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929B1 -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929B1
KR102101929B1 KR1020150093629A KR20150093629A KR102101929B1 KR 102101929 B1 KR102101929 B1 KR 102101929B1 KR 1020150093629 A KR1020150093629 A KR 1020150093629A KR 20150093629 A KR20150093629 A KR 20150093629A KR 102101929 B1 KR102101929 B1 KR 10210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coil
base
main body
ki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33A (ko
Inventor
배영진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5009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에 워킹 코일과 자성부를 동시에 고정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도 간편하게 베이스를 본체의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워킹 코일이 고정된 베이스 키트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에는 다수의 슬릿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하면에는 자성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자성부 장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공에는 접착부재가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과 배관 상에서 각각 상기 자성부와 상기 워킹 코일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Assembly of working coil base for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레인지의 제조시 워킹 코일의 제조를 간편하게 하고, 워킹코일의 조립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Induction range)와 같은 전기 레인지는 철재나 법랑(琺瑯)의 용기에 유도기전력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를 일컫는다.
이러한 전기 레인지에 대해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본체(10), 전기 히터 어셈블리(20), 전원 공급부(30), 컨트롤 어셈블리(40), 및 상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본체(10)는 전기 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전기 히터 어셈블리(20)와 전원 공급부(30) 및 컨트롤 어셈블리(40)의 장착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여기서, 전기 히터 어셈블리(20)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조리용기에 자기력을 가하여 조리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워킹코일 어셈블리(100), 및 워킹코일 어셈블리(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워킹코일 베이스(60), 및 워킹코일 베이스(6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인버터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워킹코일 어셈블리(100)는 유도가열방식으로 피가열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시키는 워킹코일(110: Working coil)과, 워킹코일(1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워킹코일(1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하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폐하는 마이카 시트(120: Mica sheet)와, 마이카 시트(1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워킹 코일로부터 전달되는 자기력이 하부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폐하는 자성부(130: Ferrite)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110)은 별도의 양면 테이프(140)에 의해 상기 마이카 시트(120)의 상면에 부착되고, 각 자성부(130)는 별도의 양면 테이프(140)에 의해 마이카 시트(120)의 하면에 부착된다.
한편, 워킹코일 어셈블리(100)는 워킹코일 베이스(60) 상면에 고정되는 바, 이때, 각 자성부(130)의 하면을 별도의 양면테이프(140)에 의해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60) 상면에 부착시켜 고정시킨다. 또한, 인버터회로기판(미도시)에 하측에는 워킹 코일(110)에 유도전류가 제공되는 것을 회로적으로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30)는 일단은 본체(10)의 저면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타단은 본체(10) 내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 전기 히터 어셈블리(20) 및 컨트롤 어셈블리(50)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컨트롤 어셈블리(40)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기 히터(2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판부(50)는 본체(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로 형성된다.
상기한 상판부(50)의 상면으로는 전기 히터의 장착 위치에 대응하여 각종 조리 용기가 얹혀지며, 인덕션 레인지의 쿡탑(cook-top) 부위를 이룬다.
그러나 종래의 워킹코일 어셈블리(100)는 각각의 자성부(130)가 워킹 코일 베이스(60)에 양면 테이프(140;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력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생산시 별도의 접착제를 자성부(130)에 부착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시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워킹 코일 어셈블리(100)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본체 내부의 적정위치에 위치 지정하여 별도로 볼트로 체결하는 것으로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조립공정이 효율적이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베이스에 워킹 코일과 자성부를 동시에 고정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도 간편하게 베이스를 본체의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워킹 코일이 고정된 베이스 키트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에는 다수의 슬릿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하면에는 자성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자성부 장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공에는 접착부재가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과 배관 상에서 각각 상기 자성부와 상기 워킹 코일이 서로 접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진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와 상기 베이스 키트의 테두리에는 장착시 위치 안내를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는 상기 자성부가 삽입되는 장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자성부 장착턱이 돌출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키트에 형성된 슬릿공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양측에서 자성부와 워킹코일을 동시에 고정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돌기를 본체 내부의 장착홈에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도 간편하게 워킹 코일 베이스를 본체의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배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상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가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배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상면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가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200)에 다수의 베이스 키트(7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키트(70)는 직가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슬릿공(76a,76b; 76)이 관통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의 장착돌기(77)가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돌기(77)는 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에 끼워져 베이스 키트(70)가 본체(2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키트(70)는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도 본체(2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장착돌기(77)가 삽입공에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추후 탈거도 용이하다.
또한 베이스 키트(70)의 상면에는 장착 표시부(71,72)가 형성된다. 이 장착 표시부(71,72)는 도 6과 같이 본체(200)에 형성된 체결 표시부(201,202)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형이나 표시(예를 들어 화살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키트(70)를 본체(200) 내에 장착하는 경우, 별도로 확인할 필요없이 이들 표시부(201,71 및 202,72)로 베이스 키트(70)를 본체(200)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키트(70)의 측면에는 다수의 장착구(75)가 형성되고, 이 장착구(75)에는 각각 자성부(80)가 삽입된다. 또한 베이스 키트(70)의 상부에는 워킹코일(73)이 안착되고 다수의 슬릿공(76)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 키트(70)의 상하면에 워킹코일(73)과 자성부(80)가 각각 슬릿공(76)에 충전된 접착제에 의해 서로 베이스 키트(70)의 상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이는 유도기전력을 통한 가열 방식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함).
또한 베이스 키트(70)의 가장자리에는 표시 모듈 장착홈(79)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고, 이 표시 모듈 장착홈(79)에는 워킹코일(73)의 작동시 작동 영역 및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모듈(300)이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 키트(70)의 하부면에는 상기 자성부(8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자성부 장착턱(78a,78b; 7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베이스 키트(70)에 형성된 슬릿공(76)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양측에서 자성부(80)와 워킹코일(73)을 동시에 고정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베이스 키트(70)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돌기(77)를 본체(200) 내부의 홈에 끼워서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볼트 체결없이도 간편하게 워킹 코일 베이스를 본체의 내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70: 베이스 키트
71,72: 장착 표시부
76: 슬릿공
77: 장착돌기
78: 자성부 장착턱
79: 표시모듈 장착홈
80: 자성부
200: 본체
201,202: 체결 표시부
300: 표시모듈

Claims (3)

  1. 중앙에 워킹 코일이 고정되고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모듈이 장착된 베이스 키트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올려진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로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에는 다수의 슬릿공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키트의 하면에는 자성부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자성부 장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공에는 접착부재가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 키트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자성부와 상기 워킹 코일이 서로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베이스 키트의 테두리에는 장착시 위치 안내를 위한 표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키트의 측면에는 상기 자성부가 삽입되는 장착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착구의 내부에 복수의 상기 자성부 장착턱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150093629A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KR10210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29A KR102101929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629A KR102101929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33A KR20170003233A (ko) 2017-01-09
KR102101929B1 true KR102101929B1 (ko) 2020-04-17

Family

ID=5781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29A KR102101929B1 (ko) 2015-06-30 2015-06-30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946Y1 (ko) 2005-05-16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KR100595290B1 (ko) * 2005-01-25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 결합구조
WO2015049602A1 (de) * 2013-10-03 2015-04-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839Y1 (ko) * 1991-07-15 1993-11-18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입력버퍼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290B1 (ko) * 2005-01-25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 결합구조
KR200392946Y1 (ko) 2005-05-16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WO2015049602A1 (de) * 2013-10-03 2015-04-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33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080B2 (en)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US10416027B2 (en) Thermal management for a wireless cooking probe
EP3297402B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US20130098902A1 (en) Wok support for an induction hob
WO2013124116A1 (en) An induction cooking hob
KR102101929B1 (ko) 전기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KR102175628B1 (ko) 인덕션 레인지의 상판 체결구조체
KR102251058B1 (ko) 유도가열조리기
CN111543121A (zh) 电磁加热炉及其控制显示的方法
JP393740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80004567A (ko) 워킹 코일 베이스
KR100698177B1 (ko) 전기 레인지용 히터 어셈블리
KR20180046573A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 구조체
JP2005308296A (ja) 加熱調理器
CN208108188U (zh) 烹饪器具
CN206462858U (zh) 温控器的安装结构和烹饪器具
KR20140080647A (ko) 전기 레인지의 발열체 베이스 안착구조체
KR20180046570A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 장착 구조체
KR20160025173A (ko) 인덕션 레인지의 워킹 코일 베이스 조립체
KR200392946Y1 (ko) 전기 레인지의 워킹코일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US11796181B2 (en) Electric range
JP2007050130A (ja) 電気炊飯器
EP4006431A1 (en) Electric hob
CN211857251U (zh) 感应加热烹调器
CN219264380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