듈(105)에 포함된 센서(115)의 운동정보를 송신 받을 수 있다.
이때,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의 운동정보 및 수신부(120)를 통해 슬레이브 모듈(105)의 운동정보를 입력 받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내에 포함된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의 3축 가속도 값의 변량(Axm, Aym, Azm)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내에 포함된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3축 각속도 값의 변량(Gxm, Gym, Gzm)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수신부(120)를 통해 수신한 슬레이브 모듈(105)의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받고 처리하여 분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의 운동 정보 및 슬레이브 모듈(105)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정보를 발생시켜 마스터 모듈(100)에 내장된 경고부(150) 및 슬레이브 모듈(105)에 내장된 경고부(155)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는 3축 가속도 값 또는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경우이다.
또한 제 2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105)간의 3축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경우이다.
또한 제 3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105)간의 3축 방향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 값 신호 패턴의 일치율이 소정의 값 미만인 경우로서, 이를 파형의 진동수로 표현할 경우, 각 축의 신호 패턴 간의 진동수 차이가 모두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경우이다.
상기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마스터 모듈(100)의 경고부(15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경고부(155)는 마스터 모듈(100)의 연산부(130)로부터 분실 정보를 입력 받아 소리모듈, 진동모듈 및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로 분실 경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분실 방지 장치(10)에 의할 경우, 마스터 모듈(100)은 마스터 모듈(100) 자신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105)의 운동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연산부(130)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듈(100)은 연산부(130)를 제외하고 나머지 중요 부분은 실질적으로 슬레이브 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마스터 모듈은 일종의 연산 슬레이브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분실 방지 장치의 사용예를 예시적으로 제시한다. 편의상 사용자가 2개의 소지품(이를 제 1 소지품 및 제 2 소지품이라 한다)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사용예로서, 사용자는 마스터 모듈을 소지하고, 제 1 소지품 및 제 2 소지품에는 각각에는 제 1 슬레이브 모듈 및 제 2 슬레이브 모듈을 장착한다. 마스터 모듈의 연산부는 실시간으로 마스터 모듈과, 제 1 및 제 2 슬레이브 모듈간의 운동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을 수행한다. 만약 제 1 슬레이브가 장착된 제 1 소지품이 분실되었거나 혹은 타인에 의해 도난 당했을 경우, 마스터 모듈의 연산부는 연산처리의 결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마스터 모듈의 경고부를 통해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소지품의 분실 또는 도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 2 사용예는 제 1 사용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을 소지하고 있으나, 이 경우는 제 1 슬레이브 모듈과 제 2 슬레이브 모듈 간의 운동 정보의 분석결과가 분실 또는 도난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소지품 또는 제 2 소지품이 사용자의 관리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제 1 슬레이브가 장착된 제 1 소지품을 타인이 절취한 후 제 2 소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모듈의 연산부는 제 1 슬레이브 모듈 및 제 2 슬레이브 모듈간의 운동정보를 입력받아 연산한 결과로서, 분실 또는 도난이라고 판단한 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마스터 모듈의 경고부를 통해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소지품의 분실 또는 도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 3 사용예로서, 사용자는 제 1 슬레이브 모듈을 소지하고, 마스터 모듈과 제 2 슬레이브 모듈은 각각 제 1 소지품 및 제 2 소지품에 장착한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듈이 장착된 제 1 소지품을 타인이 절취하여 제 2 소지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모듈의 연산부는 실시간으로 마스터 모듈과, 제 1 슬레이브 모듈 또는 제 2 슬레이브 모듈간의 운동정보를 입력받아 연산한 결과로서, 분실 또는 도난이라고 판단한 후,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 1 슬레이브 모듈의 경고부를 통해 경고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소지품의 분실 또는 도난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분실 방지 장치(10)에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는 소지하기 용이하고 휴대가 가능한 소형의 전자 소자(electric devic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마스터 모듈(100)은 사용자가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이 일상적으로 휴대하는 휴대폰(또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모듈(100)의 연산부(130)은 휴대폰에 내장된 CPU일 수 있으며, 센서(110)은 휴대폰에 내장된 각종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수신부(120) 및 송신부(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경고부(150)는 휴대폰에 내장된 알람장치, 진동장치 또는 LED 발생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분실 방지 장치의 전체 운영 소프트웨어는 휴대폰의 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은 운동정보 입력 단계(S100), 분실 여부 판단 단계(S200) 및 분실 경보 발생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정보 입력 단계(S100)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센서(110, 115)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한 운동정보를,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운동 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3축 가속도 값 및 3축 각속도 값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운동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사용되는 센서(110, 11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운동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연산부(130)는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내에 포함된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의 3축 가속도 값의 변량(Axm, Aym, Azm)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보다 정확한 x, y, z 방향의 3축 가속도 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칼만 필터 혹은 컴플리멘터리 필터를 이용하여 중력방향의 가속도 성분만을 필터링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중력방향의 가속도 성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이동에 따른 가속도 성분만으로 추출함으로써 보다 이동에 따른 정확한 3축 가속도 값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30)은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내에 포함된 3축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3축 각속도 값의 변량(Gxm, Gym, Gzm)을 입력받을 수 있다.
분실 여부 판단 단계(S200)에서는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105)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 분실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분실 여부 판단 단계(S200)에서 판단하는 분실은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이 분실된 경우 또는 도난이 발생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분실 판단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간의 운동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레이브 모듈 간의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분실정보를 판단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제 1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3축 가속도 값에 대한 신호패턴 상에서 진폭이 기 설정된 값(제 1 기준치) 이상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이는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이 모두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 1 기준치는 0 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운동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기준치 이상인 경우가 발생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1회 이상 기준치와 동일하거나 큰 값이 입력된 경우에는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준치 이상인 경우가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복수회 발생하는 경우에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수신된 운동정보가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기준치를 10번 이상 초과하는 경우, 혹은 연속 5번 이상 초과하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이유는 예를 들어서 우연한 이유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모듈이 잠깐 이동하고, 이 동안에 운동정보가 1회 정도 기준치를 초과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모듈을 만지작 거릴 수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 역시 배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정한 시간 간격과 특정한 회수는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수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딘 운동정보가 기준을 만족하는 지에 대한 판단방법은 후술하는 모든 단계에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여 제 1 기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의 (a) 및 (b)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의 신호패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x축 가속도 값(Axm, Axs), y축 가속도 값(Aym, Ays) 및 z축 가속도 값(Azm, Azs)을 포함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마스터 모듈(100)이 이동하지 않는 정지구간(400)에서는 마스터 모듈(100)의 3축 가속도 값의 진폭이 실질적으로 0으로서,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진폭이 100 이상) 미만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마스터 모듈(100)이 움직이는 이동구간(410)에서는 마스터 모듈(100)의 3축 가속도 값의 진폭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을 나타낸다.
도 4의 (b)는 슬레이브 모듈(105)이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유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의 진폭이 실질적으로 0으로서, 기 설정된 값 미만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연산부(130)는 슬레이브 모듈(105)이 정지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와 같이 슬레이브 모듈(105)은 정지된 상태에서 마스터 모듈(100)만 이동할 경우, 마스터 모듈(100)이 분실되었거나 도난 당했다고 판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이 모두 제 1 기준치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경우에도 분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 및 (b)에는 각각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 및 (b) 에 있어서, 구간(800)은 사용자가 한 손에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을 모두 들고 이동하는 구간이며, 구간(810)은 사용자가 한 손에는 마스터 모듈을 들고, 다른 손에는 슬레이브 모듈을 든 채 이동하는 경우이다. 구간(820)은 사용자는 슬레이브 모듈을 소지하고, 마스터 모듈은 타인이 소지한 채 이동하는 구간이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타인이 마스터 모듈을 소지하고 이동하는 구간(820)에서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이 모두 제 1 기준치 이상(예를 들어, 진폭이 100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역시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을 모두 소지하고 이동하는 경우에도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이 모두 제 1 기준치 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준을 만족하는 것만으로는 소지품을 분실하였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 내릴 수 없다. 이에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 2 기준을 적용하여 분실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제 2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이 소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 도 5를 통하여 제 2 기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모두 한 손에 소지하고 이동할 경우(500)와, 사용자는 슬레이브 모듈을 소지하고, 마스터 모듈은 타인이 소지한 채 이동하는 경우(510)에 있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은 각축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값들을 제곱하여 더한 값의 제곱근으로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093675137-pat00001
Figure 112018093675137-pat00002
(S_Am: 마스터 모듈의 가속도 스칼라합, S_AS: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스칼라합, Axm: 마스터 모듈의 x축 가속도 값, Aym: 마스터 모듈의 y축 가속도 값, Azm: 마스터 모듈의 z축 가속도 값, Axs: 슬레이브 모듈의 x축 가속도 값, Ays: 슬레이브 모듈의 y축 가속도 값, Azs: 슬레이브 모듈의 z축 가속도 값)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한 손에 모두 갖고 이동할 경우(500),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는 제 2 기준치 미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치는 사용자가 경험적으로 도출하여 미리 설정해둔 값으로서,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스칼라합 파형의 피크치가 5000 이상인 경우가 제 2 기준에 해당된다. .
반면, 타인이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중 하나를 갖고 이동할 경우(510),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는 제 2 기준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분실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을 만족하는 동시에 만족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을 만족하는 것만으로는 도난 또는 분실이 발생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즉, 동일인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갖고 이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실이 발생했다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의 (a) 및 (b)는 사용자가 한 손에는 마스터 모듈(100)을 들고, 다른 한 손에는 슬레이브 모듈(105)을 들고 가는 경우에 3축 가속도 값(마스터 모듈: Axm, Aym, Azm, 슬레이브 모듈: Axs, Ays, Azs)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6의 (c)는 동일한 상황에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인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모두 갖고 이동하는 경우에도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에 대한 제 1 기준뿐만 아니라 스칼라합 차이에 대한 제 2 기준이 모두 만족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동일인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각각 양손에 하나씩 쥐고 흔들며 이동할 경우에도, 서로 다른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가 제 2 기준치 이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만으로는 분실이 발생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며, 이를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을 만족하되, 제 3 기준을 추가로 더 충족시켜야 분실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제 3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이 소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방향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소정 값 이상인 것이다.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 간 일치율은 각 신호패턴에 있어서 파형 내 피크 위치가 일치하는 정도로 정량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 간에 서로 중첩되는 면적 비율이 기 설정된 소정의 값(제 3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를 제 3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신호패턴 간의 중첩되는 면적 비율이 클수록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면적 비율은 상기 중첩되는 면적을 마스터 모듈 또는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또는 각속도 값 신호패턴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중첩 판단을 위하여 어느 한 신호를 시간 축에서 이동하고 진폭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은 각 파형의 진동수 차이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즉, 파동 형태의 신호패턴 있어서는, 신호패턴 간의 진동수 차이가 작을수록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은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제 3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방향의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의 진동수 차이가 모두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진동수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제 3 기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a) 및 (b)는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100)을 한 손에 들고, 슬레이브 모듈(105)은 다른 한 손에 들고 가는 경우에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 (마스터 모듈: Gxm, Gym, Gzm, 슬레이브 모듈: Gxs, Gys, Gz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c)에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Z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만을 따로 도출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각속도 신호패턴은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x축 신호패턴(Gxm, Gxs), y축 신호패턴(Gym, Gys) 및 z축 신호패턴(Gzm, Gzs)을 포함한다.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동일인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모두 갖고 이동하되,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의 흔들림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 마스터 모듈(100)의 Z축 신호패턴의 파형(Gzm)와 슬레이브 모듈(105)의 Z축 신호패턴의 파형(Gzs) 간의 일치율이 x축 및 y축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듈(100)의 z축 파형의 진동수(Gzm)와 슬레이브 모듈(105)의 z축 파형의 진동수(Gzs) 차이가 제 3 기준치 미만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치는 x, y 및 z축에서의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 간의 진동수 차이를 마스터 모듈의 진동수로 나눈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렇게 계산된 값이 0.1 내지 0.5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이로부터 동일인이 소지한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의 흔들림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라도, 3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마스터 모듈: Gxm, Gym, Gzm, 슬레이브 모듈: Gxs, Gys, Gz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에서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이 소정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 즉,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 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의 진동수가 모두 상이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타인이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을 소지한 채 이동시키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는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만족할 경우, 분실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분실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동일인이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을 모두 갖고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여러 상황에 따른 분실 판단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상황은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을 모두 한 손에 가지고 갖고 이동하는 상황이다(구간 800). 제 2 상황은 사용자가 한 손에는 마스터 모듈(100)을 들고 다른 손에는 슬레이브 모듈(105)를 들고 이동하는 상황이다(구간 810). 제 3 상황은 슬레이브 모듈(105)는 사용자가 들고 이동하고, 마스터 모듈(100)은 타인이 소지한 채 이동하는 상황으로서, 소지품의 분실 또는 도난에 해당되는 상황이다(구간 820).
도 8의 (a) 및 (b)는 각각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의 x, y, z 축 가속도 값에 대한 그래프이다. 상황 1 내지 3이 모두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모두 이동하는 상황이므로 각축의 가속도 값은 0보다 큰 소정의 기준치 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황 1 내지 3 모두 제 1 기준을 만족하게 된다. 다만, 제 1 상황(구간 800)에서는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이 유사하게 나타남에 비해 제 2 및 제 3 상황(구간 810 및 820)에서는 가속도 값의 차이가 상당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상황(구간 800)에 비해 제 2 및 제 3 상황(구간 810 및 820)에서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 차이가 제 2 기준치 이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제 2 기준이 적용된 경우, 제 2 및 3 상황만이 만족되며, 제 1 상황은 분실 또는 도난 상황이 아닌 것으로 결정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소정 시간 동안의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의 x축, y축, z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마스터 모듈: Gxm, Gym, Gzm, 슬레이브 모듈: Gxs, Gys, Gzs)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소지한 채 이동하는 제 2 상황의 경우에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x축 및 z축 각속도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은 낮았으나, y축 각속도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y축 각속도 신호패턴 간의 진동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어야 하는 제 3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즉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이 동일인에 의해 소지되어 이동하는 경우에는, 3축 각속도 값의 신호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높아 제 3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비해 타인이 마스터 모듈을 소지하고 이동하는 제 3 상황(구간 820)에서는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x축, y축 및 z축 각속도 신호패턴 간의 일치율이 낮았으며, 따라서 3축 모두 신호패턴 간의 진동수 차이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제 3 기준을 만족하게 된다.
이로부터 제 3 상황만이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만족함으로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들을 순차 적용함에 따라 분실 또는 도난이 실제 발생한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 예에서는 제 3 기준으로 3축 각속도 신호패턴을 예시하였으나, 이를 3축 가속도 신호패턴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실 경보 발생 단계(S300)는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가 연산처리된 결과로서, 분실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경고부(150, 155)를 통해 분실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은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한 결과가 제 4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분실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05).
이때 제 4 기준은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중 하나만 이동하고 나머지는 정지한 경우로서,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스터 모듈(100) 또는 슬레이브 모듈(105) 중 정지한 모듈의 3축 가속도 값은 0을 나타내고 나머지 모듈은 0 보다 더 큰 값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마스터 모듈(100)에 포함된 연산부(130)가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한 결과가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만족하거나 혹은 제 4 기준을 만족하여 분실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우,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은 저전력 모드로 작동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분실 경보를 발생시킬 경우, 추적을 위한 전력을 최대한 잔류시켜야 하므로, 저전력 모드가 작동되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이 모두 정지해 있는 경우, 즉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3축 가속도 값이 모두 0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양 모듈이 사용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은 저전력 모드로 작동되는 단계(S310)가 진행된다.
저전력 모드 작동 중에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이 모두 움직이는 경우에는 다시 활성화 모드로 회귀한 후 분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진행되게 된다.
한편, 저전력 모드로 작동(S310)된 후,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의 연결 지속 여부에 대하여 확인 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기서 마스터 모듈(100)과 슬레이브 모듈(105)의 연결은 블루투스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블루투스 이외에도 다양한 송수신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연결이 끊어졌을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S330)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경보를 발생시킨 후,'0'또는 '1'을 입력 하는 단계(S340)를 통해 마스터 모듈(100) 및 슬레이브 모듈(105)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0'을 입력하면 연속해서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으며, '1'을 입력할 경우, 일정 세팅시간 간격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값 '0'은 인지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입력값 '1'은 인지하고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3의 그래프에서 x축의 시간(a.u)는 arbitrarily unit의 의미로 임의의 시간 즉, 임의의 시간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sec), 분(min), 시(hour)등 다양한 시간단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분실 방지 장치
100: 마스터 모듈
110: 센서
120: 수신부
130: 연산부
140: 송신부
150: 경고부
160: 배터리

Claims (18)

  1. 마스터 모듈 및 상기 마스터 모듈과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에 내장된 연산부는,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를 처리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제 2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분실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이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만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중첩되는 면적 비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진동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경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마스터 모듈과 슬레이브 모듈 간의 통신 연결이 지속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통신 단절이 확인된 경우에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축 각속도 신호패턴은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되는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10. 센서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의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마스터 모듈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을 포함하는 분실 방지 장치로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슬레이브 모듈은 운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제 2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1. 센서로부터 감지된 운동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마스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의 운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마스터 모듈의 운동 정보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가 기 설정된 제 1 기준 내지 제 3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 분실 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마스터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내장된 경고부에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준 및 제 2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 1 및 제 2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준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모듈의 3축 가속도 값 중 하나 이상이 기 설정된 제 1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제 2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가속도 값의 스칼라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 2 기준치 이상인 것이며,
    상기 제 3 기준은, 상기 마스터 모듈과 상기 슬레이브 모듈 간,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모듈 간 3축 가속도 또는 각속도 신호패턴의 일치율이 기 설정된 제 3 기준치 이상인 것인,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2. 삭제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의 운동 정보를 상기 마스터 모듈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은,
    상기 분실 정보를 상기 슬레이브 모듈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모듈은,
    상기 마스터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분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분실 정보를 입력받아 분실 경고를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알람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모듈,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 및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모듈은 통신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KR1020180112468A 2018-09-19 2018-09-19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KR10210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68A KR102106504B1 (ko) 2018-09-19 2018-09-19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468A KR102106504B1 (ko) 2018-09-19 2018-09-19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50A KR20200033050A (ko) 2020-03-27
KR102106504B1 true KR102106504B1 (ko) 2020-05-06

Family

ID=6995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468A KR102106504B1 (ko) 2018-09-19 2018-09-19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682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픽스트리 사물 데이터의 등록을 통해 위치 및 상태 표출, 분실 및 습득을 관리하는 사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4985B (zh) * 2021-09-10 2023-11-21 唐山学院 一种基于Lora物联网行李防丢防盗装置与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44B1 (ko) 2006-04-07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행으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642B1 (ko) * 2009-12-22 2012-08-06 주식회사 이랜텍 분실 방지 장치
KR102244213B1 (ko) * 2014-03-10 202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637378B1 (ko) * 2014-05-12 2016-07-07 ㈜비엔컴 웨어러블 블루투스 기기를 이용한 미아 방지 시스템
KR20150138633A (ko) * 2014-06-02 2015-12-10 유티정보 주식회사 건설기계 도난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944B1 (ko) 2006-04-07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행으로부터의 이탈 방지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682A (ko) 2022-06-08 2023-12-15 주식회사 픽스트리 사물 데이터의 등록을 통해 위치 및 상태 표출, 분실 및 습득을 관리하는 사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050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9612B2 (en) Wireless item loss prevention system
KR101920537B1 (ko)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KR102106504B1 (ko) 사물의 분실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물의 분실 방지 방법
WO2015160549A1 (en) Man down detector
CN103810817A (zh) 一种穿戴式人体瘫倒检测报警装置及应用
JP2017522149A (ja) ユーザーの活動を分類し及び/又はユーザーの歩数をカウント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EP3086136B1 (en) Detecting physical separation of portable devices
CN111183460A (zh) 摔倒检测器和摔倒检测的改进
JP2021510806A (ja) 人を監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011507A1 (en) Monitoring system, device, method, processing system, fall arrest equipment and kit for use with a fall arrest system
KR20140100076A (ko) 신체에 걸리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낙상 사고 관리 방법
US20230252881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all detection
KR20150084675A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움직임의 방향의 추정
De Cillis et al.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walking pattern classification
US9811987B2 (en) Detecting object theft using smart textiles
Cole et al. A study on motion mode identification for cyborg roaches
KR101714628B1 (ko)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28081B1 (ko) 시각장애 부모용 아기 행동 모니터링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1352945B1 (ko) 작업자 위치 추적 및 동작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CN1991304B (zh) 具有导航功能的生理感测装置
US20180144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ft detection
CN108765900B (zh) 一种利用可穿戴设备防止智能设备丢失的方法及系统
CN113763682B (zh) 终端的安全告警方法、移动设备、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767829B1 (ko) 목 자세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10825317B2 (en) Method for avoiding misjudgment during human fall detection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