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016B1 -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016B1
KR102102016B1 KR1020160112400A KR20160112400A KR102102016B1 KR 102102016 B1 KR102102016 B1 KR 102102016B1 KR 1020160112400 A KR1020160112400 A KR 1020160112400A KR 20160112400 A KR20160112400 A KR 20160112400A KR 102102016 B1 KR102102016 B1 KR 10210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data
terminal
server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570A (ko
Inventor
천영선
Original Assignee
천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선 filed Critical 천영선
Priority to KR102016011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0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별로 분실물 습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 참여자(일명 습득자)를 사전에 모집한 후, 분실광고 게재 시 분실지역 내의 참여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이메일,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분실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분실물 습득 시 참여자에게 사례비용을 명확히 제공하도록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LOST ITEMS}
본 발명은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별로 분실물 습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 참여자(일명 습득자)를 사전에 모집한 후, 분실광고 게재 시 분실지역 내의 참여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이메일,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분실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분실물 습득 시 참여자에게 사례비용을 명확히 제공하도록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분실물센터 혹은 공공시설에 신고되는 분실물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중교통의 경우 현재까지 소유자에게 회수되지 못한 분실물 수가 16만개를 초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분실물을 전문적으로 찾아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거나 미비하기 때문이며, 대부분 소유자가 직접 해당 분실물을 불특정 다수의 건물 등에 분실광고를 붙이거나 신문 등의 게재를 통해서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점에서 분실물 회수율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고가의 분실물의 경우 이를 습득한 사람이 본 소유자에게 돌려주지 않거나, 혹은 돌려주더라도 본 소유자가 별도의 사례금으로 보답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분실물을 습득한 사람이 다시 본 소유자에게 분실물을 돌려주기 위한 동기부여 수단으로서 작용하지 못했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분실물의 정보가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공유되지 못한다는 점과, 해당 분실물을 찾는데 있어서 적절한 동기부여 방법이 없어 일반인이나 관계기관의 호응이 미비하다는 점과, 설사 사례금 등과 같은 동기부여 수단이 있는 경우에도 공정한 사례금 지급 보장 등의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우연히 분실물을 발견하더라도 누구의 분실물인지 확인할 수 없어 회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분실지역 내 분실물 습득을 위한 동기부여 수단이 미비하여 분실물의 습득율이 증가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분실물 습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 참여자(일명 습득자)를 사전에 모집한 후, 분실광고 게재 시 분실지역 내의 참여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이메일,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분실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분실물 습득 시 참여자에게 사례비용을 명확히 제공하도록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40752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역별로 분실물 습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 참여자(일명 습득자)를 사전에 모집한 후, 분실광고 게재 시 분실지역 내의 참여자들에게 선택적으로 이메일, 문자메시지, 소셜네트워크 등의 통신매체를 이용하여 분실물의 정보를 제공하고, 분실물 습득 시 참여자에게 사례비용을 명확히 제공하도록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시스템은 분실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분실자 단말로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에 따라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하는 웹서버,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분실물 데이터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상기 웹서버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자 단말에 상기 취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서버 및 상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광고비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를 종료하고,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실광고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에게 분실물 회수에 대한 사례비용 지급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사례비용 지급방법은 현금, 이머니(e-money), 상품권, 결제 가능한 포인트 및 현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사례비용을 예치 데이터베이스에 예치한 후,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 단말에 대한 습득자 데이터 내에서 계좌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예치된 사례비용을 지급하거나, 또는 상기 분실자 단말에 사례비용 지급각서데이터를 제공 및 입력 받아 상기 예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실자 데이터, 상기 분실물 데이터, 상기 광고상품데이터 및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실물 데이터는 분실물의 종류, 분실 날짜, 분실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는 전자지도 상에 상기 분실물의 분실지역 별로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상기 습득자 단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습득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습득자 단말에 대한 인적사항, 연락처정보 및 지역정보를 포함한 습득자 데이터를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실물 데이터는 상기 분실물의 종류, 분실날짜 및 분실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분실지역에 해당하는 위치의 습득자 단말에게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서버는 이메일(e-mail), 문자메시지, 메신저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습득자 단말에게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택배서버 및 경비용역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탁배송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위탁배송서버를 통해 상기 분실물 데이터에 해당하는 분실물이 분실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 또는 구동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혹은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입력 받고, 상기 습득자 단말로부터 습득된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 또는 구동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혹은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 받은 각각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데이터 및 불일치 데이터를 검출 후 상기 분실자 단말 및 상기 습득자 단말 각각에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방법은 웹서버, 분실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이 서로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상기 분실자 단말로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에 따라 상기 분실물데이터를 게재하는 단계, 통신서버에서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분실물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상기 웹서버에 수신되는 경우 통신서버에서 상기 분실자 단말에 상기 취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결제 서버에서 상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광고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은 분실물 정보를 제3자가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음은 물론, 공유 및 전파가 용이하여 그에 따른 분실물 습득율이 증가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소유자가 분실물을 찾기 위한 참여자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분실광고 게재 시 집중적인 정보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회수활동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실물 습득 시 참여자에게 사례비용을 명확히 제공할 수 있어 사례비용 지급이 공정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실물 습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분실물을 습득 및 회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분실물 데이터 게재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물 습득 시스템(100)은 분실자 단말(10), 웹서버(20), 통신서버(30) 및 결제 서버(40)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관리데이터베이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실자 단말(10)은 물품을 분실한 분실자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PC, 핸드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그 종류에 국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고, 습득자 단말(11) 또한 분실자 단말(10)과 같이 분실물을 찾아 습득하는 습득자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웹서버(20)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분실물이라 함은, 유형을 지닌 물건이 될 수도 있고, 애완동물과 같이 살아서 움직이는 동물이 될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유아, 노인 등과 같은 사람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되는 분실자 데이터는 애완동물의 종, 외모, 형태, 이름 등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유아 혹은 노인의 신장, 몸무게, 체형, 체격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습득자라 함은 택배기사, 경비용역사, 대리기사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습득자 단말(11)은 이러한 택배기사, 경비용역사, 대리기사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웹서버(20)는 상술한 분실자 단말(10) 및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분실자 단말(10)로부터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 데이터를 획득하며,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로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전송하여 습득자 단말(11)로부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에 따라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서버(20)는 분실자 단말(10)로부터 분실자의 연락처정보를 포함한 분실자 데이터, 분실물에 관한 분실물 데이터를 수신 받아 등록한다.
이러한 과정은 일종의 회원인증과 같은 절차로서, 분실물에 대한 광고를 정상적으로 등록 및 게재하기 위한 선행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분실자 데이터는 분실물 습득 시 연락 가능한 연락처정보, 분실자 성명, 분실자 주민등록번호 혹은 분실자 주소 등 개인 인적사항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분실물 데이터는 분실물을 특정하고 분실물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여 예를 들어, 분실날짜 및 시간, 분실위치, 분실물의 종류, 외관상 특징, 사진, 영상 등의 미디어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분실물 데이터의 분실날짜 및 시간, 분실위치, 분실물의 종류 등은 전국단위의 전자지도 내에 저장되어 습득자 단말(11)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웹서버(20)에서는 습득자 단말(11)의 GPS 등과 같은 위치기반기술을 통해 전달되는 습득자 단말(11)의 위치를 기반으로 해당 분실지역에서 위치하고 있는 습득자 단말(11)에게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0)는 분실자 단말(10)로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전송하며,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선택된 광고상품에 따라 상기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 데이터를 제3자(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 등)가 열람 가능한 상태로 게재한다.
여기에서, 광고상품데이터라 함은, 분실자가 분실물에 대한 찾기 정보를 노출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웹서버(20)에 분실물 광고를 게재하는 광고기간, 웹서버(20) 이외의 타 제휴기간 등으로 분실물 정보를 공유할 것인지, 또는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에게 분실자 데이터 또는 분실물 데이터를 문자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분실자 단말(10)은 광고기간, 정보공유 여부 및 습득자 단말(11)에게 제공되는 정보전송 여부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웹서버(20)는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선택된 광고상품에 따라 분실자 단말(11)에 비용을 결제 혹은 과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서버(20)는 후술되는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등록된 습득자 단말(11)의 습득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활동지역별로 그룹을 형성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동일한 활동지역에 2개의 습득자 단말(11)이 존재하는 경우(혹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분실물 찾기 활동을 독려 및 관리감독하기 위한 관리자(예를 들어, 지역보안관 등)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분실물을 찾는데 보다 조직적, 체계적으로 습득자 단말(11)을 모집 및 구성할 수 있어 분실물의 습득 및 회수 가능성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웹서버(20)는 습득자 및 분실자 간의 습득물과 관련된 분쟁(예를 들어, 분실물의 파손, 변형 혹은 오조작에 의한 고장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실자 단말(10)로부터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 혹은 구동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데이터 혹은 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입력 받고 습득자 단말(11)로부터 습득된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데이터 혹은 텍스트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입력 받은 후, 상기 2개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 판단 후 일치하는 점 및 일치하지 않는 점을 검출하여 상기 분실자 단말(10) 및 습득자 단말(11)에 통지함으로써, 분실물의 파손, 변형 또는 오조작에 의한 고장 등을 분실자 및 습득자가 판단,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웹서버(20)에서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후술되는 도 6에서와 같이 습득자 단말(11)의 전국단위의 전자지도 상에 분실지역 별로 해당 분실물이 표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통신서버(30)는 분실자 데이터 혹은 분실물 데이터를 웹서버(2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서버에 전송하며, 분실자 데이터 혹은 분실물 데이터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웹서버(20)에 수신되는 경우 분실자 단말(10)에 취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서버(30)는 분실물 데이터를 웹서버(20)와 연결된 제휴기관 서버(200), 동호회 서버(300) 혹은 관할기관 서버(400) 등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에게 분실자 데이터 혹은 분실물 데이터를 이메일, 문자메시지(SMS), 메신저 혹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은 분실물을 찾는데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이 소유한 모바일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습득자 단말(110)은 웹서버(20)에 미리 접속하여 자신의 습득자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1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다수의 습득자 단말이 그룹화 된 대표 단말(미도시)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결제 서버(40)에서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선택된 광고상품에 따라 광고비가 결제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다수의 대표 단말 중 특정 대표 단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습득자 단말(11)은 자신이 위치한 지역에 게재된 분실물 데이터를 열람 및 확인한 후 자신의 습득자 데이터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습득자 데이터는 습득자의 인적사항 즉,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과, 분실물을 찾기 위한 주 활동지역에 관한 정보, 사례비용을 지급받기 위한 계좌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때 습득자 데이터는 후술되는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모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통신서버(30)가 분실물 데이터를 습득자 단말(11)에 전송할 때에는 후술되는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습득자 단말(11)의 습득자 데이터 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분실자 단말(10)이 등록한 분실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정보에 해당하는 습득자 단말(11)에게만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통신서버(30)는 분실물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웹서버(20)에 수신되는 경우, 후술되는 관리데이터베이스(60) 내에 등록된 분실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실자 단말(10)로 상기 취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취득 데이터는 분실물 데이터를 열람한 제3자(혹은 타 습득자 단말(11) 정보, 제휴기관 등에 접수된 정보 혹은 습득자 단말(11)을 통해 작성되어 웹서버(20)에 등록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습득자가 실제로 습득한 분실물에 대한 사진정보, 동영상정보, 취득에 관련한 지역, 날짜 및 시간정보 및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에 대한 습득자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취득 데이터가 전송되는 분실자 단말(10)은 해당 분실물의 본 소유주인 분실자 단말(10)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분실자가 자신의 연락처정보를 등록하면서 분실 시 취득 데이터를 수신할 연락처에 따라 취득 데이터가 전송되는 분실자 단말(10)이 달리질 수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폰, 이메일 등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취득 데이터를 수신한 분실자 단말(10)은 수신된 취득 데이터에 포함된 분실물 데이터가 자신이 실제 분실한 분실물에 대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분실자의 분실물과 일치한다는 취지의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를 분실자 단말(10) 혹은 분실자가 소유한 타 개인단말을 통해 웹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웹서버(20)는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면 분실물에 대한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를 종료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웹서버(20)는 습득자 단말(11)을 통해 분실물에 대한 사진정보, 동영상정보, 취득에 관련한 지역, 날짜 및 시간정보 및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에 대한 습득자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분실물을 분실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습득자의 연락처 정보를 분실자 단말(10)에 제공해 주거나 혹은 분실자의 연락처 정보를 습득자 단말(11)에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웹서버(20)는 해당 분실물을 분실자가 직접 전달하는 것이 아닌 웹서버(20)와 연계된 배송시스템(예를 들어, 택배회사, 경비용역회사 등)을 통해 위탁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배송서버(미도시)에 분실물 데이터, 분실자 데이터 및 습득자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 서버(40)는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선택된 광고상품에 따라 광고비가 결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40)는 공지된 다양한 결제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 카드 결제, 모바일 결제 혹은 포인트 결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결제 서버(40)는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완료정보를 웹서버(20)로 전송하며, 웹서버(20)는 이를 후술되는 관리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광고상품을 제3자가 열람 가능한 상태로 게재할 수 있다.
한편, 분실자 단말(10)은 광고상품선택과 별도로 분실물의 회수에 대한 사례비용 지급유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사례비용은 다양한 지급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현금, 이머니(e-money), 상품권, 결제 가능한 포인트 혹은 현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례비용은 분실물 데이터를 열람하는 습득자 단말(11)로 하여금 분실물을 찾는데 있어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종래에는 분실물의 회수 후 사례비용 지급이 명확하게 보장되지 않아 습득자로 하여금 의욕을 상실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분실물의 습득 및 회수율이 저하될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례비용을 예치하거나 또는 지급각서 작성방법 등을 통하여 분실물의 습득 및 회수 후 사례비용 지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 포인트 등과 같이 사례비용이 예치 가능한 경우에는 분실자 단말(10)로부터 에스크로(Escrow)(일종의 예치 데이터베이스)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례비용을 먼저 위탁받게 되며, 현물이나 상품권 등과 같이 예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웹서버(20)에서 분실자 단말(10)로 사례비용 지급각서데이터를 제공 및 입력 받아 이를 담보할 수 있다.
한편, 예치 가능하거나 혹은 불가능한 지급방법에 대한 종류는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현물이나 상품권의 경우에도 기 정해진 제3의 장소에 예치될 수도 있으며, 현금의 경우에도 사례비용 지급각서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관리데이터베이스(50)는 분실자 데이터, 분실물 데이터, 광고상품데이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 및 습득자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실자 데이터, 분실물 데이터, 광고상품데이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 혹은 습득자 데이터는 상술한 웹서버(20), 통신서버(30) 및 결제서버(40)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분실물이 습득 및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다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분실물 습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분실물을 습득 및 회수하는 일련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분실물을 분실한 분실자 단말(10)에서 웹서버(20)에 접속하는 단계(S11)와, 상기 분실자 단말(10)로부터 입력 전송된 분실자의 연락처를 포함한 분실자 데이터와, 분실물에 관한 분실물 데이터를 웹서버(20)에서 수신 받아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단계(S12)와, 상기 웹서버(20)로부터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분실자 단말(10)로 전송하여 선택하는 단계(S13)와,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선택되어 수신된 광고상품에 따라 결제 서버(40)에서 광고비가 결제되는 단계(S15)와, 웹서버(20)에서 상기 결제 서버(40)로부터 결제완료정보를 수신 받아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 선택된 상기 광고상품에 따라 제3자(혹은 타 습득자 단말)가 분실물 데이터를 열람 가능하도록 웹서버(20) 상에 게재되는 단계(S16)와, 분실물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웹서버(20)에 수신되는 경우(S17), 통신서버(30)에서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분실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실자 데이터에 등록된 분실자의 개인단말로 취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9)와, 웹서버(20)로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분실물 수치확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S20),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를 종료하고(S22),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광고기간이 종료될때까지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를 유지하는 단계(S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 데이터를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단계(S12)는 제3자에 의한 분실물의 취득 및 회수에 따른 사례비용데이터를 추가로 수신 받아 저장하는 단계(S14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례비용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는 단계는, 분실자 단말(10)에서 사례비용 지급유무를 선택하는 단계(S14)와, 사례비용 지급을 선택하는 경우 현금, 이머니, 상품권, 결제 가능한 포인트 또는 현물 중 어느 하나의 지급방법을 선택하는 단계(S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지급방법은 예치가 가능한 경우와, 예치가 불가능한 경우로 나뉠 수 있는 바, 예치가 가능한 경우에는 결제 서버(40) 등에서 에스크로 방법 등에 의하여 예치하고(S143), 예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웹서버(20)로부터 사레비용 지급각서데이터를 전송받아 입력 받은 후 제출하여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다(S144).
이때, 사례금 지급방법이 예치 가능한 경우, 광고비를 결제하는 단계는 사례금을 예치하는 단계(S143)를 더 포함하며, 추후 분실물을 습득한 자가 습득자 단말1)을 통해 웹서버(20)에 분실물에 대한 취득 데이터를 전송하며, 웹서버(20)가 상기 취득 데이터를 분실자 단말(10)에 전송한 경우(S19(에, 분실자는 자신이 분실한 분실물임을 확인하는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를 웹서버(20)로 전송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분실물을 수취한 이후에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웹서버(20)에 수신되면(S212), 예치된 사례비용이 지급될 수 있다(S214). 한편, 이때는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를 수신한 상태에서 예치된 사례비용이 지급되도록 할 수 도 있다.
반면에, 사례비용 지급방법이 예치 불가능한 경우에는 분실자가 자신이 분실한 분실물임을 확인하고, 분실자 단말(10)을 통해 분실자가 이를 확인하였음을 알게 된 습득자가 이를 확인한 후 분실물의 회수 및 사례비용 지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웹서버(20)에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하는 단계(S16)는 통신서버(30)가 분실물 데이터를 관리데이터베이스(50) 내에 기 저장된 제휴기관 서버(200), 동호회 서버(300) 및 관할기관 서버(40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S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웹서버(20)에서 분실물 데이터를 실제로 게재함으로써 습득자 단말(11)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서버의 분실물 데이터 게재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분실물 데이터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분실물의 종류, 분실한 날짜, 분실지역(시, 도, 군, 구와 같은 행정단위), 분실물의 외관(색깔, 크기 외관상 특징 등), 분실경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웹서버(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지도상에 관리데이터베이스(30) 내에 저장된 분실물 데이터를 분실지역별로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분실물을 찾는데 참여하는 습득자의 습득자 단말(11)을 통하여 웹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습득자의 인적사항, 연락처 정보 및 지역정보를 포함한 습득자 데이터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웹서버(20)는 이러한 습득자 데이터를 관리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실물을 찾는데 참여하는 습득자의 습득자 단말을 통하여 웹서버(20)에 접속하여 습득자의 인적사항, 연락처 정보 및 지역정보를 포함한 습득자 데이터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웹서버(20)는 습득자 데이터를 관리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습득자 데이터가 미리 등록된 경우에는, 웹서버(20)에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할 때, 통신서버(30)가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관리데이터베이스(30)에서 기 저장된 상기 습득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등록된 습득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분실물 데이터에 상기 분실물의 분실지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동신서버(30)는 상기 분실지역에 해당하는 상기 지역정보에 해당되는 습득자 단말(11)에게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분실자 단말
11: 습득자 단말
20: 웹서버
30: 통신서버
40: 결제 서버
50: 관리데이터베이스
100: 분실물 습득 시스템
200: 제휴기관 서버
300: 동호회 서버
400: 관할기관 서버

Claims (10)

  1. 분실자 단말 및 분실물을 찾는데 자발적으로 참여하되 사전 모집된 지역별 참여자에 해당하는 습득자 각각이 소지한 하나 이상의 습득자 단말과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분실자 데이터 및 분실물의 종류, 분실날짜 및 분실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분실물 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분실자 단말로 분실광고기간 및 분실광고방법을 포함하는 광고상품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에 따라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게재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미리 접속하여 자신의 습득자 데이터를 기 등록한 각각의 습득자 단말 중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분실자 데이터 및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이메일(e-mail), 문자메시지, 메신저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와 연결된 제휴기관 서버, 동호회 서버 및 관할기관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분실물 데이터에 대한 취득 데이터가 상기 웹서버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자 단말에 상기 취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서버;
    상기 선택된 광고상품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광고비용을 결제하는 결제 서버; 및
    상기 분실자 데이터, 상기 분실물 데이터, 상기 광고상품데이터 및 분실물이 분실자에게 수취되었음을 확인하는 데이터인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를 저장하는 관리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서버는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습득자 단말의 습득자 데이터 내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분실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정보를 가진 상기 분실물을 찾는데 자발적으로 참여하되 사전 모집된 지역별 참여자에 해당하는 습득자 각각이 소지한 단말에게만 상기 분실자 데이터 및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를 종료하고,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실광고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분실물 데이터의 게재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물의 회수에 대한 사례비용을 예치 데이터베이스에 예치한 후,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물 수취확인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분실물을 습득한 습득자 단말에 대한 습득자 데이터 내에서 계좌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예치된 사례비용을 지급하거나, 또는 상기 분실자 단말에 사례비용 지급각서데이터를 제공 및 입력 받아 저장하며,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택배서버 및 경비용역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탁배송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위탁배송서버를 통해 상기 분실물 데이터에 해당하는 분실물이 분실자에게 배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에게 분실물 회수에 대한 사례비용 지급방법을 선택하는 선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사례비용 지급방법은 현금, 이머니(e-money), 상품권, 결제 가능한 포인트 및 현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물 데이터는,
    분실물의 종류, 분실 날짜, 분실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는 전자지도 상에 상기 분실물의 분실지역 별로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상기 분실물 데이터를 상기 습득자 단말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습득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습득자 단말에 대한 인적사항, 연락처정보 및 지역정보를 포함한 습득자 데이터를 상기 관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분실자 단말로부터 상기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 또는 구동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혹은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입력 받고, 상기 습득자 단말로부터 습득된 분실물에 대한 외관상 특징 또는 구동상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 영상 데이터 혹은 텍스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각각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데이터 및 불일치 데이터를 검출 후 상기 분실자 단말 및 상기 습득자 단말 각각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물 습득 시스템.
KR1020160112400A 2016-09-01 2016-09-01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KR10210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00A KR102102016B1 (ko) 2016-09-01 2016-09-01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00A KR102102016B1 (ko) 2016-09-01 2016-09-01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70A KR20180025570A (ko) 2018-03-09
KR102102016B1 true KR102102016B1 (ko) 2020-04-20

Family

ID=6172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400A KR102102016B1 (ko) 2016-09-01 2016-09-01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668B1 (ko) * 2019-02-13 2020-09-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중 교통수단 내의 분실물 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분실물 알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52B1 (ko) * 2013-04-24 2014-04-15 황순영 분실물의 회수방법
KR101595548B1 (ko) * 2015-05-06 2016-02-18 임성우 분실 및 습득 대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52A (ko) * 2000-07-27 2000-10-05 최경락 통신망을 통한 분실물 및 습득물 정보 관리 방법
KR20160040752A (ko) 2014-10-06 2016-04-15 이원찬 불루투스를이용한분실물(사람과사물)찾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52B1 (ko) * 2013-04-24 2014-04-15 황순영 분실물의 회수방법
KR101595548B1 (ko) * 2015-05-06 2016-02-18 임성우 분실 및 습득 대상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70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2392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interacting and trading among users of online social commercial network
JP2021108207A (ja) 情報処理方法
US11989754B2 (en) Linking a transaction between a merchant and a resident of the same vicinity to the resident viewing the merchant broadcast advertisement
KR101975334B1 (ko) 소셜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평가하는 서버, 소셜네트워크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를 평가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80097805A1 (en)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JP2018538639A5 (ko)
Merttens et al. Evaluation of the Uganda Social Assistance Grants for Empowerment (SAGE) Programme
US20170228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a Lost Item
EP3975095A1 (en) Label -based advertising service system
KR102304627B1 (ko) 오프라인 매장 방문 유도를 위한 리워드 시스템
KR102102016B1 (ko) 분실물 습득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7477A (ko) 인터넷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70656B1 (ko) 가상 동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524848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仲介装置
JP2021007030A (ja) 統一されたコード発行に基づく情報処理方法並びにサーバー装置
KR102175496B1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03956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71291B1 (ko)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CA2892404C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on-acquired account payment affinity donation trigger
JP6780889B1 (ja) 経費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353579A1 (en) Lifetime Achievement Line
US20170083925A1 (en)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College Rating Using Consumer Purchase Transaction Data
CN107958422A (zh) 一种社交软件及其吸引用户、验证图像真伪的方法及装置
Islam Service marketing of Field Information Solution Limited
Case Accounting Practicum: Case Studies Compilation and Analysis Fall 2020 and Spring 202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8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26

Effective date: 201906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