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70B1 -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70B1
KR102102470B1 KR1020170175601A KR20170175601A KR102102470B1 KR 102102470 B1 KR102102470 B1 KR 102102470B1 KR 1020170175601 A KR1020170175601 A KR 1020170175601A KR 20170175601 A KR20170175601 A KR 20170175601A KR 102102470 B1 KR102102470 B1 KR 10210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lt
pattern
detected
out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172A (ko
Inventor
박동철
이재목
Original Assignee
유징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징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징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은,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 지,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 지, 또는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및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각각 검출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관석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된 경우는 제1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거나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 중 제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및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각각 검출된 경우 제2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응용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응용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를 통해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METHOD OF MEANSURING CHARGING SPEED OF MELT IN MOLTEN IRON PRO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선 생산 설비의 배출 용융물 형상 인식 패턴에 의한 배출 속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 공정 중 용선을 생산하는 설비는 도 1과 같이 설비의 상부 내로 제1 원료(철광석) ②과 제2 연료(코크스) ③를 장입하고 풍구 ④를 통해 취입되는 열풍 ⑤에 의해 노 내부에서 철광석의 환원 및 용융에 의해 용선 ⑧과 슬래그 ⑨가 생성되고 이후 일정 시간 후 출선구 ⑥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된 용융물 ⑦은 비중 차이에 의해 용선 ⑧과 슬래그 ⑨로 분리되어 상기 용선 ⑧은 용선 이송 설비(Topedo Ladle Car; ⑪)를 통해 제강 공정으로 보내지며 상기 슬래그 ⑨는 슬래그 처리 설비(수재 설비; ⑩)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용선 생산 설비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용선과 슬래그)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여 로 내에 잔존하는 용융물의 양(저선량)을 예측하는 것은 용선 생산 설비의 노황 관리에 상당히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한다. 현재 용선 생산설비에서 배출되는 상기 용선 ⑧ 및 슬래그 ⑨는 용선량 및 슬래그량에 의해 그 배출량을 측정하고 있다.
즉 용선량은 용선 이송설비 (TLC, topedo ladel car)의 평량계를 활용하고, 슬래그량은 슬래그 처리 설비인 수재 설비의 살수 온도 및 살수량을 통한 간접 계산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측정 방식은 용선 평량계의 신뢰도 문제와 수재 설비 미 가동시 슬래그 배출량 추정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 내 잔존 용융물 추정 정확도 부족의 경우 출선 개시 및 종료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여 로 내의 용융물 레벨 상승을 초래하여 용선 생산 설비의 생산량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2554호(등록일: 2011년04월25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용선 생산 설비 용융물 배출 시작 위치의 출선구와 출선물 비산 방지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비산 방지용 덮개 사이의 배출 용융물에 대해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용융물의 형상 인식 패턴 도출에 의해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i)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ii)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 및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지, 상기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하는 이벤트가 정해진 특정 영역 내에서 2회 이상 발생되는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석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된 경우는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이고 그 유지 기간이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60% 이상으로 인식되는 제1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는 경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 인식되는 시점부터 전체 용융 물 스트림 영역의 1/20 영역내에서 해당 증가 이벤트의 발생빈도 회수 간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70% 이상으로 인식되는 제2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응용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iv) 단계 (iii)에서 산출된 상기 해당 응용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두 이미지 간 시간 간격)를 통해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또는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은 상기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출선 배출물의 기준 이미지를 선정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해 데이터 추출 분석을 통해 용융물 세로축의 상부 외곽선과 용융물 흐름 방향 가로축의 값 설정은 상기 촬영 초고속 카메라의 해상도 픽셀에 근거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된 외곽선 분포와 용융물 흐름 방향에 대한 이미지를 수치화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의 외곽선 분포가 최초로 특징 지워지는 특징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ii)는 (ii-1)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2)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3)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형상 인식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ii-4) 단계 (ii-1)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5)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제 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i-6)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형상 인식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iii)는 최초 이미지를 대상으로 용융물 스트림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형상 인식 패턴 중 최초 인식되는 상기 제1 형상 인식 패턴 또는 상기 제2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과 다음 이미지의 동일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각 시작점들은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수로 그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간 거리는 실제 배출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거리를 바탕으로 용융물의 실제 이동 거리를 다음의 식: 실제 이동 거리 = 영상 분석에 의해 산출된 픽셀 수 ㅧ 하나의 픽셀 거리(용융물 스트림 전체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물의 배출 속도는 다음식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7126818211-pat00001
본 발명에 의하면, 용선 생산 설비 용융물 배출 시작 위치의 출선구와 출선물 비산 방지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비산 방지용 덮개 사이의 배출 용융물에 대해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용융물의 형상 인식 패턴 도출에 의해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선 생산 설비의 노황을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 배출 용융물 형상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의 배출 속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 배출 용융물 형상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의 배출 속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배출 용융물의 이동 속도는 용융물 배출량 계산을 위한 핵심적인 인자로서 본 발명에서는 배출 용융물의 이동속도에 한정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용선 생산설비 출선 용융물의 이동 속도 산출을 위해 초당 9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 ⑤를 활용하여 출선 용융물의 영상을 획득한다. 도 3에 실 출선 용융물의 영상을 도시하였다. 초고속 카메라 ⑤로 촬영된 n번째 영상과 n+1번째 영상을 통해 해당 용융물 스트림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형상 인식 패턴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선 생산 설비에서 출선 용융물의 이동 속도 산출을 위해 초당 9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용선 생산 설비에서 출선 용융물의 이동 속도 산출시 초당 12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를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상 인식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용융물 스트림의 외곽선 분포 특성을 수치화하는 패턴을 도출한다. 도 3에 도시하였듯이(원형 표시 부분 확인) 용융물 스트림의 외곽선 분포는 용융물의 이동 거리를 특정할 수 있는 특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외곽선 분포를 활용한 용선 생산 설비 출선구 배출 용융물의 형상 인식 패턴 결정 및 배출 속도 결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초고속 카메라 ⑤로 촬영된 출선 배출물의 기준 이미지를 선정한다(단계 S402).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기준 이미지에 대해 데이터 추출 분석을 통해 용융물 세로축의 상부 외곽선과 용융물 흐름 방향 가로축의 값 설정은 상기 초고속 카메라 ⑤의 해상도 픽셀에 근거하여 데이터화 한다.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데이터화 된 외곽선 분포와 용융물 흐름 방향에 대한 이미지를 수치화한다. 기준 이미지의 외곽선 분포가 최초로 특징지어지는 특징 패턴을 설정한다.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 번째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즉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 및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404 및 S406).
단계 406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 번째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를 획득한다(단계 S408).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즉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 및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410).
단계 410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제1 형상 인식 패턴, 즉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이고 그 유지 기간이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60% 이상으로 인식되는 패턴을 확인한다(단계 S412).
초고속 카메라 ⑤로 촬영된 연속된 2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형상 인식 패턴에 의해 해당 용융물 스트림의 이동 거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최초 이미지 (n번째 이미지)를 대상으로 용융물 스트림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형상 인식 패턴 중 최초 인식되는 패턴(즉, 제1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과 다음 이미지 (n+1번째 이미지)의 동일 형상 인식 패턴(즉, 제1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을 확인한다. 확인된 각 시작점들은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수로 그 차이값을 계산한다.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 간 거리는 실제 배출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거리를 바탕으로 용융물의 실제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실제 이동거리(m) = 영상 분석에 의해 산출된 픽셀 수(EA) x 하나의 픽셀거리(용융물 스트림 전체 실제 거리,m/전체 픽셀수,EA)
용융물 스트림의 상기 형상 인식 패턴에 의해 산출된 실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n 번째 이미지와 n+1 번째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두 이미지 간 시간간격=1/90초)를 통해 용융물 배출 속도(m/s)를 다음 수학식 2를 통하여 계산한다(단계 S414).
Figure 112017126818211-pat00002
한편, 단계 406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 번째 이미지에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 번째 이미지에 제2 외곽선 특징 패턴, 즉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하는 이벤트가 정해진 특정 영역 내에서 2회 이상 발생되는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416).
단계 S416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제2 외곽선 특징 패턴가 검출된 경우,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를 획득한다(단계 S418).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제2 외곽선 특징 패턴, 즉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하는 이벤트가 정해진 특정 영역 내에서 2회 이상 발생되는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420).
단계 420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외곽선 특징 패턴 2이 검출된 경우, 영상 분석 시스템 ⑥은 제2 형상 인식 패턴, 즉 외곽선 특징 패턴 2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 인식되는 시점부터 전체 용융 물 스트림 영역의 1/20 영역 내에서 해당 증가 이벤트의 발생빈도 회수 간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70% 이상으로 인식되는 패턴을 확인한다(단계 S422).
단계 4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최초 이미지 (n번째 이미지)를 대상으로 용융물 스트림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형상 인식 패턴 중 최초 인식되는 패턴(즉, 형상 인식 패턴 2)의 시작점과 다음 이미지 (n+1번째 이미지)의 동일 형상 인식 패턴(즉, 형상 인식 패턴 2)의 시작점을 확인한다. 확인된 각 시작점들은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수로 그 차이값을 계산한다.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 간 거리는 실제 배출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거리를 바탕으로 용융물의 실제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실제 이동 거리(m) = 영상 분석에 의해 산출된 픽셀 수(EA) × 하나의 픽셀거리(용융물 스트림 전체 실제 거리(m), 전체 픽셀수:EA)
용융물 스트림의 상기 형상 인식 패턴에 의해 산출된 실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n 번째 이미지와 n+1번째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두 이미지간 시간 간격=1/90초)를 통해 용융물 배출 속도(m/s)를 계산한다(단계 S424)
한편, 단계 S410의 판단 결과, 출선 용융물의 n+1 번째 이미지에 외곽선 특징 패턴 1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처리 루틴은 단계 S416로 진행한다.
초고속 카메라 ⑤로 촬영된 연속된 2개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형상 인식 패턴을 결정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①: 용선 생산 설비
②: 제1 원료(철광석)
③: 제2 연료(코크스)
④: 풍구
⑤: 열풍
⑥: 출선구
⑦: 용융물
⑧: 용선
⑨: 슬래그
⑩: 슬래그 처리 설비
⑪: 용선 이송 설비
도 2:
①: 용선 생산 설비
②: 출선구
③: 용융물 스트림
④: 비산 방지 덮개
⑤: 초고속 카메라
⑥: 영상 분석 시스템
⑦: 운전 화면
도 3:
①: 용선 생산 설비 출선구
②: 비산 방지 덮개
③: 용융물 스트림
④, ④', ⑤, ⑤': 외곽선 분포 특징 패턴
⑥: 배출 용융물 이동 방향

Claims (5)

  1. (i)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ii)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 및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는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지, 상기 외곽선 분포 증가폭(기울기)이 직전 값 대비 급상승하는 이벤트가 정해진 특정 영역 내에서 2회 이상 발생되는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iii)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된 경우는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이고 그 유지 기간이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60% 이상으로 인식되는 제1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그리고 상기 연속된 2개의 출선 용융물의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모두 검출되는 경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에 대해 증가폭이 10% 이상 인식되는 시점부터 전체 용융 물 스트림 영역의 1/20 영역 내에서 해당 증가 이벤트의 발생빈도 회수 간 두 이미지에서 상호 일치도가 70% 이상으로 인식되는 제2 형상 인식 패턴을 기초로 하여 해당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iv) 단계 (iii)에서 산출된 상기 해당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이동 거리를 바탕으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촬영 시간 정보(두 이미지간 시간 간격)를 통해 용융물의 배출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형상 인식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용융물 스트림의 외곽선 분포 특성을 수치화하여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 또는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은 상기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된 출선 배출물의 기준 이미지를 선정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해 데이터 추출 분석을 통해 용융물 세로축의 상부 외곽선과 용융물 흐름 방향 가로축의 값 설정은 상기 초고속 카메라의 해상도 픽셀에 근거하여 데이터화하고, 상기 데이터화 된 외곽선 분포와 용융물 흐름 방향에 대한 이미지를 수치화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의 외곽선 분포가 최초로 특징지어지는 특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iii)는,
    최초 이미지를 대상으로 용융물 스트림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형상 인식 패턴 중 최초 인식되는 상기 제1 형상 인식 패턴 또는 상기 제2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과 다음 이미지의 동일 형상 인식 패턴의 시작점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각 시작점들은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수로 그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카메라 이미지의 픽셀간 거리는 실제 배출 용융물 스트림의 실제 거리를 바탕으로 용융물의 실제 이동 거리를 다음의 식: 실제 이동 거리(m) = 영상 분석에 의해 산출된 픽셀 수(EA) × 하나의 픽셀 거리(용융물 스트림 전체 실제 거리)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는,
    (ii-1)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2)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3)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형상 인식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ii-4) 단계 (ii-1)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1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ii-5) 상기 제1 이미지에 상기 제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제 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i-6) 상기 제2 이미지에 상기 2 외곽선 특징 패턴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형상 인식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물의 배출 속도는 다음식: 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Figure 112019058915484-pat00003
KR1020170175601A 2017-12-19 2017-12-19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KR10210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01A KR102102470B1 (ko) 2017-12-19 2017-12-19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01A KR102102470B1 (ko) 2017-12-19 2017-12-19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72A KR20190074172A (ko) 2019-06-27
KR102102470B1 true KR102102470B1 (ko) 2020-05-29

Family

ID=67057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01A KR102102470B1 (ko) 2017-12-19 2017-12-19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9625A1 (en) * 2021-02-03 2023-11-01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remaining amount of liquid and detection device for same, method for detecting remaining amount of molten substance and detection device for same, and vertical furnace operation method
EP4269626A4 (en) * 2021-02-03 2024-05-01 Jfe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IQUID LEVEL HEIGHT OF A LIQUID,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IQUID LEVEL HEIGHT OF A MELTED MATERIAL, AND OPERATING METHOD FOR VERTICAL FURN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00B1 (ko) * 2019-07-26 2021-06-29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의 출선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306A (ja) * 2005-06-24 2007-01-11 Nippon Steel Corp 高炉出銑流速測定方法、出銑流速測定装置、及び出銑量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54B1 (ko) * 2008-12-08 2011-05-06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검출센서를 이용한 용선의 배출속도와 저선레벨 측정시스템 및 측정방법
KR101223104B1 (ko) * 2010-10-28 2013-01-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강공업로 조업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309649B1 (ko) * 2011-12-22 2013-09-1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전로 출강구 슬리브의 내화물 손모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2306A (ja) * 2005-06-24 2007-01-11 Nippon Steel Corp 高炉出銑流速測定方法、出銑流速測定装置、及び出銑量測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9625A1 (en) * 2021-02-03 2023-11-01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remaining amount of liquid and detection device for same, method for detecting remaining amount of molten substance and detection device for same, and vertical furnace operation method
EP4269626A4 (en) * 2021-02-03 2024-05-01 Jfe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IQUID LEVEL HEIGHT OF A LIQUID,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LIQUID LEVEL HEIGHT OF A MELTED MATERIAL, AND OPERATING METHOD FOR VERTICAL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72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470B1 (ko) 용선 생산 설비에서 용융물 배출 속도 측정 방법
JP6697561B2 (ja) コンベヤ上の原料の質量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602238B2 (ja) 竪型炉における溶融物レベルの推定方法
CN103124995B (zh) 周期性静止物体检测装置和周期性静止物体检测方法
KR101704982B1 (ko) 이상 검지 방법 및 고로 조업 방법
JP5603403B2 (ja) 対象物計数方法、対象物計数装置および対象物計数プログラム
JP4965093B2 (ja) 転炉スラグ流出量定量化方法、転炉の操業方法およびそれらの装置
JP2016006221A (ja) 竪型炉における溶滓量計測方法、及びその計測装置
CN104508708B (zh) 道路环境识别装置
JP2007002306A (ja) 高炉出銑流速測定方法、出銑流速測定装置、及び出銑量測定方法
CN102428341A (zh) 受电弓位移测定装置以及滑触线硬点检测方法
KR102606934B1 (ko) 입도 분포 감시 장치, 입도 분포 감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노, 고로, 노의 제어 방법, 및 고로 조업 방법
JP2017150034A (ja) 精錬炉排出流の判定装置、精錬炉排出流の判定方法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2008163381A (ja) 炉頂部のガス流状態監視方法、監視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86803B2 (ja) 高炉出銑口径測定方法、高炉出銑口径測定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063898A (ja) 溶滓量測定装置および溶滓量測定方法
CN103302253A (zh) 液位检测方法及系统
CN107697098A (zh) 一种车厢倾斜度现场的测量方法
JP4244818B2 (ja) 流下ガラス流下速度計測方法および計測装置
US5499055A (en) Gob measuring apparatus
CN113853515B (zh) 运动物体的应力分析装置
JP2017179598A (ja) 底吹き転炉の炉底羽口健全性評価方法、炉底羽口寿命延長方法及び底吹き転炉の操業方法
KR102098457B1 (ko) 용선 출선량 모니터링 장치
Chen et al. Application of blast furnace falling materials trajectories measurement using laser scan technology
KR102102472B1 (ko) 용선 생산 설비용 고로의 용융물 배출 출선구의 단면적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