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79B1 -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79B1
KR102105079B1 KR1020180172565A KR20180172565A KR102105079B1 KR 102105079 B1 KR102105079 B1 KR 102105079B1 KR 1020180172565 A KR1020180172565 A KR 1020180172565A KR 20180172565 A KR20180172565 A KR 20180172565A KR 102105079 B1 KR102105079 B1 KR 10210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wireless charging
magnetic body
magnetic force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화
Original Assignee
김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화 filed Critical 김유화
Priority to KR102018017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을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로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을 분리하여 주머니는 가방 외부에 부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충전 유닛은 가방 내부에 부착하여 충전 유닛과 보조 배터리의 부피로 인해 가방 외부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도록 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자성체를 갖는 제1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가방의 외측에 부착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주머니; 및 상기 제1자성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자성체를 갖는 제2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방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1자성체중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설치된 제1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중 상기 제1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설치된 제2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Detachable type wireless rechargeable device using magnetic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마트폰을 수납하여 충전하는 제품으로서 무선 충전 가방 또는 무선 충전 주머니 제품 등이 있다. 가방 형태의 제품들은 가방 자체를 구입해야 하므로 디자인 선택의 제약이 있고 가방 전체 가격을 지불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가방에 탈부착하는 주머니 형태의 제품은 충전 장치 및 보조 배터리를 주머니에 내장하고 이 주머니를 가방 외부에 고리 형태로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이에 따라 부피가 커서 미관상 좋지 않으며, 고리로 걸 수 있는 곳이 없는 경우 부착이 되지 않고, 배터리를 함께 구입해야 하여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을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로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을 분리하여 주머니는 가방 외부에 부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충전 유닛은 가방 내부에 부착하여 충전 유닛과 보조 배터리의 부피로 인해 가방 외부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을 가방의 내/외부에서 자기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사용하거나 가방을 바꾸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충전 유닛의 일측(충전 코일)이 돌출되도록 하여 주머니의 개구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또는 그 반대도 가능함) 무선 충전 유닛의 충전 코일이 주머니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코일에 근접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선 충전 유닛과 주머니 사이의 부착에 필요한 강한 자기력을 유지하면서도 주변 사물에 자기력에 의한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는 제1자성체를 갖는 제1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가방의 외측에 부착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주머니; 및 상기 제1자성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자성체를 갖는 제2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방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1자성체중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1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중 상기 제1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2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자성체는 상자성체, 반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는 상기 제1자성체중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외측을 감쌀 수 있고,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2자성체중 상기 제1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부의 면적은 상기 제1자성체의 면적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2차폐부의 면적은 상기 제2자성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제1차폐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홈은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상기 제2자성 부착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충전 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 및 상기 제2차폐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제1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상기 제2자성 부착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충전 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의 제1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차폐부의 비투자율(μr)은 120 내지 2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납하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을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로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을 분리하여 주머니는 가방 외부에 부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충전 유닛은 가방 내부에 부착하여 충전 유닛과 보조 배터리의 부피로 인해 가방 외부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을 가방의 내/외부에서 자기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사용하거나 가방을 바꾸어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유닛의 일측(충전 코일)이 돌출되도록 하여 주머니의 개구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또는 그 반대도 가능함) 무선 충전 유닛의 충전 코일이 주머니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코일에 근접되도록 하여 무선 충전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유닛과 주머니 사이의 부착에 필요한 강한 자기력을 유지하면서도 주변 사물에 자기력에 의한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한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성체 중 상호간 마주보며 탈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철판과 같은 차폐부가 더 설치됨으로써, 자성체중 상호간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 즉, 차폐부를 통해서는 자기력선이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자성체 주변의 다양한 부품에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중 주머니 및 무선 충전 유닛을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중에서 자성 부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중에서 자성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중에서 자성 부착부에 의한 자기력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중에서 자성 부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가방(미도시)의 외측에 부착되는 주머니(110)와, 가방(미도시)의 내측에 부착되는 무선 충전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성체(111, 도 2a 참조)를 갖는 제1자성 부착부(113, 도 2a 참조)가 구비되어 가방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부 영역이 개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0)(예를 들면, 스마트폰)를 수용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유닛(120)은 제1자성체(1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자성체(121, 도 2b 참조)를 갖는 제2자성 부착부(123, 도 2b 참조)가 구비되어 가방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130)(예를 들면, 배터리 팩)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유닛(120)에는 배터리, 보조 배터리 또는 태양 전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130) 역시 무선 충전 유닛(120)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선 충전 코일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 주머니(110) 및 무선 충전 유닛(120)을 각각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 주머니(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0)가 수납될 수 있는 주머니 본체(110a)와, 일측에 제1자성체(111)를 갖는 제1자성 부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에들에서, 제1자성 부착부(113)는 주머니 본체(110a)와 별도로 형성되어 주머니 본체(110a)의 일측에 부착되거나 또는 주머니 본체(11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주머니 본체(110a)와 별도로 형성된 제1자성 부착부(113)가 도시되어 있다.
제1자성 부착부(113)는 대략 평평한 평판 형태일 수 있으며, 대략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제1개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대응되는 주머니 본체(110a)의 영역에도 제1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1자성 부착부(113)는 제1개구(114)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의 둥근 제1안착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개구(114)를 중심으로 사각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1안착홈(115)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열 형태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제1안착홈(115)은 내측에 형성된 클로버 형태의 제1관통홀(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안착홈(115)에는 제1자성체(111)와 제1차폐부(112)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자성체(111)는 상자성체, 반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자성체(111)는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차폐부(112)는 비투자율(μr)이 대략 120 내지 20,000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차폐부(112)는 철판, 니켈판 또는 코발트판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차폐부(112)는 중간에 공기가 개재된 다층 철판, 다층 니켈판 또는 다층 코발트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차폐부(112)는 제1자성체(111)의 자기력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1차폐부(112)의 반대 방향에 대한 제1자성체(111)의 자기력선을 증폭할 수 있다. 즉, 제1차폐부(112)에 의해 감소된 자속만큼 제1차폐부(112)의 반대 방향에 대한 자기력선이 증폭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1차폐부(112)는 제1자성체(111)중 제2자성체(12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자성체(111)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서 4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차폐부(112)는 대략 원판 형태로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원판형 제1차폐부(112)는 이러한 다수의 원기둥형 제1자성체(111)중 제2자성체(12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자성체(111)로부터의 자기력선은 제2자성체(121)를 향하여 형성될 뿐, 제1차폐부(112)를 관통하지 못하므로, 제1차폐부(112)의 후방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30)나 기타 가방 외부에 위치된 다양한 소지품에 대한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안착홈(115)에 형성된 제1관통홀(116)의 형태는 상술한 4개의 제1자성체(111)가 이루는 외형과 대응함으로써, 제1관통홀(116)에 4개의 제1자성체(111)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차폐부(112)는 제1안착홈(115)에 결합되고, 제1자성체(111)는 제1관통홀(116)에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 무선 충전 유닛(120)은 제2자성 부착부(123)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124)와, 전면 케이스(124)와 제2자성 부착부(123)의 사이에 결합된 충전 코일(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면 케이스(124)에는 내부에 충전 코일(125)이 결합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돌출부(124a)는 대략 원형으로 전면 케이스(124)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높이/거리 더 돌출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자성 부착부(113)에 구비된 제1개구(11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124a)의 외경은 제1개구(114)의 내경과 같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충전 유닛(120)에 구비된 충전 코일(125)은 전면 케이스(124)에 구비된 돌출부(124a) 및 제1자성 부착부(113)에 구비된 제1개구(114)를 통해, 주머니(110)에 수납된 모바일 디바이스(130)에 더욱 근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130)의 충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자성 부착부(123)는 전면 케이스(124)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일 수 있다. 제2자성 부착부(123)는 대략 평평한 평판 형태일 수 있으며, 다수의 제2안착홈(1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2안착홈(126)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제2안착홈(126)은 제1자성 부착부(113)에 구비된 제1안착홈(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안착홈(126)에는 제2자성체(121)와 제2차폐부(122)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자성체(121)는 상자성체, 반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자성체(121)는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차폐부(122)는 비투자율(μr)이 대략 120 내지 20,000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차폐부(122)는 철판, 니켈판 또는 코발트판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차폐부(122)는 중간에 공기가 개재된 다층 철판, 다층 니켈판 또는 다층 코발트판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차폐부(122)는 제2자성체(121)의 자기력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제2차폐부(122)의 반대 방향에 대한 제2자성체(121)의 자기력선을 증폭할 수 있다. 즉, 제2차폐부(122)에 의해 감소된 자속만큼 제1차폐부(122)의 반대 방향에 대한 자기력선이 증폭된다. 따라서, 제1자성체(111)와 제2자성체(121)의 극성이 반대일 경우, 상호간 인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차폐부(122)는 제2자성체(121)중 제1자성체(11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2자성체(121)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서 4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차폐부(122)는 대략 원판 형태로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원판형 제2차폐부(122)는 이러한 다수의 원기둥형 제2자성체(121)중 제1자성체(11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자성체(121)로부터의 자기력선은 제1자성체(111)를 향하여 형성될 뿐, 제2차폐부(122)를 관통하지 못하므로, 제2차폐부(122)의 후방에 있는 가방 내의 다양한 소지품에 대한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30)를 수납하는 주머니(110)와 무선 충전 유닛(120)을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로 구성하고, 이러한 하나의 탈부착 타입 모듈을 분리하여 주머니(110)는 가방 외부에 부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30)를 손쉽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충전 유닛(120)은 가방 내부에 부착하여 충전 유닛(120)과 보조 배터리의 부피로 인해 가방 외부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주머니(110)와 무선 충전 유닛(120)을 가방의 내/외부에서 자기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사용하거나 가방을 바꾸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무선 충전 유닛(120) 중 전면 케이스(124)의 전방에 충전 코일(125)과 대응하는 돌출부(124a)가 형성되도록 하여 주머니(110) 또는 제1자성 부착부(113)의 제1개구(114)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또는 그 반대도 가능함), 무선 충전 유닛(120)의 충전 코일(125)이 주머니(110)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130)가 갖는 충전 코일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30)의 무선 충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2자성체(111,121) 중 상호간 마주보는 영역을 제외한 그 외측에 자기력선이 통과할 수 없는 제1,2차폐부(112,122)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2자성 부착부(113,123) 사이에 강력한 자기력이 유지되면서도 그 외측의 주변 사물에 대해서는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2자성체(111,121)에 의한 주변 사물이 손상되거나 이상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자성 부착부(113,123)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제1자성 부착부(113)는 제1자성체(111)와 제1차폐부(1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자성 부착부(123)는 제2자성체(121)와 제2차폐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2자성 부착부(113,123)는 상호간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제1자성 부착부(113)는 원판형 제1차폐부(112)의 일면에 다수의 원기둥형 제2자성체(121)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자성 부착부(123)는 원판형 제2차폐부(122)의 일면에 다수의 원기둥형 제2자성체(121)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자성체(111)의 바깥면(즉, 제1차폐부(112)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이 N극이라면 제2자성체(121)의 바깥면(즉, 제2차폐부(122)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은 S극이 되도록, 제1,2자성체(111,121)가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제1자성체(111)의 바깥면(즉, 제1차폐부(112)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이 S극이라면 제2자성체(121)의 바깥면(즉, 제2차폐부(122)에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은 N극이 되도록, 제1,2자성체(111,12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자성 부착부(113)와 제2자성 부착부(123)는 상호간 자기력선에 의해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2자성체(111,121)중 상호간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각각 더 넓은 면적의 제1,2차폐부(112,122)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제1,2차폐부(112,122)를 통하여 제1,2자성체(111,121)의 자기력선이 감소되어 차단된다.
따라서, 제1,2자성 부착부(113,123)는 상호간 더욱 강하게 부착되지만, 제1,2자성체(111,121)의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에 각각 제1,2차폐부(112,122)가 설치되어, 자기력선이 감소됨으로써(차폐됨으로써), 제1,2자성 부착부(113,123)의 외측에서 자기력선에 의한 다양한 현상(전자기기의 오동작, 하드디스크의 디가우징, 마그네틱선의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자성 부착부(213,3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부착부(213,313)는 차폐부(212,312)의 형태가 대략 원통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2자성 부착부(113,123)와 동일하다.
일부 예들에서, 차폐부(212)는 원판 영역(212a)과, 원판 영역(212a)의 둘레로부터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된 둘레 영역(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둘레 영역(212b)의 높이 또는 두께는 자성체(111)의 높이 또는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간 대향하는 자성체(111,121)끼리 부착되는데 있어, 차폐부(212)의 둘레 영역(212b)이 간섭 또는 방해되지 않는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의 둘레 영역(212b)은 자성체(111)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부착부(313)에서 차폐부(312)의 둘레 영역(312b)은 자성체(111)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즉, 원판 영역(312a)으로부터 돌출된 둘레 영역(312b)이 자성체(111)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자성체(111)에 의한 자기력이 상호간 마주보는 면을 통해 증폭되고 영향을 미칠 뿐, 자성체(111)의 측면과 상호간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을 통한 자기력선은 차폐부(213,313)에 의해 외측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자성 부착부(213,313)의 외측에 구비된 다양한 부품에 대한 자기력선의 영향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자성 부착부(113)에 의한 자기력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11)가 있는 면(부착면)에 철가루 시트를 놓을 경우 자기력선에 의해 철가루가 자성체(111)의 형태로 움직여 집중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12)가 있는 면(비부착면 또는 차폐면)에 철가루 시트를 놓을 경우 자기력선에 의해 철가루가 자성체(111)의 형태로 집중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폐부(112)에 의해 자성체(111)의 자기력선이 효율적으로 차폐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가방의 외측에 주머니(110)가 위치되고 가방의 내측에 무선 충전 유닛(120)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머니(110)에 구비된 제1자성 부착부(113)의 제1자성체(111) 그리고 무선 충전 유닛(120)에 구비된 제2자성 부착부(123)의 제2자성체(121)에 의해, 주머니(110)와 무선 충전 유닛(120)이 가방의 외피를 중심으로 상호간 강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주머니(110)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30)가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유닛(120)의 전면 케이스(124)에는 충전 코일(125)과 대응되는 영역에 결합된 돌출부(124a)가 구비되고, 이러한 돌출부(124a)가 주머니(110)의 제1자성 부착부(113)중 제1개구(11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충전 유닛(120)의 충전 코일(125)이 모바일 디바이스(130)에 구비된 충전 코일(131)에 더욱 근접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30)의 충전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자성 부착부(413,51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부착부(413)는 다수의 자성체(111)가 부착된 회전형 차폐판(414)과, 회전형 차폐판(41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부(412)에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41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부착부(413)에 대향되어 위치된 다른 자성 부착부(미도시)의 자성체의 극성에 따라, 인력 및 척력의 작용으로 회전형 차폐판(414)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주보는 2개의 자성 부착부가 상호간 자연스럽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형 차폐판 및 회전축이 없을 경우, 제1자성 부착부(113)와 제2자성 부착부(123)의 위치를 더욱 정교하게 맞춰야 상호간 잘 부착되지만, 이와 같은 회전형 차폐판(414) 및 회전축(415)이 있을 경우 제1자성 부착부(113)와 제2자성 부착부(123)의 위치를 대략적으로 맞추도 상호간 잘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부착부(513)는 회전형 차폐판(514)이 다수의 자성체(111)중 하면 및 측면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형 차폐판(514)은 자성체(111)의 상면을 통해서 자기력선이 방출 및 증폭되도록 하고, 자성체(111)의 측면 및 하면을 통해서 자기력선이 감소 및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 중에서 주머니(110)와 무선 충전 유닛(120) 사이의 탈거력은 대략 20 kgf의 강한 부착력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제1자성 부착부(113)와 제2자성 부착부(123) 사이의 부착 방향에 대한 자기력은 대략 5,000 가우스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나, 부착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차폐 방향에 대한 자기력은 대략 500 가우스 이하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머니와 무선 충전 유닛 사이의 부착력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주변에 자기력선에 의한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100)는 가방에 부착하여 손쉽게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30)의 수납이 가능하고 또한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더불어, 제1,2자성 부착부(113,123) 사이의 자기력이 제1,2차폐부(112,122)에 의해 차폐됨으로써, 주변 소지품에 대한 자기력 손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110; 주머니 110a; 주머니 본체
111; 제1자성체 112; 제1차폐부
113; 제1자성 부착부 114; 제1개구
115; 제1안착홈 116; 제1관통홀
120; 무선 충전 유닛 121; 제2자성체
122; 제2차폐부 123; 제2자성 부착부
124; 전면 케이스 124a; 돌출부
125; 충전 코일 126; 제2안착홈
130;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9)

  1. 제1자성체를 갖는 제1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가방의 외측에 부착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주머니; 및
    상기 제1자성체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자성체를 갖는 제2자성 부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방의 내측에 부착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1자성체중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1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중 상기 제1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제2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자성체는 상자성체, 반자성체 또는 강자성체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는 상기 제1자성체중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2차폐부는 상기 제2자성체중 상기 제1자성체를 향하는 면의 외측을 감싸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부의 면적은 상기 제1자성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2차폐부의 면적은 상기 제2자성체의 면적보다 큰,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평판 형태이며,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제1차폐부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을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은 상기 제2자성체를 향하여 관통된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상기 제2자성 부착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케이스는 충전 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성 부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 및 상기 제2차폐부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 부착부는 제1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유닛은 상기 제2자성 부착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충전 코일이 결합되고 상기 제1자성 부착부의 제1개구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차폐부의 비투자율(μr)은 120 내지 20,000인,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KR1020180172565A 2018-12-28 2018-12-28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KR10210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65A KR102105079B1 (ko) 2018-12-28 2018-12-28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65A KR102105079B1 (ko) 2018-12-28 2018-12-28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79B1 true KR102105079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65A KR102105079B1 (ko) 2018-12-28 2018-12-28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138A (ko) 2021-03-19 2022-09-27 김통일 스마트폰 무선 보조배터리
KR20230075879A (ko) 2021-11-23 2023-05-31 김통일 스마트폰 케이스와 액세서리의 자력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7B1 (ko) * 2011-03-30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1666271B1 (ko) * 2014-05-30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KR20170027261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이 가능한 가방
KR101914293B1 (ko) * 2017-06-28 2018-11-01 주식회사 오드아이 무선충전 기능이 부가된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77B1 (ko) * 2011-03-30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KR101666271B1 (ko) * 2014-05-30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KR20170027261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무선충전이 가능한 가방
KR101914293B1 (ko) * 2017-06-28 2018-11-01 주식회사 오드아이 무선충전 기능이 부가된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138A (ko) 2021-03-19 2022-09-27 김통일 스마트폰 무선 보조배터리
KR20230075879A (ko) 2021-11-23 2023-05-31 김통일 스마트폰 케이스와 액세서리의 자력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0988B2 (en) Magnetic alignment systems with NFC for electronic devices
JP3197750U (ja) 無線充放電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用保護カバー
US11722016B2 (en) Accessory insert modules with magnetic alignment components
KR102105079B1 (ko) 자기력을 이용한 탈부착 타입 무선 충전 장치
US20230280797A1 (en) Magnetic Sensing Device for Lid
CN117501585A (zh) 用于无线功率设备的软磁环
US20220094201A1 (en) Docking stations with hinged charging puck
US8913955B1 (en) Magnetically initiated device pairing
CN208127901U (zh) 磁吸感应式手机无线充电装置
JP2011502879A (ja) 携帯電子機器の特に車内での支持のためのマグネット装置
US11862985B2 (en) Soft magnetic ring for wireless power devices
US20220200346A1 (en) Charger with removable parts
US20230057770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WO2022148208A1 (zh) 电子设备支架
WO2007094333A1 (ja) 音響装置
KR101794445B1 (ko) 차폐자석모듈에 의해 본체와 커버가 결합하는 휴대 단말기
CN218274138U (zh) 一种磁性组件及具有该磁性组件的磁环组件
US20210050742A1 (en) Two-sided inductive charging coil
CN114915039A (zh) 一种充电模块、电子设备和充电器
CN217789727U (zh) 磁吸件、磁吸组件以及磁吸保护壳
CN213879327U (zh) 一种可提高磁吸力的无线充电器
CN220171864U (zh) 一种磁吸组件及磁吸支架
CN217390151U (zh) 电子设备保护套
US11432073B2 (en) Loudspeaker assembly,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213879330U (zh) 一种可双面充电的无线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