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301B1 -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301B1
KR102106301B1 KR1020180097323A KR20180097323A KR102106301B1 KR 102106301 B1 KR102106301 B1 KR 102106301B1 KR 1020180097323 A KR1020180097323 A KR 1020180097323A KR 20180097323 A KR20180097323 A KR 20180097323A KR 102106301 B1 KR102106301 B1 KR 10210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nnecting head
rotating
hou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689A (ko
Inventor
장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8009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301B1/ko
Priority to CN201811351090.3A priority patent/CN109807949B/zh
Priority to US16/197,049 priority patent/US10974403B2/en
Priority to JP2018217044A priority patent/JP2019093139A/ja
Priority to EP18207586.1A priority patent/EP3486050A1/en
Publication of KR2020002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301B1/ko
Priority to US17/185,710 priority patent/US11766796B2/en
Priority to US18/451,521 priority patent/US202303987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Abstract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일측이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커넥팅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 어댑터 및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및 커넥팅 헤드의 타측에 배치되고 커넥팅 헤드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동 마그넷 및 면도기 핸들에 고정되고 중립 위치에서 회동 마그넷에 인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마그넷을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되, 회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은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본 발명은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습식 면도기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기 카트리지와 면도기 핸들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 가드 바, 캡, 및 가드 바와 캡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는 중립 위치와 회동 위치 사이에서 면도기 핸들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운동은, 기본적으로,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이하, '평행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평행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운동은, 면도 블레이드가 절삭 표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한편, 최근에는, 평행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기능에 더하여, 평행축에 수직한 회전축(이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기능까지 부가된 다축 회동면도기도 개발되고 있다.
다축 회동면도기는, 면도기 카트리지가 두 개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도 블레이드가, 사용자 피부의 프로파일을 따라, 사용자의 피부에 보다 원활하게 접촉하도록 해준다.
다만, 다축 회동면도기는, 2축 이상의 회동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구조가 다소 복잡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구조가 다소 취약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다축 회동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새로운 회동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특허공개공보 2017-0059091호 (2017. 5. 3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면도 블레이드 정렬방향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회동 운동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팅 에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일측이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커넥팅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 어댑터 및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 및 커넥팅 헤드의 타측에 배치되고 커넥팅 헤드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동 마그넷 및 면도기 핸들에 고정되고 중립 위치에서 회동 마그넷에 인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마그넷을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가 제공된다.
한편, 회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은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로부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면도기 조립체는, 면도 블레이드의 정렬방향에 평행인 축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운동을, 보다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의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의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과 헤드측 연결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에서 면도기 핸들의 일부를 종방향으로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회동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의 피봇공간 및 이에 수용된 회동 마그넷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하우징 및 마그넷 하우징에 수용된 고정 마그넷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를 면도기 핸들(30)의 전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여기서, 면도기 핸들(30)의 전면은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0)는 면도기 카트리지(6),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을 포함한다.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6)는 블레이드 하우징(10), 가드 바(1), 윤활 밴드(3), 면도 블레이드(5), 및 클립(7a, 7b)을 포함한다.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5)의 일단부에는 사용자의 모발을 절삭할 수 있는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형성되며, 면도 블레이드(5)의 타단부는 블레이드 하우징(10)에 형성된 안착부(미도시)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안착부 상에는 하나 이상의 면도 블레이드(5)가 수용될 수 있다.
면도 블레이드(5)가 안착부에 수용되는 방향은 면도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d1)이다. 여기서, 면도 방향은, 사용자가 면도기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면도를 할 때, 블레이드 하우징(10)이 사용자의 피부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면도 블레이드(5)는 일체형 블레이드 또는 강대날(welded blade)일 수 있다.
일체형 블레이드는 기저부, 절곡부, 및 커팅부를 포함한다. 일체형 블레이드에서, 기저부, 절곡부, 및 커팅부는 일체로서 구성된다.
기저부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안착부에 수용되며, 절곡부는 기저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된다. 커팅부의 일단은 절곡부로부터 연장되고, 커팅부의 타단에는 커팅 에지가 구비된다.
강대날은 금속지지부 및 커팅부를 포함한다. 강대날에서, 금속지지부 및 커팅부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금속지지부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안착부에 수용되는 기저부 및 기저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커팅부의 일단은 절곡부에 용접되고, 커팅부의 타단에는 커팅 에지가 구비된다.
면도 블레이드(5)는 일체형 블레이드 또는 강대날인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면도 블레이드(5)는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일자형 블레이드일 수도 있다.
면도 블레이드(5)는 스테인리스강,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립(clip, 7a, 7b)은 면도 블레이드(5)의 커팅 에지의 양단부를 블레이드 하우징(10)에 고정한다.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5)가 블레이드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7a, 7b)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클립(7a, 7b)은 합성 수지, 합성 섬유,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클립(7a, 7b)의 일단은 카트리지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며, 클립(7a, 7b)의 타단은, 면도 블레이드(5)의 커팅 에지를 감싼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일측을 에워싸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클립(7a, 7b)을 통해 면도 블레이드(5)를 고정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클립(7a, 7b)의 양단이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양측을 각각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클립의 양단이 블레이드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각각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립(7a, 7b) 같은 별도의 고정 부재없이, 면도 블레이드(5)의 양측부가 블레이드 하우징(10) 상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가드 바(guard bar, 1)는, 면도를 할 때, 면도 블레이드(5)보다 앞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 하우징(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가드 바(1)는, 면도 블레이드(5)에 의한 모발의 절삭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용자의 피부를 면도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가 가드 바(1)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이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면도 블레이드(5)에 의한 모발의 절삭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가드 바(1)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드 바(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에 고무로 된 부분이 일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윤활 밴드(lubricating band, 3)는, 절삭 이후에 윤활 물질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절삭에 의해 거칠어진 피부를 매끄럽게 정리해 주고, 면도기 조립체(100)의 활주(glide)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윤활 밴드(3)는 유연성 재질, 수분 흡수력이 있는 다공성 재질, 또는 면도 보조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윤활 밴드(3)는 물에 닿으면 팽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윤활 성분, 피부 진정 성분 등이 포함된 수용성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윤활 밴드(3)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윤활 밴드(3)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하측에서 가드 바(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블레이드 하우징(10)의 상측, 하측 모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30)은 헤드 어댑터(32) 및 그립부(33)를 포함한다.
헤드 어댑터(head adapter, 32)는 면도기 핸들(30) 상에서 커넥팅 헤드(20)와 결합되는 영역이다. 헤드 어댑터(32)는 커넥팅 헤드(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도 5의 E)를 포함한다.
그립부(gripping member, 33)는 면도기 핸들(132) 상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립부(33)는 헤드 어댑터(32)로부터 연장된다.
면도기 핸들(30)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핸들(30)은 면도기 핸들(30)의 길이방향으로 나누어지는 복수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넥팅 헤드(connecting head, 20)는 헤드 어댑터(32)에 수용되어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를 면도기 핸들(30)의 후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의 일단은,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 상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커넥팅 헤드(20)의 일단에 대해,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축(ax1)은 면도 블레이드(5)의 정렬방향인 횡방향(d1)과 대략 평행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는 제2축(ax2)을 중심으로 헤드 어댑터(32)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축(ax2)은 횡방향(d1) 및 종방향(d2) 모두에 수직하다. 여기서, 종방향(d2)은,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2축(ax2)의 방향 및 횡방향(d1) 모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종방향(d2)은 그립부(33)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그립부(33)는, 사용 편의를 위해, 헤드 어댑터(32)로부터 일정 각도 꺾인 상태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축(ax2)은 횡방향(d1)과는 수직하면서 그립부(33)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수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하우징(10)과 헤드측 연결부(21)가 결합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는 헤드측 연결부(21)를 포함하며, 면도기 카트리지(6)는 하우징측 연결부(13)를 포함한다.
헤드측 연결부(head side connecting member, 21)는 커넥팅 헤드(20)의 일단에 배치되며, 제1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하우징측 연결부(housing side connecting member, 13)는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 상에 배치되며, 헤드측 연결부(21)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간(F)을 포함한다.
하우징측 연결부(13)는 블레이드 하우징(10)과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측 연결부(13)와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상호 움직임이 없도록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측 연결부(13)와 블레이드 하우징(10)은 일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헤드측 연결부(21)는 하우징측 연결부(13)의 결합공간(F)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측 연결부(13)와 상호 움직임이 없도록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면도기 카트리지(6)는, 헤드측 연결부(21)가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하우징측 연결부(13)와 함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축(ax1)을 중심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6)의 회동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축(ax1)은 커넥팅 헤드(20)가 아닌 면도기 카트리지(6)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측 연결부(13)는 블레이드 하우징(10)과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헤드측 연결부(21)는 커넥팅 헤드(20)와 상호 움직임이 없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측 연결부(13)는, 하우징측 연결부(13)와 헤드측 연결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블레이드 하우징(10)에 대해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기 카트리지(6)는 핸들(30)에 대해 제1축(ax1)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헤드측 연결부(21)는 헤드측 연결부(21)의 양측에 형성된 횡방향 돌출부(미도시)가 결합공간(F)의 양측벽에 형성된 횡방향 삽입구(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측 연결부(13)에 결합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측 연결부(21) 및 하우징 연결부(13) 간의 결합은, 커넥팅 헤드(20)로부터 종방향(d2)으로 돌출되는 종방향 돌출부(미도시)가 결합공간(F)에 형성된 종방향 삽입구(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축(ax2)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체결구(fastening member, 50)는 면도기 핸들(30)에 형성된 관통홀(324a, 324b) 및 커넥팅 헤드(20)에 형성된 관통홀(122a, 122b) 모두를 관통할 수 있다. 커넥팅 헤드(20)는, 체결구(50)가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체결구(50)는 고정핀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체결구(50)는 커넥팅 헤드(20) 및 면도기 핸들(30) 간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샤프트 형태의 부재일 수도 있다.
커넥팅 헤드(20)의 회전축은 체결구(50)와 같은 별도의 축 부재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팅 헤드(20)의 회전축은 헤드 어댑터(32)로부터 돌출되는 축 형상의 부재가 커넥팅 헤드(20)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반대로, 커넥팅 헤드(20)로부터 돌출되는 축 형상의 부재가 헤드 어댑터(32)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면도기 조립체(100)는 복원력 제공부(4)를 포함하며, 복원력 제공부(4)는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을 포함한다.
복원력 제공부(restoring force provider, 4)는,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rest position)에서 제2축(ax2)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에 작용하는 인력(attractive magnetic force)을 이용하여, 커넥팅 헤드(2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restoring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회동 마그넷(rotatable magnet, 40)은 커넥팅 헤드(20)의 타측에 형성된 피봇공간(G)에 수용된다. 회동 마그넷(40)은, 제2축(ax2)을 중심으로 커넥팅 헤드(20)가 회동함에 따라, 커넥팅 헤드(20)와 함께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피봇공간(G)은 커넥팅 헤드(20) 상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봇공간(G)은 별도의 하우징 부재(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동 마그넷(40)은 하우징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넥팅 헤드(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헤드(20)는, 회동 마그넷(40)을 피봇공간(G)에 수용하기 위해, 종방향(d2)으로 나누어지는 두 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 마그넷(fixed magnet, 45)은 면도기 핸들(30)에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마그넷(45)은, 커넥팅 헤드(20)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횡방향(d1) 및 제2축(ax2)의 방향 모두에 수직인 종방향(d2)으로 회동 마그넷(40)에 대해 인력을 작용하도록 면도기 핸들(30) 상에 배치된다.
고정 마그넷(45)은 면도기 핸들(30)의 수용공간(H)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마그넷(45)은, 마그넷 하우징(49)에 수용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30)의 수용공간(H)에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마그넷 하우징(magnet housing, 49)은 마그넷 수용부(492) 및 마그넷 수용부(492)로부터 연장되는 끼움부(494)을 포함한다.
마그넷 수용부(magnet receiving portion, 492)는 고정 마그넷(45)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마그넷 하우징(49)은, 수용공간(H)에 삽입된 상태에서, 끼움부(fitting portion, 494)가 수용공간(H)의 양측벽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마그넷 하우징(49)은 수용공간(H)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부(494)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부(494)는 끼움부(49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protruding portion, 도 7의 49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922)는, 마그넷 하우징(49)이 수용공간(H)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H)의 양측벽에 형성된 핸들측 걸림턱(handle side locking step, 도 7의 35)에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부(33)는 뚜껑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 하우징(49)은, 그립부(33)로부터 뚜껑부재(332)가 분리된 상태에서, 면도기 핸들(30)의 수용공간(H)에 삽입되거나 수용공간(H)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마그넷(45)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자력의 세기가 상이한 다른 고정 마그넷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넥팅 헤드(20)의 회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커넥팅 헤드(20)의 회동 강도를 조절하는 방식은, 재료가 상이한 고정 마그넷(45)을 이용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고정 마그넷(45)의 크기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방식일 수도 있으며,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회동 마그넷(40) 또는 고정 마그넷(45)은, 면도기 조립체(100) 내에서, 종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 하우징(49)의 끼움부(494)가 종방향(d2)을 따라 다단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핸들측 걸림턱(35)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구조일 수도 있고, 수용공간(H) 내에서 종방향(d2)으로 형성된 레일 부재(미도시)를 따라 마그넷 하우징(49)이 슬라이딩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을 이루는 소재는,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의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은 모두 영구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자성체 금속일 수도 있다.
여기서, 자성체 금속(magnetic metal)은 영구자석에 의해 인력이 작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자성체 금속으로는 철, 코발트, 및 니켈 등의 강자성체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자성체 금속은 영구자석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물질이라면 전술한 금속 이외의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에 사용되는 영구자석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만 자석으로서 기능하는 전자석(electromagnet)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팅 헤드(20) 또는 핸들(30)에는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은 원통 형상(cylindrical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40) 또는 고정 마그넷(45)은 구 형상(sphere shape) 또는 그 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회동구조는, 종래의 다축 회동면도기가 채택했던 회동구조, 예를 들면, 캔틸레버를 이용한 회동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캔틸레버 방식은, 캔틸레버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해, 캔틸레버를 판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변형 내지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캔틸레버의 복원력이 변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반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회동구조는 장기간 사용에도 일정한 복원력을 영구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회동구조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아닌, 영구자석 간(또는 양구자석 및 자성체 금속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복원력으로서 이용하므로, 종래의 캔틸레버 방식에 비하여, 보다 부드러운 피봇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캔틸레버 방식은, 캔틸레버를 구성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력이 결정되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복원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반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회동구조는, 마그넷의 크기, 형상 또는 재료를 변경하거나, 마그넷 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복원력의 크기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100)에서 면도기 핸들(30)의 일부를 종방향으로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립 위치에서, 하나의 회동 마그넷(40)은 하나의 고정 마그넷(45)과 종방향(d2)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는 서로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는 서로에 대해 인력이 작용하므로, 하나의 회동 마그넷(40) 및 하나의 고정 마그넷(45)이 서로 대향하는 복원위치로부터 그 양측 회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은 각각 하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40) 또는 고정 마그넷(45)은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
회동 마그넷(40) 또는 고정 마그넷(45)이 복수 개인 경우,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의 인력은 커넥팅 헤드(20)의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의 회동 마그넷(40) 또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45)은 커넥팅 헤드(20)의 중립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회동 마그넷(40) 또는 복수의 고정 마그넷(45)은 전체로서 하나의 군(群)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마치 하나의 마그넷인 것처럼 기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100)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립 위치에서, 제2축(ax2),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은, 커넥팅 헤드(20)의 중립 위치에서, 제2축(ax2),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의 순서로 블레이드 하우징(10)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은 종방향(d2)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ax2)과 회동 마그넷(40)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ax2)과 고정 마그넷(45) 사이의 거리가 고정된 것으로 전제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40)이 고정 마그넷(45)의 전측이 아닌, 고정 마그넷(45)의 상측, 하측, 또는 후측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축(ax2)과 회동 마그넷(4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마그넷(45)의 전측은 고정 마그넷(45)이 제2축(ax2)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고정 마그넷(45)의 상측은 블레이드 하우징(10)의 배면이 보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회동 마그넷(40)이 횡방향(d1)으로 동일한 범위 내에서 이동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커넥팅 헤드(20)의 회동 각도는, 회동 마그넷(40)이 고정 마그넷(45)의 전측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40, 45)의 배치는, 동일한 회동 범위를 얻기 위해,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함으로써 제품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립 위치에서, 커넥팅 헤드(20)에는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의 인력에 의한 회동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저항보다 작은 크기의 힘이 커넥팅 헤드(20)에 작용하는 경우 커넥팅 헤드(20)의 회동은 제한될 수 있다.
회동저항의 크기는,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의 크기, 형상, 및 회동 마그넷(40)과 고정 마그넷(45) 사이의 이격거리 등을 조정함으로써, 실제 사용에 적합한 값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동 저항은, 사용 편의를 위해, 0.015kgf에서 0.2kgf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마그넷(45)과 대향하는 커넥팅 헤드(20)의 타측 상의 일면은 곡선 프로파일(curved profile, P)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곡선 프로파일(P)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제2축(ax2)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 헤드(20)의 타측 상의 일면이 곡선 프로파일(P)을 가짐으로써, 커넥팅 헤드(20)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20)의 타측이 고정 마그넷(45) 또는 마그넷 하우징(49)과 접촉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헤드(20)의 회동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커넥팅 헤드(20)의 타측 상의 일면이 곡선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40)과 대향하는 마그넷 하우징(49)의 일면에 곡선 프로파일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커넥팅 헤드(20)의 일면 및 마그넷 하우징(49)의 일면 모두에 곡선 프로파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가 회동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100)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넥팅 헤드(20)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동 마그넷(40)은 커넥팅 헤드(20)와 함께 제2축(ax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회동 마그넷(40)이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 간에는 인력에 의한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커넥팅 헤드(20)을 회동시키려는 힘이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의 인력에 의한 복원력보다 클 경우, 커넥팅 헤드(20)는 회동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반대로, 커넥팅 헤드(20)을 회동시키려는 힘이 회동 마그넷(40) 및 고정 마그넷(45)의 인력에 의한 복원력보다 작을 경우, 커넥팅 헤드(20)는 회동된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커넥팅 헤드(20)의 회동 범위는 스토퍼(stopper, 미도시)에 의해 특정 각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팅 헤드(20)가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20)의 타측이 헤드 어댑터(32)의 제1회동 제한부(1st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326)에 접촉함으로써, 커넥팅 헤드(20)의 회동이 특정 각도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헤드 어댑터(32)에 수용되지 않은 커넥팅 헤드(20)의 일면 상에는 제2회동 제한부(2nd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도 1의 13)가 형성된다. 커넥팅 헤드(20)가 제2축(ax2)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제2회동 제한부(13)는 헤드 어댑터(32) 상에 형성된 제한 단차부(restricting stepped portion, 도 1의 322)와 접촉될 수 있고, 이로써, 커넥팅 헤드(20)의 회동이 저지될 수 있다.
제한 단차부(322)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회동 제한부(13)는, 제한 단차부(322)와의 원활한 접촉을 위해, 제한 단차부(322)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회동 제한부(13)는, 커넥팅 헤드(20)가 제1회동 제한부(326)에 의한 회동 범위를 넘어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20)의 회동을 추가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회동 제한부(13)에 의한 회동 제한 범위는 제1회동 제한부(326)에 의한 회동 제한 범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커넥팅 헤드(20)의 스토퍼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면도기 조립체(100)는 제1회동 제한부(326) 및 제2회동 제한부(13)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제1회동 제한부(326)에 의한 회동 제한 범위가 제2회동 제한부(13)에 의한 회동 제한 범위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술될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8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회동 마그넷이 자성체 금속(magnetic metal)이고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지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920)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면도기 조립체(900)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회동 마그넷(940)은 자성체 금속(magnetic metal)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마그넷(945)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으로 이루어진다.
회동 마그넷(940)을 구성하는 자성체 금속에는 철, 코발트, 및 니켈 등의 강자성체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자성체 금속은 영구자석에 의해 인력이 작용하는 물질이라면 전술한 금속 이외의 물질이 회동 마그넷(940)에 사용될 수도 있다.
회동 마그넷(940)은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지며, 고정 마그넷(945)은 원통 형상(cylindrical shape)을 가진다.
영구자석은 N극 및 S극을 가지므로, 영구자석을 구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은 제조 공정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 형상의 영구자석을 두 개의 반구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각 반구 영역이 정확히 N극 및 S극을 가지도록 영구자석을 제작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일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구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영구자석의 특정 극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추가 공정을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 공정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앞서 영구자석을 구 형상으로 제작할 때를 예시로 들었으나, 전술한 영구자석의 문제점은, 영구자석을 영구자석의 일반적이지 않은 형상, 예를 들어, 반구(hemisphere), 원뿔(circular cone), 또는 다각뿔(poly pyramid) 등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이다.
반면에, 자성체 금속은 영구자석과 달리 특정한 극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자성체 금속을 구 또는 그 외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은 영구자석의 경우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구 또는 그 외의 형상을 가지는 자성체 금속을 제품 상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특정한 극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제조 공정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자성체 금속을 쓰는 경우, 전출한 바와 같이, 특정한 극을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원통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자성체 금속이 영구자석보다 저렴하므로,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을 모두 영구자석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자성체 금속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영구자석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복원력이 작을 수는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형상 적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기초로, 회동 마그넷(940)을 구 형상의 자성체 금속인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자성체 금속의 장점을 포섭하면서도, 자성체 금속의 상대적으로 작은 복원력 크기의 문제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 마그넷 및 고정 마그넷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lines of magnetic force)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구 형상을 가지는 회동 마그넷(940) 및 원통 형상을 가지는 고정 마그넷(9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회동 마그넷(1040, 940)은 모두 자성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고정 마그넷(1045, 945)은 모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동 마그넷(1040, 940) 및 고정 마그넷(1045, 945) 간의 자기력선은 모두 인력을 나타내는 자기력선이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동 마그넷(1040, 940)에 대향하는 고정 마그넷(1045, 945)의 일단부는 N극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고정 마그넷(1045, 945)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회동 마그넷(1040, 940)의 일단부는, 고정 마그넷(1045, 945)의 자성에 의해, S극의 극성이 유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 마그넷(1040, 940)의 일단부 및 고정 마그넷(1045, 945)의 일단부는 각각 N극 및 S극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동 마그넷(1040, 940) 및 고정 마그넷(1045, 945)이 서로 대향하는 일면 상에서 작용하는 자기력선만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로 대향하지 않는 회동 마그넷(1040, 940) 및 고정 마그넷(1045, 945)의 다른 면 간에도 자기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은, 중립 위치에서, 중심선(S)를 기준으로 대칭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도 중심선(S)를 기준으로 대칭하여 배치될 수 있다.
원통 형상의 회동 마그넷(1040) 및 원통 형상의 고정 마그넷(1045)은, 중립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다. 따라서,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 간의 이격거리는, 중심선(S)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와 상관없이, 일정하다.
두 점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두 점 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의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중심선(S) 부근의 영역에서의 크기와 중심선(S)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크기가 거의 동일하다.
즉,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회동 마그넷(1040) 및 고정 마그넷(1045)의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서, 고르게 분포하게 된다.
이 경우, 커넥팅 헤드(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아주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때, 커넥팅 헤드를 정확한 중립 위치로 복귀 내지 정렬시키는 것은 어려워진다.
도 10(b)를 참조하면,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은, 중립 위치에서, 중심선(S)를 기준으로 대칭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선도 중심선(S)를 기준으로 대칭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 형상의 회동 마그넷(940) 및 원통 형상의 고정 마그넷(945)은, 중립 위치에서, 중심선(S)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의 이격거리가 커지게 되고, 중심선(S) 상에서 이격거리가 최소가 된다.
두 점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두 점 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회동 마그넷(140) 및 고정 마그넷(1045)의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기력의 크기는, 중심선(S) 부근의 영역에서 가장 크고, 중심선(S)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진다. 즉,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에 작용하는 자기력은, 중심선(S) 부근에서 집중하여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 헤드(미도시)가 중립 위치로부터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때,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중심선(S) 부근의 인력에 의해, 커넥팅 헤드는 중립 위치로 정확히 복귀 내지 정렬될 수 있다.
회동 마그넷(940)은 구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립 위치에서, 중심선(S) 부근의 영역에서의 자기력의 크기가 중심선(S)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자기력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 있다면, 회동 마그넷(940)은 그러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940)은 고정 마그넷(945)과 대향하는 일부분만 부분적으로 반구(hemisphere), 원뿔(circular cone), 또는 다각뿔(poly pyramid)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헤드(920)의 피봇공간(G) 및 피봇공간(G)에 수용된 회동 마그넷(94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 형상의 회동 마그넷(940)은 커넥팅 헤드(920)의 타측에 형성된 피봇공간(G)에 수용된다.
커넥팅 헤드(920)는 고정 마그넷(945)과 대향하는 커넥팅 헤드(920)의 타측면에 형성된 헤드측 개구부(head side opening, 9222)를 포함한다.
커넥팅 헤드(920)의 피봇공간(G)에 수용된 회동 마그넷(940)의 일부분은, 헤드측 개구부(9222)를 통해, 커넥팅 헤드(92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945)과 대향하는 커넥팅 헤드(920)의 타측면에서 헤드측 개구부(922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헤드측 걸림턱(922, head side locking step)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헤드측 개구부(922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회동 마그넷(940)의 다른 부분은 헤드측 걸림턱(92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회동 마그넷(940)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회동 마그넷(940)이 헤드측 개구부(9222)를 통과하여 커넥팅 헤드(9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동 마그넷(940)의 일부분이 헤드측 개구부(9222)를 통해 노출됨으로써, 회동 마그넷(920)은 고정 마그넷(945)에 종방향(d2)으로 보다 근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에 작용하는 인력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회동 마그넷(940)의 일부분이 헤드측 개구부(9222)를 통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사이의 공간이 커넥팅 헤드(920)의 타측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에 의한 마그넷(940, 945) 간의 인력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900)는 헤드측 개구부(9222)를 포함함으로써, 마그넷(940, 945)의 크기, 형상, 또는 피봇공간(G)과 마그넷 하우징(949) 사이의 이격거리 등의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의 인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동 마그넷(940)은 구 형상을 가지고 헤드측 개구부(9222)는 원 형상(circle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940)은 반구, 원뿔, 다각뿔의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헤드측 개구부(9222)는 회동 마그넷(940)의 형상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십자가 형상(cross shape), 또는 그 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헤드측 개구부(9222)는 커넥팅 헤드(920) 상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동 마그넷(940)이 별도의 하우징 부재(미도시)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넥팅 헤드(920)에 결합되는 방식인 경우, 헤드측 개구부(9222)는 고정 마그넷(945)의 대향하는 하우징 부재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하우징(949) 및 마그넷 하우징(949)에 수용된 고정 마그넷(945)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통 형상을 가지는 고정 마그넷(945)은 마그넷 하우징(949)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마그넷(945)은 마그넷 하우징(949)의 마그넷 수용부(9494)에 수용된다.
마그넷 하우징(949)은 회동 마그넷(940)과 대향하는 마그넷 하우징(949)의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측 개구부(9498, housing side opening)를 포함한다.
마그넷 수용부(9494)에 수용된 고정 마그넷(945)의 일부분은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통해 마그넷 하우징(949)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회동 마그넷(940)과 대향하는 마그넷 하우징(949)의 일측면에서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측 걸림턱(9496, housing side locking step)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고정 마그넷(945)의 다른 부분은 하우징측 걸림턱(9496)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고정 마그넷(945)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고정 마그넷(945)이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통과하여 마그넷 하우징(949)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 마그넷(945)의 일부분이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통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사이의 공간이 마그넷 하우징(949)의 일측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폐에 의한 마그넷(940, 945) 간의 인력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900)는 하우징측 개구부(9498)를 포함함으로써, 마그넷(940, 945)의 크기, 형상, 또는 피봇공간(G)과 마그넷 하우징(949) 사이의 이격거리 등의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회동 마그넷(940) 및 고정 마그넷(945) 간의 인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측 개구부(9498)는 십자가 형상(cross shape)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측 개구부(9222)는 원 형상(circle shape),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polygonal shape), 또는 그 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레이드 하우징 20: 커넥팅 헤드 30: 면도기 핸들
40: 회동 마그넷 45: 고정 마그넷 49: 마그넷 하우징
9222: 헤드측 개구부 9498: 하우징측 개구부

Claims (14)

  1.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shaving blade),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을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일측이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팅 헤드(connecting head);
    상기 횡방향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커넥팅 헤드에 결합되는 헤드 어댑터(head adapter) 및 상기 헤드 어댑터로부터 연장되는 그립부(gripping member)를 포함하는 면도기 핸들(razor handle); 및
    상기 커넥팅 헤드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팅 헤드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동 마그넷(rotatable magnet) 및 상기 면도기 핸들에 고정되고 중립 위치(rest position)에서 상기 회동 마그넷에 인력(attractive magnetic force)을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마그넷(fixed magnet)을 포함하는 복원력 제공부(restoring force provider)를 포함하되,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커넥팅 헤드를 상기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횡방향과 수직한 가상 기준면(virtual reference plane)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경로 상에서 회동 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팅 헤드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razor 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횡방향 및 상기 회전축의 방향에 수직인 종방향으로 상기 회동 마그넷에 대해 인력을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마그넷은 상기 고정 마그넷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을 수용하는 마그넷 하우징(magnet housing)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그넷 하우징은 상기 면도기 핸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하우징은 상기 회동 마그넷과 대향하는 상기 마그넷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측 개구부(housing side opening)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마그넷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는 상기 고정 마그넷과 대향하는 상기 커넥팅 헤드의 타측면에 형성된 헤드측 개구부(head side 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헤드측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넥팅헤드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헤드의 타측 상의 일면은 곡선 프로파일(curved profil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프로파일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회전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어댑터는 제한 단차부(restricting stepped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헤드는 상기 커넥팅 헤드의 일면 상에 형성된 회동 제한부(rotation restricting portion)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팅 헤드의 회동 범위는 상기 회동 제한부가 상기 제한 단차부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중 적어도 하나는,
    원통 형상(cylindrical shape)을 가지거나 구 형상(sphere shape)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은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인력이 작용될 수 있는 자성체 금속(magnetic me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자성체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중 어느 하나는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 위치에서,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간의 이격거리가 최단 거리가 되는 지점은, 상기 가상 기준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가상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횡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증가하고,
    상기 회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간의 이격거리의 상기 횡방향에 따른 분포는 상기 가상 기준면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조립체.
KR1020180097323A 2017-11-21 2018-08-21 면도기 조립체 KR10210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23A KR102106301B1 (ko) 2018-08-21 2018-08-21 면도기 조립체
CN201811351090.3A CN109807949B (zh) 2017-11-21 2018-11-14 剃须刀组装体
US16/197,049 US10974403B2 (en) 2017-11-21 2018-11-20 Razor assembly
JP2018217044A JP2019093139A (ja) 2017-11-21 2018-11-20 カミソリ組立体
EP18207586.1A EP3486050A1 (en) 2017-11-21 2018-11-21 Razor assembly
US17/185,710 US11766796B2 (en) 2017-11-21 2021-02-25 Razor assembly
US18/451,521 US20230398707A1 (en) 2017-11-21 2023-08-17 Raz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23A KR102106301B1 (ko) 2018-08-21 2018-08-21 면도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9A KR20200021689A (ko) 2020-03-02
KR102106301B1 true KR102106301B1 (ko) 2020-05-04

Family

ID=6980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23A KR102106301B1 (ko) 2017-11-21 2018-08-21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2667A (zh) * 2021-04-30 2021-07-27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剃须刀、剃须刀头、切削单元、刀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1391A1 (en) * 2012-05-01 2013-11-0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US20160107324A1 (en) * 2014-10-07 2016-04-21 Ruairidh Robertson Shaving Device
US20180079095A1 (en) * 2014-10-07 2018-03-22 Ruairidh Robertson Shav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89A (ja) * 1990-05-18 1992-01-27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JPH11300065A (ja) * 1998-04-22 1999-11-02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安全かみそり
JP2011502616A (ja) * 2007-11-20 2011-01-27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複数の揺動可能な刃ユニットを有する安全かみそり
WO2017086510A1 (ko)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도루코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1391A1 (en) * 2012-05-01 2013-11-07 The Gillette Company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US20160107324A1 (en) * 2014-10-07 2016-04-21 Ruairidh Robertson Shaving Device
US20180079095A1 (en) * 2014-10-07 2018-03-22 Ruairidh Robertson Sha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89A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7949B (zh) 剃须刀组装体
US11065773B2 (en) Shaving device
US20240025065A1 (en) Shaving Device
US20240025066A1 (en) Shaving Device
US9889572B2 (en) Razor with cutting blade rotatable about multiple axes
US10105858B2 (en) Shaving device
CN108235699B (zh) 剃刮装置
EP3398738B1 (en) Razor handle
EP2227360B1 (en) Safety razor with multi-pivot blade unit
EP3348363A1 (en) A shaving handle system for holding a cartridge pivotable about two axes
EP2934825A1 (en) Shaver
KR102106301B1 (ko) 면도기 조립체
US11420353B2 (en) Blade assembly attachment device and razor assembly
USRE49843E1 (en) Reciprocating razor assembly with different amplitudes of motion
KR102231866B1 (ko) 면도기 핸들 및 이를 이용한 면도기 조립체
WO2008114912A1 (en) Tweez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