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339B1 - 방사선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339B1
KR102504339B1 KR1020220063052A KR20220063052A KR102504339B1 KR 102504339 B1 KR102504339 B1 KR 102504339B1 KR 1020220063052 A KR1020220063052 A KR 1020220063052A KR 20220063052 A KR20220063052 A KR 20220063052A KR 102504339 B1 KR102504339 B1 KR 10250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irradiation
detector
disposed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720A (ko
Inventor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2006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3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3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hygiene 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8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a detector unit being housed in a cass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와 접촉 가능한 검사본체부,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가 배치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 위치 고정되거나 상기 검사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1영역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제1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면 상기 디텍터를 향해 광원을 조사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 장치{Radiation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사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터가 장착되는 동안 살균 및 소독 처리를 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는 암 조직에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면서도 주변 정상 조직 및 주요 장기에는 최소한의 선량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된다.
방사선 검사 장치는 대상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 장치이다.
방사선 검사 장치는 방사선 조사부와 디텍터(detector)가 일정 공간에 고정되어 있어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해 대상체인 환자가 방사선 검사 장치가 위치하는 검사실로 이동하고, 장치에 맞게 몸을 움직여야 한다.
한편, 질병에 기인한 저하된 건강 상태와 더불어 신체적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약제 사용, 장시간의 수술이나 다양한 보조 기구의 이용 등으로 환자는 건강한 사람에 비해 병원 내 감염에 걸릴 확률이 높다.
또한, 한정된 공간 내에 높은 밀도로 환자를 수용하는 병원 환경은 병원성 미생물의 전파를 용이하게 하여, 병원 감염 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방사선 검사 장치에 따라 환자가 디텍터와 직간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데, 디텍터의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환자가 병원성 세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04823호(2014.10.30, 발명의 명칭: 이동형 X선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광조사부가 이동프레임부에 디텍터가 배치되면 디텍터를 향해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디텍터를 살균 및 소독 처리하여 병원성 세균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자와 접촉 가능한 검사본체부,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가 배치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 위치 고정되거나 상기 검사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1영역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제1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면 상기 디텍터를 향해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검사본체부의 저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은 자외선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본체;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광조사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광조사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상기 광조사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사본체부에 설치되고, 방사선 검사 시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상기 디텍터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격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텍터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영역 상에 복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광조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와 이격배치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상기 디텍터가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텍터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판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는, 광조사부가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를 향해 광원,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이동프레임부 상에 수용되는 디텍터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조사구동부가 광조사본체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를 향해 조사되는 광원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로 인하여 디텍터가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디텍터가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될 때 광원조사부가 광원, 즉 자외선을 디텍터로 조사하도록 하여 살균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텍터를 살균 처리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디텍터와 환자 간 접촉 시 세균 등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디텍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프레임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디텍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프레임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1)는, 검사본체부(100), 이동프레임부(200), 디텍터(300), 광조사부(400), 격자부(500), 손잡이부(600), 센서부(700),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검사본체부(100)는 환자와 접촉이 가능한 것으로,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7을 참조하면, 검사본체부(100)는 침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검사본체부(100) 상에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8과 같이, 환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흉부나 등을 대고 서있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지며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는 이동프레임부(20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검사자는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프레임부(200)를 추출하여 바깥으로 빼내고,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디텍터(300)를 배치하여 디텍터(300)가 검사본체부(100)의 저면과 마주볼 수 있도록 다시 이동프레임부(200)를 집어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는 격자부(500)가 위치 고정되며 설치될 수 있다.
격자부(500)(grid)는 방사선 검사 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방사선 조사부(도면 미도시)와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프레임부(200)가 이동됨에 따라 검사본체부(100)의 저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디텍터(300)와 마주보도록 검사본체부(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부(500)의 일반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널리 알려진 바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3, 도 5,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200)는 검사본체부(100)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도 2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3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프레임부(200)는 검사본체부(100) 상에 위치 고정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제1영역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디텍터(300)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부(200)의 제1영역에는 뒤에 설명할 광조사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영역에 광조사부(4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하여 광조사부(400)가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 상의 복수의 영역에 균일하게 광원(L)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프레임부(200)의 제1영역이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 설치되고,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이 제1영역 상에서 이동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프레임부(200)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검사본체부(100)의 저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도 2 기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프레임부(200)의 제1영역이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 위치 고정되고, 디텍터(300)가 배치되는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200)에는 뒤에 설명할 손잡이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600)는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2회의 절곡부(610)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검사자가 절곡부(610)가 형성되는 손잡이부(600)를 감싸며 파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에는 디텍터(30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영역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감지하는 센서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700)에 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300)는 이동프레임부(200)에 배치 가능한 것으로,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사선을 수용할 수 있다.
디텍터(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1),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며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검사본체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대향되는 타측(도 1 기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을 검사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추출하고, 디텍터(300)를 제2영역 상에 배치한 후 다시 검사본체부(100)의 저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집어넣어 디텍터(300)를 검사본체부(100)의 하측(도 3 기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디텍터(300)는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영역에 설치되는 센서부(700)와 직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검사자는 이동프레임부(200)를 검사본체부(10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켜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을 검사본체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검사자는 검사본체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추출된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 상에 디텍터(300)를 배치하고 다시 검사본체부(100)의 저면과 디텍터(300)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도록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으로 이동프레임부(200)의 제2영역을 밀어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텍터(300)는 방사선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을 수용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디텍터(300)의 일반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된 바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400)는 이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며 디텍터(300)를 향해 광원(L)을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400)는 광조사본체(410), 광조사구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광조사부(4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1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영역에도 설치되며 디텍터(300)를 향해 광원(L)을 조사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광조사부(400)는 이동프레임부(200)의 제1영역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광조사부(400)는 이동프레임부(200) 상에서 미리 설정되는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됨에 따라 디텍터(300) 상의 전(all) 영역에 대하여 광원(L)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광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광원(L)은 자외선일 수 있다. 광조사부(400)에서 자외선을 디텍터(300) 측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디텍터(300)가 살균 및 소독 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본체(410)는 광원(L)을 조사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광조사본체(410)는 광조사구동부(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프레임부(200) 상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조사구동부(430)는 광조사본체(410)에 동력을 전달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광조사본체(410)에서 조사되는 광원(L)이 디텍터(300)의 전 영역에 광원(L), 구체적으로 자외선이 균일하게 조사되며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광조사구동부(430)는 광조사본체(410)를 향해 동력을 전달하여 광조사본체(410)가 회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광조사본체(410)가 이동되며 광원(L)을 조사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광조사부(400), 구체적으로 광조사본체(410), 광조사구동부(430)는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8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3,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부(500)는 검사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방사선 검사 시 이동프레임부(200)에 배치되는 디텍터(300)와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부(500)는 검사본체부(100)의 저면에 위치 고정되며 설치될 수 있다.
격자부(500)는 방사선 검사 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방사선 조사부(도면 미도시)와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프레임부(200)가 이동됨에 따라 검사본체부(100)의 저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디텍터(300)와 마주보도록 검사본체부(1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부(500)의 일반적인 구성에 관하여는 널리 알려진 바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7,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600)는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2회의 절곡부(610)가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검사자가 절곡부(610)가 형성되는 손잡이부(600)를 감싸며 파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검사자는 손잡이부(600)를 파지하고,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을 미리 설정된 방향(도 2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00)는 디텍터(300)에 접촉가능하게 이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00)는 기판부(710), 접촉부(730), 탄성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뒤에 설명할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텍터(3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800)로 전기적 신호, 구체적으로 배치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로부터 배치 신호를 전달받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조사부(400)에 조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광조사부(400)는 제어부(800)로부터 조사 신호를 전달받고 디텍터(300)를 향해 광원(L),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 상에서 복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디텍터(300)와 직접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700)는 디텍터(300)가 배치되는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미리 설정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 상에서 복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영역의 중앙부, 제2영역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디텍터(300)가 배치되면, 센서부(700)에서 제어부(800)에 전기적 신호, 즉 배치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800)에서 광조사부(400)로 조사 신호를 전달하여 광조사부(400)에서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향해 광원(L)을 조사할 수 있고, 디텍터(300)가 살균 및 소독 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700)는 기판부(710), 접촉부(730), 탄성부재(7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710)는 이동프레임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2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기판부(710)는 제어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접촉부(730)와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 신호, 즉 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8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기판부(710)는 접촉부(730)와 접촉되는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접촉부(730)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다.
도 4와 같이,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디텍터(300)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판부(710)와 접촉부(730)는 서로 비접촉된 상태로 이격 배치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에 센서부(700), 구체적으로 기판부(710), 접촉부(730), 탄성부재(7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탄성부재(750)는 접촉부(730)와 기판부(7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750)가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고, 디텍터(300)가 접촉부(730) 상에 배치되며, 디텍터(300)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750)가 압축되고, 접촉부(730)와 기판부(710)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신호, 구체적으로 배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탄성부재(750)가 압축되며 기판부(710)와 접촉부(73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800)로 전달하고, 제어부(800)는 다시 광조사부(400)로 전기적 신호, 즉 조사 신호를 전달하여 광조사부(400)에서 광원(L),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디텍터(300)로 조사하여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방사선 검사가 끝난 후 디텍터(300)를 이동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제2영역 상에서 들어올리면 탄성부재(7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길이로 복귀되고, 이로 인하여 접촉부(730)와 기판부(710)가 이격될 수 있다. 접촉부(730)와 기판부(710)가 이격됨에 따라 디텍터(3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광조사부(400)를 통해 광원(L)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7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접촉부(730) 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부(7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800)는 센서부(700) 및 광조사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센서부(70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광조사부(4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800)는. 센서부(7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디텍터(300)가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면 센서부(700)로부터 전기적 신호인 배치 신호를 전달받아 광조사부(400)에 조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 구체적으로 접촉부(730)와 기판부(710)가 접촉 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인 배치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조사 신호를 발생시켜 광조사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800)는 광조사부(400), 구체적으로 광조사구동부(43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광조사구동부(430)에 연결되는 광조사본체(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조사구동부(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광조사본체(41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디텍터(300)를 향해 조사되는 광원(L)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사선 검사 장치(1)는, 광조사부(4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향해 광원(L),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수용되는 디텍터(300)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조사구동부(430)가 광조사본체(4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 디텍터(300)를 향해 조사되는 광원(L)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700)로 인하여 디텍터(3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00)에 전달하여 디텍터(300)가 이동프레임부(200) 상에 배치될 때 광원(L)조사부가 광원(L), 즉 자외선을 디텍터(300)로 조사하도록 하여 살균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텍터(300)를 살균 처리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디텍터(300)와 환자 간 접촉 시 세균 등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방사선 검사 장치 L: 광원
100: 검사본체부 200: 이동프레임부
300: 디텍터 400: 광조사부
410: 광조사본체 430: 광조사구동부
500: 격자부 600: 손잡이부
610: 절곡부 700: 센서부
710: 기판부 730: 접촉부
750: 탄성부재 800: 제어부

Claims (15)

  1. 환자와 접촉 가능한 검사본체부;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방사선을 수용하는 디텍터가 배치되는 이동프레임부;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부;
    상기 디텍터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텍터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광조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프레임부는 상기 검사본체부 상에 위치 고정되거나 상기 검사본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1영역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제1영역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상기 디텍터가 배치되면 상기 디텍터를 향해 광원을 조사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
    상기 기판부와 이격배치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상기 디텍터가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텍터의 무게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기판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검사본체부의 저면 상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에서 조사되는 광원은 자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광원을 조사하는 광조사본체; 및
    상기 이동프레임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광조사본체에 동력을 전달하는 광조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상기 광조사구동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본체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본체부에 설치되고, 방사선 검사 시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배치되는 상기 디텍터와 마주보며 배치되는 격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영역 상에 복수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063052A 2020-09-02 2022-05-23 방사선 검사 장치 KR102504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052A KR102504339B1 (ko) 2020-09-02 2022-05-23 방사선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463A KR102403652B1 (ko) 2020-09-02 2020-09-02 방사선 검사 장치
KR1020220063052A KR102504339B1 (ko) 2020-09-02 2022-05-23 방사선 검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63A Division KR102403652B1 (ko) 2020-09-02 2020-09-02 방사선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720A KR20220073720A (ko) 2022-06-03
KR102504339B1 true KR102504339B1 (ko) 2023-02-28

Family

ID=808162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63A KR102403652B1 (ko) 2020-09-02 2020-09-02 방사선 검사 장치
KR1020220063052A KR102504339B1 (ko) 2020-09-02 2022-05-23 방사선 검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463A KR102403652B1 (ko) 2020-09-02 2020-09-02 방사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36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1052A (ja) 2013-09-05 2015-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移動型x線撮影装置
KR101946439B1 (ko) * 2016-11-24 2019-02-12 정진선 도마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696A (ko) * 2013-10-22 2015-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63305B1 (ko) * 2014-07-30 201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1052A (ja) 2013-09-05 2015-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移動型x線撮影装置
KR101946439B1 (ko) * 2016-11-24 2019-02-12 정진선 도마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915A (ko) 2022-03-10
KR20220073720A (ko) 2022-06-03
KR102403652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2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therapy positioning and validation
US75524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ient loading and unloading
US5515416A (en) Bi-plane imaging device
US20090202045A1 (en) Treatment booth for radiation therapy
US10653377B2 (en) Breast computed tomography system comprising a gripper
US11109774B2 (en) Flat location pad using nonconcentric coils
US201700275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on
US20090154645A1 (en) Teletherapy treatment center
KR102504339B1 (ko) 방사선 검사 장치
JP4559423B2 (ja) 上体定位固定及び位置決め装置
US9474913B2 (en) Universal teletherapy treatment room arrangement
JP2022009850A (ja) 校正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8038299A1 (ko) 방사선 치료 시 광조사야 및 광반사체를 이용한 환자정렬 방법 및 시스템
JP3790481B2 (ja) 放射線治療装置
CN109107056B (zh) 放射治疗实时跟踪肿瘤位置的装置
CN111491597B (zh) 患者定位装置及方法
WO2013107472A1 (en) Radiotherapeutic apparatus
US20230310884A1 (en) Teletherapy patient support and method
EP4285829A1 (en) Diagnostic container for optimized medical imaging
KR20230116585A (ko) 엑스 선 무선 디텍터 보관 및 소독 장치
Moloney et al. Bladder filling protocols for radical prostate radiotherapy: an exploration of patient experience
KR20220160995A (ko) 방사선치료를 위한 다각도 자세 환자 치료 의자
KR20220037719A (ko) 방사선 촬영 보조 장치
JP2022090444A (ja) 深紫外線照射装置及び医用装置
CN114209352A (zh) 一种放射科用可移动式放射科ct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