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194B1 - Dishwasher - Google Patents

Dish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194B1
KR102102194B1 KR1020180042796A KR20180042796A KR102102194B1 KR 102102194 B1 KR102102194 B1 KR 102102194B1 KR 1020180042796 A KR1020180042796 A KR 1020180042796A KR 20180042796 A KR20180042796 A KR 20180042796A KR 102102194 B1 KR102102194 B1 KR 10210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flow path
washing tank
bubble generato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5636A (en
Inventor
도모노리 우치야마
아키히로 네기시
사토시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6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1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2Pressurised cleaning liquid delivered by a pump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 세정기는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식기가 수용되는 세정조와, 세정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도의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와, 수도꼭지로부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고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급수 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shell, a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dishes, and a water supply port for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from a faucet inside the washing tank into the washing tank and water supply from the faucet. Fine bubbles that are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 leading to the bend and locally reduce the water supply path to obtain fine air bubbles by including fine 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without obtaining gas supply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It has a generator.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WASHER}Dishwasher {DISHWASHE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예를 들어, 종래 식기 세정기에서는 분사 노즐 분사되는 물 중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세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공지이다. 그러나, 종래 구성에서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기 쉬웠다.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dishwasher,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cleaning ability by generating fine bubbles in water sprayed with a spray nozzle is known.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fine bubbles was likely to be complicated.

일본 공개특허 제2007-11731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117315

그래서, 간단한 구성이고 또한 세정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Thus, there is provided a dishwasher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ability.

실시형태의 식기 세정기는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식기가 수용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도의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상기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와,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상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를 구비한다.The dishwasher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shell, a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dishes, and a water supply port portion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ank and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from a faucet of the tap water into the washing tank, It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faucet to the water supply port to locally reduce the water supply path to include fine 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without obtaining ga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It is provided with a micro-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micro-bubble water.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 세정 노즐의 주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 미세 기포 발생기에서 발생한 미세 기포수에 포함되는 미세 기포의 입자 직경마다의 개수 분포를 그래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하류측에서 본 미세 기포 발생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하류측에서 본 미세 기포 발생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류측에서 본 미세 기포 발생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8의 X9-X9 선을 따라 절단한 미세 기포 발생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9에 대해 갭 영역, 슬릿 영역, 및 세그먼트 영역을 구별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그 1).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그 2).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그 3).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그 4).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미세 기포와 계면활성제의 상호 작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그 5).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의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식기 세정기에 대해서, 미세 기포 발생기의 장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around the cleaning nozzle for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microbubbles contained in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or for each particle diamete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a graph.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downstream sid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downstream sid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in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upstream sid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first embodiment.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cut along the line X9-X9 in FIG. 8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gap area, the slit area, and the segment area separately in FIG. 9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surfactant in the first embodiment (No. 1).
1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surfactant in the first embodiment (part 2).
1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surfactant in the first embodiment (No. 3).
14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surfactant in the first embodiment (No. 4).
1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bubbles and the surfactant in the first embodiment (No. 5).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or mounting structure for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or mounting structure for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2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2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2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icrobubble generator mounting structure for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substantially the same in each embodiment,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10)는 하우징(11), 세정조(12), 문(13), 식기 바구니(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우징(11)에 대해 문(13)측 즉 사용자측을 식기 세정기(10)의 앞쪽 또는 전방측으로 하고, 문(13)과는 반대측 즉 사용자와는 반대측을 식기 세정기(10)의 내측 또는 후방측으로 한다. 또한, 식기 세정기(10)는 이른바 빌트인형 또는 거치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As shown in FIG. 1, the dishwasher 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11, a cleaning tank 12, a door 13, and a dish basket 14.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oor 13 side, that is, the user side is set to the front or front side of the dishwasher 1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door 13, that is, the side opposite to the user, is the dishwasher 10. The inside or rear side of the. Further, the dishwasher 10 may be either a so-called built-in type or a stationary type.

하우징(11)은 식기 세정기(10)의 외각(外殼)을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 등에 의해 전체로서 전방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정조(12)는 하우징(11) 내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금속판 등에 의해 전체로서 전방이 개구된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문(13)은 하우징(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문(13)의 하단부를 지점(支點)으로 회동함으로써, 하우징(11)의 전면(前面)의 개구를 개폐한다. 식기 바구니(14)는 세정 대상인 식기류(1)를 수용하기 위한 바구니이며, 문(13)이 열린 상태에서 세정조(12)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정조(12), 문(13), 및 식기 바구니(14)가 일체적으로 하우징(11)의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The housing 11 constitutes the outer shell of the dishwasher 1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is opened as a whole by a metal plate such as stainless steel. The cleaning tank 12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in which the front is opened as a whole by, for example, a stainless steel plate. The door 1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for example, the opening of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lower end of the door 13 to a point. The dish basket 14 is a basket for accommodating the dishes 1 to be cleaned,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o enter and exit while the door 13 is opened. Moreo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For example, the cleaning tank 12, the door 13, and the dish basket 14 may be the structure which can enter and exi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11 integrally.

식기 세정기(10)는 외부 급수관(21), 내부 급수관(22), 급수 밸브(23) 및 급수구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급수관(21)은 식기 세정기(10)의 외부의 수원(水源)인 수도의 수도꼭지(2)로부터 수돗물을 식기 세정기(10) 내에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다. 외부 급수관(21)은 하우징(11)에 설치된 외부 급수관 접속부(111)와, 수도꼭지(2)를 접속하고 있다. 외부 급수관(21)은,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지 않는 즉 강성을 갖는 금속관이나 수지제의 관이어도 좋고, 가요성을 갖는 관, 예를 들면 수지제의 호스나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관 등이어도 좋다.The dishwasher 10 includes an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an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a water supply valve 23 and a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is for drawing tap water into the dishwasher 10 from the tap 2 of the water supply, which is an external water source of the dishwasher 10.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connects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11 provided in the housing 11 and the faucet 2.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may be, for example, a metal pipe having no flexibility, that is, a rigid pipe or a resin pipe, or a flexible pipe, for example, a metal pipe formed in a resin hose or bellows shape. .

내부 급수관(22)은 하우징(11)내에 끌어 들여진 수돗물을 세정조(12)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급수관(22)은 급수구부(24)와 외부 급수관 접속부(111)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내부 급수관(22)은, 예를 들어가요성을 갖지 않는 즉 강성을 갖는 금속관이나 수지제의 관이어도 좋고, 가요성을 갖는 관, 예를 들면 수지제의 호스나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관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내부 급수관(22)은 가요성을 갖지 않는 즉 강성을 갖는 금속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내부 급수관(22)은 하우징(11)의 내측 벽면 또는 세정조(12)의 외측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for supplying tap water drawn into the housing 11 into the cleaning tank 12.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s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11.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may be, for example, a metal pipe having no rigidity, that is, a rigid pipe or a resin pipe, or a flexible pipe, for example, a metal pipe formed in a resin hose or bellows shap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made of a metal pipe having no flexibility, that is, rigidity. Then,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1 o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leaning tank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도꼭지(2)로부터 급수구부(24)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를, 급수경로 A, B라고 부른다. 또한, 급수경로 A, B 중 수도꼭지(2)로부터 외부 급수관 접속부(111) 즉 하우징(11)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즉 하우징(11)의 외부에 설치된 급수경로를, 외부 급수경로 A라고 부른다. 그리고, 급수경로 A, B 중 외부 급수관 접속부(111)로부터 급수구부(24)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즉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급수경로를, 내부 급수경로 B라고 부른다.In this embodiment, the path from the faucet 2 to the water supply port 24 is called water supply paths A and B. In addition,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faucet 2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11, that is, the housing 11, that is, the water supply path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11 is called an external water supply path A. And, among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11 to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that is, the water supply path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 is called an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급수 밸브(23)는 액체용 전자 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세정조(12) 내에 대한 급수의 실행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 밸브(23)는 하우징(11)의 내부이고 또한 세정조(12)의 외부에 있고, 내부 급수경로 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즉, 급수 밸브(23)는 내부 급수관(22)의 상류측의 단부 또는 하류측의 단부, 또는 내부 급수관(22)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급수 밸브(23)는 내부 급수관(22)의 상류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valve 23 is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for liquid, and is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and stoppage of the water supply to the cleaning tank 12. The water supply valve 23 is inside the housing 11 and outside the cleaning tank 12, and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That is, the water supply valve 23 is provided on the upstream end or downstream end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or in the middl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valve 23 is provided in the end part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급수구부(24)는 식기 세정기(10) 외부의 수원인 수도의 수도꼭지(2)로부터 공급된 물을 세정조(12) 내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구부(24)는 세정조(12)의 내부에 있고, 내부 급수경로 B의 종단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즉, 급수구부(24)는 내부 급수관(22)의 종단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급수구부(24)는 세정조(12)의 벽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구부(24)는 도 2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241)를 갖고 있고, 그 유로(241)의 선단부는 세정조(12)의 벽면을 따라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port 24 is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2 of the tap water which is a water source outside the dishwasher 10 into the washing tank 12.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is inside the cleaning tank 12 and is installed at the end portion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That is,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is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ort part 24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12.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has a flow path 241 therein, as shown in FIG. 2, and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flow path 241 is opened downward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cleaning tank 12.

또한, 식기 세정기(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31), 세정 노즐(32), 히터(33), 배수구부(34), 전환 밸브(35), 및 펌프(3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31)은 예를 들어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원통형의 관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311) 및 베어링부(312)를 갖고 있다. 베어링부(312)는 지지축 (31)의 선단부 이 경우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312)의 내경은 유로 (311)의 내경보다 크다. 지지축(31)은 세정조(12)의 저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31)은 세정조(12)의 저부에 한정되지 않고, 세정조(12)의 좌우 또는 내측의 벽면, 또는 천장면에 설치해도 좋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10, as shown in Figure 1, the support shaft 31, the cleaning nozzle 32, the heater 33, the drain port 34, the switching valve 35, and the pump 36 I have it. The support shaft 31 is, for example, a cylindrical tube made of metal or resin, and has a flow path 311 and a bearing portion 312 therein as shown in FIG. 3. The bearing part 312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31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bearing portion 31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311. The support shaft 31 is provid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tank 12. In addition, the support shaft 31 is not limited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12, and may be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washing tank 12 or on the inner wall or ceiling.

세정 노즐(3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31)의 선단부 이 경우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지지축(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세정 노즐(32)은 유로(321), 복수의 노즐 선단부(322), 및 회전축(323)을 갖고 있다. 회전축부(323)는 지지축(31)의 베어링부(3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정노즐(32)의 유로(321)의 상류측은, 지지축(31)의 유로 (3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정 노즐(32)의 유로(321)의 하류측은 복수로 분기하고, 그 분기의 끝이 각각 노즐 선단부(322)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leaning nozzle 32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31 in this cas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support shaft 31. The cleaning nozzle 32 has a flow path 321, a plurality of nozzle tip portions 322, and a rotating shaft 323.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3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312 of the support shaft 31. Thereby, the upstream side of the flow path 321 of the cleaning nozzle 32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311 of the support shaft 31. Further,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ow path 321 of the cleaning nozzle 32 branches into a plurality, and the ends of the branches are connected to the nozzle tip portions 322, respectively.

이 구성에 있어서, 지지축(31)으로부터 세정 노즐(32)에 세정액이 공급되면, 그 세정액이 각 노즐 선단부(322)로부터 분사된다. 그 때, 세정 노즐(32)은 각 노즐 선단부(32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의 기세 즉 수압에 의해, 회전축부(323)를 지점으로 회전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cleaning nozzle 32 from the support shaft 31,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from each nozzle tip portion 322. At this time, the cleaning nozzle 32 rotates the rotating shaft portion 323 to a point by the force of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tip portion 322 of each nozzle, that is, water pressur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33)는 세정조(12)의 저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세정액을 가열하여 온수로 한다. 배수구부(34)는 세정조(1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고, 세정조(1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배수구부(34)는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세정액을 세정조(12) 밖으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heater 33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12, and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tank 12 is heated to make hot water. The drain port 3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tank 12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he drain port 34 is for draining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tank 12 out of the cleaning tank 12.

전환 밸브(35)는 액체용 전자밸브, 이 경우 3방향 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배수구부(34)의 하류측에 있고, 배수구부(34)와 전환 밸브(3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구부(34)로부터 펌프(36), 전환 밸브(35), 지지축(31), 세정 노즐(32), 및 세정조(12) 내를 통하여 다시 배수구부(34)에 이르는 경로를, 순환 경로 C라고 부른다. 즉, 순환 경로 C는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세정액을 순환시키는 경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구부(34)로부터 펌프(36) 및 전환 밸브(35)를 통하여 하우징(11) 밖에 이르는 경로를, 배수 경로 D라고 부른다. 즉, 배수 경로 D는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세정액을 식기 세정기(10)의 기외로 배수하는 경로이다.The switching valve 35 is composed of a solenoid valve for liquid, in this case, a three-way valve, and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rain port 34 and is provided between the drain port 34 and the switch valve 35.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drain port 34 to the pump 36, the switching valve 35, the support shaft 31, the cleaning nozzle 32, and through the in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o the drain port 34 again The path is called the circular path C. That is, the circulation path C is a path for circulating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tank 12.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ath from the drain port 34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 through the pump 36 and the switching valve 35 is called a drain path D. That is, the drainage path D is a path for draining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tank 12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10.

전환 밸브(35)는 순환 경로 C와 배수 경로 D를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35)에 의해 배수 경로 D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순환 경로 C가 개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펌프(36)가 구동되면, 식기 세정기(10) 내에 저류된 세정액은 펌프(36)의 작용에 의해 순환 경로 C를 통하여 세정 노즐(32)의 각 노즐 선단부(322)로부터 분사된다. 그리고, 각 노즐 선단부(322)에서 분사된 세정액이 식기 바구니(14)에 적재된 식기류(1)에 분사됨으로써, 식기류(1)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펌프(36)는 세정조(12) 내의 세정액을, 순환 경로 C를 통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로서 기능한다.The switching valve 35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switch the circulation path C and the drainage path D. When the pump 36 is driven in the state where the drainage path D is closed by the switching valve 35 and the circulation path C is opened,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dishwasher 10 is subjected to the action of the pump 36. By this, it is injected from each nozzle tip 322 of the cleaning nozzle 32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C. Then,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front end portion 322 of each nozzle is sprayed onto the dishes 1 loaded in the dish basket 14, whereby the dishes 1 are cleaned. In this case, the pump 36 functions as a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tank 12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C.

한편, 전환 밸브(35)에 의해 순환 경로 C가 폐쇄되어 있고 또한 배수 경로 D가 개통되어 있는 상태에서 펌프(36)가 구동되면, 식기 세정기(10) 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정액은 펌프(36)의 작용에 의해 배수 경로 D를 통하여 하우징(11) 밖 즉 식기 세정기(10)의 기외로 배수된다. 이 경우, 펌프(36)는 세정조(12) 내의 세정액을, 배수 경로 D를 통하여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로서 기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mp 36 is driven in a state where the circulation path C is closed and the drainage path D is opened by the switching valve 35,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dishwasher 10 is the pump 36. By action, it is drained out of the housing 11 through the drainage path D, ie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10. In this case, the pump 36 functions as a drainage pump for draining the washing liquid in the washing tank 12 through the drainage path D.

또한, 식기 세정기(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수도꼭지(2)로부터 급수구부(24)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A, 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Further, the dishwasher 10 is provided with a fine bubble generator 40, as shown in Fig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from the faucet 2 to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급수경로 A, B 상 또는 도중이라는 것은, 급수경로 A의 상류측의 단부로부터 급수경로 B의 하류측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구간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급수경로 A의 상류측 단부 및 급수경로 B의 하류측의 단부도, 급수경로 A와 B의 도중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 (40)는 내부 급수경로 B의 하류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내부 급수관(22)의 하류측 단부와 급수구부(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water supply path A, B phase, or the middle means a section from an end por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A to an end por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B. Therefore, the upstream end of the water supply path A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water supply path B are also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Specifically,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between the downstream end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and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본 실시형태의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구부(24)에 내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급수구부(24)는 장착부(25)를 갖고 있다. 장착부(25)는 급수경로 A, B 상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그리고,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구부(24)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25)에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built in the water supply port 24,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has a mounting portion 25. The mounting portion 25 is a component for moun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T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embedded in the mounting portion 25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12)의 벽면(121)에는 장착구멍 (122)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122)의 내경은 장착부(25)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25)는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으로 향하여, 장착구멍(122)에 통과되어 있다. 또한, 급수구부(24)는 칼라부(242)를 갖고 있다. 칼라부(242)의 외경은 장착구멍(122)의 내경보다 크다. 이 경우, 장착부(25)가 장착구멍(122)에 통과된 상태에서, 칼라부(242)는 장착구멍(122)의 주위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부(25)가 장착구멍(122)에 통과된 상태에서도 급수구부(24)는 장착구멍(122)을 통하여 빠져나가 세정조(12)의 외측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 mounting hole 122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122 is set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25. Then, the mounting portion 25 is pass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o the outer side, and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has a collar portion 242.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ar portion 24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122. In this case, in the stat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25 has pass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the collar portion 242 is locked around the mounting hole 122.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mounting portion 25 has pass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does not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and does not fall out of the washing tank 12.

칼라부(242)와 벽면(121) 사이에는, 예를 들어 O 링 등의 시일 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수구부(24) 및 장착부(25)는 벽면(121)에 대하여 수밀하게 장착되어 있다. 급수구부(24) 및 장착부(25)는 세정조(12)의 벽면(121)에 대하여, 나사(15)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급수구부(24) 및 장착부(25)는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collar portion 242 and the wall surface 121, for example, a sealing member 26 such as an O-ring is provided. Thereby, the water supply port part 24 and the mounting part 25 are watertight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121.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mounting portion 25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by screws 15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mounting portion 25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by an operation from the inside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장착부(2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51), 제2 수납부(252), 연통부(253) 및 받이부(254)를 갖고 있다. 받이부(254), 제1 수납부(251), 제2 수납부(252), 및 연통부(253)는 장착부(25)를, 급수구부(24)의 유로(241)측을 향하여, 이 경우 수평 방향을 향하여 원형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급수구부(24)의 유로(241)에 연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portion 25 has a first storage portion 251, a second storage portion 252, a communication portion 253, and a receiving portion 254. The receiving portion 254,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and the communicating portion 253, the mounting portion 25 toward the flow path 241 side of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this In the case, it is formed to penetrate in a circular shape towar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241 of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받이부(254), 제1 수납부(251), 및 제2 수납부(252)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받이부(254), 제1 수납부(251), 및 제2 수납부(252)의 순으로 내경이 작아지고 있다. 그리고, 연통부(253)는 제2 수납부(252)의 원통 형상의 바닥 부분을, 제2 수납부(25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54,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in the order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ortion 253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cylindrical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급수관(22)의 하류측의 단부는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는 시일 부재(27)를 통하여 받이부(254)와 제1 수납부(251)의 경계 부분에서의 받이부(254)의 주위, 즉 받이부(254)의 저부에 걸림 고정된다. 시일 부재(27)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 O 링이다. 즉, 시일 부재(27)는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의 외주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 급수관(22)과 장착부(25)는 시일 부재(27)에 의해 수밀 상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nd por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this cas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254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254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through the sealing member 27, that is, the receiving portion 254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jam. The seal member 27 is, for example, an O-ring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That is, the sealing member 27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tip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Thereby,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and the mounting part 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atertight state by the sealing member 27.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물 등의 액체가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내부를 도 2의 실선 화살표 방향을 향해 통과할 때, 그 액체의 압력을 급격히 감압함으로써 그 액체 중에 용존되어 있는 기체 예를 들어 공기를 석출시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 A와 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급수경로 A, B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 A, B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급수경로 A, B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할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an example of a gas dissolved in the liquid by rapidly depressurizing the pressure of the liquid when a liquid such as water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toward the solid arrow in FIG. 2. For example, air is precipitated to generate fine bubbles.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and by locally reducing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supply of ga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It is possible to generate fine bubble water by including fine 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without obtaining.

이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통상의 수압 즉 수돗물의 압력 이외에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용 펌프 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수라는 것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기 이전에 비해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를 많이 함유한 물을 말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수라는 것은 통상의 수돗물에 비해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를 많이 함유한 물을 말한다.In this cas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does not require a driving source such as a dedicated pump for generating microbubbles other than the normal water pressure, that is, the pressure of tap wat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water refers to water containing a lot of microbubbles of the nano-order compared to before passing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by passing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d water refers to water containing a lot of microbubbles of the nano-order compared to normal tap water.

본 실시형태의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 예를 들어 입자직경 즉 직경이 500nm 이하의 기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250nm 이하의 기포,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00nm 이하의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기포의 직경이 모두 100nm 이하일 필요는 없다. 즉, 이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 미세 기포 중 직경 500nm 이하에서의 미세 기포의 직경 당 개수의 분포에 대해 본 경우, 그 분포의 복수의 피크 중 적어도 하나가 100nm 이하에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 경우 미세 기포의 직경당 개수의 분포에서 최대 피크는 직경 5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에 있으면 좋다.The microbubble generator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icrobubble of a nano order, for example, a particle diameter, that is, a bubble having a diameter of 5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a bubble having a diameter of 25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a bubble having a diameter of 100 nm or less. It is possible to generate fine bubbles including air bubbles.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need not be 100 nm or less. 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microbubbles per diameter of 500 nm or less among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seen, i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eaks of the distribution is 100 nm or less good. In this case, the maximum peak i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microbubbles per diameter should be 500 nm or less in diameter, preferably 25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nm or less.

본원 발명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에서 생성된 미세 기포수를 샘플 채취하고, 그 샘플 채취한 미세 기포수를 나노 입자 해석 장치(NANOSIGHT LM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사쿠쇼제)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 트래킹법(입자 궤적 트레이스법이라고도 부름)에 의해 해석하고, 이에 의해 1㎖ 당 미세 기포의 수를 계측했다.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 the microbubble water generated by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and use the nanoparticle analysis device (NANOSIGHT LM10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to collect the microbubble water sampled. It analyzed by (also called a particle trajectory trace method), and the number of microbubbles per 1 ml was measured by thi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기포는, 그 미세 기포의 입자 직경 마다의 개수 분포의 피크(P1 ~ P5)가, 전체 입자 직경 500nm 이하, 구체적으로는 250nm 이하로 나태내고 있다. 이 경우, 최대 피크(P1)는 입자 직경 100nm 이하, 구체적으로는 입자 직경 80nm 부근에 나타나 있다. 또한, 2번째 피크(P2)는 입자 직경 140nm 부근에 나타나 있고, 3번째 피크(P3)는 입자 직경 110nm 부근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4번째 피크(P4)는 입자 직경 50nm 정도 부근에 나타나 있고, 5번째 피크(P5)는 입자 직경 220nm 부근에 나타나 있다.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have peaks (P1 to P5) in the number distribution for each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bubbles, and the total particle diameter is 500 nm. Hereinafter, specifically, it is shown as 250 nm or less. In this case, the maximum peak P1 is 100 nm or less in particle diameter, specifically, around 80 nm in particle diameter. In addition, the second peak P2 is shown near the particle diameter of 140 nm, and the third peak P3 is shown near the particle diameter of 110 nm. And, the fourth peak (P4) appears around 50 nm in particle diameter, and the fifth peak (P5) appears around 220 nm in particle diameter.

도 2에서 내부 급수관(22)을 통한 수돗물은 미세 기포 발생기(40) 내를 도 2의 우측부터 좌측을 향하여 흐른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대해서 보면, 도 2의 지면 우측이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상류측이 되고, 도 2의 지면 좌측이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하류측이 된다.The tap water through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n FIG. 2 flows from the right side of FIG. 2 toward the left side in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n this case, looking at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shown in FIG. 2, the right side of the ground in FIG. 2 becomes the upstream sid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and the left side of the ground in FIG. 2 is downstream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Side.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플랜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직경 및 전장(全長)이 수 mm ~ 수십 mm 정도, 구체적으로는 직경이 약 15mm이고 길이가 약 10mm의 소형이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251) 및 제2 수납부(252)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예를 들면 수지제이고, 도 2 및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부재(50, 60)와, 충돌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 부재(50, 60)는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41, 42)를 갖고 있다. 유로(41, 42)는 서로 접속되어 연속되는 1개의 유로를 구성한다.5 and 6,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flange as a whole, and the diameter and the total length are several mm to several tens of mm, specifically, about 15 mm in diameter. It is compact with a length of about 10 mm.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storage unit 251 and the second storage unit 252, as shown in FI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made of resin, for example, and is provided with flow path members 50 and 60 and a collision portion 70, as shown in FIGS. 2 and 5 to 9. The flow path members 50 and 60 have flow paths 41 and 42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8 and the like. The flow paths 41 and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stitute one continuous flow path.

유로(41, 42)를 연속하는 1 개의 유로로 본 경우, 충돌부(70)는 연속하는 유로(41,4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유로(41, 42)의 단면적을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유로(41, 42)를 통과하는 액체중에 미세 기포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2 개로 분할되어 별체로 구성된 유로 부재(50, 60)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로 부재(50, 60) 중, 상류측의 유로 부재(50)를 상류측 유로 부재((50)라고 부르고, 하류측의 유로 부재 (60)를 하류측 유로 부재(60)라고 부른다. 그리고, 2 개의 유로(41, 42) 중, 상류측의 유로(41)를 상류측 유로(41)라고 부르고, 하류측의 유로(42)를 하류측 유로(42)라고 부른다.When the flow paths 41 and 42 are viewed as one continuous flow path, the collision portion 70 is provided in the continuous flow paths 41 and 42. The collision portion 70 locally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s 41 and 42 to generate fine bubbles in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s 41 and 42.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flow path members 50 and 60 divided into two and divided into tw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mong the flow path members 50 and 60,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s called an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is called a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Then, of the two flow paths 41 and 42, the upstream flow path 41 is called an upstream flow path 41,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42 is called a downstream flow path 42.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도 6 ~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1), 중간부(52) 및 삽입부(53)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51)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에서의 상류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51)의 외경 치수는 제1 수납부(251)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고, 또한 제2 수납부(252)의 내경 치수보다 크다.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장착부(25)에 편성된 경우, 플랜지부(51)는 시일 부재(28)를 통하여, 제1 수납부(251)와 제2 수납부(252)의 경계 부분에서의 제2 수납부(252)의 주위 즉 제1 수납부(251)의 저부에 걸림 고정된다. 시일 부재(28)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구성된 O 링이며, 제1 수납부(251)의 저부와 플랜지(5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시일 부재(28)는 중간부(52)의 외주면부분에 설치되어 있다.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has a flange portion 51, an intermediate portion 52, and an insertion portion 53, as shown in Figs. The flange portion 51 constitutes an upstream portion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s shown in FIG. 2,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flange portion 5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and also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When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kn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25, the flange portion 51, through the sealing member 28,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5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Arou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that is, it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251. The sealing member 28 is, for example, an O-ring made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and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251 and the flange 51. That is, the sealing member 28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2.

도 6 ~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52)는 플랜지부(51)와 삽입부(53) 사이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중간부(52)의 외경 치수는 플랜지부(51)의 외경 치수보다 작고,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납부(252)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다. 삽입부(53)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에서의 하류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는 중간부(52)의 외경 치수보다 작다.6 to 8, the intermediate portion 52 is a portion that connects between the flange portion 51 and the insertion portion 53. The outer diameter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2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portion 51, and also slight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52,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section 53 constitutes a downstream portion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sertion portion 53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2.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류측 유로(41)를 갖고 있다. 상류측 유로(41)는 스로틀부(411)와 스트레이트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로틀부(411)는 상류측 유로(41)의 입구 부분으로부터 하류측 즉 충돌부(70)측을 향하여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스로틀부(411)는 상류측 유로(41)의 단면적 즉 액체의 통과 가능한 면적이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서서히 감소되는 소위 원추형 테이퍼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12)는 스로틀부(411)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12)는 내경이 변화되지 않는, 즉 유로의 단면적 즉 액체의 통과 가능한 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원통형, 소위 스트레이트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8,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has an upstream flow path 41 therein. The upstream flow path 41 includes a throttle portion 411 and a straight portion 412. The throttle portion 41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inlet portion of the upstream flow path 41 toward the downstream side, that is, the collision portion 70 side. That is, the throttle portion 411 is formed in a so-called conical tapered tube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that is,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pass,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The straight portion 412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hrottle portion 411. The straight portion 4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o-called straight tubular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oes not change,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hat is,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pass is not changed.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71), 이 경우 4 개의 돌출부(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71)는 유로(41)의 단면의 둘레 방향을 향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유로(41)의 단면으로 한 경우에는 유로(41) 등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즉, 도 8의 X9-X9선을 따른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유로(41)의 둘레 방향으로 한 경우에는 유로(41) 등의 단면의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The collision portion 7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n this case, the collision portion 70 is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The collision part 70 is comprised by several protrusion part 71, in this case, four protrusion parts 71, as shown in FIG. 9 and FIG. Each protruding portion 71 is arranged in a state spaced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41.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the case of a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41, a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flow path 41, such as X9-X9 in FIG. Let's refer to the section along the line. In addition, when it is set a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41, it shall mea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such as the flow path 41.

각 돌출부(71)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내주면으로부터, 유로(41)의 직경방향의 중심으로 향하여 돌출된 봉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71)는 유로(41)의 직경 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선단부가 뾰족한 뿔 형상이고 붙어 있는 부분이 반원기둥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71)는 뿔 형상의 선단부를 상호 소정 간격 만큼 이격한 상태에서 맞대어 배치되어 있다. 충돌부(7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개의 돌출부(71)에 의해 유로(41)내에 세그먼트 영역(413)과 갭 영역(414)과 슬릿 영역(415)을 형성하고 있다. 즉, 각 돌출부(71)는 상류측 유로(41)에서의 스트레이트부(412) 내를, 세그먼트 영역(413)과, 갭 영역(414)과, 슬릿 영역(415)으로 구분하고 있다.Each protrusion 71 is formed in a rod shape or a plate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toward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41. In this embodiment, each protruding portion 71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rod shape in which the tip portion has a pointed horn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flow path 41 in the radial direction. Each protruding portion 71 is disposed in a state where the tip ends of the horn shap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10, the collision portion 70 forms a segment region 413, a gap region 414, and a slit region 415 in the flow path 41 by four projections 71. That is, each protrusion 71 is divided into a segment region 413, a gap region 414, and a slit region 415 in the straight portion 412 in the upstream flow path 41.

세그먼트 영역(413) 및 슬릿 영역(415)은 상류측 유로(41)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돌출부(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류측 유로(41)내에는 4 개의 세그먼트 영역(413)이 형성되어 있다. 세그먼트 영역(413)은 미세 기포의 발생에도 기여하지만, 갭 영역(414)이나 슬릿 영역(415)의 저항에 의해 감소하는 물의 유량을 보충하는 통수로로서의 역할이 크다. 이 경우, 각 세그먼트 영역(413)의 면적은 각각 동등하다.The segment region 413 and the slit region 415 are formed by two protrusions 71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In this case, four segment regions 413 are formed in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The segment region 413 also contributes to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but has a large role as a water passage for replenishing the flow rate of water decreased by the resistance of the gap region 414 or the slit region 415. In this case, the area of each segment region 413 is equal.

갭 영역(414)은 각 돌출부(71)에 대해 상류측 유로(41)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돌출부(71)의 선단부를 연결한 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다. 갭 영역(414)은 상류측 유로(41)의 단면의 중심을 포함하고 있다. 세그먼트 영역(413) 및 슬릿 영역(415)의 수는 돌출부(71)의 수와 동등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충돌부(70)는 4 개의 세그먼트 영역(413) 및 4 개의 슬릿 영역(415)을 갖고 있다.The gap region 414 is an area surrounded by a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wo adjacent protrusions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with respect to each protrusion 71. The gap region 414 includes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The number of segment regions 413 and slit regions 415 is equivalent to the number of protrusions 71. In this embodiment, the collision portion 70 has four segment regions 413 and four slit regions 415.

슬릿 영역(415)은 상류측 유로(41)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돌출부 (71)의 사이에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 슬릿 영역(415)의 면적은 각각 동등하다. 각 슬릿 영역(415)은 갭 영역(414)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모든 세그먼트 영역(413)과 갭 영역(414)과 슬릿 영역(415)은 서로 연통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lit region 415 is a rectangular region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sions 7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each slit region 415 is equal. Each slit region 415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 gap region 414. In this case, all the segment regions 413, the gap regions 414, and the slit regions 415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in a cross shape as a whole.

상류측 유로(41)의 하류측의 단부는 충돌부(70)에 형성된 세그먼트 영역(413)과 갭 영역(414)과 슬릿 영역(415)에 의해, 상류측 유로(41)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충돌부(70)의 하류측의 단면 즉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하류 측 단면(54)은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downstream end portion of the upstream flow path 41 is communicated to the outside of the upstream flow path 41 by the segment region 413 and the gap region 414 and the slit region 415 formed in the collision portion 70. have. In addition, the downstream end surface of the collision portion 70, that is, the downstream end surface 54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s configured to be flat as shown in FIG. 6 and the like.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하류측 유로(42)를 갖고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연통부(253)의 내경 치수는 하류측 유로(42)의 내경 치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연통부(253)의 내경 치수와 하류측 유로(42)의 내경 치수는 대략 동등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외경 치수는 중간부(52)의 외경 치수와 대략 동등하다. 그리고,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피삽입부(61) 및 변형부(62)를 갖고 있다.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s shown in Figs. 6 to 8, and has a downstream flow path 42 therein as shown in Fig. 8.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253 shown in FIG. 2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ownstream flow path 42.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communication part 253 and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ownstream flow path 42 are approximately equal. 8,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ownstream-side flow path member 60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termediate portion 52. As shown in FIG. Further,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has an inserting portion 61 and a deforming portion 62 therein, as shown in FIGS. 7 and 9.

피삽입부(6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유로 부재(60) 내에서 하류측 유로(42)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삽입부(6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경 치수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크다. 그 때문에, 상류측 유로 부재 (50)의 삽입부(53)는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피삽입부(61)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insertion target 61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flow path 42 in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The inserted portion 6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8 and the like,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serted portion 6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sertion portion 53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Therefore, the insertion part 53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61 of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변형부(62)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직경 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변형부(62)는 하류측 유로(42)의 흐름 방향 즉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가늘고 긴 봉형상, 소위 리브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4 개의 변형부(62)를 갖고 있다. 각 변형부(6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삽입부(61)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7 and 9, the deformed portion 62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ed portion 61 toward the center of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deformable portion 62 is formed in an elongate rod-shaped, so-called rib shape exten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ownstream flow path 42,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downstream-side flow path member 60 has four deformation parts 62. As shown in FIG. 9, each deformable part 62 is arrange | 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be-inserted part 61. As shown in FIG.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삽입부(53)가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피삽입부(61) 내에 삽입되면, 변형부(62)는 피삽입부(61)의 외주면에 찌그러져 변형된다. 이 때문에, 삽입부(53)의 주위는 변형부(62)에 의해 억압된다. 이에 의해,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삽입부(53)와 피삽입부(61)가 서로 압박된 상태에서 접속된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insertion portion 53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61 of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the deforming portion 62 is the insertion portion ( It is deformed by being crush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61). For this reason,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portion 53 is suppressed by the deforming portion 62. Thereby,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are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the insertion portion 61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피삽입부(61)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내경 치수가 연속적으로 서서히 감소되는 소위 원추형 테이퍼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피삽입부(61)에서의 상류 단부의 내경 치수는 피삽입부(61)에서의 하류 단부의 내경 치수보다 크고, 또한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도 크다. 그리고, 각 변형부(62)는 테이퍼관 형상의 피삽입부(61)의 내측면을 따라,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각 변형부(62)의 거리가 축소되도록 경사지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erted portion 61 is formed in a so-called conical tapered tube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That is,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upstream end portion in the inserted portion 61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ownstream end portion in the inserted portion 61 and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serted portion 53. Then, each of the deformed portions 62 is arrang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of each deformed portion 62 decreases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red tube-shaped inserted portion 61.

이 경우, 피삽입부(61)의 입구측 즉 상류 단부의 내경 치수는 삽입부(53)의 외경 치수보다 큰 점에서,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내에 삽입하기 쉽다. 그리고,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 내에 밀어 넣으면, 삽입부(53)의 외측면이 경사진 변형 부(62)를 따라 이동하므로, 삽입부(53)의 중심과 피삽입부(61)의 중심이 일치되기 쉬워진다. 즉, 이 경우, 상류측 유로(41)의 직경 방향의 중심과 하류측 유로(42)의 직경 방향의 중심이 일치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결과, 삽입부(53)를 피삽입부(61)에 삽입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변형부(62)로 바꾸어, 변형부(62)와 동일한 구성을 삽입부(53)의 외주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에 의해서도, 변형부(62)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In this case, since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let side of the inserted portion 61, that is, the upstream end portion,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inserted portion 53, it is easy to insert the inserted portion 53 into the inserted portion 61. Then, when the insertion portion 53 is push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61,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53 moves along the inclined deformation portion 62, so th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ortion 53 and the insertion portion The center of 61 becomes easy to match. That is, in this case,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and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flow passage 42 are likely to coincide. As a result, the operation when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53 into the insertion portion 61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deformable portion 62 may be provid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53 by changing to the deformed portion 62. Thereby,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deformed portion 62 is obtained.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삽입부(53)가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피삽입부(61)에 삽입되고,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하류측 유로 부재(60)가 서로 접속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장착부 (25)내에 편성된다. 미세 기포 발생기(40) 중,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제2 수납부 (252)내에 수납되어 있다.2 and 8,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serts the insertion portion 53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nto the inserted portion 61 of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and is upstream. The side flow path member 50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ssembled, and are knitted in the mounting portion 25. Among the micro-bubble generators 40, the downstream flow channel member 6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분에 의해 제1 수납부(251) 및 제2 수납부(252)의 저부측으로 억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와 장착부(25)는 수밀 상태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외경은 연통부(253)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제1 수납부(251) 및 제2 수납부(252)측에서 연통부(253)를 빠져나와 급수구부(24)의 유로(241)측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As shown in FIG. 2,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suppressed to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by the tip portion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Thereby,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and the mounting part 2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atertight state. In this case, the outer diameter of the downstream-side flow path member 6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253. Therefor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does not pass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 253 from the first stora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side, and does not fall into the flow path 241 side of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이 구성에서 급수 밸브(23)가 동작하여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상류 단부에 수도압이 인가되면, 상류측 유로(41)로부터 하류측 유로(42)에 걸쳐 수돗물이 흐른다. 수돗물은 기체로서 주로 공기가 녹아 든 기체 용해 액체이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유로(41, 42) 내를 통과하는 물내에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의 미세 기포를 다량으로 발생시킨다.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의한 미세 기포의 발생 원리는 다음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ter supply valve 23 operates and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tap water flows from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to the downstream flow passage 42. Tap water is a gas, and is a gas-dissolving liquid mainly containing air.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having a diameter of 5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25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nm or less in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s 41 and 42. It is considered that the principle of generating fine bubbles by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as follows.

미세 기포 발생기(40) 내를 통과하는 물은 우선, 상류측 유로(41)의 스로틀부(411)를 통과할 때 좁혀져 서서히 유속이 증가해 간다. 그리고, 고속류가 된 물이 충돌부(70)에 충돌하여 통과하면, 그 물의 수압이 급격히 저하된다. 그 급격한 압력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효과에 의해, 수중에 기포가 발생한다.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first narrows when passing through the throttle portion 411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and the flow rate gradually increases. Then, when the water which has become a high-speed flow collides and passes through the collision portion 70,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rapidly decreases.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water due to the cavitation effect caused by the rapid pressure drop.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류측 유로(41)의 스트레이트부(412) 내를 흐르는 물이 충돌부(70)에 충돌하면, 그 물은 충돌부(71)의 주위를 따라서 흐르는 것으로, 세그먼트 영역(413), 갭 영역(414), 및 슬릿 영역(415)으로 나누어져 흐른다. 갭 영역(414) 및 슬릿 영역(415)의 단면적은 세그먼트 영역(413)에 비해 더 작으므로, 갭 영역(414) 및 슬릿 영역(415)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더욱 높아진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water flowing in the straight portion 412 of the upstream flow passage 41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ortion 70, the water flow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llision portion 71, and the segment region ( 413), a gap region 414, and a slit region 415.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ap region 414 and the slit region 415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gment region 413,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gap region 414 and the slit region 415 becomes higher.

그러면, 갭 영역(414) 및 슬릿 영역(415)을 통과하는 물에 가해지는 환경 압력은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그 결과 물에 용존하고 있는 공기가 비등 상태가 되어 미세기포로서 석출된다. 이에 의해, 충돌부(70)를 통과한 물 중에 발생하는 기포의 대부분이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로 미세화되고, 또한 그 미세 기포의 양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기(40)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미세 기포를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Then, the environmental pressure applied to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gap region 414 and the slit region 415 is in a state close to vacuum, and as a result, air dissolved in the water is boiled and precipitated as microbubbles. As a result, most of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lision portion 70 are refined to 500 nm or less in diameter, more preferably 250 nm or less in diameter, more preferably 100 nm or less in diameter, and the amount of the fine bubbles increases. do. As described above,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can be generated without obtaining a supply of gas from the outside.

다음에,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에 대해,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작업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세정조(12)의 외부측 및 내부측 중 어느 것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도 착탈할 수 있다. 우선, 세정조(12)의 외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급수구부(24) 및 장착부(25)는 세정조(12)의 벽면(121)에 이미 장착되어 있고 또한 벽면(12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mounting and removing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or can detac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by operation from either the outer side or the inn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First, the case wher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mounted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12 will be describ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mounting portion 25 are alread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and are not separated from the wall surface 121.

이 경우, 작업자는 우선 세정조(12)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장착구멍(122)으로부터 세정조(12)의 외방으로 돌출된 장착부(25)에 대하여, 수납부(251, 252) 내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삽입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장착부(25)의 받이 부(254) 내에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세정조(12)의 외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내부 급수경로 B에 장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or first fines the housings 251 and 252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25 protruding outwardly of the washing tank 12 from the mounting hole 122 by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12. The bubble generator 40 is inserted. Next, the operator insert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n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Thereby, the operator can attac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to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by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ing tank 12.

이 경우, 시일 부재(27)의 외경을 받이부(25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시일 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장착부(25)의 받이부(254)의 내주면과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서로 끼워 맞추는 나사를 형성하고,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끼워 넣어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case, by mak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27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the tip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aling member 27.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screws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screw fitting each other. 254).

이 경우, 작업자는 장착구멍(122)으로부터 돌출된 장착부(25)에 대해 미세 기포 발생기(40) 및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하기 쉽다. 그 때문에, 세정조(12)의 외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장착은, 세정조(12)가 하우징(11)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식기 세정기(10)의 제조시의 조립 작업에서 보다 유효하다.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insert and assemble the tip portion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and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to the mounting portion 25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hole 122, so it is easy to work. Therefore, mounting by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12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washing tank 12 is not stored in the housing 11, that is, assembling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dishwasher 10 Valid.

또한, 작업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세정조(12)의 외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작업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장착부(25)로부터 분리할 때, 우선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받이부(254)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예를 들어 봉형상의 부재 등을 받이부(254)측으로부터 넣어 충돌부(70)에 걸어 미세 기포 발생기(70)를 받이부(254)측으로 빼낸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separate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by, for example,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ing tank 12 as follows.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separates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from the mounting portion 25, first, the tip portion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54. Thereafter, for example, a rod-like member or the like is put from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and hooked to the collision portion 70 to take out the fine bubble generator 70 to the receiving portion 254 side.

다음에,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부 급수관(22)은 하우징(11)과 세정조(12) 사이의 공간의 소정 위치에 이미 장착되어 있고, 또한 그 소정 위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급수구부(24) 및 장착 부(25)가 세정조(12)의 벽면(121)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장착부(25)의 수납부(251, 252) 내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삽입한다.Next, the case wher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mounted by the operation from the inside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will be describ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alread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washing tank 12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case, the operator is in the state that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mounting portion 25 are off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 the storage portion 251, 252 of the mounting portion 25 ).

다음에, 작업자는 장착부(25) 내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수납한 상태에서, 장착부(25)를,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 외부측을 향하여 장착 구멍(122)에 삽입하고, 장착부(25)의 받이부(254) 내에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급수구부(24) 및 장착부(25)를, 벽면(121)에 대하여 나사(15) 등에 의해 고정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내부 급수경로 B상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와는 반대의 수순을 수행함으로써,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내부 급수경로 B 상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Next, the operator inserts the mounting portion 25 into the mounting hole 122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oward the outside, whil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housed in the mounting portion 25, The tip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Then, the operator fixes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he mounting portion 25 to the wall surface 121 with screws 15 or the like. Thereby, the operator can mou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on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by the opera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hen, the operator can separat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from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phase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pposite to the above.

이 경우, 작업자는 하우징(11) 내로부터 세정조(12)를 분리하지 않고,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착탈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착탈은 세정조(12)를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하기 곤란한 상태, 예를 들어 식기 세정기(10)의 사용자 자신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교환하는 경우 등에서 보다 유효하다.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detac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without separating the cleaning tank 12 from within the housing 11. Therefore, detachment by opera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washing tank 12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washing tank 12 from the housing 11, for example, the user of the dishwasher 10 himself or herself is a micro bubble generator ( It is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exchanging 40).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식기 세정기(10)의 운전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식기 세정기(10)는 운전을 개시하면, 우선 전환 밸브(35)에 의해 배수 경로 D를 폐쇄한 상태에서, 급수 밸브(23)를 개방하여 급수경로 A, B를 개통시키고, 이에 의해 세정조(12) 내에 주입한다. 또한, 이 때, 순환 경로 C는 개통 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펌프(36)는 동작하고 있어도 동작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급수 밸브(23)로부터 내부 급수경로 B에 유입된 수돗물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할 때, 직경 5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100nm 이하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물 즉 직경이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미세 기포수가 되어 세정조(12) 내에 주수된다.Next, the operation contents of the dishwash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ishwasher 10 starts operating, first, the water supply valve 23 is opened by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23 while the drainage path D is closed by the switching valve 35, and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are opened. Thereby, it is injected into the washing tank 12. Further, at this time, the circulation path C is in the opened state, but the pump 36 may or may not be operated. And, when the tap water flowing into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from the water supply valve 23 passes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the fine bubbles of 500 nm or less in diameter, more preferably 250 nm or less in diameter, more preferably 100 nm or less in diameter, The water containing, that is, the diameter becomes fine bubble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of the nano-order, and is poured into the cleaning tank 12.

여기에서, 세정조(12) 내에는 운전의 개시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조(12) 내에 급수된 미세 기포수가 세정조(12) 내에서 세제와 혼합됨으로써, 세제와 직경이 나노 오더인 미세 기포를 함유하는 세정액이 생성된다.Here, the detergent is input into the washing tank 12 by the user before the start of operation. For this reason, when the fine bubble water supplied into the cleaning tank 12 is mixed with the detergent in the cleaning tank 12, a detergent and a cleaning liquid containing fine bubbles having a nano-order in diameter are produced.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미세 기포수 즉 세정액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식기 세정기(10)는 급수 밸브(23)를 닫고 세정조(12) 내로 급수를 정지하고, 그 후, 펌프(36)를 동작시켜 세정조(12) 내에 저류된 미세 기포수를 순환시킨다. 이에 의해, 세정 노즐(32)의 노즐 선단부(322)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이 식기류(1)에 반복하여 분사되고, 식기류(1)의 세정이 실시된다.When the fine bubble water stored in the washing tank 12, that is, the wash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the dishwasher 10 closes the water supply valve 23 and stops water supply into the washing tank 12, and thereafter, the pump 36 ) To circulate the fine bubble water stored in the washing tank 12. Thereby, the cleaning liquid sprayed from the nozzle tip portion 322 of the cleaning nozzle 32 is repeatedly sprayed onto the tableware 1, and the tableware 1 is cleaned.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미세 기포는 그 기포의 입자 직경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입자 직경이 수 ㎛ 내지 50 ㎛ 정도 즉 마이크로 오더의 기포는 마이크로 버블 또는 파인 버블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이에 대해, 입자 직경이 수백 nm ~ 수십 nm 이하 즉 나노 오더의 기포는 나노 버블 또는 울트라 파인 버블로 불리고 있다.Here, generally, the fine bubbles are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ubbles. For example, the particle diameter is about several to 50 μm, that is, the bubbles of the micro order are called microbubbles or fine bubbles. On the other hand, the particle diameter of several hundred nm to several tens of nm or less, that is, the bubbles of the nano order are called nano bubbles or ultra fine bubbles.

기포의 입자 직경이 수백 nm ~ 수십 nm 이하가 되면, 빛의 파장보다 작아지므로 시인할 수 없게 되고, 액체는 투명해진다. 그리고,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는 마이크로 오더 이상의 기포에 비하여, 총 계면 면적이 큰 점, 부상 속도가 늦은 것, 내부 압력이 큰 것 등의 특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입자 직경이 마이크로 오더인 기포는, 그 부력에 의해 액체 중을 급속하게 상승하고, 액체 표면에서 파열되어 소멸되므로, 액체 중의 체류 시간이 비교적 짧다. 한편, 입자 직경이 나노 오더인 미세 기포는 부력이 작으므로 액체 중에서의 체류시간이 길다.Whe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bubble becomes several hundred nm to several tens of nm or less, it becomes smaller than the wavelength of light and becomes unrecognizable, and the liquid becomes transparent. In addition, the microbubbles of the nano-order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a large total interfacial area, a low floating speed, and a large internal pressure, as compared to microbubbles or more. For example, since bubbles having a micro-diameter particle diameter rapidly rise in the liquid due to its buoyancy and rupture and disappear from the liquid surface, the residence time in the liquid is relatively short.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icrobubbles having a nano-order of particle diameter have a small buoyancy, the residence time in the liquid is long.

입자 직경이 나노 오더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수는,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하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정을 실시한 경우에도, 수돗물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세정 성능의 향상이 예상된다. 그러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자 직경이 나노 오더인 미세 기포(91)를, 계면활성제(92)가 녹은 세정액 중에 혼합시킴으로써, 미세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세정액으로 세정을 실시한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율 좋게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Even when the microbubble water whose particle diameter contains the microbubbles of the nano-order is cleaned without using a detergent containing a surfactant or the like,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to a certain extent compared to tap water. However, as shown in Fig. 11, by mixing the microbubbles 91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nano-order in a washing liquid in which the surfactant 92 is dissolved, it is more effective than when washing with a normal washing liquid containing no microbubbles.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efficiently.

이것은 다음과 같은 원리라고 생각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계면활성제(92)는 어느 농도 이상이 되면,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끼리 모이고, 미셀화하여 계면활성제(92)의 응집체(93)를 형성한다. 이 응집체(93)의 입자 직경은 수십 nm로 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입자 직경 500nm 이하의 미세 기포(91)는 그 표면이 부의 전하로 대전하여 소수성이 되어 있으므로,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를 끌어당긴다.This is thought to be the following principle. That is,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urfactant 92 is at a certain concentration or more, the hydrophobic groups of the surfactant 92 are gathered together, and micelles are formed to form aggregates 93 of the surfactant 92. . The aggregate 93 has a particle diameter of several tens of nm. On the other hand, the fine bubbles 91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00 nm or less, for example, are charged with a negative charge and become hydrophobic, so that the hydrophobic group of the surfactant 92 is attracted.

그 때문에, 미셀화된 계면활성제(92)의 응집체(93)를 포함하는 세제를, 입자 직경 500nm 이하의 미세 기포(91)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수에 혼합하면, 미세 기포(91)의 표면의 소수성 작용에 의해 응집체(93)의 에너지적 안정 상태가 무너지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체(93)가 무너져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분산된다. 그리고, 분산된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는 계면활성제(92)의 소수기와 미세 기포(91)의 소수성을 갖는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미세 기포(91)의 표면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세정액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92)는 미세 기포(91)에 흡착되어 복합체(94)를 형성한다.Therefore, when the detergent containing the aggregate 93 of the micellarized surfactant 92 is mixed with the microbubbles water containing the microbubbles 91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500 nm or less, the surface of the microbubbles 91 can be mixed. Due to the hydrophobic action, the energy stable state of the aggregate 93 collapses, and as shown in FIG. 12, the aggregate 93 collapses, thereby dispersing each molecule of the surfactant 92. Then, each molecule of the dispersed surfactant 92 is adsorbed to the surface of the microbubbles 91 by the interaction of the hydrophobic group of the surfactant 92 and the surface having the hydrophobicity of the microbubbles 91. Thereby, the surfactant 92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is adsorbed to the fine bubbles 91 to form the complex 94.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92)와 미세 기포(91)의 복합체(94)는 미세 기포(91)의 부력 등에 의해 세정액 중에 광범위에 걸쳐 확산된다. 이 때문에,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예를 들어 식기류(1)의 표면에 장착된 기름때 성분(95) 등에 접촉될 확률이 대폭 향상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92)와 미세 기포(91)의 복합체(94)가 오염 성분(95)에 접근하면, 오염 성분(95) 표면의 소수 작용에 의해 계면활성제(92)와 미세 기포(91)의 에너지적 안정성이 무너지고, 미세 기포(91)의 변형이나 파열이 발생한다. 그러면, 계면활성제(92)의 각 분자가 분리되어 오염 성분(95)에 흡착되고, 또한 미세 기포(91)의 파열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오염 성분(95)이 식기류(1)의 표면에서 들떠 벗겨지기 쉬워진다.Then, as shown in FIG. 13, the complex 94 of the surfactant 92 and the fine bubbles 91 is diffused over a wide range in the cleaning solution due to buoyancy of the fine bubbles 91 or the like. For this reason, the probability that each molecule of the surfactant 92 comes into contact with, for example, the grease component 95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1 is greatly improved. And, as shown in FIG. 13, when the complex 94 of the surfactant 92 and the micro-bubbles 91 approaches the contaminant component 95, the surfactant () 92) and the energy stability of the fine bubbles 91 collapses, and deformation or rupture of the fine bubbles 91 occurs. Then, each molecule of the surfactant 92 is separated and adsorbed to the contaminant component 95, and the contaminant component 95 is lifted off from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1 due to the impact due to the rupture of the fine bubbles 91. It becomes easy to lose.

그 때, 미세 기포(91)의 파열의 충격 의해 발생한 오염 성분(95)과 식기류(1)의 표면과의 틈에, 계면활성제(92)가 들어가 오염 성분(95)의 유화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계면활성제(92)는 오염 성분(95)을 가져와 유화시킴으로써 오염 성분(95)을 식기류(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고, 이에 의해 세정 능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미세 기포(91)는 계면활성제(92)의 세정 능력을 끌어내고 있다고 한다.At this time, the surfactant 92 enters the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dishes 1 and the contamination component 95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rupture of the fine bubbles 91 to promote emulsification of the contamination component 95. Then, the surfactant 92 removes the contaminating component 95 from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1 by bringing the contaminating component 95 and emulsifying it, thereby exerting a cleaning ability. In this way, the microbubbles 91 are said to draw the cleaning ability of the surfactant 92.

또한, 식기 세정기(10)에 이용하는 세제는 계면활성제 외에 중조(重曹)나 시트르산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세제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는 천연 유래의 것, 또는 인공적으로 생성된 합성계면활성제의 것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세제는 고형나 액체, 분체 중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detergent used for the dishwasher 10 may contain, in addition to a surfactant, sodium bicarbonate or citric acid. In addition, the surfactant contained in the detergent may be either naturally derived or artificially generated synthetic surfactant. The detergent may be in any form of solid, liquid, or powder.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기 세정기(10)는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하고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수도꼭지(2)로부터 급수구부(24)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A, B 상에 설치되어 있다.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 A, B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급수경로 A, B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급수경로 A, B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hwasher 10 is provided with a fine bubble generator 40.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from the faucet 2 to the water supply port 24.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cludes the micro-bubbles by including micro-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supply paths A and B without locally supplying ga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supply paths A and B Generate a number.

이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내부 급수경로 B의 도중에 설치함으로써, 미세 기포를 다량으로 포함하는 미세 기포수를, 세정조(12) 내에 급수할 수 있다. 그리고, 식기 세정기(10)는 미세 기포수와 세제를 혼합시켜 생성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식기류(1)를 세정함으로써, 통상의 수돗물과 세제를 혼합시켜 생성된 세정액에 비하여 세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by install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 the middl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micro-bubble 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icro-bubbles into the washing tank 12. In addition, the dishwasher 10 washes the dishes 1 using a cleaning solution produced by mixing fine bubble water and a detergent, thereby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leaning solution produced by mixing normal tap water and a detergent. You can.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 A, B의 외부로부터 가스 공급을 얻을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식기 세정기(10)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 밸브나 구동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정기(10)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세정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미세 기포 발생에, 수돗물의 압력 이외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In addition,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does not need to obtain gas supply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For this reason, since the dishwasher 10 does not need to install a suction valve or a driving mechanism for obtaining external gas, the structure for generating fine bubble water can be made simple.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dishwash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imple configuration and improve the cleaning ability. In addition, since generation of fine bubbles does not require power other than the pressure of tap water, energy is saved.

또한, 식기 세정기(10)는 외부의 기체를 얻기 위한 흡입 밸브나 구동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들 흡입 밸브나 구동기구 등의 조정이 불필요하고,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조정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식기 세정기(10)에 따르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조립 후의 조정이나 유지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hwasher 10 is not provided with a suction valve or a driving mechanism for obtaining external gas, adjustment of these suction valves and driving mechanisms is unnecessary, and adjustment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also required. Do not.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dishwasher 10 of this embodiment, the assembling operation becomes easy, and adjustment and maintenance after assembling can also be facilitated.

여기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 중, 상류측 유로 부재(50)에 설치된 충돌부 (70)에는 높은 수압이 걸린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녹 등을 많이 포함하는 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장기 사용에 의해 충돌부(70)가 마모나 변형 등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기(40) 중, 적어도 충돌부(70)를 갖는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교체의 가능성이 있는 부품이다.Here, among the microbubble generators 40, a high w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llision portion 70 provided on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water containing a lot of rust or the like is 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llision part 70 may be worn or deformed due to long-term use. For this reason,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at least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having the collision portion 70 is a component that can be replac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성하는 상류측 유로 부재(50) 및 하류측 유로 부재(60)는 급수구부(24)나 장착부(25)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급수경로 A, B 상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5)는 급수경로 A, B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급수경로 A, B 상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그 결과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유지 관리성이 향상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constitu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are configured as separate members from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or the mounting portion 25. have. And, the mounting portion 25 for moun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and can also be easily mounted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It might b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can be easily exchanged, and as a result, the maintainability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improved.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구부(24)에 내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구부(24)와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25)에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급수구부(24)의 장착 및 분리의 일련의 작업 중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에서 큰 수고를 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이나 분리를 수반하는 조립이나 유지 관리 작업의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built in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embedded in the mounting portion 25 formed integrally with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ccording to this,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among the series of operations of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work without a great effort in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of the assembly and maintenance work accompanying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구부(24)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설치함에 의한 식기 세정기(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built in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 dedicated large space for moun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enlargement of the dishwasher 10 by providing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can be suppressed.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세정조(12)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급수경로 A, B 상, 이 경우, 내부 급수경로 B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작업자는 세정조(12)가 하우징(11) 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립 작업, 즉 식기 세정기(10)의 제조시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식기 세정기(10)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in this case, on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by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12. According to this, the operator becomes easy to assemble in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tank 12 is not housed in the housing 11, that is, assemble in the manufacture of the dishwasher 10. As a resul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dishwasher 10 can be improved.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세정조(12)의 내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급수경로 A, B 상, 이 경우 내부 급수경로 B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정조(12)를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하기 곤란한 상태에서의 작업, 예를 들어 각 가정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교환하는 유지 관리 작업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식기 세정기(10)의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and in this case,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by operation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12. According to this, the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cleaning tank 12 from the housing 11, for example, maintenance work for exchang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 each household becomes easy. As a result, the maintainability of the dishwasher 10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주로 세정조(12)의 외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체적의 적어도 반 이상은 세정조(1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정조(12) 내의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설치했다고 해도, 세정조(12) 내에서의 식기류(1)의 배치 공간을 압박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main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half of the volum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outside the cleaning tank 12. According to this, the space in the washing tank 12 can be secured larger. Therefore, even i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essing of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dishes 1 in the washing tank 12 as much as possibl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제2 실시형태에서는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구체적 구성 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의 하류측 유로 부재(60)를 갖고 있지 않다. 이 경우, 하류측 유로 부재 (60)는 장착부(25)에 일체적으로 내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일부는 장착부(2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the like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does not have the downstream-side flow path member 60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downstream-side flow path member 60 is integrally embedded in the mounting portion 25. That is, 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unting portion 25.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장착부(25)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연통부(253)를 대신하여 스트레이트부(421) 및 확대부(422)를 갖고 있다. 스트레이트부(421) 및 확대부(422)는 하류측 유로(42)를 구성한다. 스트레이트부(421) 및 확대부(422)는 장착부(25)를, 제2 수납부(252)측으로부터 급수구부(24)의 유로(241)측으로 향하여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유로(241)에 연통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트부(421) 및 확대부(422)에 의해 하류측 유로(42)가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25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aight portion 421 and an enlarged portion 422 in place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25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traight portion 421 and the enlarged portion 422 constitute a downstream flow channel 42. The straight portion 421 and the enlarged portion 422 are formed by penetrating the mounting portion 25 from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side toward the flow path 241 side of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and to the flow path 241. Are in communication. The downstream flow path 42 is configured by the straight portion 421 and the enlarged portion 422.

스트레이트부(421)는 제2 수납부(252)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412)는 내경이 변화되지 않는, 즉 유로의 단면적 즉 액체의 통과 가능한 면적이 변화되지 않는 원통형, 소위 스트레이트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대부(422)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즉 충돌부(7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확대부(422)는 하류측 유로(42)의 단면적 즉 액체의 통과 가능한 면적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서서히 확대되는 소위 원추형 테이퍼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traight portion 421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The straight portion 4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o-called straight tube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does not change,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hat is,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pass is not changed. The enlarged portion 422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enlarg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that is, away from the collision portion 70. That is, the enlarged portion 422 is formed in a so-called conical tapered tube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wnstream flow path 42, that is, the area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pass, gradually expands gradually from the upstream side toward the downstream side.

이 구성에서 충돌부(70)를 통과한 수돗물은 확대부(422)를 통하여 확산된다. 그 때, 하류측 유로(42)의 단면적이 확대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더욱 급격히 압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하는 전후의 압력차가 더욱 커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미세 기포가 보다 미세화되고, 또한 미세 기포의 발생량도 증대된다.In this configuration, tap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llision portion 70 is diffused through the enlarged portion 422. At that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ownstream-side flow passage 42 is enlarged, so that the pressure falls more rapidly than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by, since the pressur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becomes larger than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ne bubbles generated are further refined, and the generation amount of fine bubbles is also increas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내부 급수관(22)은 가요성을 갖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식기 세정기(10)는 접속 부재(29)를 갖고 있다. 접속 부재(29)는 내부 급수관(22)과 장착부(25)를 접속하기 위한 부품이다. 접속 부재(29)는 내부에 유로(291)를 갖고, 또한 외부에 칼라부(292)를 갖고 있다. 유로(291)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단면이 서서히 축소되는 테이퍼의 원형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로(291)의 내경은 상류측 유로 부재(50)의 스로틀부(411)보다도 완만하게 축소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hose having flexibility. Then, the dishwasher 10 has a connecting member 29. The connecting member 29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and the mounting portion 25. The connecting member 29 has a flow path 291 inside and a collar portion 292 outside. The flow path 29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apered circular tube whose cross section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flow path 291 is reduced more gently than the throttle portion 411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접속 부재(29)의 하류측의 단부는 받이부(254)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접속 부재(29)의 수납부(251, 252)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접속 부재(29)의 상류측의 단부는 내부 급수관(22)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16)를 칼라부(292)에 통과시켜 장착부(25)의 단면에 체결함으로써, 접속 부재(29)는 장착부(25)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급수경로 A, B 상, 이 경우 내부 급수경로 B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세정조(12)의 외측 및 내측의 어느 것으로부터도 실시할 수 있다.The end por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9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54. In addition, the flow path member 50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ortions 251 and 252 of the connection member 29. The end por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29 is inserted inside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Then, by passing the screw 16 through the collar portion 292 and fastening it to the end 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5, the connecting member 29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5. Thereby,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s A and B, in this case the internal water supply path B.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can be carried out from any of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cleaning tank 12, as in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있다.Also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이 경우 내부 급수관(22)으로서 가요성을 갖는 호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착 및 분리시에서의 내부 급수관(22)의 처리가 용이해진다. 그 결과,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시에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lso, in this case, since a flexible hose can be used as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the treatment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removal becomes easy. As a result, workability at the time of mounting and detaching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can be further improv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상류측 유로 부재(50)를 대신하여 상류측 유로 부재(501)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상류측 유로 부재(501)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의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접속 부재(29)를 일체로 형성한 형태이다.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has an upstream flow path member 501 instead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orm in which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connection member 29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integrally formed.

이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by, the effect similar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접속 부재(29)를 일체 형성한 형태이다. 이 때문에, 상기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상류측 유로부재(50)와 접속 부재(29)를 별도의 부품으로 한 경우에 비하여, 개별의 부품으로서의 접속 부재(29)나 접속 부재(29)에 이용하는 시일 부재(27)를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체로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29)에 대해서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접속 부재(29)를 각각 장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에 필요한 수고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s a form in which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connection member 29 are integrally formed.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connection member 29 are made into separate part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nection member 29 or the connection member 29 as separate parts is used. The sealing member 27 can be reduced,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s a whole. In addition, sinc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mount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connection member 29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member 29, the effort required to mou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can be reduced, resulting in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제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에, 도 18을 참조하여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 제4 실시형태에서, 급수구부(24)는 칼라부(242)를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장착부(25)의 외경은 벽면(121)에 형성된 장착구멍(122)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장착부(25)는 장착구멍(122)을 통과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급수관(22)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강성을 갖는 금속 관이며, 칼라부(221)를 갖고 있다. 칼라부(221)의 외경은 장착구멍(122)의 내경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는 세정조(12)의 외부 측으로부터 벽면(121)의 장착구멍(122)에 통과되고 있다. 그리고, 나사(17)를 칼라부(221)를 통해서 세정조(12)의 벽면(121)에 체결함으로써, 내부 급수관(22)은 세정조(12)의 벽면(121)에 고정되어 있다.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24 does not have a collar portion 242.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25 is se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122 formed in the wall surface 121.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25 is configured not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Then,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a metal pipe having rigidity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has a collar portion 221.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ar portion 221 is set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122. In this cas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122 of the wall surface 121 from the out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And, by fastening the screw 17 to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through the collar portion 221,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다음에,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내부 급수관(22)은 세정조(12)의 벽면(121)에 이미 장착되어 있고 또한 벽면(12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작업자는 장착부(25)의 수납부(251, 252)로부터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삽입한 상태, 이 경우, 상류측 유로 부재(50)를 삽입한 상태에서 세정조(12)의 내부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받이부(254) 내에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삽입한다.Next, a method of mounting and removing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will be describ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already mounted on the wall surface 121 of the cleaning tank 12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wall surface 121. The operator inserts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from the storage portions 251 and 252 of the mounting portion 25, and in this case, from the inner side of the cleaning tank 12 in the state where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is inserted. The tip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54 by the operation of.

이 경우, 장착부(25)를 나사 등에 의해 벽면(121)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시일 부재(27)의 외경을 받이부(25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시일 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장착부(25)의 받이부(254)의 내주면과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서로 끼워 맞추는 나사를 형성하고,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를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나사 체결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case, the mounting portion 25 may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121 by screws or the like. In addition, by mak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27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the tip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aling member 27.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screws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screw fitting each other. 254) may be fixed by screwing.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can be obtained.

또한, 내부 급수관(22)의 선단부는 장착구멍(122)으로부터 세정조(12)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장착부(25)의 장착 작업 즉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다. 이에 의해, 생산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 22 protrudes from the mounting hole 122 into the cleaning tank 12,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5, that is,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easy. . Thereby, furthe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s aimed at.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세정조(12)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11)과 세정조(12) 사이에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1)과 세정조(12) 사이의 공간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1)과 세정조(12)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비한 것에서도 식기 세정기(10) 전체로서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is installed in the cleaning tank 12. According to this, by install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washing tank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washing tank 12 from becoming large. Thereby,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washing tank 12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As a result, even if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achieve compactness as a whole of the dishwasher 10.

(제5 실시형태)(Fifth embodiment)

다음에,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급수관(22)의 도중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식기 세정기(10)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를 대신하여, 장착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 부재(80)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와 동등한 기능을 갖춘다. 내부 급수관 (22)은 장착 부재(80)를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의 2 개로 분할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part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dishwasher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80 instead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mounting member 80 has a func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divided into two,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80.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로 분할된 내부 급수관(22) 중 상류측의 내부 급수관(22)을, 상류측 내부 급수관(222)이라 부르고, 하류측의 내부 급수관(22)을, 하류 측 내부 급수관(223)이라고 부른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 기포 발생기 (40)를 내장한 장착 부재(80)는 상류측 내부 급수관(222)의 선단부와 하류측 내부 급수관(223)의 기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divided into two is called an upstream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2,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on the downstream side, and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3 on the downstream side. ). As shown in FIG. 20, the mounting member 80 incorpora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between the tip end of the upstream-sid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2 and the base end of the downstream-sid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3.

장착 부재(80)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납부(81), 제2 수납부(82), 스트레이트부(83), 확대부(84), 상류측 받이부(85), 및 하류측 받이부(86)를 갖고 있다. 제1 수납부(81)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제1 수납부(251)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다. 제2 수납부(82)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에서의 장착부(25)의 제2 수납부(252)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mounting member 80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81, a second receiving portion 82, a straight portion 83, an enlarged portion 84, an upstream receiving portion 85, And a downstream receiving portion 86. The first storage portion 81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storage portion 251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82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52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스트레이트부(83)는 상기 제2 ~ 제4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스트레이트부(421)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확대부(84)는 상기 제2 ~ 제4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확대부(422)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받이부(85, 86)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받이부(254)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경우, 상류측 받이부(85)는 장착부(25)에서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하류측 받이부(86)는 장착부(25)에서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The straight portion 83 has a function equivalent to the straight portion 421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The enlarged portion 84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422 of the attachment portion 25 in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Then, the receiving portions 85 and 86 hav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254 of the mounting portion 25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 this case, the upstream receiving portion 85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5, and the downstream receiving portion 86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25.

그리고, 하류측 받이부(86)에 하류측 내부 급수관(223)의 기단부가 삽입되고, 또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성하는 상류측 유로 부재(50)가 장착 부재(80)의 수납부(81, 82)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류측 받이부(85)에 상류측 내부 급수관(222)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And, the base end of the downstream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3 is inserted into the downstream receiving portion 86, and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constitu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has a storage portion 80 of the mounting member 80 ( 81, 82),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upstream-sid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2 is inserted into the upstream side receiving portion 85.

이 경우, 시일 부재(28)의 외경을 각 받이부(85, 86)의 내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시일 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받이부(85, 86)에 내부 급수관(222, 223)의 단부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받이부(85, 86)의 내주면과 내부 급수관(222, 223) 단부의 외주면에, 서로 끼워 맞추어지는 나사를 형성하고 내부 급수관(222, 223)의 단부를 각 받이부(85, 86)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case, by mak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 member 28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each of the receiving parts 85, 86, the elasticity of the sealing member 28 allows the receiving parts 85, 86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s 222, 223. The en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ceiving portions 85 and 8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s 222 and 223 ends, screws that are fitted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end portions of the inner water supply pipes 222 and 223 are respectively received. It may be fixed by fastening to.

이에 따르면,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is,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are obtained.

(제6 실시형태)(Sixth embodiment)

다음에,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제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내부 급수관(22)의 기단부 즉 급수 밸브(23)의 토출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식기 세정기(10)는 상기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장착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내부 급수관(22)은 상기 제6 실시형태와는 달리, 2 개로 분할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장착 부재(80)의 상류측 받이부(85)에는 급수 밸브(23)의 토출부(231)가 삽입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at the base end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that is, at the discharge sid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valve 23. In this case, the dishwasher 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80 similarly to the fifth embodiment. Also, in this case, unlike the sixth embodiment,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s not divided into two. And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art 231 of the water supply valve 23 is inserted into the upstream side receiving part 85 of the mounting member 80.

이 경우, 상류측 받이부(85) 내에 설치된 시일 부재(28)의 외경을 상류측 받이부(85)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시일 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상류측 받이부(85)에 급수 밸브(23)의 토출부(231)가 압입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류측 받이부(85)의 내주면과 토출부(231)의 외주면에, 서로 끼워 맞추는 나사를 형성하고, 토출부(231)를 상류측 받이부(85)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In this case, by mak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28 provided in the upstream receiving portion 85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stream receiving portion 85, the upstream receiving portion 85 is provi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aling member 28.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ion 231 of the water supply valve 23 may be configured to be press-fitted. In addition, screws that fit toge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receiving portion 8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31 may be formed, and the discharge portion 231 may be fastened to the upstream side receiving portion 85 to be fixed.

이에 따르면,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is,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are obtained.

또한, 제5 실시형태와 같이 내부 급수관(22)을 2 개로 분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5 실시형태의 구성에 비하여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조립 작업에 필요한 수고를 최대한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internal water supply pipe 22 into two as in the fifth embodiment. Therefore,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and as a result, the effort required for the assembly work can be made as simple as possible.

(제7 실시형태)(7th embodiment)

다음에, 도 23을 참조하여 제7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부(40)는 외부 급수경로 A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부(40)를 내장하는 장착 부재(80)는 외부 급수관(21)의 도중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급수관(21)은 장착 부재(80)를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의 2 개로 분할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path A.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member 80 incorporating the micro-bubble generation unit 40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In this case,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is divided into two,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80.

본 실시형태에서는 2 개로 분할된 외부 급수관(21) 중 상류측의 외부 급수관 (21)을, 상류측 외부 급수관(211)이라고 부르고, 하류측의 외부 급수관(21)을, 하류측 외부 급수관(212)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내장한 장착 부재(80)는 도 20에 도시한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상류측 외부 급수관 (211)의 선단부와 하류측 외부 급수관(212)의 기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on the upstream side of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divided into two is called an upstream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1,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 on the downstream side, and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2 on the downstream side. ). Then, the mounting member 80 incorpora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similar to the fifth embodiment shown in FIG. 20, between the leading end of the upstream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1 and the proximal end of the downstream external water supply pipe 212. Installed in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Eve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are exhibited.

또한, 미세 기포 발생부(40)를 내장하는 장착 부재(80)는 하우징(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을 실시할 때, 세정조(12)의 내부를 들여다보면서 작업하거나, 하우징(11)이나 세정조(12)를 분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세 기포 발생 부(40)의 장착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예를 들어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교환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80 incorporating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40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11. Therefor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work while look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leaning tank 12 or disassemble the housing 11 or the cleaning tank 12 when perform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icro-bubble generating unit 40, as a resul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exchange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and the like.

(제8 실시형태)(Eighth embodiment)

다음에,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제8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순환 경로 C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구성하는 상류측 유로 부재(50)는 지지축(31) 내에 설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th C. In this case,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constitut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s provided in the support shaft 31.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세정 노즐(32)은 유로(321), 노즐 선단부 (322) 및 회전축부(323)에 추가하여, 수납부(324), 스트레이트부(325), 및 확대 부 (326)를 갖고 있다. 수납부(324)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제2 수 납부(252) 또는 장착 부재(80)의 제2 수납부(82)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스트레이트부(325)는 제1 실시형태를 제외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스트레이트부(421) 또는 장착 부재(80)의 스트레이트부(83)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확대부(326)는 제1 실시형태를 제외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의 장착부(25)의 확대부(422) 또는 장착 부재(80)의 확대부(84)에 상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flow path 321, the nozzle tip 322, and the rotating shaft 323, the cleaning nozzle 3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portion 324, a straight portion 325, and an enlarged portion ( 326). The storage portion 324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rage portion 252 of the mounting portion 25 or the second storage portion 82 of the mounting member 80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traight portion 325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portion 421 of the mounting portion 25 or the straight portion 83 of the mounting member 80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e first embodiment. Then, the enlarged portion 326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422 of the attachment portion 25 or the enlarged portion 84 of the attachment member 80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cept the first embodiment.

이 구성에 의하면, 운전시에 펌프(36)의 작용에 의해 세정조(12) 내의 세정액을 순환시키면, 그 세정액이 순환 경로 C상에 설치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통과한다. 그러면, 순환 경로 C를 순환하는 세정액 중에 다량의 미세 기포가 발생한다. 이에 의해서도, 식기 세정기(10)는 다량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정액에 의해 식기류(1)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미세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세정액으로 세정을 실시한 경우에 비해 효율 좋게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tank 12 is circulated by the action of the pump 36 during operation, the cleaning liquid passes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th C. Then,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leaning liquid circulating the circulation path C. As a result, the dishwasher 10 can wash the dishes 1 with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so that the cleaning performance is more efficient than when washing with a normal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no fine bubbles. Can be improved.

또한, 세정조(12) 내의 세정액은 순환 경로 C를 반복 순환하므로,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여러 번 통과한다. 이 경우, 미세 기포 발생기(40)의 통과에 의해 발생한 미세 기포의 존속 기간 즉 소멸할 때까지의 시간은 세정액의 순환 기간보다 충분히 길다. 그 때문에, 세정액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여러 번 통과함으로써, 세정액 중에 미세 기포가 축적된다. 즉, 세정액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여러 번 통과함으로써, 세정액이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한 번만 통과한 경우에 비하여, 세정액 중에 포함되는 미세 기포의 농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식기 세정기(10)는 더욱 다량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세정액에 의해 식기류(1)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 좋게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tank 12 repeatedly cycles the circulation path C, it passes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several times. In this case, the duration of the fine bubbles generated by the passage of the fine bubbles generator 40, that is, the time until extinction disappears, is sufficiently longer than the circulation period of the cleaning liquid. Therefore, the fine bubbles accumulate in the cleaning liquid as the cleaning liquid passes through the fine bubble generator 40 several times.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the micro-bubbles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is increased by comparing the cleaning liquid with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only once by passing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several times. Thereby, since the dishwasher 10 can wash the dishes 1 with a cleaning solution containing a larger amount of fine bubbles,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 efficiently.

(제9 실시형태)(Ninth embodiment)

다음에, 도 26을 참조하여 제9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ni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형태에서, 세정 노즐(32)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각 노즐 선단부 (322)에 내장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세정 노즐(32)은 복수의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각 노즐 선단부 (3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eaning nozzle 32 embeds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in each nozzle tip 322.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nozzle 32 has a plurality of fine bubble generators 40. In addition, each fine bubble generator 40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nozzle tip 322.

이에 의해서도, 상기 제8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Thereby, the same effect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eighth embodiment are obtain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세정 노즐(32)은 미세 기포 발생기(40)를 복수 갖고있다. 즉, 순환 경로 C 상에는 복수의 미세 기포 발생기(40)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정액 중에 포함되는 미세 기포의 농도를 보다 높은 것으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더욱 효율 좋게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nozzle 32 has a plurality of fine bubble generators 40. That is, a plurality of fine bubble generators 40 are provided in parallel on the circulation path C. According to this, the concentration of fine bubbles contained in the cleaning liquid can be made higher, and as a result, the clea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more efficiently.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이며, 그 구체적 구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shown in each said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 water, and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can be changed suitably.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형태를 제외한 각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2 개로 분할된 상류측 유로 부재(50)와 하류측 유로 부재(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For example, in each of the embodiments except the first embodiment,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divided upstream flow path members 50 and downstream flow path members 60.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미세 기포 발생기(40)는 상류측 유로 부재 (50)와 하류측 유로 부재(60)가 일체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microbubble generator 40 may be formed in which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and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충돌부(70)는 상류측 유로 부재(50) 또는 하류 측 유로 부재(60)와 일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류측 유로 부재(50) 또는 하류측 유로 부재(6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복수의 나사 등을 체결하고, 그 나사의 선단을 유로(41, 42) 내에 돌출시킴으로써 충돌부(70)의 돌출부(71)와 동등한 기능을 발휘시켜도 좋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ollision portion 70 is not limited to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or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For example, a plurality of screws or the like are fasten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upstream flow path member 50 or the downstream flow path member 60 toward the inside, and the tip of the screw is projected into the flow paths 41 and 42 to collide with the collision portion 70. ), A func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protruding portion 71 may be exerted.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제1」, 「제2」라는 어구는 동일한 기능 작용을 갖는 구성을 구별하여 표현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붙인 것으로, 어떤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표현은 아니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hrases "first" and "second" are conveniently added to distinguish and express a configuration having the same functional action, and are not expressions indicating any priority.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said embodiment can be comprised by combining suitably as needed.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several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ese embodiment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se novel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nd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and gist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1: 식기류 2: 수도꼭지
10: 식기 세정기 11: 하우징
12: 세정조 13: 문
14: 식기 바구니 21: 외부 급수관
22: 내부 급수관 23: 급수밸브
24: 급수구부 25: 장착부
31: 지지축 32: 세정 노즐
33: 히터 34: 배수구부
35: 전환밸브 36: 펌프
40: 미세 기포 발생기 111: 외부 급수관 접속부
1: tableware 2: faucet
10: dishwasher 11: housing
12: cleaning tank 13: door
14: dish basket 21: external water supply pipe
22: internal water supply pipe 23: water supply valve
24: water supply port 25: mounting portion
31: support shaft 32: cleaning nozzle
33: heater 34: drain outlet
35: switching valve 36: pump
40: fine bubble generator 111: external water pipe connection

Claims (10)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식기가 수용되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도의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상기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 및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상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
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구부는,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장착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급수구부의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상기 급수구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유로 내에,
상기 돌출부 각각의 선단부를 연결한 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로의 단면의 중심을 포함한 영역인 갭영역과,
상기 갭영역에 연통하고 상기 유로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영역인 슬릿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A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dishes,
A water supply port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tank and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from a tap of the tap water into the washing tank, and
It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faucet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includes micro 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without obtaining a supply of ga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by locally reducing the water supply path. Microbubble generator to generate microbubble water,
Equipped with,
The water supply port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fine bubble generator therein,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built in the water supply port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
A flow path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It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path,
In the flow path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gap region which is surrounded by a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each of the protrusions and includes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A dishwasher in which a slit region, which is an area formed between two protrusions that communicate with the gap region and is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is formed.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식기가 수용되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도의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상기 세정조 내에 공급하는 급수구부,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상기 급수구부에 이르기까지의 급수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급수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상기 급수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 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 및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와 별체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를 수납한 상태로 상기 급수경로상에 설치되는 장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유로 내에,
상기 돌출부 각각의 선단부를 연결한 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로의 단면의 중심을 포함한 영역인 갭영역과,
상기 갭영역에 연통하고 상기 유로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영역인 슬릿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A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dishes,
A water supply port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tank and supplying tap water supplied from a tap of the tap water into the washing tank,
It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 from the faucet to the water supply port, and includes micro bubbles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ath without obtaining a supply of gas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ath by locally reducing the water supply path. A micro-bubble generator to generate micro-bubbles, and
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ne bubble generator and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ath while receiving the fine bubble generator inside,
The fine bubble generator,
A flow path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It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path,
In the flow path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gap region which is surrounded by a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each of the protrusions and includes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A dishwasher in which a slit region, which is an area formed between two protrusions that communicate with the gap region and is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세정조의 외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급수경로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water supply path by an oper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세정조의 내측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급수경로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on the water supply path by an operation from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세정조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경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
상기 하우징과 상기 세정조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구부를 접속하는 내부 급수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내부 급수관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upply valv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ashing tank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ath,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washing tank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valve and the water supply port,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internal water supply line, the dishwasher.
외각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식기가 수용되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 내에 저류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조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구부,
상기 배수구부로부터 상기 세정조 밖으로 배출된 세정액을 상기 세정조 내에서 분사하고, 그 분사되는 세정액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세정 노즐, 및
상기 배수구부로부터 상기 세정 노즐을 통하여 상기 세정조 내에 이르는 순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 경로를 국소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상기 순환 경로의 외부로부터 기체의 공급을 얻지 않고 상기 순환 경로를 통과하는 물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미세 기포수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발생기
를 구비하고,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액체가 통과 가능한 유로와,
상기 유로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유로 내에,
상기 돌출부 각각의 선단부를 연결한 선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로의 단면의 중심을 포함한 영역인 갭영역과,
상기 갭영역에 연통하고 상기 유로의 둘레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영역인 슬릿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A washing tank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receiving dishes,
A drain por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and draining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tank out of the washing tank,
A cleaning nozzle that ejects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drain port out of the cleaning tank in the cleaning tank and rotates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prayed cleaning liquid, and
It is installed on a circulation path from the drain port portion to the washing tank through the cleaning nozzle and is locally reduced in the circulation path to obtain fine gas in wate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without obtaining gas from outside of the circulation path. A microbubble generator that generates microbubble water by including air bubbles
Equipped with,
The fine bubble generator,
A flow path through which liquid can pass,
It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path,
In the flow path by a plurality of protrusions,
A gap region which is surrounded by a line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each of the protrusions and includes a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the flow path,
A dishwasher in which a slit region, which is an area formed between two protrusions that communicate with the gap region and is adjac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is form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세정 노즐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세정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내에 설치되는, 식기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ne bubble generator is built in the cleaning nozzle,
A dishwasher provided in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ing the cleaning nozz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상기 세정 노즐의 선단부에 내장되어 있는, 식기 세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fine bubble generator is built in the distal end of the cleaning nozzle, the dishwasher.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는 입자 직경이 100nm 이하의 미세 기포를 포함하는 미세 기포수를 생성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microbubble generator is capable of generating microbubble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0 nm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유로 내에 상기 갭영역 및 상기 슬릿영역에 연통하는 세그먼트 영역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갭영역 및 상기 슬릿영역은 상기 세그먼트 영역보다 작은, 식기 세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segment region communicating with the gap region and the slit region is further formed in the passage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he gap area and the slit area are smaller than the segment area.
KR1020180042796A 2017-04-13 2018-04-12 Dishwasher KR1021021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9902 2017-04-13
JP2017079902A JP6889594B2 (en) 2017-04-13 2017-04-13 Dishwa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636A KR20180115636A (en) 2018-10-23
KR102102194B1 true KR102102194B1 (en) 2020-04-20

Family

ID=6393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96A KR102102194B1 (en) 2017-04-13 2018-04-12 Dishwash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9594B2 (en)
KR (1) KR102102194B1 (en)
CN (3) CN11395179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482A (en) 2019-07-0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h Washer
WO2023145161A1 (en) * 2022-01-25 2023-08-03 リンナイ株式会社 Fine bubble generation device, water heater, and dishwasher
KR20230132309A (en)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h Wash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154A (en) * 2002-03-14 2003-11-25 Toto Ltd Dish washer
JP4331127B2 (en) * 2005-03-09 2009-09-16 リンナイ株式会社 Dishwasher
JP4830863B2 (en) * 2007-01-15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ishwasher
JP2014147901A (en) * 2013-02-01 2014-08-21 Micro-Bub Kk Microbubble generator and microbubble generating tub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895U (en) * 1991-08-30 1992-03-18 刘滨夷 Supersonic wave cleaner for tableware
JPH09108158A (en) * 1995-10-16 1997-04-28 Toshiba Corp Washing machine for kitchen
JP4577186B2 (en) * 2005-10-26 2010-11-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Dishwasher
KR101157719B1 (en) * 2007-05-22 2012-06-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micro gas bubbles
JP2009213811A (en) * 2008-03-13 2009-09-24 Panasonic Corp Dishwasher
JP2012040448A (en) * 2008-11-14 2012-03-01 Yasutaka Sakamoto Microbubble generator
JP4999996B2 (en) * 2010-12-01 2012-08-15 株式会社田中金属製作所 Bubble generator
WO2013012069A1 (en) * 2011-07-21 2013-01-24 株式会社シバタ Bubble generating mechanism and showerhead with bubble generating mechanism
US10206552B2 (en) * 2011-12-20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801210B2 (en) * 2012-01-19 2015-10-28 ニッタ株式会社 Microbubble generator
JP6118544B2 (en) * 2012-11-29 2017-04-19 Idec株式会社 Fine bubble generating nozzle and fine bubble generating device
CN103191880B (en) * 2013-03-19 2015-05-06 北京银河之舟环保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able foam cleaning for wash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JP6388380B2 (en) * 2014-06-24 2018-09-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Washing machine
JP6592803B2 (en) * 2015-01-16 2019-10-23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Pressure reducing device for cooling system and cooling system
KR20160116878A (en) * 2015-03-31 2016-10-10 김용주 Apparatus of generating micro bubble
CN205032089U (en) * 2015-07-15 2016-02-17 北京宏强富瑞技术有限公司 Superfine small bubble generating device
JP6670564B2 (en) * 2015-07-29 2020-03-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Electromagnetic valve for liqui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valve for liquid, and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4154A (en) * 2002-03-14 2003-11-25 Toto Ltd Dish washer
JP4331127B2 (en) * 2005-03-09 2009-09-16 リンナイ株式会社 Dishwasher
JP4830863B2 (en) * 2007-01-15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ishwasher
JP2014147901A (en) * 2013-02-01 2014-08-21 Micro-Bub Kk Microbubble generator and microbubble generating tub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20775A (en) 2018-11-02
CN113951792A (en) 2022-01-21
JP6889594B2 (en) 2021-06-18
CN108720775B (en) 2021-10-01
CN113951793A (en) 2022-01-21
JP2018175445A (en) 2018-11-15
KR20180115636A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194B1 (en) Dishwasher
JP6670564B2 (en) Electromagnetic valve for liqui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valve for liquid, and washing machine
JP4999996B2 (en) Bubble generator
CN110344212B (en) Washing machine
US11504677B2 (en) Microbubble generator,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JP2019025451A (en) Fine bubble water generator
CN111206384A (en) Clothes treating device
CN211772131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JP6948144B2 (en) Flush toilet device, wash water tank device, and local wash device
JP2014113553A (en) Fine bubble generation nozzle
CN111139623B (en) Hydrodynamic cavitation piec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microbubble generator
CN211395015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JP7248388B2 (en) Fine bubble generator and home appliance
CN112899992A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CN112853688A (en) Microbubble treating a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with same
CN211511705U (en) Cleaning machine
CN112647246A (en) Microbubble generator and washing equipment with same
CN112647245A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JP7352592B2 (en) washing machine
CN110548610A (en) Water outlet device, water outlet unit and movable part used for water outlet device
CN112746454A (en) Microbubble generator and washing equipment with same
CN112899991A (en) Microbubble treating a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with same
JP2023037273A (en) washing machine
KR20230067081A (en) Micro Bubble Generator
CN112647244A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