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790B1 - 석재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790B1
KR102103790B1 KR1020130066139A KR20130066139A KR102103790B1 KR 102103790 B1 KR102103790 B1 KR 102103790B1 KR 1020130066139 A KR1020130066139 A KR 1020130066139A KR 20130066139 A KR20130066139 A KR 20130066139A KR 102103790 B1 KR102103790 B1 KR 102103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stone
cutting too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090A (ko
Inventor
이대연
김남광
김두회
박희동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6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790B1/ko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10155.3A priority patent/EP3009245B1/en
Priority to EP22164194.7A priority patent/EP4043170A1/en
Priority to US14/892,659 priority patent/US9868226B2/en
Priority to CN201480032902.1A priority patent/CN105473297B/zh
Priority to ES14810155T priority patent/ES2920754T3/es
Priority to CN201910475857.1A priority patent/CN110315641A/zh
Priority to PCT/KR2014/005083 priority patent/WO2014200245A1/ko
Priority to PL14810155.3T priority patent/PL3009245T3/pl
Priority to HRP20220810TT priority patent/HRP20220810T1/hr
Priority to PT148101553T priority patent/PT3009245T/pt
Priority to BR112015030434-6A priority patent/BR112015030434B1/pt
Publication of KR2014014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090A/ko
Priority to SA515370250A priority patent/SA515370250B1/ar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reciprocating saw-blades
    • B28D1/068Components, e.g. guiding means, vibrations damping means, frames, driving means,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use with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e.g. bows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 B23D51/125Blade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00Gang saw mills; Other sawing machines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specially designed for length sawing of trunks
    • B27B3/28Components
    • B27B3/30Blade attachments, e.g. saw buckles; Stretching devices
    • B27B3/34Blade attachments, e.g. saw buckles; Stretching devices the stretching devices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00Gang saw mills; Other sawing machines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specially designed for length sawing of trunks
    • B27B3/28Components
    • B27B3/36Devices for adjusting the mutual distance of the saw blades
    • B27B3/38Spacing bars; Spac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reciprocating saw-blades

Abstract

석재 절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를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스윙 운동에 의해 왕복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를 결합하여 왕복이동시키며, 각각의 절삭공구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절삭공구에 8 내지 27톤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재 절단 장치 {STONE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석재, 벽돌, 콘크리트, 아스팔트 등과 같은 취성이 있는 피삭재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석재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리석이나 화강암과 같은 석재 등의 피삭재를 다수의 판재 형태로 절단하는 석재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 내외장재 또는 바닥재 등으로는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재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석재는 채석장 등에서 육면체 형태로 채석된 후, 다수의 판재 형태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종래에는 석재를 다수의 판재 형태로 절단하기 위해 석재 절단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석재 절단 장치는 실질적으로 석재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공구를 포함하며, 이러한 절삭공구를 고정시켜 석재에 대해 상대 운동하며 석재가 절단되도록 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형태 또는 소재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예컨대 절삭공구는 디스크 형태로 되어 회전에 의해 피삭재를 절단하거나, 직선형태의 블레이드로 제공되어 왕복에 의해 피삭재를 절단할 수 있다.
절삭공구 중 직선형태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석재 절단 장치로는 프레임 갱쏘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석재 절단 장치의 일례인 프레임 갱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프레임부에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부는 각각의 블레이드에 장력을 가하여 직진성을 유지하게 하며, 프레임부가 석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왕복이동함에 따라 석재를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 갱쏘는 대형 블록 형태의 콘크리트, 대리석, 화강암, 사암, 석회암, 등과 같은 대형 피삭재를 얇은 판재로 절단할 때 널리 이용된다.
프레임 갱쏘를 이용한 절삭방법으로는 프레임 갱쏘에 알갱이 형태의 스틸 숏(steel shot)과 같은 연마재를 뿌려주며 피삭재를 절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최근의 프레임 갱쏘는 연마재가 포함된 절삭팁이 블레이드에 고정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피삭재를 절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대형 피삭재 절단에는 프레임 갱쏘 외에도 대형 원형 쏘 블레이드, 와이어 쏘, 밴드 쏘 등이 쓰이고 있다.
대형 원형쏘는 디스크 형태로 되어 있어 빠른 절단속도와 안정적으로 절단을 할 수 있는데, 여러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하여 한꺼번에 여러 장의 판재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대형 원형쏘는 피삭재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디스크 형태 블레이드의 직경이 커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블레이드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블레이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블레이드 두께가 두꺼워지고 전체 시스템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피삭재의 손실이 커지고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와이어 쏘는 일반적으로 석재를 채광할 때 널리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채광된 석재를 판재로 절단할 때 쓸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와이어 쏘를 이용한 석재 절단시 아직까지는 생산 단가가 높고, 피삭재의 손실이 커져 활용에 다소 제약이 있다.
한편, 프레임 갱쏘는 절삭공구에서 실질적인 절삭을 담당하는 블레이드가 피삭재 내부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피삭재 두께에 제한이 없어 블록 형태의 대형 석재 절단에 널리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절삭공구(10), 예컨대 프레임 갱쏘(10)는 다수의 블레이드(12), 예컨대 250개의 블레이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블레이드는 3m 이상의 길이, 1.5~5mm 두께, 50~250mm의 높이로 제공된다.
이러한 프레임 갱쏘(10)는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의 블록(1)을 판재로 자를 수 있으며, 프레임 갱쏘(10)에 의해 잘려진 판재는 연마되어 궁극적으로 타일이나 블록 형태의 최종 제품으로 완성된다. 판재의 두께 편차는 1.5mm 보다 작으면 충분히 평평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판재 두께 편차가 약 2mm 이하의 두께 편차는 일반적으로 사용한 오차범위 내에 포함된다.
최종 화강암 또는 대리석 제품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품질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2)는 화강암 또는 대리석 제품의 절단시 수직 경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블레이드(12)가 블록(1)을 자를 때,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에 Z축 방향으로 국부적인 힘이 가해져 뒤틀리거나 굽어질 경우, 블레이드(12)가 수직 경로를 벗어나게 되면 결과적으로 직선 경로로부터 이탈이 일어나 판재가 허용되는 두께 편차를 벗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절단된 판재가 불량 처리된다. 또한, 블레이드(12)의 변형은 좌굴 또는 파괴로 이어지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12)의 마모를 증가시키거나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키게 되어 블레이드(12)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종래의 석재 절단 장치는 절삭공구의 왕복운동방향으로 블레이드(12)의 양측에 장력을 주어 블레이드(12)의 stiffness(강성, 직진성)을 유지한다. 또한, 스틸 숏을 사용한 절삭공구에서는 스틸 숏에 의하여 블레이드(12)가 마모되기 때문에 내마모성 또한 높은 철강재가 필요하다. 내마모성이 좋은 철강재는 장력을 더 높이게 되면 작업 중 파단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장력이 결정되도록 한다. 피삭재에 따라 다르지만 경험적으로 최적의 장력(tensioning force)는 8~10ton 정도이다. 또한, 규격 내의 판재를 얻기 위해서는 모든 블레이드가 같은 장력을 받도록 해야 한다.
도 4의 (a)를 참고하면, 종래의 절삭공구 중 스틸 숏(14)을 사용하는 절삭공구(10)는, 블레이드(12)와 피삭재(1) 사이에 어느 정도 공간이 존재하여 피삭재(1)에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블레이드(12)가 피삭재(1)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본래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어도, 블레이드(12)의 복원력 등에 의해 본래의 자리로 쉽게 돌아올 수 있다. 즉 작업 중 블레이드(12)의 파단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8~10ton의 장력에서도 블레이드(12)가 피삭재(1)에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블레이드(12)는 수직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절단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의 (b)를 참고하면, 또 다른 종래의 절삭공구(20)로 블레이드(22)에 절삭팁(24)을 부착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절삭팁(24)이 부착된 절삭공구(20)는 피삭재(1)의 절삭 진행시 절삭팁(24)이 피삭재(1)의 양측면에 구속된 상태로 절삭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절삭공구(20)에 충격 등과 같이 국부적인 응력이 전달되면 블레이드(22)가 비뚤어져 피삭재(1)를 절삭하게 된다.
그리고, 절삭공구(20)는 블레이드(22)가 비뚤어진 상태로 피삭재(1)의 절삭작업을 어느 정도 진행하게 되면, 절삭팁(24)의 양 측면에 피삭재(1)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블레이드(22)의 복원력에 의해 블레이드(22)가 원래의 자리로 쉽게 돌아오지 못하며, 절삭팁(24)이 비뚤어진 상태로 구속된 상태에서 절삭이 진행되어 피삭재(1)의 오차량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기존 스틸 숏(steel shot)과 같은 연마재를 공급하며 석재를 절단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절삭팁(24)이 부착된 블레이드(22)를 사용하면 절삭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기존의 장력 조건에서는 블레이드(22)의 위치 이탈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절삭팁(24)이 부착된 절삭공구에서 블레이드(22)는 직접적으로 피삭재(1)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중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에 사용하는 블레이드(22) 재료는 내마모성과 관계없이 높은 장력에도 파단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철강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 갱쏘는 절삭공구의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형태에 따라 크게 두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톱질과 같이 왕복운동만하는 것으로, 주로 대리석 등의 절단시 사용되고 있다.
나머지 하나는 스윙타입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으로, 대리석보다 단단한 소재, 예컨대 화강암 등의 절단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톱질과 같이 왕복운동하는 프레임 갱쏘는 절삭공구의 절삭팁이 피삭재와 계속 접촉하고 있지만, 스윙타입의 경우 분당 약 150회 정도 피삭재와 부딪치며 피삭재를 절단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스윙타입의 프레임 쏘우가 화강암 등의 피삭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스윙타입으로 운동할 때 더 큰 충격이 전달되며, 절삭팁을 사용할 경우 절삭팁에 의한 블레이드(12, 22) 하부의 구속에 따른 변형이 더 커지게 되므로 기존 톱질 타입 갱쏘 또는 스틸 샷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장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종래의 절삭공구(10, 20)는 블레이드(12, 22)의 형태를 유지하며, 인접된 블레이드(12, 2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가 사용된다.
도 5를 참고하여 일반적인 절삭공구(10)에 적용된 스페이서(3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스페이서(30)는 블레이드(12) 사이에 제공되어 인접하는 다른 블레이드(12) 사이에 맞물린 상태에서 결합된다.
이때, 블레이드(12)는 스페이서(30)에 의해 좌, 우(y축 방향)가 구속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12)가 균일한 장력으로 유지되지 못한다. 즉, 각각의 블레이드(12)는 스페이서(3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이동함에 따라 외부의 장력이 블레이드(12)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12) 양 끝단에서 주어지는 장력이 스페이서(30)에 의해 간섭을 받아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실제 스페이서(30) 사이의 블레이드(12)로는 필요 장력보다 작은 장력만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블레이드(12)는 각각의 마모 상태 또는 내구 조건으로 장력이 유지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절삭공구(10)의 내구성 저하 및 피삭재의 절삭품질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72382(2011.10.0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절삭공구가 고압의 장력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절삭성능 및 이에 따른 절삭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스페이서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절삭공구의 각 블레이드로 작용하는 장력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어 블레이드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절삭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석재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를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스윙 운동에 의해 왕복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를 결합하여 왕복이동시키며, 각각의 절삭공구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절삭공구에 8 내지 27톤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에 각각 대응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다수로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가 각각의 액츄에이터에 대응하도록 결합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삭재는 화강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를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스윙 운동에 의해 왕복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를 결합하여 왕복이동시키며, 각각의 절삭공구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프레임부; 및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되어 상기 절삭공구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며, 길이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된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는 다수의 절삭공구를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스윙 운동에 의해 왕복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를 결합하여 왕복이동시키며, 각각의 절삭공구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프레임부; 및 상기 다수의 절삭공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되어 상기 절삭공구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며, 길이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절삭공구에 8 내지 27톤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장력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절삭공구 사이에 제공되어 폭방향의 양단부가 클램핑됨에 따라 일체로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절삭공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상기 절삭공구의 두께에 대응하게 제공되는 수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절삭공구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제공되는 돌출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절삭공구의 갭 공차는 -0.1 내지 0.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공구로 전달되는 장력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석재의 절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절삭팁이 부착된 절삭공구가 사용에 더욱 적합하며, 이때 부가된 장력에 따라 석재의 절단 품질 및 절삭 속도에 대한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개선된 스페이서의 사용으로 인해 절삭공구로 장력을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수의 절삭공구들을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연마재가 포함된 절삭팁이 부착된 석재절단장치에서 블레이드에 더 높은 장력을 부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절삭공구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석재의 절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절삭공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삭공구의 교체주기를 증가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유지 또는 보수 등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왕복운동형 석재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피삭재를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석재 절단 장치에 의해 피삭재가 절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석재 절단 장치가 피삭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삭공구에 변형이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의 (a)와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에서 스틸 숏을 사용하는 절삭공구와, 절삭팁을 갖는 절삭공구에 의한 작업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 사이에 제공된 스페이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 사이에 장착된 스페이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 사이에 장착된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를 보인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 사이에 스페이서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석재 절단 장치(110)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절삭공구(120)를 왕복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절삭공구(120)가 피삭재(100)와 접촉하며 피삭재(100)를 절삭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석재 절단 장치(110)로는 왕복운동형 다엽식 프레임 갱쏘가 대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절삭공구(120)가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석재 절단 장치(1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석재 절단 장치(110)는 피삭재(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왕복 이동하며 피삭재(100)를 절삭하도록 제공된 다수의 절삭공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절삭공구(120)들은 프레임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부(130)는 다수의 절삭공구(120)를 결합한 상태로 왕복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절삭공구(120)가 피삭재(100)와 접촉하며 피삭재(100)를 절단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부(130)는 각각의 절삭공구(120)를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30)는 피삭재(100)의 양측에 적어도 한 쌍으로 세워지는 기둥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둥부(136)는 피삭재(100)의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36)에는 아암부(138)가 소정의 각도로 스윙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아암부(138)에는 다수의 절삭공구(120)를 결합하기 위한 바디(132)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아암부(138)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일례로 구동부에 연계되어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아암부(138)는 스윙 회전에 연계하여 절삭공구(120)가 피삭재(100)와 단속적으로 접촉하며 피삭재(100)를 절삭할 수 있다.
바디(132)는 절삭공구(120)의 전, 후단부를 고정하게 되며, 절삭공구(120)가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132)에는 각각의 절삭공구(12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액츄에이터(134)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34)는 기존의 액츄에이터에 비해 절삭공구(120)에 약 1000bar까지 증가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134)는 내부 유압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34)는 각각의 절삭공구(120)에 약 8 내지 15톤의 하중이 작용하도록 장력을 부여하였으며 액츄에이터(134)가 견딜 수 있는 1000bar까지 유압을 가할 경우 약 27톤의 장력이 부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에서 유압을 전달하는 파이프 등의 강도나, 유압전달면적 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30)의 구성 및 강도가 증가될 수 있고, 증가된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강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34)는 하중의 증가를 위해 직경을 크게 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122) 간의 간격이 15~30mm로 제공됨에 따라 블레이드(122)에 장력을 부가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134)의 직경을 늘리는 대신에 유압을 증가시켜 액츄에이터(134)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방식이 사용된다.
한편, 절삭공구(1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블레이드(122)는 액츄에이터(134)에 의해 전달되는 장력, 예컨대 약 27톤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고장력 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절삭공구(120)에서 블레이드(122)는 분당 약 150회의 충격시, 피삭재인 화강암 석재를 약 2m 절삭하는데 40시간이 소요되며, 최대 약 20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때 106~107의 고사이클 피로도(high cycle fatigue)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22)는 이러한 사용 환경에서 끊어지지 않고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아울러 절삭팁이 국부적으로 변형이 집중되는 부분도 존재하므로 안전계수를 고려했을 때 블레이드 강종 및 제원은 이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일례로, 스틸 샷을 이용하는 절삭공구에서 블레이드는 두께 4mm, 높이 100mm의 크기를 갖도록 제공되며, 사용 강의 인장강도는 약 85kg/mm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피로강도를 인장강도의 약 40%로 가정할 때, 설계안정계수 0.8을 적용하면 약 110kN, 즉 약 11톤의 하중을 발생하는 장력을 견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절삭공구(120)는 절삭력 및 절삭속도의 향상을 위해 블레이드(122)의 일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스틸 숏 없이 절삭팁에 의해 실질적인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삭팁은 블레이드(122)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22)의 폭보다 두꺼운 형태, 즉 블레이드(122)의 폭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어 피삭재(100)와 접촉하며 피삭재(100)를 절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삭팁을 갖는 블레이드(122)는 두께 3.5mm, 높이 18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강의 인장강도는 1300kg/mm2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삭팁을 갖는 블레이드(122)는 실질적인 절삭이 절삭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스틸 샷을 이용하는 절삭공구의 블레이드보다 인장강도를 많이 증가시킬 수 있으며, 고장력강의 사용에 따라 블레이드(122)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22)는 피로강도를 인장강도의 약 40%로 가정할 때, 설계안정계수 0.8을 적용하면 약 266kN, 즉 약 27톤의 하중을 발생하는 장력을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120)는 블레이드(122)가 견딜 수 있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블레이드(122)의 높이도 약 180mm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블레이드의 높이 증가는 전체적으로 블레이드의 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의 스틸 샷을 이용하는 블레이드에 적용하면, 약 196kN, 즉 약 20톤의 하중을 발생하는 장력을 견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스틸 샷을 이용한 블레이드는, 동일한 제원을 갖는 절삭팁을 갖는 블레이드(122)에 비해 약 35% 정도 낮은 하중을 견딜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높이 등을 포함하는 제원을 크게 할 경우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나, 이에 따른 설비의 무게 및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블레이드의 제원을 크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절삭팁을 사용하는 프레임 갱쏘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가 견딜 수 있는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인장강도가 더 높은 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기존의 작업조건은 액츄에이터(134)에 의해 블레이드로 약 300bar의 장력이 전달되며, 이에 약 8~10톤의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액츄에이터(134)에서 블레이드로 전달되는 장력을 약 600bar로 두 배 올릴 경우, 블레이드는 약 16~20톤의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 종래의 스틸 숏용 블레이드는 최대 약 20톤의 하중(피로강도 및 설계안전계수를 고려시 약 11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공됨에 따라 파단이 예상된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절삭팁을 갖는 블레이드(122)는 피로강도 및 설계안전계수를 고려한 약 27톤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134)가 약 3배, 즉 900bar로 장력을 발생할 경우에도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절삭팁을 갖는 블레이드(122)는 높이를 약 250~300mm로 늘릴 경우, 액츄에이터(134)의 장력을 약 1300bar까지 견디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절삭공구(120)에는 액츄에이터(134)에 대응하여 장력을 전달하기 위한 연장부재(124)가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재(124)는 액츄에이터(134)에 의해 전달되는 장력을 블레이드(122)로 전달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삭공구(120)는 각 블레이드(122) 사이에 스페이서(140)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122)가 프레임부(130)에 대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며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40)는 각 블레이드(122)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며, 길이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블레이드(122)들은 폭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휘어짐이나 비틀어짐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22)들은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허용됨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122)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절삭공구(120)는 실질적으로 장력을 받게 되는 블레이드(122)가 스페이서(140)에 의해 폭 방향으로는 구속되고,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허용되므로, 고장력으로 인장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22)가 고장력으로 인장되면, 블레이드(122)의 복원력 등이 더욱 증가되므로 피삭재(100)의 두께 편차가 감소되므로,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140)는 폭방향 양단부가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 됨에 블레이드(122)를 보유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40)는 블레이드(122)의 일측면에 위치되는 몸체부(142)를 포함하며, 몸체부(140)에는 일체로 결합시 블레이드(122)의 폭방향 이동은 구속하나 길이방향의 이동은 허용되도록 절삭공구(120), 예컨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122)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는, 몸체부(142)의 일측면에 블레이드(122)의 두께에 대응하게 제공되는 수용홈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0)에서 몸체부(142)는 수용홈부(144) 이외에서는 다른 몸체부(142)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122)는 수용홈부(144)에 삽입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22)는 몸체부(142)가 다른 몸체부(142)의 배면에 지지됨에 따라 블레이드(122)를 폭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122)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몸체부(142)의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40)는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가 -0.1 내지 0.5mm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는 0.5mm 보다 크게 될 경우, 블레이드(122)를 안정적으로 구속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는 0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블레이드(122)에 전해지는 장력의 허용 오차에 따라 -0.1mm 까지는 허용될 수 있다. 즉,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가 0 일 경우, 스페이서(140)의 결합력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며, 이에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되는 장력이 모두 블레이드(122)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가 0 보다 낮을 경우, 스페이서(140)의 결합력에 의해 블레이드(122)로 어느 정도 구속력이 전달되며, 이에 블레이드(122)로 전달되는 장력의 일부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으나, 수용홈부(144)와 블레이드(122) 사이의 공차가 -0.1mm까지는 블레이드(122)가 필요로 하는 장력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40)에 제공되는 수용부는 수용홈부(144)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절삭공구 사이에 장착된 스페이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40)는 몸체부(242)를 포함하며, 이 몸체부(242)에는 블레이드(122) 폭의 두께와 대응하는 돌출턱부(24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턱부(244)는 일측이 몸체부(242)의 일측면에서 블레이드(122)의 상,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출턱부(244)의 타측은 인접하여 클램핑되는 다른 몸체부(242)의 타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돌출턱부(244)는 볼트(245)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몸체부(24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몸체부(242)에는 돌출턱부(244)의 관통홀(244a)을 통해 볼트(245) 등의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홀(242a)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공된 석재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석재를 절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먼저, 석재 절단 장치에 절단하고자 하는 석재를 설치한다. 석재 절단 장치에는 석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공구가 결합되며, 이러한 절삭공구는 다수로 제공되며, 절삭공구 사이에 제공되는 스페이서와 함께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절삭공구 사이에 종래의 스페이서가 결합된 것으로, 절삭공구는 스페이서와 함께 클램핑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스페이서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지 못한다.
이러한 절삭공구는 필요 이상의 장력을 작용하면, 일부 절삭공구는 과도한 장력에 의해 파단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절상공구는 과소한 장력에 의해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도 11의 (a)는 실시예 1에 따른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석재 절단 장치에서 절삭공구에 작용하는 엑츄에이터의 유압은 약 300bar 정도이며, 이때, 블레이드에는 약 7.5ton의 장력이 작용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조건에 의해 석재를 절단하게 되면, 두께에 대한 편차가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작업조건에서 절삭공구에 작용하는 유압을 약 300bar 정도가 작용한 실시예로, 블레이드에는 약 7.5ton의 장력이 작용된다.
이러한 작업조건은, 절삭공구의 결합시 블레이드(144) 사이에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140)가 결합된 상태로, 스페이서(140)가 블레이드(144)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되 블레이드(144)로 전달되는 장력을 제한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석재 절단 장치에서 발생하는 장력이 전부 블레이드(144)로 전달될 수 있어, 석재 절단 장치의 장력 증가 없이 블레이드(144)로 전달되는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는 도 11의 (b)에 도시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건으로 석재를 절단하게 되면, 실시예 1에 비해 두께에 대한 편차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절삭공구의 블레이드(144)가 스페이서(140)에 의해 완전하게 구속되지 않아 블레이드(144)가 필요로 하는 장력을 완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석재의 절단시 절삭공구에 작용하는 장력이 손실없이 전달되어, 석재의 두께 편차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석재 절단 장치는 절삭공구 및 스페이서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각각의 절삭공구의 장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예 2에 작용된 장력 이상으로 장력을 발생시킬 경우, 블레이드의 파단이 증가되어 작업성이 증가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로, 기존의 장력에 비해 약 100% 정도로 큰 장력이 전달하여 작업한다. 즉, 실시예 3은 개선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약 600bar의 유압이 부가된다.
도 11의 (c)는 실시예 3에 따른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의 (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는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유압을 약 600bar 정도 증가시켜 석재를 절단한다. 이때, 블레이드에는 약 15ton의 장력 작용된다.
이와 같이, 석재 절단 장치는 절삭공구의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을 증가시킬수록 절단된 석재의 두께에 편차가 줄어듦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절단 장치로, 절삭공구 사이에 본 실시예의 스페이서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절삭공구는 스페이서에 의해 폭 방향으로의 이동은 구속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허용되며 클램핑된다.
따라서, 절삭공구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장력이 조절되므로, 절삭공구의 블레이드 상태 등을 고려하여 장력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과소 또는 과대의 장력이 조절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조절된다.
실시예 4에서는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유압을 약 600bar 정도 증가시켜 석재를 절단한다. 이때 블레이드(144)는 스페이서(140)에 의해 폭방향의 이동은 구속된 상태로, 개선된 액츄에이터(134)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장력이 블레이드(144)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는 약 15.0ton의 장력이 작용된다.
실시예 4에 따른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장력에 따른 절단된 피삭재의 두께는 도 11의 (d)에 도시된다.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절삭공구는 약 600bar의 유압에 대해 각각의 블레이드의 장력이 개별적으로 조절되므로, 블레이드의 고장력이 작용한 상태로 석재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절삭공구는 개별적으로 장력이 조절되므로, 고장력 상태에서 파단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석재의 편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석재를 절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석재 절단 장치 120: 절삭공구
122: 블레이드 130: 프레임
132: 몸체 134: 액츄에이터
136: 기둥부 138: 아암부
140: 스페이서 142: 몸체부
144: 수용홈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의 절삭공구를 소정의 각도로 스윙 운동하며 피삭재를 절단하도록 제공된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구는 피삭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되어 스윙 운동에 의해 왕복하며 피삭재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팁;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절삭공구를 결합하여 왕복이동시키며, 각각의 절삭공구에 개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도록 제공된 프레임부; 및
    다수의 상기 절삭공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되어 상기 절삭공구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며, 길이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다수의 상기 절삭공구 사이에 제공되어 폭방향의 양단부가 클램핑됨에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절삭공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에 대응되는 수용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부와 블레이드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폭방향 이동을 구속하면서 길이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절단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절삭공구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제공되는 돌출턱부를 포함하는 석재 절단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절삭공구의 갭 공차는 -0.1 내지 0.5mm인 석재 절단 장치.

KR1020130066139A 2013-06-10 2013-06-10 석재 절단 장치 KR102103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39A KR102103790B1 (ko) 2013-06-10 2013-06-10 석재 절단 장치
PL14810155.3T PL3009245T3 (pl) 2013-06-10 2014-06-10 Urządzenie do cięcia kamienia
US14/892,659 US9868226B2 (en) 2013-06-10 2014-06-10 Stone cutting device
CN201480032902.1A CN105473297B (zh) 2013-06-10 2014-06-10 石材切割装置
ES14810155T ES2920754T3 (es) 2013-06-10 2014-06-10 Dispositivo para cortar piedra
CN201910475857.1A CN110315641A (zh) 2013-06-10 2014-06-10 石材切割装置
EP14810155.3A EP3009245B1 (en) 2013-06-10 2014-06-10 Stone cutting device
EP22164194.7A EP4043170A1 (en) 2013-06-10 2014-06-10 Stone cutting device
HRP20220810TT HRP20220810T1 (hr) 2013-06-10 2014-06-10 Uređaj za rezanje kamena
PT148101553T PT3009245T (pt) 2013-06-10 2014-06-10 Dispositivo de corte de pedra
BR112015030434-6A BR112015030434B1 (pt) 2013-06-10 2014-06-10 Dispositivo de cortar pedra
PCT/KR2014/005083 WO2014200245A1 (ko) 2013-06-10 2014-06-10 석재 절단 장치
SA515370250A SA515370250B1 (ar) 2013-06-10 2015-12-07 جهاز لقطع الحجار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139A KR102103790B1 (ko) 2013-06-10 2013-06-10 석재 절단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170A Division KR102212809B1 (ko) 2020-04-16 2020-04-16 석재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090A KR20140144090A (ko) 2014-12-18
KR102103790B1 true KR102103790B1 (ko) 2020-04-24

Family

ID=5202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39A KR102103790B1 (ko) 2013-06-10 2013-06-10 석재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68226B2 (ko)
EP (2) EP4043170A1 (ko)
KR (1) KR102103790B1 (ko)
CN (2) CN105473297B (ko)
ES (1) ES2920754T3 (ko)
HR (1) HRP20220810T1 (ko)
PL (1) PL3009245T3 (ko)
PT (1) PT3009245T (ko)
SA (1) SA515370250B1 (ko)
WO (1) WO2014200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790B1 (ko) * 2013-06-10 2020-04-24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석재 절단 장치
CN107234299A (zh) * 2017-06-20 2017-10-10 武威市津威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切割机
CN107900454A (zh) * 2017-11-10 2018-04-13 东莞市益松数控科技有限公司 使用线性锯加工板材的方法和数控锯床设备
CN108724482B (zh) * 2018-08-01 2022-05-27 上海祖强能源有限公司 一种施压装置
CN110877417B (zh) * 2019-11-28 2021-06-01 中国振华电子集团建新机电有限公司 一种石板材排锯机的石料往复平移工艺方法
KR102517753B1 (ko) 2020-12-23 2023-04-06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갱쏘용 절삭공구
CN114101784A (zh) * 2021-12-21 2022-03-01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阶梯式剪刃弹扁定尺剪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685A1 (en) * 2003-08-14 2007-02-22 Markus Jakobuss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granite or similar materials
KR101072382B1 (ko) * 2003-12-23 2011-10-11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함유 세그먼트를 갖는 블레이드를 사용하는기계 바디 톱으로 절단된 화강암 석판 및 이의 절단방법
KR101289859B1 (ko) * 2011-10-19 2013-07-24 오군재 블레이드 방진장치를 포함하는 갱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87073B (de) * 1957-08-19 1960-08-11 Skandinaviska Granit Aktiebola Steinsaege
US3176675A (en) * 1962-01-08 1965-04-06 William S Bomba Hydraulic cutting blades for stone sawing machines
US3384064A (en) * 1966-05-02 1968-05-21 Super Cut Adjustable spacer and stabilizing means for the saw blades of a gang sawmill
US3662734A (en) * 1968-10-04 1972-05-16 Remo Sisler Reciprocating, sensitive saw, with unidirectional cu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diamond blades
US3976045A (en) 1975-02-28 1976-08-24 Coggins Jr B Frank Stone cutting machine
IT1159785B (it) * 1982-04-23 1987-03-04 Breton Spa Telaio portalame con pacco di lame estraibile in blocco nelle macchine per segare marmi, graniti o pietre dure
IT1219350B (it) * 1988-06-01 1990-05-11 Tecnomaiera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rinforzati a partire da un blocco di materiale da costruzione quale un materiale lapideo
JP2002539981A (ja) * 1999-03-30 2002-11-26 ルドマティカ エッセ エルレ エルレ 石ブロック切断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フレーム切断機
WO2000078517A1 (en) 1999-06-17 2000-12-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granite
US7082939B2 (en) * 2002-12-10 2006-08-01 Diamond Innovations, Inc. Frame saw for cutting granite and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of frame saw for cutting granite
CN2668367Y (zh) * 2004-01-02 2005-01-05 江显秋 一种石材切割机械
CN1704222A (zh) * 2004-06-02 2005-12-07 保文明 改进的平旋石材整形切割机
SE531855C2 (sv) * 2007-12-20 2009-08-25 Seco Tools Ab Indexerbart svarvskär och ett skärverktyg som innefattar ett sådan skär
KR102103790B1 (ko) * 2013-06-10 2020-04-24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석재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685A1 (en) * 2003-08-14 2007-02-22 Markus Jakobuss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granite or similar materials
KR101072382B1 (ko) * 2003-12-23 2011-10-11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함유 세그먼트를 갖는 블레이드를 사용하는기계 바디 톱으로 절단된 화강암 석판 및 이의 절단방법
KR101289859B1 (ko) * 2011-10-19 2013-07-24 오군재 블레이드 방진장치를 포함하는 갱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9245B1 (en) 2022-04-13
PL3009245T3 (pl) 2022-08-08
PT3009245T (pt) 2022-06-29
EP3009245A4 (en) 2016-06-01
WO2014200245A1 (ko) 2014-12-18
US20160107334A1 (en) 2016-04-21
KR20140144090A (ko) 2014-12-18
EP4043170A1 (en) 2022-08-17
ES2920754T3 (es) 2022-08-09
CN105473297A (zh) 2016-04-06
CN110315641A (zh) 2019-10-11
BR112015030434A2 (pt) 2017-07-25
SA515370250B1 (ar) 2020-05-31
HRP20220810T1 (hr) 2022-09-30
EP3009245A1 (en) 2016-04-20
US9868226B2 (en) 2018-01-16
CN105473297B (zh)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90B1 (ko) 석재 절단 장치
KR102212809B1 (ko) 석재 절단 장치
KR101439885B1 (ko) 절삭공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장치
CN114474443B (zh) 晶体的偏置切割方法
KR101140868B1 (ko) 프레임 갱쏘용 피삭재, 이 피삭재의 절단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절단된 제품
US7284717B1 (en) Recycling machine for precast concrete products
KR101362229B1 (ko) 탭 또는 드릴 지그
EP3676066B1 (en) Machine for simultaneous cutting of a plurality of slabs from a block of stone material
JP3903344B2 (ja) 竹粒物または竹片の製造方法
EP1690634A2 (en) Diamond cutting blades and discs
CN106363815B (zh) 一种金刚石框架锯锯条跑偏确认结构、装置及方法
EP4269055A1 (en) Cutting tool for gang saw
KR101620731B1 (ko) 클램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BR112015030434B1 (pt) Dispositivo de cortar pedra
CN106926626B (zh) 一种石柱雕刻器件
EP1177070A1 (en) Automatic smoothing and polishing system for plates and blocks made of marble, granite and stone in general
CN202208069U (zh) 绳锯接头
CN111941119A (zh) 一种油缸压紧导向加强结构
EP1613454A1 (en) Blade and tie-rod assembly for stone material sawing machinery
CN101745816A (zh) 一种新型机床消声打棒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