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24B1 -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 Google Patents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24B1
KR102103424B1 KR1020180033585A KR20180033585A KR102103424B1 KR 102103424 B1 KR102103424 B1 KR 102103424B1 KR 1020180033585 A KR1020180033585 A KR 1020180033585A KR 20180033585 A KR20180033585 A KR 20180033585A KR 102103424 B1 KR102103424 B1 KR 10210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distribution box
longitudinal directio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1450A (en
Inventor
서상민
Original Assignee
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민 filed Critical 서상민
Priority to KR102018003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24B1/en
Publication of KR2019011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4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함 유닛에 관한 발명으로,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부; 벽면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삼각형 형상의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의 외측이 맞닿고, 상기 날개부의 하면이 상기 고정부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하우징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unit, the housing portio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t is coupled to the wall surface, a pair of fixing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bracket part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wing portions of a triangular shape each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ortion and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the outside of the fixing portion abuts on the inside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to support the load of the housing portion.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 시공 없이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분전함 유닛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uni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ribution box uni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mounted without wall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전기는 전력공급처로부터 공급되고, 공급된 전기는 수, 배전반을 통하여 계통별 혹은 용도별로 분배된다. 또한, 분전함에서 각 부하별로 분기된다.In general,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and the supplied electricity is distributed by system or purpose through water and switchboards. Also, it is branched to each load in the distribution box.

분전함은 차단기나 보호계전기 등과 같은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하는 구조물과 단위 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The distribution box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attaches and supports unit devices, such as a breaker or a protective relay, and a collection of conductors that connect and connect the unit devices.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Reference is made to FIG. 1.

도 1은 종래의 분전함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분전함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벽면(2)에 큰 홈(3)을 시공한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is installed. Looking 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first, a large groove 3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홈(3)을 시공한 후, 분전함(1)을 삽입하고, 분전함(1)의 후면에 볼트(4)를 관통켜 분전함(1)을 벽면(2)에 고정한다.After constructing the groove 3, the distribution box 1 is inserted, and the distribution box 1 is fixed to the wall 2 by penetrating the bolt 4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box 1.

이러한 분전함(1)의 설치 방식이 다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분전함(1)의 설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Many of these distribution box 1 installation methods have been used. Howev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분전함(1)이 수납되도록 벽면(2)에 홈(3)을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홈(3)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분진 등이 발생하여 인체에 유해를 끼치게 된다.First, since the groove 3 must b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so that the distribution box 1 is accommod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In addition, dust and the like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groove 3 and cause harmful effects to the human body.

또한, 분전함(1)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비용 및 시간이 다수 소요되며, 제거 후 벽면(2)에 홈(3)이 그대로 남아 미관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distribution box 1, it takes a lot of cost and time, and after removal, the groove 3 remains on the wall surface 2,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not good.

따라서, 분전함을 손쉽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that can easily install and remove the distribution box.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부를 통해 손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분전함 설치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업 시간, 작업 편의성, 미관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box uni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ore specifically, allows easy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through a bolt part, thereby solving problems such as working time, convenience, and aesthetics that occur in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installation process. I want to.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분전함 유닛은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면에 결합되되, 양 측이 폭 방향으로 절곡되는 고정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삼각형 형상의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의 절곡된 부분의 외측이 맞닿고, 상기 날개부의 하면이 상기 고정부의 절곡된 부분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하우징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wall surface, both sides are fixed to bend in the width direction; A pair of bracket part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wing portions of a triangular shape each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ortion and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an outer 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abuts inside the bracket portion. ,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art abut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nt part of the fixing part to support the load of the housing part.

또한, 상기 날개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맞닿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합친 것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the sum of the length of each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면과 맞닿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제1 볼트부가 관통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벽면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contacting the wall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fixing parts bent at a tip of the first fixing part and extended to be parallel to the bracket part, and the first fixing part In, it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bolt portion is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removable on the wall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과 맞닿는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고정부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브라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전면과 상기 제1 브라켓부의 후면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portion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second bracket portion that is bent at a tip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and extends parallel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결합 홀이 형성되고, 제2 볼트부가 상기 결합 홀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portion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e second bolt portion from the coupling hole from the out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portion are coupled through sequentially in the inner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는 달리 벽면에 홈을 형성하고 분전함을 매립하여 설치하는 형식이 아닌 고정부와 브라켓부의 볼트 결합만으로 손쉽게 분전함 유닛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설치 및 해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isassemble the distribution box unit only by bolting the fixing part and the bracket part rather than forming a groove on the wall and filling the distribution box.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worker is increased.

또한, 날개부의 구성으로 인해, 하우징부를 지지하여 제2 볼트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분전함 유닛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fe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bolt portion by supporting the housing portion.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레일-가이드 홈 구조로 인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guide rail-guide gro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레그부 구조로 인해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leg por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y limiting vertical movement.

도 1은 종래의 분전함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부, 브라켓부 및 날개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고정부와 브라켓부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 부근을 상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상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측면 확대도이다.
도 7(a) 및 7(b)는 레그부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distribution box is installed.
Figure 2 shows a distribution box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portio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w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engagement when the fixing part and the bracket part are engaged, from an upper surface.
5 is an enlarged top view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shows the leg portion of the coupl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rdinary practitioner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 and relative size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도 2의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도어(110) 부근이며, 후방이란 폭 방향으로 맞은편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fers to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FIG. 2, and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FIG. 2. In addition, "vertical direction" is a z-axis direction based on FIG. In addition, the upper direction means the up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means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ner side means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In addition, the front means the door 110 vicinit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part of FIG. 2, and the back means the opposit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distribution box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분전함 유닛은 하우징부(100), 고정부(200), 브라켓부(300), 날개부(400)를 구비한다.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0, a fixing part 200, a bracket part 300, and a wing part 400.

하우징부(100)는 내부에 분전함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직육면체의 하우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100)는 정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110)가 설치된다.The housing part 100 is preferab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in which a distribution box component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housing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door 1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고정부(200)는 하우징부(100)의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벽면(2)에 볼트부(500)를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The fixing part 200 is located behind the housing part 100. In addition, the wall surface 2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through the bolt portion 500.

고정부(200)는 벽면(2)과 맞닿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고정부(210) 및 제1 고정부(210)의 양 측에서 폭 방향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22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면에서 고정부(200)를 보았을 때, 'ㄷ'자 형상을 지니게 된다.The fixing part 200 is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2, the first fixing part 210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high bent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fixing part 210 Government 220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 fixing part 200 i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it has a 'C' shape.

또한, 고정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200 is provided in a pair, is install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브라켓부(300)는 하우징부(100)의 후면에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부(300)는 절곡되는 제1 브라켓부(310) 및 제2 브라켓부(320)를 구비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bracket part 3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In addition, the bracket part 300 includes a first bracket part 310 and a second bracket part 320 that are b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브라켓부(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우징부(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300 is provided in a pair, is install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날개부(400)는 브라켓부(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또한, 날개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 고정부(220)와 브라켓부(300)가 맞닿아 결합되는 경우, 날개부(400)의 하면은 제2 고정부(220)의 상면과 맞닿는다.The w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art 300.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400 is provided in a pair, when the second fixing portion 220 and the bracket portion 300 are in contact and coupled,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400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220 It makes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고정부(200), 브라켓부(300) 및 날개부(400)의 결합 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part 200, the bracket part 300, and the wing par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정부(200), 브라켓부(300) 및 날개부(4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가 결합되었을 때의 결합 부근을 상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part 200, the bracket part 300, and the wing pa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It is an enlarged view from the top surface of the vicinity of the bonding when is bonded.

고정부(200)는 벽면(2)과 맞닿는 제1 고정부(210) 및 제1 고정부(210)의 측부에서 절곡되어 브라켓부(300)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220)를 구비한다.The fixing part 200 is a pair of second fixing parts that are bent at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10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21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2 and extend to be parallel to the bracket portion 300 (220).

제1 고정부(2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고정 홀(600)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고정 홀(600)에는 제1 볼트부(510)가 관통 가능하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60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in the first fixing portion 210. In addition, a first bolt portion 510 may penetrate the fixing hole 600.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작업자가 원하는 벽면(2) 위치에 제1 고정부(210)를 덧대고, 제1 볼트부(510)를 고정 홀(600)을 통해 관통시켜 고정부(200) 전체를 벽면(2)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fixing part 210 is put on the wall 2 desired by the operator, and the entire fixing part 200 is walled by penetrating the first bolt part 510 through the fixing hole 600. (2) can be fixed.

따라서, 작업자는 제1 볼트부(510)의 삽입 및 탈거를 통해 고정부(200)를 벽면(2)에서 탈부착 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벽면(2)에 홈(3)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많은 분진이 발생되지 않으며 분진함 유닛 해체 후에도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fixing part 200 from the wall 2 through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first bolt part 510, thereby facilitating easy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no need to form the grooves 3 in the wall surface 2, a lot of dust is not generated and the aesthetics are not spoiled even after the dust box unit is dismantled.

이때, 제1 볼트부(510)는 앵커볼트(anchor bolt)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first bolt portion 510 may be an anchor bolt,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브라켓부(300)는 하우징부(100)의 후면과 맞닿는 제1 브라켓부(310) 및 제1 브라켓부(310)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제2 고정부(220)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브라켓부(320)를 구비한다.The bracket part 300 is bent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bracket part 310 and the first bracket part 3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and extends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fixing part 220. A bracket part 320 is provided.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1 브라켓부(310)의 후면에 제2 고정부(200)의 전면이 맞닿고, 제2 브라켓부(320)의 내측면에 제2 고정부(220)의 외측면이 맞닿는 구조가 형성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200 abu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part 310, and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2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part 320. The side contact structure is formed.

이로 인해, 브라켓부(300)가 고정부(200)를 수용하게 된다. 즉, 고정부(2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각각 제2 브라켓부(320) 및 제1 브라켓부(310)에 의해 제한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결합 시 고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Due to this, the bracket part 300 accommodates the fixing part 200.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movement of the fixing part 200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s limited by the second bracket part 320 and the first bracket part 310 is formed,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bracket portion 300 so that the fixing force can be maximized during the coupling.

제2 고정부(220)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결합 홀(700)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제2 브라켓부(320)에도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결합 홀(700)이 복수 개 형성된다.The second fixing part 2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700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70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also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portion 320.

제2 고정부(220) 및 제2 브라켓부(320)가 도 4와 같이 맞닿았을 때,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 홀(700)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도면 부호를 동일 시 하였다.When the second fixing part 220 and the second bracket part 32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coupling holes 700 formed in each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eference numerals were identified.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 홀(700)을 제2 볼트부(520)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부(200) 및 브라켓부(300)가 제2 볼트부(520)의 삽입만으로 고정되고, 제2 볼트부(520)의 탈거만으로 해체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300)는 하우징부(100)와 결합된다. 분전함 유닛 전체를 설치 및 해체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second bolt portion 520 sequentially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700 formed in each of the outer to inner sides. Due to such a structure,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are fixed only by the insertion of the second bolt part 520 and can be disassembled only by removing the second bolt part 520. 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100. In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entire distribution box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or's work convenience is increased.

이때, 제2 볼트부(520)는 앵커볼트(anchor bolt)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second bolt portion 520 may be an anchor bolt,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날개부(400)는 브라켓부(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소정의 두께를 지닌 것이또한, 바람직하며, 하우징부(100)의 후면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직각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art 300. It is also preferable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forms a slop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top, it is preferable to form a right triangle shape.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날개부의 3변 중 제1 변(401)은 제2 브라켓부(320)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2 변(402)은 제1 브라켓부(310)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1 변(401)과 제2 변(402)의 단부를 잇는 제3 변(403)은 하우징부(100)의 후면과 경사를 형성한다.In more detail, the first side 401 of the three sides of the w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second bracket portion 320, and the second side 402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first bracket portion 310, , The third side 403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side 401 and the second side 402 forms an inclination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100.

이때, 브라켓부(300)와 날개부(400)가 맞닿지 않는 날개부(400)의 하면 부분이 제3 변(403)에 의해 형성된다. 브라켓부(300)와 날개부(400)가 맞닿지 않는 날개부(400)의 하면 부분은 도 4와 같이 제2 고정부(220)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400 where the bracket portion 300 and the wing portion 400 do not contact each other is formed by the third side 403. The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400 where the bracket portion 300 and the wing portion 40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220 as shown in FIG. 4.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우징부(100)의 자중, 즉,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고정부(200)가 날개부(400)를 매개체로 하여 상방으로 지지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the weight of the housing portion 100, that is, the force applied downward, the fixing portion 200 supports the wing portion 400 as a medium and upwards.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가 제2 볼트부(520)에 의해서만 고정되면, 제2볼트부(520)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의 한계가 있으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하우징부(100)의 처짐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피로도가 누적되면 파손되어 하우징부(100)가 낙하되어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are fixed only by the second bolt part 520, there is a limit of the load that the second bolt part 520 can support, so as time passes, the housing part 100 Sag occurs. In addition, when the degree of fatigue is accumulated, a phenomenon in which the housing 100 is dropped and damaged may occur.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구조가 형성되면, 제2 볼트부(5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분전함 유닛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bolt portion 520 can be dispersed, thereby increasing the life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또한, 날개부(400)가 사각형 구조가 아닌 삼각형 구조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날개부(4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분전함 유닛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g 400 is formed in a triangular structure rather than a squar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wing 400. For this reason, the life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can be increas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때, 날개부(400)의 길이 방향의 길이, 즉, 제2 변(402)의 길이(d3)는 제2 브라켓부(320)의 폭 방향의 길이(d1)와 제2 고정부(220)의 폭 방향의 길이(d2)를 합친 것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art 400, that is, the length d3 of the second side 402 is the length d1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bracket part 320 and the second fixing part 22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re than the sum of the lengths d2 in the width direction of.

만약 d3가 d1+d2보다 짧게 되면, 제2 고정부(220)와 제1 브라켓부(310)와 맞닿는 부근에서 제2 고정부(220)와 날개부(400)가 맞닿지 않는 면적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날개부(400)가 제2 고정부(22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d3는 d1+d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f d3 is shorter than d1 + d2, an area in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220 and the wing 40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part 220 and the first bracket part 310 is formed. . Due to this, there is a fear that the wing portion 4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22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d3 is d1 + d2 or more.

제1 볼트부(510)는 고정부(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2 볼트부(520)는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여 분전함 유닛 전체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bolt portion 510 serves to fix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second bolt portion 52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bracket portion 300. Fix the so that the shape of the entire distribution box unit can be maintained.

또한, 날개부(400)는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하는데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wing portion 400 serves to assist in fixing the movement of the fixing portion 200 and the bracket portion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호스(10)는 제1 호스(11) 및 제2 호스(12)로 구분되며, 플렉서블 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호스(11) 및 제2 호스(12)의 내부에는 각각 전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우징부(100)와 고정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하우징부(100)의 하면을 관통하여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se 10 is divided into a first hose 11 and a second hose 12, and is preferably flexible. Inside of the first hose 11 and the second hose 12, it is preferable that electric wires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after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the housing part 100 of the It is preferable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and flow into the housing part 100.

제1 고정부(210)의 패드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패드부(800)는 보온재인것이 바람직하며, 보온 기능뿐만 아니라 하우징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냉기가 하우징부(100) 내부의 전력 계통 부품에 유입되면 손상을 가하므로, 패드부(800)를 통해 고장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ad portion 800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10 may be combined. The pad portion 800 is preferably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serves to block cold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portion 100 as well as a heat insulating function. When cold air flows into a power system component inside the housing unit 100, damage is caused, and thus a failure problem may be prevented through the pad unit 80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상면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top view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은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221) 및 가이드 홈(311) 구성이 추가된다.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uide rail 221 and the guide groove 311 configuration is added.

제2 고정부(220)의 전면에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T'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221)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221)을 수용하는 구조로, 제1 브라켓부(310)의 후면에는 가이드 홈(311)이 형성된다.A guide rail 221 having a 'T' shape is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unit 220. 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receiving the guide rail 221, the guide groove 31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310.

가이드 레일(221)은 가이드 홈(311)에 수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The guide rail 221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311 and is capable of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is limited.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작업자는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를 맞닿아 제2 볼트부(520)를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를 동시에 지지하면서 관통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following effects occur due to the above structure. Based on one embodiment, the worker supports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to penetrate the second bolt part 520. There is a discomfort that must be penetrated.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221)을 따라 가이드 홈(311)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제1 브라켓부(310)의 이동을 통해), 날개부(400)가 제2 고정부(220)와 맞닿게 하면, 제2 볼트부(520)를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별도로 지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311 is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guide rail 221 (through the movement of the first bracket 310), and the wing 400 i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fixing part 220,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support it in the process of penetrating the second bolt part 520,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ork convenience is increased.

또한,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는 가이드 레일-홈 구조로 인해,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고정부(200)와 브라켓부(300)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are limited in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due to the guide rail-groove structu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xing part 200 and the bracket part 300 is increased. There is this.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측면 확대도이다. 또한, 도 7(a) 및 7(b)는 레그부(900)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S. 7 (a) and 7 (b) show the coupling process of the leg portion 900.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은 일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분전함 유닛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레그부(900)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of one embodiment or another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 configuration of the leg unit 900.

레그부(900)는 레그부 본체(910) 및 수축부(920)를 포함한다. 레그부 본체(910)는 날개부(400)의 하면에 결합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닌다.The leg portion 900 includes a leg portion body 910 and a contraction portion 920. The leg portion main body 91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400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레그부 본체(910)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수축부(920)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수축부(920)는 중심부가 오목하게 함입된 형상이며,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contraction portions 920 are extended on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 body 910. The contraction portion 920 is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and is preferably an elastic material.

또한, 수축부(920)는 제2 브라켓부(320)에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그루브(3201)에 수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action portion 920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portion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is accommodated in the open groove 3201.

이때, 그루브(3201)의 개구부의 길이는 수축부(92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루브(3201)의 하면의 길이는 수축부(920)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opening of the groove 3201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raction portion 920, and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3201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ntraction portion 920.

도 7(a)와 같이 수축부(920)가 그루브(3201)에 삽입될 때, 수축부(920)의 양 측부는 오목하게 함입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인장되어 수축된다. 이후, 그루브(3201)에 수축부(920)가 삽입되면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최초의 수축부(920) 형태로 되돌아간다.When the contraction portion 9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201 as shown in FIG. 7 (a), both sides of the contraction portion 920 are stretched and contracted based on a concave center portion. Thereafter, when the shrinking portion 9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201, it returns to the initial shape of the shrinking portion 920 due to the elastic recovery force.

이러한 구조로 인해, 수축부(920)가 그루브(3201)에 삽입되면, 수축부(920)의 길이보다 그루브(3201)의 개구부의 길이가 짧으므로 상방으로의 수축부(920)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그 결과, 수축부(920)와 결합된 날개부(40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shrinking portion 9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201, the length of the opening of the groove 3201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hrinking portion 920, so the upward movement of the shrinking portion 920 is limited. As a result,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wing portion 400 combined with the contraction portion 920 is limited.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분전함 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나, 또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직 방향의 움직임까지 제한하는 장점이 있어 결합력이 증대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vement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width direction is limited, but in another embodiment, it has the advantage of limit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또한, 수축 가능한 구조인 바, 작업자가 손쉽게 레그부(900)를 제2 브라켓부(320)에 삽입 및 탈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contractable structure, an operator can easily insert and remove the leg portion 900 into the second bracket portion 320, thereby increasing work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전함 유닛의 설치 과정을 살핀다.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amined. Other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are omitted to prevent duplicate description.

작업자는 고정부(200)를 벽면(2)에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제1 볼트부(510)를 관통시켜 제1 고정부(210)를 벽면(2)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브라켓부(300)의 내측에 제2 고정부(220)의 외측이 맞닿게 한다. 다음으로, 제2 볼트부(520)를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통시킨다. 마지막으로 호스(10)를 하우징부(100)와 고정부(200) 사이로 삽입한 후, 하우징부(100) 하면에 있는 홀(미도시)을 통해 관통시킨다. 분전함 유닛의 해체 과정은 설치 과정과 반대된다.The worker makes the fixing part 200 abut against the wall surface 2. Next, the first fixing part 2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2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bolt part 510. Next,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bracket portion 300. Next, the second bolt portion 520 is penetrated from outside to inside. Finally, after the hose 10 is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it penetrates through a hole (not shown)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0. The dismantling process of the distribution box unit is the opposite of the installation process.

볼트부(500)를 통해 손쉽게 분전함 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벽면(2)에 홈(3)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작업 편의성 및 작업 속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distribution box unit can be easily installed through the bolt part 500,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having to form the groove 3 in the wall surface 2 as in the prior art. Due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ork convenience and work speed is increased.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 : 분전함 2 : 벽면
3 : 홈 4 : 볼트
10 : 호스 11 : 제1 호스
12 : 제2 호스 100 : 하우징부
110 : 도어 200 : 고정부
210 : 제1 고정부 220 : 제2 고정부
300 : 브라켓부 310 : 제1 브라켓부
320 : 제2 브라켓부 400 : 날개부
401 : 제1 변 402 : 제2 변
403 : 제3 변 500 : 볼트부
510 : 제1 볼트부 520 : 제2 볼트부
600 : 고정 홀 700 : 결합 홀
800 : 패드부 900 : 레그부
910 : 레그부 본체 920 : 수축부
1: Distribution box 2: Wall surface
3: Groove 4: Bolt
10: hose 11: first hose
12: second hose 100: housing
110: door 200: fixing part
210: first fixing portion 220: second fixing portion
300: bracket part 310: first bracket part
320: second bracket 400: wing
401: first side 402: second side
403: third side 500: bolt part
510: first bolt portion 520: second bolt portion
600: fixing hole 700: joining hole
800: pad section 900: leg section
910: leg portion body 920: contraction portion

Claims (5)

개폐가 가능한 하우징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벽면에 결합되되, 양 측이 폭 방향으로 절곡되는 고정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결합되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삼각형 형상의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맞닿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합친 것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벽면과 맞닿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제1 볼트부가 관통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벽면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과 맞닿는 제1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의 선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고정부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브라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날개부와 인접한 폭방향 일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부는,
후면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그부 본체; 및
상기 레그부 본체의 하면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심부가 오목하게 함입 형성되는 한 쌍의 수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부는,
상면에 상기 수축부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수축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브의 개구부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축부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그루브의 하면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수축부의 길이방향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라켓부의 후면에 상기 제2 고정부의 전면이 맞닿고, 상기 제2 브라켓부의 내측에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측이 맞닿으며, 상기 날개부의 하면이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면의 일부와 맞닿아 상기 하우징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
A housing part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wall surface, both sides are fixed to bend in the width direction;
A pair of bracket part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wing portions each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portion and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Includes; leg portion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ortion,
It is made of more than the sum of the length of each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xing part,
It has a first fix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nd a pair of second fixing portions bent at a tip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extended to be parallel to the bracket portion,
In the first fixing por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bolt portion is formed is formed, and the fixing portion is detachable to the wall surface,
The bracket portion,
It has a first bracke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second bracket portion that is bent at the tip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and is formed to extend parallel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part,
It includes; a guide rail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djacent to the wing portion;
The first bracket portion,
Includes a guide groov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on the rear surface and is concave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to be slid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g portion,
A leg portion body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 pair of contraction portions that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 main body, and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 second bracket portion,
Includes;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be open to accommodate the shrink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a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rinking portio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of the groove is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rinking portion, and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rinking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bu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portion,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buts inside the second bracket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i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Easy to install the distribution box unit,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hous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결합 홀이 형성되고,
제2 볼트부가 상기 결합 홀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브라켓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분전함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por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The second bolt portion sequentially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from outside to inside,
The distribution box unit easy to inst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bracket portion is coupled.
KR1020180033585A 2018-03-23 2018-03-23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KR102103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585A KR102103424B1 (en) 2018-03-23 2018-03-23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585A KR102103424B1 (en) 2018-03-23 2018-03-23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450A KR20190111450A (en) 2019-10-02
KR102103424B1 true KR102103424B1 (en) 2020-05-29

Family

ID=6842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585A KR102103424B1 (en) 2018-03-23 2018-03-23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392B1 (en) * 2022-10-20 2023-09-22 태원전기(주) Switch board with improved constructab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13Y1 (en) * 2003-08-04 2003-11-05 주식회사 효성 Box structure of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distribution panal
JP2008172900A (en) 2007-01-10 2008-07-24 Kawamura Electric Inc Box for accommodating electric apparatus
JP2010273465A (en) 2009-05-22 2010-12-02 Respect:Kk Distribution switchboard
KR101199346B1 (en) 2012-09-27 2012-11-09 주식회사 일신전기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1716246B1 (en) * 2016-12-02 2017-03-14 주식회사 광명전기 structure of seismic case for switchgea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659A (en) * 2006-12-29 2008-07-03 이영섭 Ballast stabiliz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13Y1 (en) * 2003-08-04 2003-11-05 주식회사 효성 Box structure of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distribution panal
JP2008172900A (en) 2007-01-10 2008-07-24 Kawamura Electric Inc Box for accommodating electric apparatus
JP2010273465A (en) 2009-05-22 2010-12-02 Respect:Kk Distribution switchboard
KR101199346B1 (en) 2012-09-27 2012-11-09 주식회사 일신전기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1716246B1 (en) * 2016-12-02 2017-03-14 주식회사 광명전기 structure of seismic case for switch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450A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48B1 (en) Cable tray for building
KR101811454B1 (en) Supplemental supporting hanger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KR101484722B1 (en) Fastening cleat assembly sturucture for underground power cable
KR100739328B1 (en) Rigid-bar bracket
US20110173906A1 (en) Floor gland
KR102103424B1 (en) Easy to install electric distribution box unit
GB2554073B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KR101657939B1 (en) Rung connecting apparatus and cable tray including the same
KR100859013B1 (en) Installing apparatus of power-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nd transformation cable tunnel and method thereof
KR100882775B1 (en) Electric cable support in a passage of an electric power line under ground for distribution of electricity
KR100924708B1 (en) A drain apparatus for expanison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488516Y1 (en) Bracket for Installation of Box
CN205038395U (en) Optical cable anchor clamps and sparse platform
KR101859753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eporator of cable tray
KR20190019549A (en) Assembly type panel supporting apparatus and panel structure by using of it
KR200491262Y1 (en) Pie-type trolley wire combination sliding device
EP1474856A2 (en) Splice joint for busbars
KR20170025729A (en) Cable Tray
KR200396733Y1 (en) cable tray
KR200453553Y1 (en) Section connection set of mesh cable tray
CN205693277U (en) Vertical shaft crane span structure
KR200451739Y1 (en) Wiring box with fixing member
KR20190139074A (en) Holding apparatus of protective cover
KR101576611B1 (en)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tructure of a cable tray
KR102231151B1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athod of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