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09B1 -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09B1
KR102104809B1 KR1020180051202A KR20180051202A KR102104809B1 KR 102104809 B1 KR102104809 B1 KR 102104809B1 KR 1020180051202 A KR1020180051202 A KR 1020180051202A KR 20180051202 A KR20180051202 A KR 20180051202A KR 102104809 B1 KR102104809 B1 KR 10210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onitoring light
uplink signal
terminal
recep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079A (ko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트론
Priority to KR102018005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2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working and prot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8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by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은, 2 X 2 광학 스위치 구조로서, 일측에 제1 단자, 제2 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3단자, 제4 단자가 구비되고, 일측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타측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부 감시광을 생성하여 주선로에 출력하는 감시광 송신부 원격노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예비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감시광 수신부 원격노드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주선로 및 예비선로 중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수신하여,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업링크신호 수신부 및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주선로 또는 예비선로의 장애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절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of Optical line}
본 발명은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수동형 가입자 망(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PON’이라 칭함)의 단중화 구조이고, 도 2는 선로를 이중화한 PON 구조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수동형 가입자 망(PON)은 COT(Central Office Terminal)(110)에서 능동형(active, 이하 ‘액티브’라 칭함) 구성의 광 선로 절체시스템과, 수동형(passive. 이하 ‘패시브’라 칭함) 원격노드(remote node, 이하 ‘RN’이라 칭함)(1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 5G 등 모바일 네트워크의 대용량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광가입자 회선 증가가 요구되고, 주요 광가입자 밀집 구간이 생성되고 있다. 이러한, 주요 광가입자 밀집 구간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로(230, 240)를 이중화하여 구성하는데, 이 경우 광 선로의 이중화를 위한 광 선로 절체기(250)가 요구된다. 광 선로 절체기(250)는 PON 구조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PON 구조중 COT(210)의 일부에 액티브 시스템으로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33954호(공고일자 2002년 4월 22일, 단일코어를 이용한 광통신망 이중화와 고장감시방법 및 그 장치)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장애가 발생한 주선로에서 의도하지 않게 다운링크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반사되고, 반사된 다운링크 신호가 주선로에 연결된 탭 커플러(tap coupler)에 의해 업링크 신호로 잘못 인식되어 주선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오판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선로 상의 장애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선로의 오염 또는 성능 열화와 같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야기되는 기존의 오동작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2 X 2 광학 스위치 구조로서, 일측에 제1 단자, 제2 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3단자, 제4 단자가 구비되고, 일측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타측의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부;- 여기서, 상기 제1 단자는 소정의 선로로 COT(Central Office Terminal)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단자는 주선로로 원격노드(Remote Node)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단자는 예비선로로 상기 원격노드에 연결됨-, 감시광을 생성하여 상기 주선로에 출력하는 감시광 송신부; 상기 원격노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감시광 수신부; 상기 원격노드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수신하여,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업링크신호 수신부; 및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선로 또는 상기 예비선로의 장애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절체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COT와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부가 연결되는 선로가 미리 지정되어 소정의 디폴트(default) 연결관계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유지되는 연결관계가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절체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COT와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부가 연결되는 선로가 미리 지정되어 소정의 디폴트(default) 연결관계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감시광 신호 및 상기 업링크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연결관계가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절체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복수개로 컴바이너(combiner)을 경유하여 링(ring) 구조로 연결된 복수개의 원격노드에 연결된 경우, 각각의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은 상이한 파장의 감시광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원격노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노드간의 선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선로 이전의 원격노드는, 미리 지정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링구조로서 연결된 후순위 원격노드로 업링크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정지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광 선로 절체시스템으로 직접 업링크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2 X 2 광학스위치 구조로서 일측에는 COT(Central Office Terminal)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원격노드와 연결된 주선로와 예비선로가 각각 연결된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광 선로를 절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COT가 주선로에 연결된 경우, (a1) 감시광을 생성하여 상기 주선로에 출력하는 단계; (a2) 상기 원격노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a3) 상기 원격노드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a4)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선로 또는 상기 예비선로의 장애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4)단계는,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나 상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COT를 상기 예비선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선로 이중화를 위한 광 선로 절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4)단계는,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및 상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COT를 상기 예비선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 상기 COT가 예비선로에 연결된 경우, (b1) 감시광을 생성하여 상기 주선로에 출력하는 단계; (b2) 상기 원격노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b3) 상기 원격노드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상기 주선로로부터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b4)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선로 또는 상기 예비선로의 장애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변경하거나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4)단계는,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나, 상기 주선로로부터 상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COT를 상기 주선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4)단계는,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상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선로로부터 상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한경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거나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COT를 상기 주선로에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은 광 선로 상의 장애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감시광을 반사하는 복잡한 원격노드(Remote Node)의 구성을 바이패스(bypass)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수동형 가입자 망(Passive Optical Network)의 단중화 구조.
도 2는 선로를 이중화한 수동형 가입자 망(Passive Optical Network) 구조.
도 3은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의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에서의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에서 차단필터 사용이 불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광 선로를 절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광 선로 절체시스템이 복수개의 RN에 연결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의 광시광이 전송되는 선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에서의 오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에서 차단필터 사용이 불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광 선로 이중화 절체 구성에서는 광 선로(즉, 주선로와 예비선로)의 광파워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탭 커플러(tap coupler)(331, 332)를 통하여 RN(320)로부터 입력되는 업링크(uplink) 신호의 일부를 태핑(tapping)한다. 도 3에는 98:2 탭 커플러(331, 332)가 주선로(341) 및 예비선로(342)의 업링크 신호에서 2%를 각각 태핑(tapping)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어서, 광 파워 감지기(Mon PD)(351, 352)는 태핑(tapping)된 신호에 기초하여, 주선로(341) 및 예비선로(342)에서의 업링크 신호 유무를 판단하고 소정의 결과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절체 제어부(360)는 광 파워 감지기(351, 352)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결과 신호에 기초하여 COT(310)가 연결된 선로에 업 링크 신호가 없는 경우, 1X2 광학스위치(370)를 제어하여 COT(310)가 연결된 선로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체 방법은 광 선로상의 반사 요소에 민감하여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COT(310)가 주선로(341)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선로(341)에 컨넥터 접속점(380), 융착 접속점(381) 또는 단선(382) 등이 발생하여 주선로(34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주선로(34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RN(320)으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가 감지되지 아니하므로, 절체 제어부(360)는 1X2 광학 스위치(370)를 절체하여 COT(310)를 예비선로에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나, 주선로(341)에 컨넥터 접속점(380), 융착 접속점(381) 또는 단선(382)이 있는 경우, 다운링크(downlink) 신호가 의도하지 않게 전부 또는 일부 반사되어, 주선로(341)에 연결된 탭 커플러(331)에서 태핑(tapping)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파워 감지기(351)는 주선로(341)에 업링크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반사된 신호에서 태핑(tapping) 신호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가 있는 것으로 오판단하게 되고, 결국 절체 제어부(360)는 절체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보정하기 위해, 광 파워 감지기(351, 352)에서 일정한 광 파워 값을 누적하여 광 신호의 유무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절체 시간이 신속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애가 발생한 선로에서 다운링크(downlink) 신호가 일부 또는 전부 반사되고, 이는 업링크(uplink) 신호로 잘못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차단하는 차단 필터(502)가 광 파워 감지기(351, 352) 앞에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 필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가 혼재하는 경우(505)에는 사용될 수 없으므로, 광 선로 절체 시스템에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610)은 감시광 송신부(611), 스위치부(613), 업링크신호 수신부(614), 절체 제어부(615), 감시광 수신부(612) 및 신호 처리기(616,6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13)는 2 X 2 광학 스위치 구조로서, 일측에 제1 단자, 제2 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3 단자, 제4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613)의 제1 단자는 COT(600)에 연결되며, 제2 단자는 업링크신호 수신부(614)에 연결되고, 제3 단자는 주선로(621)에 연결되고, 제4 단자는 예비선로(62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613)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는 스위치부(613)의 제3 단자 및 제4 단자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613)의 제1 단자는 제3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제4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COT(600)는 주선로(621)를 통하여 RN(630)에 연결된다. 이하, 상술한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를 '제1 연결관계'라 칭한다.
상술한 제1 연결관계와 반대로 스위치부(613)의 제1 단자가 제4 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제3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COT(600)는 예비선로(622)를 통하여 RN(630)에 연결된다. 이하, 이러한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를 '제2 연결관계'로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광 송신부(611)는 소정의 감시광을 생성하여 주선로(621)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N(630)는, 어느 하나의 선로로 감시광을 수신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선로로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여기서, RN(630)이 감시광을 반사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1) RN(630)이 감시광을 바이패스하는 경우보다 반사하는 경우 시스템이 더욱 복잡해지는 점
2) RN(630)이 감시광을 정상적으로 반사하는 경우와 해당 선로가 단락되어 전부 반사되는 경우를 구별하기 힘든 점
3) 해당 선로의 컨넥터 접속점(도 3의 380), 융착 접속점(도 3의 381) 등에 의해 감시광의 일부가 반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N(630)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감시광을 바이패스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광 수신부(612)는 RN(630)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예비선로(622)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 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광 수신부(612)는 예비선로(622)부터 수신된 감시광의 광파워를 감지하여 손실율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내인 경우, 미리 지정된 ‘0’을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0’은 감시광이 예비선로(622)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광 수신부(612)는 예비선로(622)부터 수신된 감시광의 광파워를 감지하여 손실율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1’을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1’은 감시광이 예비선로(622)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광 수신부(612)가 예비선로(622)로부터 수신된 감시광의 광파워를 감지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신호 수신부(614)는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 중 COT(600)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를 수신하여,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613)가 제1 연결관계에 상응하는 경우(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COT(600)가 주선로(621)에 연결된 경우), 업링크신호 수신부(614)는 예비선로(622)로부터 RN(630)이 전송하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업링크신호 수신부(614)는 예비선로(622)부터 수신된 업링크신호의 광파워를 감지하여 손실율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 이내인 경우, 미리 지정된 ‘0’을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0’은 업링크신호가 예비선로(622)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업링크신호 수신부(614)는 예비선로(622)부터 수신된 업링크신호의 광파워를 감지하여 손실율이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1’을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1’은 업링크신호가 예비선로(622)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업링크신호 수신부(614)가 업링크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업링크신호 전부를 수신하는 것과 업링크신호의 일부를 태핑(tapp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업링크신호 수신부(614)가 예비선로(622)로부터 업링크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체 제어부(615)는 상술한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주선로(621) 또는 예비선로(622)의 장애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스위치부(613)를 제어할 수 있다.
절체 제어부(615)가 업링크신호 수신부(614) 및 감시광 수신부(612)로부터 수신하는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 및 감시광 수신결과정보에 따라 스위치부(613)를 제어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에 도시된 신호 처리기(616, 617)는 일측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병합하여 타측으로 전송하거나, 일측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여 타측방향으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613)가 제1 연결관계에 상응하는 경우, 제1 신호처리기(616)는 입력되는 감시광과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병합하여 주선로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신호처리기(617)는 예비선로(622)로부터 수신되는 감시광과 업링크(uplink)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감시광 수신부(612) 및 업링크신호 수신부(614)에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6에 예시된 광 절체 시스템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감시광 송신부(711)는 감시광을 생성하여 주선로(721)가 아닌 예비선로(7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시광 수신부(712)는 주선로(721)를 통하여 RN(730)에서 바이패스된 감시광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예시된 각 구성부는 해당 기능이 세분화되어 각 기능별로 구현되어 보다 많은 수의 기능 구성부로 구현되거나, 각 구성부의 기능이 통합되어 보다 적은 수의 기능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광 선로를 절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은 해당 기능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 및 그 개수는 다양하게 수정 변경될 수 있는 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인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S805에서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은 소정의 감시광을 생성하여 RN(630)에 연결된 주선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의 단계 S805에서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소정의 감시광을 주선로(621)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방법은 감시광을 예비선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 점에 대해서는 앞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RN(630)은 주선로(621)를 통해 수신된 감시광을 예비선로(622)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N(630)의 구성이 종래의 감시광을 반사하는 구성보다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앞서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어서, 단계 S810에서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가 제1 연결관계에 상응하는 경우, 단계 S812로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의 광 선로 절체 시스템에서 생성될 수 있는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와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순서대로 병기하고, 이를 수신결과정보라 통칭한다.
여기서,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와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는 앞서 도 6을 참고하여 업링크신호 수신부(614) 및 감시광 수신부(61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 S812에서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은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제2 연결관계가 되도록 절체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부(613)가 제1 연결관계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는,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예비선로(621)로부터 업링크신호는 정상적으로 수신하나, 감시광 신호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RN(630)에서 전송한 업링크신호가 예비선로(622)를 통하여 감시광 수신부(612)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므로,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예비선로(622)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S805에서, 주선로(621)를 통해 전송된 감시광이 (RN(630)에서 바이패스 되어) 예비선로(622)를 통해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앞서 판단한 바와 같이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예비선로(622)가 정상이므로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주선로(621)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 "예비선로(622)가 정상이나 주선로(621)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가 예비선로(622)에 연결되도록 절체할 수 있다(제2 연결관계로 절체).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선로(621)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그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613)를 제어하여 COT(600)에 예비선로(622)를 연결시킬 수 있다.
만일 단계 S812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0’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 방법은 단계 S816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결과정보가 ‘00’이고, 외부로부터 수동변경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앞서 상술한 S814단계로 진행하여,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가 예비선로(622)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계로 절체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만일 단계 S816에서 수신결과정보가 ‘00’인 경우는, 예비선로(622)에 업링크신호 및 RN(630)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이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주선로(621) 또는/및 예비선로(622)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어느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단계 S814로 진행하여 COT(600)가 예비선로(622)에 연결되는 제2 연결관계로 절체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광 선로에 변화를 주어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 할 수 있다.
만일 단계 S816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1’(즉,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가 모두 정상적이어서,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이 예비선로(622)를 통하여 업링크 신호 및 감시광을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인 경우에는, 광 선로를 절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계 S800으로 리턴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816에서 수신결과정보가 ‘01’(즉, 예비선로(622)를 통하여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이 RN(630))에서 바이패스(bypass)한 감시광은 수신하나, RN(630)에서 전송한 업링크 신호는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인 경우에는,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에 대한 정상여부 판단을 보류하고, 단계 S800으로 리턴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이 제2 연결관계에 상응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광 선로 절체방법은 단계 S820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 단계 S822로 진행하여 COT(600)가 주선로(621)에 연결되도록(즉, 제1 연결관계가 되도록) 절체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가 제2 연결관계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는,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주선로(621)로부터 업링크신호는 정상적으로 수신하나, 예비선로(622)로부터 감시광 신호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RN(630)에서 전송한 업링크신호가 주선로(621)를 통하여 감시광 수신부(612)에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으므로,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주선로(621)는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S805에서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이 주선로(621)로 전송한 감시광이 RN(630)에서 바이패스 되어 예비선로(622)를 통해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앞서 판단한 바와 같이 주선로(621)는 정상이므로 광 선로 절체시스템은 예비선로(622)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수신결과정보가 ‘10’인 경우, 주선로(621)가 정상이나 예비선로(622)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광 선로 절체시스템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가 주선로(621)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계로 절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선로(62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를 주선로(621)에 연결시킬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0’이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 방법은 단계 S824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결과정보가 ‘00’이고, 외부로부터 수동변경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앞서 상술한 S822단계로 진행하여,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된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가 주선로(621)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계로 절체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만일 단계 S824에서 수신결과정보가 ‘00’인 경우는, 주선로(621)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예비선로(622)로부터 RN(630)에서 바이패스(bypass)한 감시광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주선로(621) 또는/및 예비선로(622)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어느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은 앞서 단계 S8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단계 S822로 진행하여 COT(600)가 주선로(621)에 연결되는 제1 연결관계로 절체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광 선로에 변화를 주어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만일 단계 S824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1’(즉,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가 모두 정상적이어서,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이 주선로(621)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예비선로(622)로부터 감시광을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인 경우에는, 광 선로를 절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계 S800으로 리턴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824에서 수신결과정보가 ‘01’(즉,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이 주선로(621)로부터 RN(630)에서 전송한 업링크 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예비선로(622)를 통하여 RN(630)에서 바이패스(bypass)한 감시광은 수신하는 경우)인 경우에는,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에 대한 정상여부 판단을 보류하고, 단계 S800으로 리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이 광 선로를 절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각 단계는 세분화되어 더 많은 수의 단계로 수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어 더 적은 수의 단계로 수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가 추가되거나 생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선로 절체방법은 예비선로(622)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 중 COT(600)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부터 업링크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COT(600)가 연결된 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서 도 8의 단계 S812 및 단계 S820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선로 절체방법은 예비선로(622)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 중 COT(600)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서 도 8의 단계 S816 및 단계 S824에서 수신결과정보가 ‘11’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제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선로 절체방법은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에서 COT(600)가 연결되는 선로가 미리 지정되어 소정의 디폴트(default) 연결관계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가 상술한 디폴트 연결관계와 상이한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를 디폴트 연결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광 선로 절체시스템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가 제2 연결관계이고, 수신결과 정보가 ‘11’인 경우에는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가 정상적이어서, 단계 S805 -> 단계 S810 -> 단계 S820 ->단계 S824 -> 단계 S800으로 리턴되는 순환 루프 구조이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계가 디폴트 연결관계로 정의된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를 제1 연결관계로 절체하여 광 선로 망을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가 제2 연결관계이고, 수신결과 정보가 ‘00’이나 사용자로부터 수동변경 요청이 없는 경우,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 중 하나 이상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단계 S805 -> 단계 S810 -> 단계 S820 ->단계 S824 -> 단계 S800으로 리턴되는 순환 루프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계가 디폴트 연결관계로 정의된 경우,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광 선로 절체 시스템(610)은 스위치부(613)의 연결관계를 제1 연결관계로 절체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광 선로에 변화를 주어 정상작동이 가능한지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선로 절체방법은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예비선로(622)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주선로(621) 및 예비선로(622) 중 COT(600)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는 경우, 광 선로 절체시스템(61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부(613)를 제어하여 COT(600)가 연결된 선로를 바꿀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앞서, 도 8의 단계 S816 및 단계S82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광 선로 절체시스템이 복수개의 RN에 연결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의 감시광이 전송되는 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고하면, 복수의 COT(900)와 제1 내지 제3의 RN(930, 931, 932)이 컴바이너(combiner)(920)를 통해 링구조로 연결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컴바이너(combiner)는 복수의 COT(900)와 복수의 RN(930, 931, 932)을 링구조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출원시 광 선로 망에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서,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과, 컴바이너(920)와 복수개의 RN(930, 931, 932)간에는 선로가 하나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선로는 주선로 및 예비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서, 복수개의 RN(930, 931, 932)에 가입자 광연결이 모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RN(930, 931, 932)에 가입자 광연결은 선택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아니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선로 절체시스템은 복수개로 컴바이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광 선로 대체시스템은 각각의 상이한 파장의 감시광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식별을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에 구비된 감시광 송신부(911)가 감시광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경우, 해당 감시광은 컴바이너(combiner)(920)를 경유하여 링구조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의 RN(930, 931, 932)을 경유하고 다시 컴바이너(combiner)(920)를 경유하여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의 감시광 수신부(911)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의 감시광 수선부(911)가 감시광 수신한 결과에 따라,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앞서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의 스위치부(913)가 제1 연결관계인 경우, 절체 제어부(915)는 복수개의 링구조로 연결된 RN(930, 931, 932)에서 전송하는 업링크신호를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은 복수개의 RN(930, 931, 932)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노드간의 선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N(930)과 제2 RN(931) 사이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감시광 송신부(911)가 송신한 감시광은 감시광 수신부(912)에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업링크신호 수신부(914)에 제1 RN(930)에서 전송하는 업링크신호는 수신되지 아니하나, 제2 RN(931) 및 제3 RN(932)에서 전송하는 업링크신호는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업링크신호 수신부(914)는 수신되는 각각의 업링크신호의 수신결과에 따라 각각의 수신결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출력되어 사용자는 링 구조에서 어느 부분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고, 사용자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애가 발생한 선로 이전의 원격노드는, 미리 지정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링구조로서 연결된 후순위 원격노드로 업링크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정지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광 선로 절체시스템으로 직접 업링크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RN(930)와 제2 RN(931)간의 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수동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RN(930)은, 기존의 링구조에 따라 제2 RN(931)으로 제1 업링크신호를 송신하던 동작을 정지하고, 컴바이너(combiner)(920)에 연결된 예비선로(미도시)를 통하여 제1 광 선로 절체시스템(910)에 업링크신호를 직접 송신함으로써, 장애가 발생하여 작동하지 아니하던 COT1(900)와 RN1(930)간의 광 선로를 회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00 : COT(Central Office Terminal)
610 : 광 선로 절체 시스템 611 : 감시광 송신부
612 : 감시광 수신부 613 : 스위치부
614 : 업링크신호 수신부 616, 617 : 신호처리기
621 : 주선로 622 : 예비선로
630 : RN (Remote Node, 원격노드)

Claims (9)

  1. 2 X 2 광학 스위치 구조로서, 일측에 제1 단자, 제2 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3단자, 제4 단자가 구비되고, 일측의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타측의 상기 제3 단자 및 상기 제4 단자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부;- 여기서, 상기 제1 단자는 소정의 선로로 COT(Central Office Terminal)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단자는 주선로로 원격노드(Remote Node)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단자는 예비선로로 상기 원격노드에 연결됨-
    감시광을 생성하여 상기 주선로에 출력하는 감시광 송신부;
    상기 원격노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된 감시광을 상기 예비선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감시광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감시광 수신부;
    상기 원격노드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를,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수신하여, 수신결과에 따라 소정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출력하는 업링크신호 수신부; 및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주선로 또는 상기 예비선로의 장애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절체 제어부;
    를 포함하되,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이 복수개로 컴바이너(combiner)을 경유하여 링(ring) 구조로 연결된 복수개의 원격노드에 연결된 경우, 각각의 광 선로 절체 시스템은 상이한 파장의 감시광을 이용하고,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원격노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의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장애가 발생한 원격노드간의 선로를 판단하며,
    상기 장애가 발생한 선로 이전의 원격노드는, 미리 지정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링구조로서 연결된 후순위 원격노드로 업링크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정지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광 선로 절체시스템으로 직접 업링크신호를 송신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바꾸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유지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COT와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부가 연결되는 선로가 미리 지정되어 소정의 디폴트(default) 연결관계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유지되는 연결관계가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절체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로 변경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부는,
    상기 감시광 수신결과정보 및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결과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예비선로로부터 감시광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하고, 상기 주선로 및 상기 예비선로 중 상기 COT가 연결되지 아니한 선로로부터 업링크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외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수동변경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COT가 연결된 선로를 바꾸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COT와 상기 업링크신호 수신부가 연결되는 선로가 미리 지정되어 소정의 디폴트(defult) 연결관계로 정의되어 있고, 상기 감시광 신호 및 상기 업링크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연결관계가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와 상이한 경우,
    상기 절체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이후에, 상기 스위치부의 각 단자의 연결관계를 상기 디폴트 연결관계로 변경하는, 광 선로 절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51202A 2018-05-03 2018-05-03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4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02A KR102104809B1 (ko) 2018-05-03 2018-05-03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02A KR102104809B1 (ko) 2018-05-03 2018-05-03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79A KR20190127079A (ko) 2019-11-13
KR102104809B1 true KR102104809B1 (ko) 2020-04-27

Family

ID=6853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02A KR102104809B1 (ko) 2018-05-03 2018-05-03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954B1 (ko) 2000-05-10 2002-04-22 윤행순 단일코어를 이용한 광통신망 이중화와 고장감시방법 및 그장치
KR20090036810A (ko) * 2007-10-10 2009-04-15 주식회사 케이티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간선 광케이블 장애 감지 및 자동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3378A (ko) * 2015-06-05 2016-12-14 주식회사 플렉트론 광선로 감시 방법 및 장치
KR101927117B1 (ko) * 2016-06-21 2018-12-12 주식회사 유니콤넷 무선 억세스 포인트 장치로 식별자 히든 요청신호를 제공하는 통합 광통신 단말장치 및 그 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079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1902B1 (en) Network protection switching mechanisms and methods of network protection
EP085161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faults in a network
JP4118506B2 (ja) リング・ネットワークを相互接続する方法と装置
US7326916B2 (en) Optical submarine transmission system
US7787764B2 (en) Optical network transmission channel failover switching device
US8958692B2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70292128A1 (en) Virtual Protection Channel for Fiber Optic Ring Network
US7711263B2 (en) Faul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20021659A1 (en) Point-to-point protection in point-to-multipoint networks
JP4827651B2 (ja) 光伝送方法及び装置
US6396602B1 (en) Optical switching unit, particularly for switching to standby components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KR102104809B1 (ko) 광 선로 절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852308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
US683951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on a standby link in optical transmission facilities
US20050089331A1 (en) Assured connectivity fiber-optic communications link
JP3854372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
WO2014010151A1 (ja) 波長分割多重通信装置及び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11916589B2 (en) Submarine device, submarine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601193B2 (ja) 光伝送方式
US20030039433A1 (en) Optical communication circuit
JP2008199450A (ja) 光アクセスシステム
US6583898B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transmission in a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JP2928019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03216030A (ja) 光伝送方式
CN116566478A (zh) 一种源宿同步切换的通信设备和光线路保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