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66B1 -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66B1
KR102103466B1 KR1020180041181A KR20180041181A KR102103466B1 KR 102103466 B1 KR102103466 B1 KR 102103466B1 KR 1020180041181 A KR1020180041181 A KR 1020180041181A KR 20180041181 A KR20180041181 A KR 20180041181A KR 102103466 B1 KR102103466 B1 KR 10210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ultrasonic probe
contact
contact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49A (ko
Inventor
고명진
김효중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22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A61B2050/0065Peelable co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부와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초음파 프로브에 사용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METHOD OF USING GEL ATTACHMENT APPARATUS FOR STERILE ULTRASOUND GUIDED PROCEDURE}
본 발명은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의 일면에 고체형의 젤을 부착하여, 검사자가 커버부를 이용하여 젤을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접하게 하고, 커버부가 젤을 감싸며 초음파 프로브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젤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감염 등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위생성이 향상되며 검사 시 사용이 간편한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검사는 피검자의 특정 진단부위에 초음파를 방사하고 그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부위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상유무를 파악하는 검사 방법으로, 종양 등의 병변 조직이나 태아의 진단 등에 주로 사용된다.
초음파 검사를 위해서는 초음파를 발진하는 초음파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조직 등에 인가하게 되는데, 초음파의 경우 초음파 프로브와 접촉 피부면 사이에 공기 등이 있으면 감쇄 등의 원인이 되어 초음파가 인체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초음파를 인체의 내부로 전파하는 데 있어 음파를 골고루 전파시키고 반사되어 오는 음파 신호가 수신기로 완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초음파 검사 시에는 항상 젤과 같은 초음파 전달매질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검사자가 용기에 담겨 있는 젤을 짜내거나 덜어내고, 손 또는 기구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 바른 후 초음파 프로브를 해당 부위에 밀착시켜 초음파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초음파 젤이 검사자의 손에 묻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위생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피검자의 피부에 젤이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 염증 등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진단이 필요한 경우 검사자가 젤 용기를 다시 꺼내서 피검자의 피부에 다시 바르는 단계를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최근 전 의료 분야에서 초음파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침습적인 시술을 함에 있어서 방사선 조사가 덜한 초음파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침습적인 시술 시 철저한 소독 환경이 중요하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 젤을 바르는 경우 시술 시 바늘 등에 젤이 묻을 수 있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프로브용 소독용 덮개가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덮개에 젤을 따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1886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22570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부의 일면에 고체형의 젤을 부착하여, 검사자가 커버부를 이용하여 젤을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접하게 하고, 커버부가 젤을 감싸며 초음파 프로브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젤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감염 등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위생성이 향상되며 검사 시 사용이 간편한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는, 피부와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초음파 프로브에 사용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일측은 상기 커버부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끝단을 둘러싸며 상기 커버부를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젤이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젤의 타측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젤은, 고체 형태의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젤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상기 접촉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는, 일측면이 개방된 봉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젤이 상기 커버부의 봉투형태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검사자가 커버부를 잡은 상태에서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젤을 접하게 하며, 커버부가 젤 및 초음파 프로브 접촉부를 감싸며 고정되게 함으로써, 검사자가 젤을 직접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젤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 도포되지 않아, 바늘 등을 이용한 다른 시술을 진행할 때 감염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피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검사가 필요한 경우 젤을 추가로 도포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원하는 부위에 초음파 검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의 일 실시예의 젤 부착장치와 초음파 프로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가 초음파 프로브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젤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보호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의 일 실시예의 젤 부착장치와 초음파 프로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가 초음파 프로브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젤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보호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프로브는 피검자의 피부면에 접하며 초음파 프로브에 구비된 탐촉소자(진동자)의 압전효과에 의해 음을 조직으로 송신하기도 하고 조직에서 반사된 음을 수신하며 피검자 진단부위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상유무를 파악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초음파 프로브(10)에는 피검자의 피부와 접하는 접촉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초음파를 인체의 내부로 전파하는 데 있어 음파를 골고루 전파시키고 반사되어 오는 음파 신호가 수신기로 완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초음파 검사 시에는 젤과 같은 초음파 전달매질이 피검자의 피부와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 사이에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젤을 도포하지 않아 감염 등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위생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간편한 구성으로, 피부와 접하는 접촉부(11)가 형성된 초음파 프로브(10)에 사용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로서, 커버부(100) 및 젤(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00)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1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0)가 접촉부(11) 및 초음파 프로브(10)의 측면 부위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버부(100)가 후술하는 젤(200) 및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를 함께 감싸며 초음파 프로브(10)에 고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버부(10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재질의 플라스틱 필름, 즉 통상적으로 칭하는 ‘비닐’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봉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검사자가 커버부(1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후술하는 젤(200)을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에 접하게 하고, 봉투 형태의 커버부(100)를 뒤집으며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가 젤(200)을 직접적으로 만지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젤(200)은 일측은 상기 커버부(100)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상 초음파는 초음파 프로브와 접촉 피부면 사이에 공기가 있으면 감쇄되어 초음파가 신체 내부로 전달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와 신체 부위의 표면 사이에 매개 물질(COUPLANT)을 위치시키고, 매개 물질 상에 초음파 프로브를 접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매개 물질은 초음파 전달 매질로서 중간층을 형성하여 초음파의 전달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직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매개 물질로 통상적으로 젤을 사용하고 있으며, 젤은 일반적으로 액체형 젤 및 고체형 젤로 나눌 수 있다.
액체형 젤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사용하여 초음파 프로브 사용 시 액체형 젤이 밀려나가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접촉으로 인한 감염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젤(200)은 고체형 젤(2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젤(200)은 형상을 유지한 채로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와 접하며 매개물질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에 있어서, 젤(200)은 고체 형태의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200)은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젤(200)이 접촉부(12)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20)에서 발진하는 초음파가 감쇄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젤(200)은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200)은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에서 초음파 프로브(10)로 이어지는 측면 부위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11)가 구 형상으로 생긴 경우에는, 접촉부(11)가 젤(200)로 감싸질 수 있도록 접촉부(11)와 접하는 젤(200) 타측은 접촉부(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홈이 내부에 형성된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젤(200)이 접촉부(11)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에서 발진하는 초음파가 감쇄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젤(200)이 접촉부(11)를 감싸도록 형성된 구성에서, 젤(200)이 접촉부(11)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역시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00)는 일측면이 개방된 봉투 형태로 형성되어, 젤(200)이 커버부(200)의 봉투형태 타측면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버부(100)의 타측면에 젤(200)이 구비된 상태에서, 검사자가 개방된 봉투형태의 커버부(100) 일측면을 통해 소독용 장갑(G)을 착용한 손을 집어 넣어 커버부(100)를 이용하여 젤(200)을 감싸며 젤(200)이 초음파 프로브(10)의 접합부(11)와 접하게 하고, 부착한 커버부(100)를 뒤집으며 초음파 커버부(100)가 젤(200) 및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싸며 고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가 젤을 직접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젤(200)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되지 않아 감염 등의 위험성이 감소되고, 초음파 검사와 동시에 다른 시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가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싼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끝단을 둘러싸며 초음파 프로브(10)에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0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어, 링 또는 긴 줄의 고무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100)가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싼 상태에서, 전술한 고무 밴드 형태의 고정부를 이용하여 커버부(100)를 초음파 프로브(10)에 묶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부(11)와 젤(200)이 접합 상태를 유지하며 초음파 프로브(10)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무 밴드로 형성된 고정부(300)의 구성에서, 초음파 프로브(10)의 크기 및 형태에 상관없이 커버부(100)를 초음파 프로브(10)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100)가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싼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끝단을 고정하며 초음파 프로브(1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00)가 커버부(100)의 끝단을 고정하며 초음파 프로브(10)에 커버부(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면, 그 소재 및 구성은 본 실시에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200)이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젤(200)의 타측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보호막(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막(400)은 얇고 투명한 비닐 형태로, 젤(200)의 타측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호막(400)은 젤(20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초음파 프로브(10) 미 사용 시 보호막(400)을 부착하여 젤(20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사용양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후술하는 사용양태에 대한 설명에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접착 장치는 젤(200)의 일측은 커버부(100)에 접하고 타측은 보호막(4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지 않을 때에는 젤(200)을 감싸며 부착되어 있는 보호막(400)을 통해 젤(200)에 외부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초음파 검사를 위한 초음파 프로브(10)를 준비한다.
이때, 검사자는 멸균처리된 소독용 장갑(G)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검사자의 손에는 각종 세균 및 오염물질 등이 묻어 있을 수 있으며, 손을 사용하여 초음파 프로브(10), 커버(100) 및 젤(200)을 직접 만지는 경우 사용자의 손으로 인하여 초음파 프로브(10), 커버(100) 및 젤(200)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자가 멸균 처리된 소독용 장갑(G)을 착용함으로써 검사자의 손으로 인하여 초음파 프로브(10), 커버부(100) 및 젤(2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균 초음파 시술에 있어서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젤(200)의 타측을 감싸고 있는 보호막(400) 일측을 잡고 떼어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봉투형태로 형성된 커버부(100)의 개방된 일측면에 손을 집어 넣어 커버부(100) 내부에 손을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부(100) 타측면 외부에 구비된 젤(200)을 초음파 프로브(100)의 접촉부(11)에 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젤(200)이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와 접한 상태에서, 커버부(100)의 개방된 면을 뒤집어서 초음파 프로브(10)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커버부(100)가 젤(200) 및 초음파 프로브(10)의 접촉부(11)를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커버부(100)의 끝단을 초음파 프로브(1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가 장착된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사부위를 검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검사자가 젤을 직접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젤이 피검자의 피부에 직접 도포되지 않아, 바늘 등을 이용한 다른 시술을 진행할 때 감염 등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피부 염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검사가 필요한 경우 젤을 추가로 도포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원하는 부위에 초음파 검사가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초음파 프로브
11: 접촉부
100: 커버부
200: 젤
300: 고정부
400: 보호막
G: 소독용 장갑

Claims (6)

  1. 피부와 접하는 접촉부가 형성된 초음파 프로브에 사용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로서,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봉투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일측은 상기 커버부의 봉투형태 타측면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고체 형태의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패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상기 접촉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젤이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젤의 타측을 감싸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보호막이 제거되는 보호막 제거단계;
    상기 커버부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커버부 내부로 검사자의 손이 들어가 상기 젤의 상기 보호막이 제거된 면이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와 맞닿게 되는 젤 접촉단계;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접촉부에 부착된 커버부가 검사자에 의해 뒤집히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젤과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감싸게 되는 밀봉단계;
    상기 커버부에 의해 상기 초음파 프로브가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끝단이 고정부로 초음파 프로브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 사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41181A 2018-04-09 2018-04-09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KR10210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81A KR102103466B1 (ko) 2018-04-09 2018-04-09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81A KR102103466B1 (ko) 2018-04-09 2018-04-09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49A KR20190118049A (ko) 2019-10-17
KR102103466B1 true KR102103466B1 (ko) 2020-04-22

Family

ID=6842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81A KR102103466B1 (ko) 2018-04-09 2018-04-09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75A (ko) 2020-11-24 2022-05-3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영상진단기용 젤 공급 장치
KR20230089656A (ko) 2021-12-14 2023-06-21 한민수 프로브젤 자동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 영상진단기용 초음파 프로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809B1 (ko) * 2018-11-16 2021-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프로브 1회용 커버 장치
KR102127976B1 (ko) * 2020-01-22 2020-06-29 최형찬 초음파 진단기의 선명도가 개선된 프로브용 커버 조립체
KR102367711B1 (ko) * 2020-05-15 2022-02-25 장준영 초음파 진단기의 프로브용 살균랩
CN111759353A (zh) * 2020-08-06 2020-10-13 佑成(杭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皮肤保护垫
KR102576138B1 (ko) * 2020-12-07 2023-09-07 주식회사 아이비엠솔 의료용 콘돔 자동 공급장치
KR102610669B1 (ko) * 2021-04-26 2023-12-07 서울대학교병원 초음파 프로브 커버 자동장착장치
KR102633013B1 (ko) * 2021-10-29 2024-02-0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51B1 (ko) * 2013-04-05 2014-06-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단기의 프로브용 커버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864A (ko) 2011-04-20 2012-10-30 채희천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형 젤 패드
JP6347713B2 (ja) * 2014-10-02 2018-06-27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超音波探触子用アタッチメント、超音波検査装置及び超音波検査方法
KR20170022570A (ko) 2015-08-21 2017-03-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젤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51B1 (ko) * 2013-04-05 2014-06-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진단기의 프로브용 커버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575A (ko) 2020-11-24 2022-05-3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영상진단기용 젤 공급 장치
KR20230089656A (ko) 2021-12-14 2023-06-21 한민수 프로브젤 자동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 영상진단기용 초음파 프로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49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466B1 (ko)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부착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JP6421277B2 (ja) 超音波プローブカバー及び使用方法
JPH07506997A (ja) 血管の位置測定および穿刺装置
KR101214577B1 (ko) 초음파 진단기의 프로브용 살균랩
KR102116363B1 (ko) 초음파 시술 탐색자용 접착형 멸균 커버
CN106725604A (zh) 一种超声探头套
KR20120118864A (ko) 초음파 프로브의 케이스형 젤 패드
CN218075047U (zh) 一种超声探头一次性无菌保护套
CN209863876U (zh) 一种超声探头隔离护套
CN107468276B (zh) 一种应用于超声检查或引导穿刺的探头囊帽
CN112674795A (zh) 含超声耦合剂的一次性超声探头套头
KR102518020B1 (ko) 초음파 탐색자용 점착 멸균 커버
CN206995280U (zh) 一种超声探头套
KR20210149793A (ko) 신체 샘플 채취 장치
JPH04253849A (ja) 超音波診断装置のプローブ用カバー及びその使用方法
CN213993610U (zh) 一种超声探头保护结构
CN214128602U (zh) 带耦合剂闭合囊的无菌超声探头橡胶保护套
CN217907819U (zh) 一种体表肿物穿刺活检术中超声探头专用无菌套
KR102367711B1 (ko) 초음파 진단기의 프로브용 살균랩
CN213244890U (zh) 一次性无菌超声探头保护套
KR102633013B1 (ko) 무균 초음파 시술용 젤 공급장치
CN208905654U (zh) 一种阴式彩超探头保护装置
US20210030087A1 (en) Medical hand covering
GB2336540A (en) Flexible endoscope cover
CN218186868U (zh) 一种抽血后按压止血固定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