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45B1 - 블루투스 헤드셋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45B1
KR102102445B1 KR1020140010166A KR20140010166A KR102102445B1 KR 102102445 B1 KR102102445 B1 KR 102102445B1 KR 1020140010166 A KR1020140010166 A KR 1020140010166A KR 20140010166 A KR20140010166 A KR 20140010166A KR 102102445 B1 KR102102445 B1 KR 10210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headset
ear
coupling
cas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87A (ko
Inventor
박고은
류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45B1/ko
Priority to US14/607,770 priority patent/US9408021B2/en
Publication of KR2015008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비한 밴드부와, 밴드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한 쌍의 리시버와, 리시버를 감싸는 이어 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부(ear portion) 및 한 쌍의 이어부를 각각 커버하며, 한 쌍의 이어부를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흔히 스마트 폰이라 불리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집약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단말기들 간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RF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되어있다. 이중에서, 블루투스는 일정 범위 내에서 휴대용 통신장치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주는 것으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블루투스 헤드셋은 휴대 단말기의 핸즈프리 장치의 일환으로, 휴대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어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헤드셋은 사용자의 목이나 머리 등에 놓여지는 밴드부를 중심으로, 밴드부의 양 단부에는 귀에 착용되며 소리를 전달하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밴드부의 유무에 따라, 구체적으로 한쪽 귀로 착용할 수 있는 일측형 블루투스 헤드셋과, 양쪽 귀에 모두 착용할 수 있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neck band type bluetooth headset)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이어 스피커의 형태에 따라 커널형 블루투스 헤드셋과, 오픈형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의 넥 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이하 '블루투스 헤드셋'이라고 함.)은 사용자의 양쪽귀로 착용하기 위해 일측의 이어스피커(ear speaker)와 타측의 이어스피커(ear speaker)가 서로에게서 이격된다. 블루투스 헤드셋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이어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에 각각 꽂혀 사용하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목에다가 걸쳐놓거나,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게 된다.
블루투스 헤드셋을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는 경우, 블루투스 헤드셋의 크기나 'C'자의 형태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블루투스 헤드셋을 잘못 휴대하는 경우, 이어스피커 측이 파손되거나, 하드한 밴드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블루투스 헤드셋은 밴드부의 중앙부 등에 전원이나 배터리 등의 조작부가 제공된다. 앞서도 언급하였으나, 조작부에는 배터리나 블루투스 모듈 등의 내부회로 등이 제공됨으로써, 블루투스 헤드셋의 전체 중량에서 조작부가 상당한 크기의 무게를 차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착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은 착용하는 경우, 조작부의 중량에 의해 블루투스 헤드셋의 무게는 조작부가 제공되는 위치로 집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스피커를 귀에 착용하지 않고 블루투스 헤드셋을 후두부나 목에 걸쳐놓는 경우, 조작부의 무게에 의해 흘러내려 바닥으로 낙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이어스피커를 귀에 착용하지 않고 귀에 착용하지 않고 착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걸쳐 놓는 경우, 착용자의 가벼운 움직임 만으로도 낙하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파손은 물론 블루투스 헤드셋을 손실한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휴대 시, 착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목이나 팔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한 쌍의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감싸는 이어 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부(ear portion);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각각 커버하며,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밴드부;
상기 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양 단으로 가이드 스토퍼가 제공되는 하드한 고정밴드; 및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에서 연장되게 제공되는 플렉서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이어부;
상기 이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를 감싸는 이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서로 탈, 부착하는 결합 케이스;
상기 결합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와 상기 이어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휴대 모드나 스피커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밴드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어부를 커버하여 상기 결합 케이스 서로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휴대 시, 착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목에 걸쳐 목걸이 형상으로 착용되거나, 팔목에 걸쳐 팔찌 형상으로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어 그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부나 결합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거나 재질, 예를 들어 밴드부의 외측표면을 가죽 등으로 제공함으로써 목걸이나 팔찌로서 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패션 아이템으로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결합 케이스의 간단한 분리 및 플렉서블 밴드로 인해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어, 블루투스 헤드셋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좌측 부분의 결합 케이스가 제1이어부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우측 부분의 결합 케이스가 제2이어부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한 쌍의 이어부 및 이에 구비되는 결합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한 쌍의 결합 케이스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우측 부분의 결합 케이스가 제2이어부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제1모드 및 제2모드에 따른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전자 장치와 페어링하여 소리를 방출할 수 있는 기기를 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고정밴드(L1)와 플렉서블 밴드(L2)를 포함하는 밴드부(11)와, 한 쌍의 리시버(121, 126) 및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을 포함하는 이어부(12)(ear portion)와, 결합 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100)에는 가이드 스토퍼(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11)는 하드한 부분과 플렉서블하여 변형이 용이한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부(11)는 하드한 고정밴드(L1)와, 변형이 용이한 플렉서블 밴드(L2)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1)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이어부(12), 구체적으로 좌측 이어부(12L)와 우측 이어부(12R)가 각각 제공된다. 고정밴드(L1)는 하드한 재질로 착용자의 후두부나 목 등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15)와, 가이드 스토퍼(1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조작부(15)는 밴드부(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제1, 2조작부(15)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조작부(15a) 또는 제2조작부(15b) 중 적어도 하나(본 발명에서는 '제1조작부(15a)')에는 배터리가 제공되어 블루투스 헤드셋(100)에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외부의 별도 충전모듈을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5a) 또는 제2조작부(15b) 중 나머지 하나(본 발명에서는 '제2조작부(15b)')에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이 외부의 전자 장치와 페어링하기 위한 내부 모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15)는 중량을 고정밴드(L1)의 양측으로 분배하고, 후술하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제1모드(M1)나 제2모드(M2) 시 그 편의성을 고려하여 고정밴드(L1)에 두 개로 나뉘어 실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조작부(15)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밴드부(11)의 중앙 측에 하나 제공되어, 배터리나 블루투스 모듈 등의 내부 회로가 함께 실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작부(15)의 개수나 위치 등은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중량 분산이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밴드는 후술하는 두 개의 가이드 스토퍼 사이에 위치되는 하드한 재질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고정밴드의 위치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밴드(L1)가 사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고정밴드(L1)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배터리나 메인 회로나, 불루투스 모듈 등이 제공되는 제1조작부(15a)와 제2조작부(15b)의 무게로 제1조작부(15a)와 제2조작부(15b) 사이는 사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밴드(L1) 중 제1조작부(15a)와 제2조작부(15b) 사이의 고정밴드(이하 '제1고정밴드(L1a)라 함.)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조작부(15a)에서 후술하는 제1가이드 스토퍼(14a) 및 제2조작부(15b)에서 후술하는 제2가이드 스토퍼(14b) 사이의 고정밴드(이하 '제2고정밴드(L1b)' 라함.)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밴드(L1a)가 사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고정밴드(L1b) 및 플렉서블 밴드(L2)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제1고정밴드(L1a)의 단부에서 플렉서블하게 가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정밴드 및 플렉서블 밴드는 재질이나 위치 등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형태나 사용되는 환경 등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좌측 부분의 결합 케이스가 제1이어부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우측 부분의 결합 케이스가 제2이어부에서 이탈되어 가이드 스토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1도 함께 참조함.), 상기 제1,2조작부(15a, 15b)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밴드(L1) 상에는 후술하는 결합 케이스(13)가 밴드부(11) 상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스토퍼(14)가 제공된다. 가이드 스토퍼(14)는 고정밴드(L1)의 일단 및 타단으로 제1가이드 스토퍼(14a)와 제2가이드 스토퍼(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스토퍼(14) 중 적어도 하나, 본 개시에서는 제2가이드 스토퍼(14b)는 음량을 조절하거나, 전원을 온/오프 할 수 있는 버튼이 제공되는 버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는 후술하는 결합 케이스(13)가 밴드부(11)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는 서로 간의 결합이 해제되어 좌측 및 우측 이어부(12R)에서 이탈된 결합 케이스(13)를 고정시켜 플렉서블 밴드(L2)에서 고정밴드(L1)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밴드(L2) 상에서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 구체적으로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가 결합 케이스(13)에 결합되는 부분(141, 146)은 탄성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는 결합 케이스(13),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제1몸체(131) 및 제2몸체(136)의 후면 개구(133, 138)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2가이드 스토퍼(14a, 14b)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플렉서블 밴드(L2)를 밴딩시켜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는 경우 고정밴드(L1)가 목 뒷편이나 후두부 상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플렉서블 밴드(L2)는 고정밴드(L1)의 양단에서 연장되고, 그 단부로 각각 좌측 이어부(12L)와 우측 이어부(12R)가 구비된다. 플렉서블 밴드(L2)는 고정밴드(L1)의 단부에서 밴딩될 수 있게 구비된다. 사용자가 좌측 이어부(12L)와 우측 이어부(12R)를 각각 좌측 및 우측 귀에 착용하는 경우, 고정밴드(L1)는 사용자의 목이나 후두부에 놓여진 상태를 유지하며 플렉서블 밴드(L2)의 변형만으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도 7의 (b) 참조).
이어부(12, ear portion)는 밴드부(11)의 단부,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밴드(L2)의 단부에 각각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어부(12)는 착용자의 좌측 귀에 착용되는 좌측 이어부(12L)와, 착용자의 우측 귀에 착용되는 우측 이어부(12R)로 한 쌍이 구비된다. 좌, 우측 이어부(12L, 12R)는 한 쌍의 리시버(121, 126)와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리시버(121, 126)는 플렉서블 밴드(L2)의 단부에 제공되고, 착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한 쌍의 리시버(121, 126)는 조작부(15)를 통해 인가된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한 쌍의 리시버(121, 126)는 밴드부(11)의 양 단부, 구체적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좌측 리시버(121)와 우측 리시버(121)의 한 쌍으로 제공된다.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은 한 쌍의 리시버(121, 126)를 각각 감싸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은 리시버(121, 126)의 전면으로 탈, 부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사용자의 귀의 크기에 맞게 대, 중, 소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착용을 용이하게 한다. 한 쌍의 이어 캡(122, 127)은 상기 좌측 리시버(121)와 우측 리시버(126)의 전면에 각각 제공되는 좌측 이어 캡(122)과 우측 이어 캡(127)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한 쌍의 이어부 및 이에 구비되는 결합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한 쌍의 결합 케이스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에서, 한 쌍의 이어부에 제공되는 결합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 케이스(13)는 후술하는 모드(M1, M2)에 따라 가이드 스토퍼(14)와 이어부(12) 사이에 구비되며, 플렉서블 밴드(L2)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결합 케이스(13)는 좌측 이어부(12L)에 제공되는 제1케이스(13L)와, 우측 이어부(12R)에 제공되는 제2케이스(13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 구체적으로 제1, 2 케이스가 각각 좌측 이어부(12L) 및 우측 이어부(12R)를 커버한 상태에서 서로가 결합됨으로써,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고리 형태로 구비된다(도 7의 (a) 함께 참조). 이에, 블루투스 헤드폰의 본래의 오디오 출력이 아닌 휴대 시, 착용자의 목이나 팔에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의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탈, 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를 탈, 부착 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와 같은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데,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 중 하나는 전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고 홈의 내측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돌출된 나사산이 홈의 내측 나사산에 맞물려 회전됨으로써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를 탈, 부착하는 구조는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100)은 결합 케이스(13)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제1모드(M1)와 제2모드(M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모드(M1)는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목걸이나 팔찌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휴대 가능하게 착용된 상태를 일컫는다. 즉,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제1모드(M1)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가 서로 결합되어 좌측 이어부(12L)와 우측 이어부(12R)가 서로 대면되어, 고리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목이나 팔목에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형태로 고정되어 착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제2모드(M2)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의 결합을 해제하고, 좌, 우측 이어부(12R)가 사용자의 좌, 우측 귀에 인입되어 오디오 출력을 구현하는 모드이다. 구체적으로 제2모드(M2) 시, 블루투스 헤드셋(100)의 제1케이스(13L)는 좌측 이어부(12L)에서 이동되어 제1가이드 스토퍼(14a)에 고정되고, 제2케이스(13R)는 우측 이어부(12R)에서 이동되어 제2가이드 스토퍼(14b)에 고정된다. 고정밴드(L1)가 사용자의 목에 거치된 상태에서 좌측 플렉서블 밴드(L2)는 고정밴드(L1)의 일단에서 밴딩되고, 좌측 이어부(12L)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플렉서블 밴드(L2)는 고정밴드(L1)이 타일단에서 밴딩되고, 우측 이어부(12R)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도 7 함께 참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합 케이스(13)는 좌측 이어부(12L) 측에 제공되는 제1케이스(13L)와, 우측 이어부(12R) 측에 제공되는 제2케이스(13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3L)는 한 쌍의 이어부(12) 중 상기 밴드부(11), 구체적으로 좌측의 플렉서블 밴드(L2)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이어부(12L)(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좌측 이어부(12L)'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함.)를 커버하도록 제공된다. 제1케이스(13L)는 그 내측으로 좌측 이어부(12L)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좌측 이어부(12L)에서 이탈되면, 플랙서블 밴드를 따라 이동되어 제1가이드 스토퍼(14a)까지 이동될 수 있다. 제1케이스(13L)는 제1몸체(131)와, 제1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31)는 상기 좌측 이어부(12L)를 커버하도록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제1몸체(131)는 제1몸체(131)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좌측 이어부(12L)를 감쌀 수 있으며 좌측 이어부(12L)에서 제1가이드 스토퍼(14a) 사이로 플렉서블 밴드(L2)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제1결합부(132)는 제1몸체(131)의 전면에 실장되고, 상기 제2케이스(13R)의 전면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132)는 제2결합부(137)의 돌기부(137a)와 걸림돌기(137b)가 안착 및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결합부(132)는 안착홈(132a)과 걸림홈(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32a)은 제1케이스(13L)의 내측에 제공되는 개구이며, 제1몸체(131)의 개구에서 단턱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결합부(137)의 돌기부(137a)가 끼워져 안착된다. 걸림홈(132b)은 안착홈(132a)의 내측면을 따라 안착홈(132a)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제2결합부(137)의 걸림돌기(137b)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1결합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2결합부(137)가 인입/인출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억지 끼워지거나, 빠짐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제1모드(M1)나 제2모드(M2)의 변형을 위해 제1케이스(13L)와 제1케이스(13L)의 간단한 탈, 부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몸체(131)의 후면에는 제1가이드 스토퍼(14a)와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후면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후면 결합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제1가이드 스토퍼(14a)의 인입/인출 시, 탄성적인 변형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결합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케이스(13R)는 제2몸체(136)와, 제2결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136)는 상기 우측 이어부(12R)를 커버하도록 내측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제2몸체(136)는 제2몸체(136)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우측 이어부(12R)를 감쌀 수 있으며 우측 이어부(12R)에서 제2가이드 스토퍼(14b) 사이로 플렉서블 밴드(L2)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제2결합부(137)는 제2몸체(136)의 전면에 실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13L)의 전면이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137)는 제1결합부(132)의 안착홈(132a)과 걸림홈(132b)에 안착 및 걸리게 구비된다.
제2결합부(137)는 돌기부(137a)와 걸림돌기(137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37a)는 상기 안착홈(132a)에 인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제2몸체(136)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며, 제2몸체(136)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37b)는 돌기부(137a)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돌기부(137a)가 안착홈(132a)에 인입되어 끼워질 때, 걸림돌기(137b)는 걸림홈(132b)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2결합부(137)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2결합부(137)가 제1결합부(132)에서 인입/인출되는 경우, 제1결합부(132) 뿐만 아니라 제2결합부(137)도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억지 끼워지거나, 빠짐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제1모드(M1)나 제2모드(M2)의 변형을 위해 제1케이스(13L)와 제1케이스(13L)의 간단한 탈, 부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제1모드 및 제2모드에 따른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오디오 출력을 위해 구동시키는 여부에 따라 제1모드(M1)와 제2모드(M2)로 나뉘어 휴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7(a) 참조), 블루투스 헤드셋은 제1모드(M1)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휴대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헤드셋은 사용자의 목이나 팔목에 걸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가 각각의 이어부(12)를 커버하면서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걸려 휴대될 수 있다. 제1케이스(13a)는 좌측 이어부(12L)를 커버하며, 제1결합부(132)가 좌측 이어부(12L)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제2케이스(136)는 우측 이어부(12R)를 커버하여 제2결합부(137)가 우측 이어부(12R)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제1케이스(13L)와 제2케이스(13R)가 맞물린 상태에서, 구체적으로 돌기부(137a)가 안착홈(132a)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가압되면,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37)의 각각의 탄성에 의해 제2결합부(137)가 제1결합부(132)에 끼워진다. 즉, 돌기부(137a)가 안착홈(132a)의 내측으로 더 인입되며 걸림돌기(137b)가 걸림홈(132b)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도 1 및 도 3 참조). 따라서, 제1모드(M1)에서는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목걸이나 팔찌의 형태로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목걸이나 팔찌 형태로 휴대하다가 오디오를 출력시킬 수 있는 제2모드(M2)로 사용할 수 있다(도 7의 (b) 참조). 즉, 블루투스 헤드셋(100)을 제2모드(M2)로 사용하기 위해 결합되어 있던 한 쌍의 결합 케이스이 결합을 해제한다. 즉, 사용자가 제1케이스(13L)와 제2케이스(13R)를 잡아당기면, 안착홈(132a) 및 걸림홈(132b)에 각각 인입되어 걸려있던 돌기부(137a)와 걸림돌기(137b)가 안착홈(132a) 및 걸림홈(132b)에서 이탈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13)는 서로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좌, 우측 이어부(12L, 12R)는 서로 멀어지게 된다. 또한, 결합이 해제된 제1케이스(13L)와 제2케이스(13R)는 좌, 우측 이어부(12L, 12R)에서 플렉서블 밴드(L2)를 따라 이동되어 제1,2가이드 스토퍼(141, 142)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사용자는 플렉서블 밴드(L2)를 고정 밴드(L1)에서 벤딩시켜 사용자의 귀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좌, 우측 이어부(12L, 12R)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게 되며, 오디오 출력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부는 고정밴드의 양쪽으로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하나의 조작부가 고정밴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스토퍼 중 하나는 버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두 개의 가이드 스토퍼가 모두 버튼부로 이루어져 블루투스 헤드셋을 조작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고, 버튼부는 별도로 제공되고, 가이드 스토퍼가 고정밴드의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케이스의 결합 구조는 제1,2케이스이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의 가압에 따라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예를 들었으나 한 쌍의 볼트 너트와 같은 구조로 서로가 서로에게서 회전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예들의 구조들은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블루투스 헤드셋 11: 밴드부
12L, 12R: 이어부 13: 결합 케이스
14: 가이드 스토퍼 15: 조작부

Claims (22)

  1.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조작부를 구비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한 쌍의 리시버와, 상기 리시버를 감싸는 이어 캡을 포함하는 한 쌍의 이어부(ear portion);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각각 커버하며,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 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상기 결합 케이스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스토퍼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밴드부 상에 버튼부로 구성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토퍼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헤드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은,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이어부와, 상기 이어부와 이웃한 이어부가 서로 대면되는 제1모드와,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이어부를 통해 소리가 제공되는 제2모드로 구비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 시, 상기 결합 케이스는 상기 이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모드 시, 상기 결합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고정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의 전면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서로 억지끼움방식으로 탈, 부착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이어부 중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이어부를 커버하는 제1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이어부 중 상기 밴드부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2이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제1결합부가 끼워져 맞물리는 제2결합부가 제공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전면 내측으로 상기 제2결합부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을 따라 인입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이어부를 커버하며, 내측으로 상기 제1이어부가 안착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부가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는 후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스의 전면 내측으로 상기 제2케이스의 제2결합부가 끼워지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을 따라 인입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헤드셋.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2이어부를 커버하며, 내측으로 상기 제2이어부가 안착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전면에 제공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인입, 인출되어 탈, 부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맞물려 고정되는 후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스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헤드셋.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착용자의 후두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조작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각각의 단부로 상기 이어부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밴드의 단부에서 상기 이어부 사이로 플렉서블하게 변형되게 제공되는 플렉서블 밴드(flexible band)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21. 제20항에 있어서,
    일측의 상기 플렉서블 밴드와 타측의 상기 플렉서블 밴드를 연결하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22.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밴드부;
    상기 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를 구비하고, 양 단으로 가이드 스토퍼가 제공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에서 연장되게 제공되는 플렉서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이어부;
    상기 이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밴드의 단부에 제공되는 한 쌍의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를 감싸는 이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부를 커버하며 상기 한 쌍의 이어부를 서로 탈부착하는 결합 케이스;
    상기 결합 케이스는, 상기 가이드 스토퍼와 상기 이어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휴대 모드나 스피커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밴드 상에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스토퍼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어부를 커버하여 상기 결합 케이스 서로간 결합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140010166A 2014-01-28 2014-01-28 블루투스 헤드셋 KR10210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66A KR102102445B1 (ko) 2014-01-28 2014-01-28 블루투스 헤드셋
US14/607,770 US9408021B2 (en) 2014-01-28 2015-01-28 Bluetooth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66A KR102102445B1 (ko) 2014-01-28 2014-01-28 블루투스 헤드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87A KR20150089487A (ko) 2015-08-05
KR102102445B1 true KR102102445B1 (ko) 2020-05-29

Family

ID=5368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166A KR102102445B1 (ko) 2014-01-28 2014-01-28 블루투스 헤드셋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8021B2 (ko)
KR (1) KR102102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32B1 (ko) 2023-04-05 2023-09-08 퍼시픽 센츄리 주식회사 Rf와 초음파를 이용한 헤드 트래킹 가능한 블루투스 게임머용 헤드셋 및 그 헤드셋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269B1 (ko) * 2014-08-28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5491471A (zh) * 2015-12-29 2016-04-13 东莞市和乐电子有限公司 一种可变形穿戴的蓝牙耳机
US10317939B2 (en) * 2016-04-26 2019-06-11 Westunitis Co., Ltd. Neckband type computer
EP3499909B1 (en) * 2016-09-06 2021-11-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mart device with detachable bodies
KR102028501B1 (ko) * 2017-07-20 2019-10-04 이종기 이어폰 보호장치
MY190295A (en) * 2017-08-03 2022-04-12 Salutica Allied Solutions Sdn Bhd An apparatus for detachably engaging wireless headsets
CN108041773B (zh) * 2018-01-04 2024-01-3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环
CN108684025B (zh) * 2018-04-28 2021-09-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可折叠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21127A (zh) * 2019-05-31 2019-08-13 江西联创宏声万安电子有限公司 耳机装置
US20230319456A1 (en) * 2023-04-07 2023-10-05 Sheng XIE anti-loss neck rope for wireless earpho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1Y1 (ko) * 2000-05-08 2000-10-16 김동영 목걸이형 이어폰 보호구
US20100166207A1 (en) * 2008-12-26 2010-07-01 Sony Corporation Headphone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806B1 (ko) * 2006-01-11 2008-01-24 (주)유빅슨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WO2009019626A1 (en) * 2007-08-03 2009-02-12 Nxp B.V. Cable management device, audio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ables
JP3155288U (ja) 2009-08-28 2009-11-12 勇太 出羽 ネックレス兼イヤホン
US8891798B1 (en) * 2012-04-10 2014-11-18 Amazon Technologies, Inc. Headphones with asymmetric coupl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1Y1 (ko) * 2000-05-08 2000-10-16 김동영 목걸이형 이어폰 보호구
US20100166207A1 (en) * 2008-12-26 2010-07-01 Sony Corporation Headphone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232B1 (ko) 2023-04-05 2023-09-08 퍼시픽 센츄리 주식회사 Rf와 초음파를 이용한 헤드 트래킹 가능한 블루투스 게임머용 헤드셋 및 그 헤드셋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8021B2 (en) 2016-08-02
KR20150089487A (ko) 2015-08-05
US20150215440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445B1 (ko) 블루투스 헤드셋
US10506321B2 (en)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EP2817728B1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US20170201820A1 (en) Headphones
CN102804741A (zh) 包括耳机和便携保持装置的耳机系统
US10455306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KR101159795B1 (ko) 휴대용 전자 헤드셋
US10314385B2 (en) Apparatus for detachably engaging wireless headsets
WO2022257557A1 (zh) 生耳组件及穿戴设备
KR20140035742A (ko) 블루투스 헤드셋
US20150312668A1 (en) Headphone wire clasp apparatus
US11290580B2 (en) Attachment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with a mobile device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WO2008053502A1 (en) Padding element for heimets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EP3576424B1 (en) System comprising a pair of sound output devices
KR20170047770A (ko) 웨어러블 단말기
US20170127173A1 (en) Wireless audio accessory
CN110417948A (zh) 一种移动终端
KR102177999B1 (ko) 헬멧용 골전도 헤드폰
KR200486882Y1 (ko) 안전모용 ptt 통신 시스템
US20240130894A1 (en) Eye mask with movable speakers
CN209897234U (zh) 一种防止移动终端掉落的耳机结构
US20190116906A1 (en) Brim clip with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