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412B1 -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412B1
KR102101412B1 KR1020180091292A KR20180091292A KR102101412B1 KR 102101412 B1 KR102101412 B1 KR 102101412B1 KR 1020180091292 A KR1020180091292 A KR 1020180091292A KR 20180091292 A KR20180091292 A KR 20180091292A KR 102101412 B1 KR102101412 B1 KR 10210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irradiation
low
treatment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062A (ko
Inventor
김진성
배영걸
경현태
임윤교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우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우라케어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4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6Castrat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77Beam deliver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4Shielding,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7Means for immobilizing the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소 영역에 저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는, 일 측에 시술대상을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베드부; 및 내측에 상기 베드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베드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에 따르면, 시술대상의 생식기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생식기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시술대상의 중성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IRRADIATION APPARATUS FOR LOCALIZED REGION AT LOW ENERGY KVp}
본 발명은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소 영역에 저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아지, 고양이, 토끼 등과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 전용 식품, 약품, 의료 기기와 같은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규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들이 질병을 앓는 경우, 경우에 따라 시술 또는 외과적 수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방사선 치료요법이 단독 또는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는 질병의 성질과 정도에 따라 치료 또는 완화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를 통해 종양의 크기를 축소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종양의 재발을 지연하거나 예방 또는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사선 치료를 통해 반려동물의 불임수술, 즉, 중성화 수술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려동물의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인체용 방사선 치료 장치를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인체용 방사선 치료 장치는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조사하므로 인체에 대한 투과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반려동물에게는 이러한 고에너지의 방사선이 요구되지 않을뿐더러,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반려동물에게 조사하는 경우, 시술부위의 배면까지 방사선이 투과되어 정상세포의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는 시술부위 외의 영역에도 방사선이 조사되어, 국소부위의 치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1)1. 한국 특허공개 제 10-2005-0083810 호 (발명의 명칭 : 전자 가속기 및 이것을 사용한 방사선 치료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국소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방사선이 비시술부위까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는, 일 측에 시술대상을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베드부; 및 내측에 상기 베드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베드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부는, 상기 시술대상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시술대상의 시술부위를 상기 시술대상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 및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시술대상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착부의 일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시술부위를 수용 가능한 수용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고,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시술부위를 거치하는 분리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시술부위를 잡아서 상기 시술대상으로부터 연장시키는 분리집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사부는, 상기 시술대상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및 상기 조사수단에 결합되어 방사선의 조사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조사수단과 연통되어 상기 조사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시술대상의 표면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조절 가능한 관형의 차폐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조사수단에 결합된 일 측 단부로부터 개구된 타 측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용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드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시술부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부에는, 상기 조사부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홀과 상기 베드부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조사수단을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가이드홀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홀의 폭은 상기 수용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사부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5 내지 7 그레이(gra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에 따르면, 시술대상의 생식기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생식기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시술대상의 중성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사수단에 차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방사선이 차폐부재에 의해 차폐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방사선이 비시술부위까지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사선에 의한 정상세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가 연장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방사선이 설정된 부위에만 조사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국소부위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가 수용홀에 수용된 시술부위를 수용홀의 축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이 설정된 부위 이외의 부분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분리수단의 다른 실시예인 분리대가 설치된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분리대에 의해 시술대상과 시술부위가 공간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분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인 분리집게가 시술대상에 적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조사부를 구성하는 차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조사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구성하는 베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가이드홀을 향하여 조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면도이고, 도 3의 (a)는 도 1의 분리수단의 다른 실시예인 분리대가 설치된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분리대에 의해 시술대상과 시술부위가 공간적으로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리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인 분리집게가 시술대상에 적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조사부를 구성하는 차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조사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를 구성하는 베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가이드홀을 향하여 조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는 베드부(100)를 포함한다.
베드부(100)는 일 측에 시술대상(T)을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101)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제1 수용공간(10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베드부(100)는 안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시술대상(T)이 안착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부(110)의 상면에는 시술대상(T)이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시술대상(T)은 강아지, 고양이, 햄스터 등과 같은 반려동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동물일 수도 있다.
또한, 안착부(110)에는 절곡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02)는 안착부 둘레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어 형성되고, 안착부(110) 상에 안착된 시술대상(T)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102)가 안착부(110)의 길이방향의 일 측 및 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부(102)는 안착부(1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착부(110)는 확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는 안착부(110)를 이루는 네 모서리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안착부(110)의 단부와 연결됨으로써 안착부(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안착부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드식으로 형성되어 안착부(110)의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드부(100)는 분리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수단(120)은 시술대상(T)의 시술부위(P)를 시술대상(T)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시술부위(P)는 시술대상(T)의 생식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수단(120)은 시술부위(P)를 시술대상(T)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후술할 조사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시술대상(T)의 몸체(이하, 비시술부위)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수단(120)은 수용홀(121)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홀(121)은 안착부(110)의 일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시술대상(T)의 시술부위(P)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홀(1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술부위(P)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홀(121)은 시술부위(P)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10)의 내면에는 조리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내경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수용홀 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홀 조절수단을 통하여 내경의 크기를 조절 함으로써 수용홀(121)의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리수단(120)은 분리대(122)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대(12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고,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시술부위(P)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중심부에 형성된 홈은 분리대(122)가 연장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분리대(122)는 시술대상(T)과 시술부위(P) 사이에 배치되어, 시술대상(T)과 시술부위(P)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조사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은 시술부위(P)가 거치된 영역을 향하여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대(122) 중심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술부위(P)가 홈에 배치되고, 후술할 조사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중심부에 형성된 홈을 향하여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분리대(122)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분리대(122)를 중심으로 시술대상(T)과 시술부위(P)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일부에 홈이 형성되어 시술부위(P)가 거치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비제한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분리수단(120)은 분리집게(12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집게(123)는 시술부위(P)를 잡아서 시술대상(T)으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시술부위(P)를 시술대상(T)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집게(123)는 시술대상(T)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시술대상(T)의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분리집게(123)는 베드부(100) 또는 후술할 조사부(200)의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드부(100)는 가이드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홀(130)은 후술할 조사부(200)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수용홀(121)과 베드부(100)의 외부공간을 수용홀(121)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통시킨다. 여기서,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란, 후술할 조사수단(220)의 회전 시 조사수단(220)에 구비된 방사선 조사영역(B)과 가이드홀(130)이 서로 대향 배치 가능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130)은 조사수단(220)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조사수단(220)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할 경우, 조사수단(220)의 방사선 조사영역(B)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홀(121), 가이드홀(130) 및 방사선 조사영역(B)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방사선 조사영역(B)으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이 가이드홀(130)을 통해 수용홀(121)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조사수단(220)이 후술할 프레임부(210)를 통하여 수용홀(121)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 후, 가이드홀(130)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경우, 조사수단(22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130)의 높이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높이 범위(h)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사수단(22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수용홀(121)을 향하여 직선으로 조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홀(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비시술부위에 도달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130)의 폭은 수용홀(12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홀(121)로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영역(B)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베드부(100)는 복수개의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40)는 안착부(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시술대상(T)을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40)가 밴드로 구성되는 경우, 시술대상(T)의 몸체를 밴드가 감싸도록 하여 시술대상(T)을 가압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40)는 반드시 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40)는 시술대상(T)의 팔, 다리 또는 꼬리를 각각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드부(100)는 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0)는 안착부(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부(110)를 지지하고, 도 2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안착부(110)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부(150)는 수직방향을 따라 안착부(110)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미도시) 및 수평방향을 따라 안착부(110)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수단은 안착부(110)가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안착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수단은 지지부(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안착부(110)를 지지하고 상측 또는 하측으로 선형 이동 가능한 리프트(미도시)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착부(11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수단(160)은 지지부(150)와 안착부(110) 사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하여 안착부(110)의 수평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수단(160)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이 형성되는 이송레일(161) 및 이송레일(161)에 설치되어 레일홈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고, 안착부(110)를 지지하는 이송블록(1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송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블록(162)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선형 이동되도록 하여, 안착부(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이동수단(160)은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자동 방식으로 조작되는 경우, 별도의 동력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0)는 제3 이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이동수단은 제1 이동수단, 제2 이동수단(160) 및 후술할 조사부(200)를 지지하고, 베드부(100)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드부(100)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온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술대상(T)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시술대상(T)의 체온을 확인할 수 있다.
온열부는 안착부(110)에 설치되고, 설정온도의 열을 발산하여 안착부(110)의 일면으로 열을 전달함으로써, 안착부(110)에 안착된 시술대상(T)이 적정 체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온열부는 발열선 또는 면상발열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110)의 내부에 매립될 수도 있고, 발열시트 또는 발열패드의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1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온열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는 조사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사부(200)는 베드부(10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조사부(200)의 내측에는 베드부(100)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1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사부(200)는 제2 수용공간(102)에 수용된 베드부(1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사부(20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사부(200)는 프레임부(210), 조사수단(220), 차폐부재(230), 연장부(240) 및 회전수단(2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10)는 후술할 회전수단(250)에 설치되어 회전수단(250)을 통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일 측에 후술할 조사수단(220)이 설치되어 조사수단(22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210)는 'ㄱ' 형상과 같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술한 제2 수용공간(10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10)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210)는 서로 다른 외경의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시술대상(T)의 크기에 맞게 제2 수용공간(102)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조사수단(220)은 프레임부(210)의 단부에 설치되어 프레임부(210)의 회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내측에 방사선 조사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수용홀(121)에 배치된 시술부위(P)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사수단(22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방사선량은 5 내지 7 그레이(gray)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 조사장치는 공지된 방사선 조사장치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시술부위(P)를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경우, 시술대상(T)의 생식기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대상(T)의 중성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폐부재(230, 230')는 조사수단(220)에 결합되어 방사선의 조사방향(D)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부재(230, 230')는 관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 공간이 방사선이 조사되는 조사수단(220)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230, 230')의 내면에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230, 230')는 조사수단(22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차폐부재(230, 23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방사선을 일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230, 230')는 시술대상(T)의 표면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형의 차폐부재(230, 230')는 내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통하여 시술부위를 향할수록 조사각이 넓어지는 방사선의 일부를 차폐하여, 방사선이 비시술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사선이 균일한 범위로 시술부위에 조사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폐부재(2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수단(220)에 결합된 일 측 단부로부터 개구된 타 측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재(230)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방사선이 비시술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이 국소부위만을 조사하도록 하여, 국소부위 시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는 도 6의 (a)에 도시된 형태의 역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방사선이 비시술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할 수 있으면서도, 차폐부재가 정구조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넓은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차폐부재(23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수단(220)에 결합된 일 측 단부로부터 개구된 타 측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차폐부재(230')가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시술부위에 방사선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방사선이 비시술부위에 도달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차폐부재(230, 230')에는 텔레스코프 기능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폐부재(230, 230')는 조사수단(22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장부(240)는 조사수단(220)이 설치된 프레임부(210)의 일 측에 대향 배치되도록 프레임부(210)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240)는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모듈형태로 형성되어 무게를 증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레임부(210)가 신장된 길이 및 조사수단(220)의 무게를 참고하여 연장부(240)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부(210)가 회전할 경우, 조사수단(220)의 무게에 의해 프레임부(210)가 과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수단(250)은 프레임부(2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조사수단(220)과 연장부(240)의 중심부위에 배치되고, 프레임부(2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단(250)에 결합된 프레임부(210)는 프레임부(210)의 내측에 수용된 베드부(1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수단(250)은 모터, 액추에이터 등과 같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동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수단(25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는 흡입부(3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입부(3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미도시), 동력부와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관(310) 및 연결관(3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수용홀(121)에 대향 배치되도록 절곡되는 흡입관(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300)는 흡입관(320)이 수용홀(121)에 대향하도록 베드부(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부(30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수용홀(121)에 수용된 시술부위(P)를 흡입하여 수용홀(121)의 축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술부위가 시술대상(T)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300)가 시술부위(P)를 흡입하는 경우, 시술부위(P)가 수용홀(121)내에 배치되고, 비시술부위가 수용홀(121) 외부의 안착부(110)에 배치되어, 시술부위(P)와 비시술부위가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시술대상(T)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시술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조사수단(22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사부(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베드부(100), 조사부(200) 또는 흡입부(300)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베드부(100) 또는 조사부(200)의 위치를 제어하거나, 조사수단(22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 방사선의 세기, 흡입부(300)의 흡입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저에너지 국소 방사선 조사장치(1000)에 따르면, 시술부위(P)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시술대상(T)의 생식기능이 저하 또는 상실되도록 하고, 이로인해 시술대상(T)의 중성화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사수단(220)에 차폐부재(230, 230')를 구비함으로써, 방사선이 차폐부재(230, 230')에 의해 차폐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방사선이 비시술부위까지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사선에 의한 정상세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230, 230')가 연장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방사선이 설정된 부위에만 조사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국소부위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300)가 수용홀(121)에 수용된 시술부위를 수용홀(121)의 축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방사선이 설정된 부위 이외의 부분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B … 방사선 조사영역
D … 방사선 조사방향
100 … 베드부
101 … 제1 수용공간
102 … 절곡부
110 … 안착부
120 … 분리수단
121 … 수용홀
122, 122' … 분리대
123 … 분리집게
130 … 가이드홀
140 … 고정부
150 … 지지부
160 … 제2 이동수단
161 … 이송레일
162 … 이송블록
200 … 조사부
201 … 제2 수용공간
210 … 프레임부
220 … 조사수단
230, 230' … 차폐부재
240 … 연장부
250 … 회전수단
300 … 흡입부
310 … 연결관
320 … 흡입관

Claims (11)

  1. 일 측에 시술대상을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평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한 베드부; 및
    내측에 상기 베드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베드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부는,
    상기 시술대상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시술대상의 시술부위를 상기 시술대상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착부의 일부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관통되어 시술부위를 수용 가능한 수용홀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드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기 시술부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시술대상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안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고, 중심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시술부위를 거치하는 분리대로 형성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시술부위를 잡아서 상기 시술대상으로부터 연장시키는 분리집게로 형성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시술대상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조사수단; 및
    상기 조사수단에 결합되어 방사선의 조사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조사수단과 연통되어 상기 조사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며, 상기 시술대상의 표면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조절 가능한 관형의 차폐부재; 를 포함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조사수단에 결합된 일 측 단부로부터 개구된 타 측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8. 삭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에는, 상기 조사부의 회전 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용홀과 상기 베드부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부는,
    상기 조사수단을 상기 수용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가이드홀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폭은 상기 수용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량은 5 내지 7 그레이(gray)인,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KR1020180091292A 2018-08-06 2018-08-06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KR10210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92A KR102101412B1 (ko) 2018-08-06 2018-08-06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92A KR102101412B1 (ko) 2018-08-06 2018-08-06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62A KR20200016062A (ko) 2020-02-14
KR102101412B1 true KR102101412B1 (ko) 2020-04-16

Family

ID=6951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92A KR102101412B1 (ko) 2018-08-06 2018-08-06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4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304A (ja) * 2001-12-26 2003-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粒子線治療装置
KR101880354B1 (ko) * 2016-07-22 2018-07-19 김동욱 다중 에너지 영상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43284A (zh) 2002-10-25 2007-04-04 独立行政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电子加速器及使用该电子加速器的放射线治疗装置
KR101715073B1 (ko) * 2015-08-14 2017-03-28 한국원자력연구원 회전형 방사선 조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304A (ja) * 2001-12-26 2003-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粒子線治療装置
KR101880354B1 (ko) * 2016-07-22 2018-07-19 김동욱 다중 에너지 영상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62A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2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therapy positioning and validation
EP1853346B1 (en) Peripheral brachytherapy of protruding conformable organs
US86415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guided dynamic radiation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and other pelvic lesions
EP1885452B1 (en) Small field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machine
ES2384291T3 (es) Dispositivo terapéutico que combina radioterapia y termoterapia
US20080144769A1 (en) Device for irradiation therapy with image monitoring
JP2014505548A5 (ko)
CN105920746A (zh) 一种放射治疗设备
US20090154645A1 (en) Teletherapy treatment center
KR101436286B1 (ko) 마이크로파 온열치료기
WO2007084365A2 (en) Variable stop collimator
KR102174488B1 (ko) 방사선 촬영 및 치료 장치
KR102101412B1 (ko) 저에너지 방사선 국소 조사장치
KR101880354B1 (ko) 다중 에너지 영상치료기
Kunos et al.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gynecologic cancer
US10143860B2 (en) Radiation therapy apparatus
CN1870940B (zh) 通过电离辐射用于治疗的仪器
CN111491597B (zh) 患者定位装置及方法
KR101389071B1 (ko) 방사선 치료 장치 및 선형가속기 결합용 빔 스포일러 모듈
KR102504339B1 (ko) 방사선 검사 장치
KR101357529B1 (ko) 성문암 치료용 메가 볼트 엑스-선 산란판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240066311A1 (en) Hyperthermia Electromagnetic Energy Applicator Housing and Hyperthermia Patient Support System
KR102004467B1 (ko) 피부질환치료용 전자선 산란장치, 이를 포함하는 피부질환치료용 방사선치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표면에 대한 호형 전자선 조사방법
US20150246245A1 (en) Hadron therapy installation comprising an imaging device
KR20240017746A (ko) 광자 에너지 준위에 따른 치매, 만성 염증 치료를 위한저선량 방사선 치료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