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284B1 - 원액기용 파쇄모듈 - Google Patents

원액기용 파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284B1
KR102104284B1 KR1020130045370A KR20130045370A KR102104284B1 KR 102104284 B1 KR102104284 B1 KR 102104284B1 KR 1020130045370 A KR1020130045370 A KR 1020130045370A KR 20130045370 A KR20130045370 A KR 20130045370A KR 102104284 B1 KR102104284 B1 KR 10210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inlet
mesh
guid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090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3004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2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90A/ko
Priority to PCT/KR2014/002522 priority patent/WO20141579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크루에 의해서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을 감싸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 크게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 가공안내부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이 형성된 가공부 및 상기 투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재료의 상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회전시켜 그 재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압박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스크루 상부에 형성된 가공부와 가공안내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크루에 의해서 착즙되기 이전에 재료를 파쇄가공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함으로써, 재료의 상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망체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의 파손과 소음 및 스크루와 망체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와 압박회전수단에 의해서 투입구로 투입된 재료가 회전하여 투입구의 내면을 타고 가공부와 가공안내부로 이동되어 원활한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액기용 파쇄모듈 {CRUSH MODULE FOR JUICE}
본 발명은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크루에 의해서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을 감싸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액기는 몸체와, 몸체 상에 탑재되는 착즙모듈을 포함한다. 착즙모듈은 착즙 공간을 갖는 용기와, 용기 내로 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갖춘 뚜껑과, 용기 내에서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체를 포함한다.
몸체는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구동모터의 축은 착즙모듈 내 스크루에 접속된다. 종래의 원액기는 스크루가 착즙 가능한 크기로 재료가 절단되어야 한다.
한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0793852호는 스크루의 중심축으로부터 최상단의 측면으로 돌출된 스크루 날에 의해서 재료를 절단 또는 절삭하도록 구성된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재료가 절단 또는 절삭된 재료가 망체의 공간에서 파쇄와 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크루에 의해서 망체에 압착되거나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재료가 파쇄 및 착즙이 이루어 짐으로써, 재료가 단단하고 클수록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리는 빈도가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은 그 변형으로부터 망체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망체의 채공이 변형되어 균질의 착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흔들림으로부터 어느 한쪽이 치우쳐짐으로써 반대쪽의 스크루와 망체가 접하면서 작동하여 마모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0966607호는 스크루 상부면 전체에 강판을 설치하여 착즙 직전에 재료를 파쇄하는 원액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강판을 이용한 파쇄는 원액기 고유의 저속이 아닌 고속에 의해서 이루어져야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강판의 고속에 의해서 재료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자가 큰 힘으로 재료를 강판에 압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딱딱하거나 큰 재료를 압착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파쇄 가공을 하여 다소 무르게 함과 동시에 재료의 크기를 작게 하여, 스크루의 파쇄 및 압착시에 발생하는 망체의 변형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투입구로 투입된 재료가 원활하게 파쇄 가공되도록 구성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찌꺼기 배출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와 상기 망체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 가공안내부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이 형성된 가공부 및 상기 투입구 내부로 삽입되어 재료의 상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회전시켜 그 재료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압박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루 상부에 형성된 가공부와 가공안내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크루에 의해서 착즙되기 이전에 재료를 파쇄가공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함으로써, 재료의 상태에 의해서 발생하는 망체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의 파손과 소음 및 스크루와 망체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박회전수단에 의해서 투입구로 투입된 재료가 회전하여 투입구의 내면을 타고 가공부와 가공안내부로 이동되어 원활한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
도 6는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일부로서 가공부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A'와 B-B'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C-C'와 D-D'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봉을 대체하는 가압회전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가압회전수단의 가압봉의 회전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가압봉의 다른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스크루에 의해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재료가 파쇄 또는 압착되는 공간을 감싸는 망체의 변형과 흔들림을 억제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크게 찌꺼기 배출구(102)와 즙배출구(101)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410)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600)가 형성된 뚜껑(400)과 상기 스크루(300)의 상단에 가공안내부(600)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600)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510)이 형성된 가공부(500) 및 상기 투입구(410) 내부로 삽입되어 재료의 상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압박회전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액기용 파쇄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뚜껑을 위에서 아래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를 따라 취해진 뚜껑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에 도시된 파쇄모듈의 일부로서 가공부를 상단에 일체로 구비한 스크루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와 B-B'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C-C'와 D-D'에 대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봉을 대체하는 가압회전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3은 가압회전수단의 가압봉의 회전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가압봉의 다른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원액기용 파쇄모듈은 내부에 착즙 공간을 포함하고 외부면 일측 및 타측에 즙배출구(101) 및 찌꺼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착즙시 발생한 재료의 찌꺼기로부터 즙을 분리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설치되어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 및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설치되되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된 뚜껑(40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파쇄모듈은 상기 용기(100)의 즙배출구(10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개폐수단이 적용될 수 있고, 개폐수단으로는 코크밸브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코크밸브는 상기 즙배출구(101)를 전진 또는 후퇴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되, 그 밸브체의 선단이 상기 즙배출구(101)를 향해 배향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크밸브는 밸브체에 의해 상기 즙배출구(101)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즙 배출 꼭지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것들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500)는 스크루(300)의 상단에 상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상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폭을 가지면서 나선 형태로 연장된 가공날(51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가공부(500)는 재료의 측면을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설명될 가공안내부(600)와 상호작용하여 재료를 파쇄 가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가공부(500) 상단 정점에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형성되며, 이러한 중심축(310)은 스크루(300) 및 가공부(50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는 무방하며, 상기 가공날(510)을 도와 재료를 더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보조 가공날(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400)은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되고, 그 투입구(410)와 연통하되, 상기 가공부(500)를 수용하도록 용기(100)와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공안내부(600)를 하부 면에 포함하고, 그 가공안내부(600)는 상기 가공부(500)에 대응되게 상단 정점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가공안내부(600)는 이하 설명될 가공부(500)의 가공날(510)이 삽입되며, 그 가공부(500)와 협력하여 상기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재료가 파쇄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상단 정점에는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310)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내면, 특히, 안쪽의 측면은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가공날(5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가공부(500)의 가공날(510)과 점점 더 인접하도록 형성된 제1가공안내면(610)이 구성되어, 재료가 가공날(510)에 의해서 외부로 밀려날 때에 재료는 가공안내부(600)의 내면에 의해서 저지되고, 그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면서 가공안내부(600)의 안쪽으로 점점 말려들어가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가 파쇄가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가공안내면(610)은 가공부(500)의 가공날(510)과 상호작용하여, 재료를 가공날(510)로 강제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재료를 밀어넣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재료가 가공안내부(600)에 말려 들어감에 따라서 스크루(300)를 하부로 압박하는 힘이 발생하여, 재료의 찌꺼기가 스크루의 하부 면과 용기의 바닥면 사이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스크루의 상부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제1가공안내면(610)에는 파쇄 가공성을 더욱 좋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파쇄날(630)이 추가로 형성되며, 이 파쇄날(630)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길게 연장된 채,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공날(510)과 점점 더 인접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공안내부(600)의 한쪽 내면에는 투입구(410)와 연장되어 가공부(500)의 중심 쪽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한 재료안내면(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투입구(410)로 투입된 재료가 재료안내면(620)의 경사에 의해서 가공부(50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재료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가공부(500)의 가공날(510)에 의해서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가공날(510)의 상호작용이 발생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료안내면(620)은 투입구(410)와 연장되지 않고, 단순히 투입구 하단에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도 12와 도 13과 같이, 상기 투입구(410) 안쪽 면에 회전가이드(710)가 돌출형성되고, 그 투입구(410) 내부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투입구(410)의 내면과 근접한 지름을 가진 원기둥 형상의 압박봉(720)으로 구성된 압박회전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박봉(720)의 한쪽 측면에는 회전가이드(710)과 대응하는 회전홈(730)이 압박봉(7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압박봉(72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압박봉(720)의 표면을 따라서 점점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회전홈(730)에 회전가이드(710)가 삽입되는 위치로 압박봉(720)을 투입구에 삽입하여 하부로 이동시키면, 고정된 회전가이드(710)가 회전홈(730)에 삽입된 채 압박봉(720)이 이동되는데, 이때, 압박봉(720)은 점점 휘어지도록 형성된 회전홈(730)과 고정된 회전가이드(710)에 의해서 회전홈(730)이 휘어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어 지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400)에 형성된 투입구(410)를 통하여 투입된 재료가 가공부(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파쇄가공되어 파쇄된 다수의 조각들과 다져진 상태처럼 다소 무르게 변형된 후에, 기존의 스크루(300)로 이동되어 착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투입된 재료는 재료안내면(620)에 의해서 가공부(500)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된 재료의 측면이 가공날(510)에 의해서 제1가공안내면(610)을 따라서 가공안내부(600) 안쪽으로 이동되되, 가공날(510)과 제1가공안내면(610) 사이의 공간이 서서히 좁아짐에 따라서 재료가 그 제1가공안내면(610)과 가공날(51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어가면서 재료의 측면을 가공안내부(600) 안쪽으로 밀면서 재료의 측면 일부를 파쇄하게 되고, 이렇게 밀린 재료는 제1가공안내면(610)에 의해서 가공부(500)의 중심 쪽으로 압박되면서 다시 되돌아오는 가공날(510)이 재료의 측면을 파고들어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복되어 파쇄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부(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이 진행된다.
이렇게 파쇄가공된 재료의 조각들은 스크루(300)로 자연스럽게 이동된 후에 본격적인 착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료안내면(620)에 의해서 재료이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공안내면(610)과 가공날(510)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재료가 투입구(410) 하단에 정체될 수 있는데, 이때 압박회전수단(700)의 회전가이드(710)가 회전홈(730)에 삽입되도록 압박봉(730)을 투입구(410)에 삽입하여 눌러주면, 그 압박봉(730)이 재료를 눌러주어 재료안내면(620)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압박봉(730)이 재료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회전가이드(710)와 회전홈(720)에 의해서 회전하면, 재료 또한 횡 방향으로 자전하여 제1가공안내면(610) 내지 재료안내면(620) 타고 회전이동된다.
즉, 압박회전수단(700)에 의해서 정체된 재료가 가공부(500)의 가공날(510)과 가공안내부(600)의 제1가공안내면(610) 사이로 재료를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도 11에서와 재료안내면(620)이 제외된 실시예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자전하는 재료가 투입구(410)의 바닥면 또는 투입구(410)의 측면 내지 제1가공안내면(610)을 타고 이동될 수 있는바, 이하 설명될 재료의 측면을 밀어주는 누름봉(430)을 대신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재료가 가공부(500)와 가공안내부(600)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파쇄가공됨과 동시에 무르게 변형됨으로써, 재료의 상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망체(200)의 부하가 줄어드는바, 망체(200)의 변형 내지 흔들림이 억제되어 망체(200)의 파손과 소음이 억제됨과 동시에 스크루(300)와 망체(200)의 마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원액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료의 크기를 결정하는 스크루(300) 상부의 반경보다 큰 지름을 가진 재료(통 사과 등)를 사용자가 손질하지 않고도 원활한 착즙이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재료를 절삭하기 위해서 기존 스크루(300)의 반경을 확장하지 않고도 실시될 수 있도록, 투입구(410)의 하단은 상기 스크루(30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하되, 큰 크기의 재료가 충분히 투입될 수 있는 큰 하단 폭(W; 또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가공부(500)의 높이 또한 투입된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투입구(410)의 하단 폭(W)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 원액기의 스크루(300)가 절삭가능한 지름을 가진 재료보다 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그 스크루(300)의 상단 반경(또는 지름)을 확장하여 제품을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면적을 늘려야 하는 점에서 확연한 차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원액기는 큰 재료를 사용하기 위해서 원액기 전체의 크기를 확장하여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은 가공부(500)의 높이만을 확장하는 것만으로 실시될 수 있고, 이는 제조원가가 낮고, 원액기의 설치면적이 확장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11과 같이, 가공안내부(600)에는 상기 재료의 측면을 압박하는 제1가공안내면(610)과 달리, 재료의 상부를 압박하여 재료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뚜껑(400)의 하부 공간은 원형의 홈으로 구성하되, 하부 면에 가공부(5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투입구(410)의 하단 영역에서부터 나선형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되, 가공부(5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 제2가공안내면(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공안내면(640)은 상기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가공부(500)와 달리,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재료의 하부를 파쇄하도록 상부 면에 하나 이상의 가공날(510)이 형성된 또 다른 가공부(500)와 함께 실시되는 것으로, 재료가 가공부(500) 상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같이 가공부(500)와 상호작용하되, 제2가공안내면(640)은 재료의 상부를 압박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제1가공안내면(610)을 대신하여도 무방하고, 도 10과 같이 제1가공안내면(610) 및 재료안내면(620)과 함께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재료안내면(62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안내부(600)에는 상기 재료안내면(620)을 대신하여 투입구(410)의 하단 영역의 뚜껑(400) 측면에 압착구멍(420)을 형성하고, 그 압착구멍(420)에 삽입되어 재료를 가공부(500)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누름봉(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누름봉(430)은 투입구(410)로 투입된 재료를 가공부(500)로 압착하여 부분적으로 순차적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고, 누름봉(430)과 압착구멍(420)의 구성은 상기 제1가공안내면(610)과 제2가공안내면(640)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되어도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용기 200: 망체
300: 스크루 400: 뚜껑
420 : 압착구멍 430 : 누름봉
500: 가공부 600: 가공안내부
610 : 제1가공안내면 620 : 재료안내면
630 : 제2가공안내면 700 : 압박회전수단
710 : 회전가이드 720 : 압박봉
730 : 회전홈

Claims (3)

  1. 찌꺼기 배출구(102)와 즙배출구(101)가 형성된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 내부에 위치하는 망체(200)와;
    상기 망체(200) 내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3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10)가 형성되되, 그 투입구(410)와 연통하는 하부에는 재료를 안내하여 파쇄되도록 하는 가공안내부(600)가 형성된 뚜껑(400)과;
    상기 스크루(300)의 상단에 가공안내부(600)와 대응하여, 재료를 가공안내부(600)의 안으로 밀어내면서 파쇄하는 가공날(510)이 형성된 가공부(500) 와;
    상기 가공안내부(600)는 상기 가공부(500)를 수용하도록 용기(100)와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위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410) 내부로 삽입되어 재료의 상부를 압박함과 동시에 회전시켜 이동되도록 구성된 압박회전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압박회전수단(700)은 투입구(410)의 안쪽 면에 돌출된 회전가이드(710)와 그 투입구(410) 내부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회전가이드(710)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홈(730)을 포함하는 압박봉(7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회전홈(730)은 압박봉(72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되, 상부 부분에서는 그 압박봉(720)의 표면을 따라서 휘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액기용 파쇄모듈.
KR1020130045370A 2013-03-25 2013-04-24 원액기용 파쇄모듈 KR10210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370A KR102104284B1 (ko) 2013-04-24 2013-04-24 원액기용 파쇄모듈
PCT/KR2014/002522 WO2014157925A1 (ko) 2013-03-25 2014-03-25 원액기용 착즙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370A KR102104284B1 (ko) 2013-04-24 2013-04-24 원액기용 파쇄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90A KR20140031090A (ko) 2014-03-12
KR102104284B1 true KR102104284B1 (ko) 2020-04-24

Family

ID=5064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370A KR102104284B1 (ko) 2013-03-25 2013-04-24 원액기용 파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2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7B1 (ko) 2009-08-28 2010-06-2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51Y1 (ko) * 2009-03-02 2012-06-11 김영기 원액기
KR20120029638A (ko) * 2010-09-17 2012-03-27 김영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주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07B1 (ko) 2009-08-28 2010-06-2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90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140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101652596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31087A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102104284B1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AU2017202583B2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20140031095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48B1 (ko) 원액기용 파쇄모듈
KR20140031092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73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73079B1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CA2869646C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CN109567549B (zh) 食物处理机
KR20140031093A (ko)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9990045841A (ko) 녹즙기의착즙장치
KR950009569Y1 (ko) 착즙기
CN106622543A (zh) 自动进纸碎纸机
CN115200277A (zh) 高效型刨冰机
KR2013013950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