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817B1 -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817B1
KR102103817B1 KR1020190116652A KR20190116652A KR102103817B1 KR 102103817 B1 KR102103817 B1 KR 102103817B1 KR 1020190116652 A KR1020190116652 A KR 1020190116652A KR 20190116652 A KR20190116652 A KR 20190116652A KR 102103817 B1 KR102103817 B1 KR 10210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vinegar
scalp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꿈
Priority to KR102019011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초, 해양심층수, 천일염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게 해주고, 모발에 보습, 윤기, 탄력 등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며, 두피 가려움증, 트러블 및 비듬을 완화하여 두피 상태를 개선하고, 천연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hair cosmetic}
본 발명은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초, 해양심층수, 천일염 및 물을 포함함으로써, 모발에 윤기, 보습, 탄력 등의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두피의 가려움증, 트러블, 비듬을 완화하여 모발 및 두피를 보호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마찰, 열, 물리적 절단, 파마, 탈색, 염색, 일광 등에 의하여 손상된다.
첫째로, 열에 의한 모발 손상은 모발 세척 후 건조시 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 건조되면서 모발이 팽창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검은 모발이 다갈색으로 변색된다. 또한, 모 피질 및 모 수질 중에 기포가 생기기 시작하여 모발에 탄력이 없어지게 되고 모 표피는 녹게 된다.
둘째로, 파마에 의한 모발 손상은 파마액의 처리 불량, 방치 시간 부족 등에 의해 생기는데, 모발이 약하게 되거나 모발 중에 알칼리가 잔류하거나 산화제가 남아있을 경우 케라틴 단백질의 변성과 멜라닌 색소의 퇴색을 일으키게 한다.
셋째, 탈색제로서 알칼리제 외에 과산화수소에 의한 멜라닌 색소의 산화 탈색 작용이 일어난다. 단기적으로 탈색제에 반복해서 노출되면 모발은 팽윤 연화가 반복되거나 모 표피가 비틀려 구부러짐이 발생하여 손상의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태양광선 중에서 적외선과 자외선에 의해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이 손상을 받게 되거나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발의 손상을 방지, 개선하기 위해 헤어 컨디셔너가 주로 사용되어왔다. 헤어 컨디셔너는 주로 장쇄의 4급 암모늄화합물과 고급 지방알코올,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오일을 함유한다. 상기에서 장쇄의 4급 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고급 지방알코올, 탄화수소 오일은 모발의 광택, 촉촉함, 부드러움을 제공하여 주며, 실리콘오일은 샴푸 후 피지의 제거로 인한 모발의 뻣뻣한 느낌을 감소시키기 위해 인공적으로 피지와 유사한 느낌을 부여하여 모발에 부드러움과 윤기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는 모발의 소비자들은 샴푸 후 과도한 탈지와 모발의 손상에도 불구하고, 헤어 컨디셔너의 끈적한 사용성과 과도한 유분으로 인하여, 모발이 가라앉아 모발의 볼륨감이 감소하여, 헤어 컨디셔너의 사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 컨디셔너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여러 가지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5738호에서는 저분자량의 실크 및 울 프로테인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5~50중량% 함유토록 함으로써, 손상된 모발 보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공개 특허는 단순히 모발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일 뿐 모발의 보호 및 케어 효과는 없는 것이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7490호에서는 바실러스 균주로부터 수득된 케라티네이즈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를 개시하여, 모발의 보호 및 수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등록 특허는 모발 처리제의 처리시간이 길고, 냄새가 심한 등 가정에서 셀프 케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컨디셔닝 제품은 모발의 상태는 개선하는 두피의 상태를 오히려 악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그 사용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성이 우수하며,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개선 및 유지할 수 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03-0085738 A KR 10-1207490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초, 해양심층수, 천일염 및 물을 포함함으로써,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게 해주고, 모발의 pH를 낮춰 보습, 윤기, 탄력 등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며, 두피의 가려움증, 트러블, 비듬을 완화하여 두피 상태 역시 개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초, 해양심층수, 천일염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초 40~50중량%, 해양심층수 4~5중량%, 천일염 0.1~0.8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초는 현미 발효식초이며, 상기 물은 정제수 또는 미네랄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초는 포도 발효식초이며, 상기 포도 발효식초는, 포도의 열매에 당을 1:0.2~1 중량비로 혼합하고, 15~30℃에서 90~180일간 발효하는 과정과,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과정과,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20~25℃에서 20~30일간 알코올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알코올 발효된 발효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20~30℃에서 25~30일간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초산 발효된 발효물을 5~20℃의 온도에서 1~18개월 숙성시켜 pH가 2~4 정도가 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1~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와 모발을 청결하게 해주고, 모발에 보습, 윤기, 탄력 등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며, 두피 가려움증, 트러블 및 비듬을 완화하여 두피 상태를 개선하고, 천연 성분만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 즉 두피 청결, 살균 및 진정은 물론, 가려움증, 트러블 및 비듬을 완화하고, 모발의 보습, 윤기, 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그 유효성분으로 식초, 해양심층수, 천일염 및 물을 포함한다. 즉, 이러한 유효성분으로 인해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개선 및 유지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식초는 모발과 두피의 노폐물을 세정 및 살균해주고, 모발에 남아 있는 샴푸의 알칼리 성분을 제거해주며 비듬을 완화하고, 모발의 pH를 낮춰 모발을 보호하고 매끄럽게 관리해주며,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식초로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발효식초, 특히 현미 발효식초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현미 발효식초는 모발 및 두피를 세정, 살균하면서도, 풍부한 영양 성분을 제공하여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더욱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현미 발효식초로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식초로는 포도 발효식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포도 발효식초는 모발 및 두피를 세정, 살균하면서도, 항산화 물질 등 풍부한 영양 성분을 제공하여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더욱 개선하며, 두피 트러블 및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포도 발효식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식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40~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식초로 인한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pH가 너무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해양심층수(deep ocean water)는 태양광이 거의 미치지 못하는 깊이가 200m 이상인 바다의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마그네슘, 칼슘, 인, 질소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다. 따라서, 상기 해양심층수는 모발 및 두피에 풍부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두피의 트러블을 완화하고,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해양심층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4~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4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두피 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천일염은 모발 및 두피를 세척 및 살균하고, 두피의 트러블을 진정시키고, 모발에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일염은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0.8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림직한데, 과량 포함될 경우 오히려 두피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잔부로 포함되는바, 정제수 또는 미네랄 워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워터를 사용하는 경우, 각종 미네랄을 모발 및 두피에 공급하므로 모발 및 두피 상태를 더욱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두피 및 모발을 청결하게 하고, 트러블을 진정시켜주며, 비듬을 완화하며, 모발을 보호하고, 윤기, 보습 및 탄력을 부여하며, 정전기를 완화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의 열매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5중량%만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은 모발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모발에 탄력을 부여하고, 정전기를 완화하며, 두피 가려움증 및 비듬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은 통상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바, 모새나무의 열매 또는 그 건조물에 3~10중량배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를 가하고, 20~100℃에서 1~10시간 추출, 여과하는 정도면 족하다. 아울러, 이를 농축 또는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riflora Thunb)의 잎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5중량%만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은 두피 및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하고, 항염 효과로 인해 두피 트러블을 예방 및 관리하고, 비듬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은 통상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바, 뜰보리수나무의 잎 또는 그 건조물에 3~10중량배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를 가하고, 20~100℃에서 1~10시간 추출, 여과하는 정도면 족하다. 아울러, 이를 농축 또는 건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 및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면, 모발 및 두피의 상태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 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에센스, 헤어 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헤어 샴푸 또는 헤어 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다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 후 헹굼 할 수 있는 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컨디셔너 및 헤어 샴푸 중 1종으로 제형화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도 발효식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포도 발효식초는, 포도의 열매에 당을 1:0.2~1 중량비로 혼합하고, 15~30℃에서 90~180일간 발효하는 과정과,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과정과,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20~25℃에서 20~30일간 알코올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알코올 발효된 발효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20~30℃에서 25~30일간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초산 발효된 발효물을 5~20℃의 온도에서 1~18개월 숙성시켜 pH가 2~4 정도가 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포도의 열매를 깨끗이 세척하고, 이에 당을 1:0.2~1 중량비로 혼합한다. 이때, 상기 당으로는 설탕은 물론, 꿀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포도의 열매와 당의 혼합물을 15~30℃에서 90~180일간 발효한다.
다음으로, 이를 여과하여 고형분을 걸러낸다. 이때, 상기 여과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여과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알코올 발효시킨다. 여기서, 상기 효모의 투입량은 상기 여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1중량부 정도이며, 20~25℃에서 20~30일간 발효시킨다. 상기 알코올 발효는 공지된 방법에 따르는 것으로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효모의 종류 역시 제한하지 않는데, 예시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된 여과물은 원활한 발효와 식초의 풍미를 위하여 12~25brix 정도로 당도를 조절한 후, 효모를 투입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물의 희석을 위해서는 정제수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알코올 발효된 발효물에 초산균을 접종한다. 이때, 그 접종량은 상기 알코올 발효된 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초산균 3~10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이다. 상기 초산균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바, 예시적으로 Acetobacter pasterurianus, Acetobacter aceti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초산균이 접종된 발효물은 20~30℃에서 25~30일간 발효시킨다. 이때, 원활한 발효를 위하여 초산균이 접종된 발효물을 1~3일 간격으로 충분히 교반하여 주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초산 발효된 발효물을 직사광선을 피해 5~20℃의 온도에서 1~18개월 숙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식초는 그 pH가 2~4 정도로서, 식초의 강한 냄새가 없으면서도, 항산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모발 및 두피 상태를 현저히 개선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현미 발효식초(시판 상품) 45중량%, 해양심층수 4.5중량%, 천일염 0.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현미 발효식초를 대신하여 포도 발효식초를 사용하였다.
상기 포도 발효식초는,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포도 10kg에 백설탕 5kg을 혼합하고, 이를 20℃의 발효실에서 120일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를 여과기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된 여과물을 20Brix의 당도를 갖도록 정제수로 희석하고, 상기 희석액 2kg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24858)) 4g을 접종한 후, 20℃의 발효실에서 25일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상기 발효시킨 발효물에 다시 초산균(Acetobacter aceti(KCCM 12655))을 100g 접종한 후, 25℃의 발효실에서 30일간 발효시켰다. 발효 중 3일 간격으로 교반하여 주었다. 최종 초산발효된 발효물은 10℃의 온도에서 6개월간 숙성시켰다. 상기 최종 숙성된 포도 발효식초의 pH는 3.4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정제수를 대신하여 미네랄 워터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 2중량% 및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2중량%을 더 혼합하였다.
상기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은, 모새나무의 열매 100g을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증류수 500mL를 가하여, 환류 추출기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그리고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뜰보리수나무의 잎 추출물은, 뜰보리수나무의 잎 100g을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증류수 500mL를 가하여, 환류 추출기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그리고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4중량%, 디메치콘(Dimethicone) 7중량%, VP(폴리비닐피롤리돈) 4중량%,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2중량%,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중량%, 부틸 파라벤 0.1중량%, 메틸 파라벤 0.1중량%, 세테아릴 알콜 5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모발용 린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20~40대의 남성 및 여성 60명을 5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각각 사용토록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헤어 린스로서 사용하였으며, 샴푸 후 모발에 1회 한 달간 사용토록 하였다.
평가기준은, 모발 보습, 윤기, 부드러움, 정전기 감소, 탄력, 사용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대상으로,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보통(2점), 나쁨(1점) 매우 나쁨(0점)으로 평가하여 그 평균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보습 3.8 4.1 4.2 4.3 3.0
윤기 4.0 4.3 4.3 4.2 3.1
부드러움 4.0 4.3 4.4 4.3 3.0
정전기 감소 3.7 3.9 4.0 4.3 2.7
탄력 3.8 3.9 3.9 4.0 2.9
사용감 3.8 4.0 4.0 4.2 4.0
전체적 기호도 3.9 4.0 4.1 4.2 3.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보습, 윤기, 부드러움, 정전기 감소, 탄력, 사용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두피 트러블, 가려움증 및 비듬이 있는 20~40대의 남성 및 여성 60명을 5그룹으로 나누고,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각각 사용토록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헤어 린스로서 사용하였으며, 샴푸 후 두피 및 모발에 1회 한 달간 사용토록 하였다.
평가기준은, 두피 가려움증 완화, 두피 트러블 완화, 비듬 완화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대상으로,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양호(3점), 보통(2점), 나쁨(1점) 매우 나쁨(0점)으로 평가하여 그 평균값으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두피 가려움증 완화 3.5 3.9 3.9 4.1 1.2
두피 트러블 완화 3.8 3.9 4.0 4.3 1.5
비듬 완화 3.8 3.9 4.0 4.3 1.8
전체적 기호도 3.8 3.9 4.0 4.2 1.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두피의 가려움증 완화, 트러블 완화, 비듬 완화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식초 40~50중량%, 해양심층수 4~5중량%, 천일염 0.1~0.8중량%, 모새나무의 열매 추출물 1~5중량%,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현미 발효식초이며,
    상기 물은 정제수 또는 미네랄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초는 포도 발효식초이며,
    상기 포도 발효식초는,
    포도의 열매에 당을 1:0.2~1 중량비로 혼합하고, 15~30℃에서 90~180일간 발효하는 과정과,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는 과정과,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효모를 투입하여 20~25℃에서 20~30일간 알코올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알코올 발효된 발효물에 초산균을 접종하여 20~30℃에서 25~30일간 초산 발효시키는 과정과,
    상기 초산 발효된 발효물을 5~20℃의 온도에서 1~18개월 숙성시켜 pH가 2~4 정도가 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6652A 2019-09-23 2019-09-23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52A KR102103817B1 (ko) 2019-09-23 2019-09-23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52A KR102103817B1 (ko) 2019-09-23 2019-09-23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817B1 true KR102103817B1 (ko) 2020-04-23

Family

ID=7047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52A KR102103817B1 (ko) 2019-09-23 2019-09-23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076A (ko) * 2021-05-28 2022-12-06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38A (ko) 2002-05-01 2003-11-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실크 및 울 프로테인을 함유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20080094990A (ko) * 2007-04-23 2008-10-28 박재경 해양심층수를 함유한 탈모 방지용 헤어케어용품 조성물
KR101207490B1 (ko) 2010-06-10 2012-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라티네이즈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20170121653A (ko) * 2016-04-25 2017-11-02 박민경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101802079B1 (ko) * 2016-06-23 2017-11-2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모성이 우수한 해양 심층수 및 이를 이용한 발모 촉진방법
KR101874941B1 (ko) * 2017-01-18 2018-07-05 한국콜마주식회사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738A (ko) 2002-05-01 2003-11-0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실크 및 울 프로테인을 함유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JP2004155701A (ja) * 2002-11-06 2004-06-03 Hidekazu Itaka 濃縮深層水を用いた化粧品
KR20080094990A (ko) * 2007-04-23 2008-10-28 박재경 해양심층수를 함유한 탈모 방지용 헤어케어용품 조성물
KR101207490B1 (ko) 2010-06-10 2012-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라티네이즈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
KR20170121653A (ko) * 2016-04-25 2017-11-02 박민경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101802079B1 (ko) * 2016-06-23 2017-11-28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모성이 우수한 해양 심층수 및 이를 이용한 발모 촉진방법
KR101874941B1 (ko) * 2017-01-18 2018-07-05 한국콜마주식회사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076A (ko) * 2021-05-28 2022-12-06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653727B1 (ko) * 2021-05-28 2024-04-03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055B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4702B1 (ko) 피부재생, 항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263B1 (ko) 마조람, 몰로키아 및 레몬밤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8779A (ko) 금화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US20040033246A1 (en) Cosmetic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and agent for prevention of skin aging
KR20190104825A (ko) 소리쟁이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29801A (zh) 一种保温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102103817B1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20792A (ja) 保湿・整髪作用を有する皮膚及び毛髪用化粧料とその製造方法
KR102363835B1 (ko) 천연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6957B1 (ko) 막걸리 지게미 복합 발효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75188B1 (ko) 등차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941B1 (ko)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0587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223617B1 (ko) 나비콩꽃, 브델리아 및 수레국화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71A (zh) 一种葡萄籽油红酒洗发护发液及其制备方法
CN110840793B (zh) 一种蚕丝蛋白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10151652B (zh) 含有莲花提取物具有抗衰老性的乳液及其制备方法
KR102054100B1 (ko) 뿌리식물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46788A (ko) 발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1423B1 (ko) 기능성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