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225B1 -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225B1
KR102101225B1 KR1020190154194A KR20190154194A KR102101225B1 KR 102101225 B1 KR102101225 B1 KR 102101225B1 KR 1020190154194 A KR1020190154194 A KR 1020190154194A KR 20190154194 A KR20190154194 A KR 20190154194A KR 102101225 B1 KR102101225 B1 KR 10210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information
unit
modu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원
Original Assignee
여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원 filed Critical 여상원
Priority to KR102019015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4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compensation, e.g. for backlash, overshoot, tool offset, tool wear, temperature, machine construction errors, load, inerti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하여, 통전수단을 통하여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터(multimeter)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측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SUPPORT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영서버부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을 이용하여 계측기기 및 제어설비부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획득하여 각종 설비들을 유지관리하는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제어설비부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담당자가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운영정보서버를 제공하는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계장이란,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제어기술로서, 계측, 계량, 제어, 설치, 설계, 운전 등을 포함한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계장의 원격 제어는 산업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인간은 위험한 계장 제어를 현장에서 하지 않아도 되었다. 그러나 화재, 누출과 같은 돌발적인 일에 대한 대처능력이 부족하며,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어떤 기계나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원격제어 시스템이 여러 분야에서 더욱 연구되어 왔다.
원격제어 시스템의 발달에 의해 위험 지역의 계측을 인간이 아닌 기계가 대신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산업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오늘날 원격제어 시스템의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원격지와 작업 현장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인프라의 설치는 원격지와 작업 현장의 거리에 비례하여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며, 설치 후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커진다.
또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작업 공간은 건설 현장의 컨테이너를 옮기는 것과 같은 인간의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나 수색, 위험물 탐사와 같은 인간이 작업하기 위험한 지역이 대부분이다. 이런 작업 공간은 한시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네트워크 인프라의 설치가 필요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이런 공간의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부적절한 시스템이다. 또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이동 중에는 시스템의 구동이 어렵다는 것으로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구동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에 상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계장 처리 시스템은 감시 제어 컴퓨터를 통하여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현장에 있는 기계 설비들의 실시간 운전 상태나 경보 확인이 쉽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넓게 분산되어 있는 공정 시설들의 실제 상황을 확인하는데 어려움과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현장에 있는 기계 설비의 상태 및 계측 값의 모니터링이 감시 제어 컴퓨터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계 설비의 운전 및 계측 값의 경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73752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운영서버부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을 이용하여 계측기기 및 제어설비부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획득하여 각종 설비들을 유지관리하는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제어설비부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담당자가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운영정보서버를 제공하는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은,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하여, 통전수단을 통하여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터(multimeter)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측기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기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계측기기 및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설비를 운영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설비부;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비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설비부; 상기 계측기기,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및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를 관리하는 운영서버부; 및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는 진동감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비는 모터 또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또는 상기 펌프의 적어도 일 영역은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 또는 상기 펌프에는 적어도 일 영역에 통전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멀티미터는 상기 통전수단과 연결형성되며,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전기적 감지가 가능한 탄소섬유를 보강섬유로 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 코팅된 복합재료이며, 상기 멀티미터는 상기 통전수단을 통하여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되,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는, 상기 계측기기, 상기 설비,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부는, 상기 설비의 운영정보를 저장하는 설비인 운영정보서버모듈; 기자재 명칭, 상기 설치 위치,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별 정보, 자료 관리를 위한 설비관리모듈;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및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관리모듈;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준공관리모듈; 및 유지보수 이력 정보, 조치사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설비관리모듈은 상기 기자재 명칭, 상기 설비의 설치 위치, 상기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상기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는 상기 설비 별로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별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운영관리모듈은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문제 발생시 상기 운영관리모듈을 통해 현재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스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준공관리모듈은 특정 상기 설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의 구조와 특성을 판단하며, 상기 유지보수관리모듈은 작업자에 의해 조치한 조치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유지보수 일자 및 내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원격지에서도 문제 파악을 분석한 후, 이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모듈; 상기 진동저감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시트; 및 상기 진동저감시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저감시트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 전송하는 진동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저감시트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키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다수의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 및 상기 완충모듈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는 접촉모듈을 구비하는 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작용하는 상기 진동이 분산되어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 및 상기 가이드모듈과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가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달되는 상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모듈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측정센서는, 상기 접촉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분산부재에 작용하는 진동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진동수의 변화가 소정 범위 이내인 시간 동안의 상기 측정값을 평균하여 제1 임계값을 생성하는 임계값 생성부; 상기 임계값 생성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임계값을 상기 측정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임계값을 수신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및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진동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조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에 표출하고,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계측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데이터 시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량명의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량명에 대응되는 변량들을 기초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3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인쇄 또는 저장을 위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4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되,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명칭 및 그래프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한 변량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선택된 변량명에 소속된 변량들에 대한 그룹별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정보는 생성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생성되고, 상기 그래픽 정보는 평균, 표준분포, 도수, 회귀선, 도수분포다각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시트 및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는 각각의 계측기기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며, HART 통신을 이용한 양 방향 통신을 통해 계측정보를 송신하거나 교정정보를 수신하는 계측기기; 상기 설비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온도 및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대응기기; 상기 계측기기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기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설비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를 제어하는 연산제어설비부; 및 상기 계측기기, 상기 화재대응기기 및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설비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를 운영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설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의 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비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설비부; 및 상기 계측기기, 상기 화재대응기기,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및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를 관리하는 운영서버부; 상기 설비, 상기 계측기기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는 진동감쇄부; 및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전달받은 계측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및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로 송신하며,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로부터 교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계측기기로 송신하는 검교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검교정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계측기기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교정정보를 상기 검교정장치로 송신하고,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검교정장치의 전체 목록을 표시하며, 상기 목록은 작업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의해 표시되고, 상기 검교정장치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운용되며, HART통신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계측기기와 양 방향 통신을 통해 계측정보를 수신하거나 교정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계측정보는, 상기 계측기기의 고유식별번호, 검측치, 검측일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기는, 통전수단을 통하여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터(multimeter)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대응기기는, 온도 및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모듈 및 화재 사실을 경보하거나 진압하기 위한 방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는, 상기 감지센서모듈 및 방재모듈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모듈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감지센서모듈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재모듈을 구동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따른 화재 및 재해 발생 상황 정보를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재모듈을 구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는, 상기 계측기기, 상기 설비, 상기 화재대응기기 및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계측기기 또는 상기 상기 화재대응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계측기기또는 상기 화재대응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데이터 시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량명의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량명에 대응되는 변량들을 기초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3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계측기기 또는 상기 화재대응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인쇄 또는 저장을 위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4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되,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명칭 및 그래프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한 변량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선택된 변량명에 소속된 변량들에 대한 그룹별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정보는 생성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생성되고, 상기 그래픽 정보는 평균, 표준분포, 도수, 회귀선, 도수분포다각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시트 및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는 각각의 계측기기별 또는 상기 화재대응기기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상기 화재대응기기는, 상기 감지센서모듈 및 방재모듈장치의 적어도 일 영역 형성되며, 상기 감지센서모듈 및 상기 방재모듈이 설치된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제 4 영역에 상기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의 작업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생성된 상기 화재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하고, 소정의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 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상기 제 4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화재대응기기의 온도 또는 연기와 관련된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 데이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운영서버부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을 이용하여 계측기기 및 제어설비부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획득하여 각종 설비들을 유지관리하는 유지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제어설비부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담당자가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디스플레이모듈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10)은 운영서버부(100), 계측기기(200), 연산제어설비부(300), 중앙제어설비부(400), 원격제어설비부(500) 및 진동감쇄부(1000)을 포함한다.
운영서버부(100)는 계측기기(200), 연산제어설비부(300), 중앙제어설비부(400), 원격제어설비부(500) 및 진동감쇄부(1000) 로부터 제어정보, 계측정보 등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종합 관리한다. 운영서버부(100)는 각종 설비, 계측기기(200) 및 진동감쇄부(1000)의 상태 정보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연산제어설비부(300), 중앙제어설비부(400), 원격제어설비부(500)의 현재 상태 및 운영 상태를 감시하며, 관리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계측기기(200)는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며, 복수의 계측기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계측기기는 멀티미터(multimeter), 온도계측기기, 압력계측기기, 절연저항 측정기기, 기울기계측기기, 진동계측기기, 유량계측기기, 누수계측기기 등 다양한 계측기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종 설비의 계측 목적에 맞게 서로 다른 수치를 계측하는 복수의 계측기기(200)가 설비 주변 등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가지는 계측기기(200)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측기기(200)는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하여, 통전수단을 통하여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터(multimeter)를 포함한다. 멀티미터는 도체의 전기 저항, 두 점 사이의 전압 및 전류 등 여러 가지 측정기능을 결합한 전기 계측기다. 멀티미터는 전기 계측과 출력을 위해서, 대상 지점에 접촉해 전기신호를 수집하는 리드선과, 수집한 전기신호를 지정 형태로 변환 및 조정하는 레인지와, 조정된 전기신호를 분석해서 데이터로 전환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측기기(200)를 통해, 설비, 예를 들어, 모터, 펌프, 배관 등의 외관 및 내부 점검, 절연저항 측정, 수분 유입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측기기(200)의 계측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위하여, 설비의 일 구성인 모터 또는 펌프의 적어도 일 영역이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또는 펌프에는 적어도 일 영역에 통전수단이 형성되며, 계측기기(200) 중 하나인 멀티미터는 상기 통전수단과 연결형성될 수 있다.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전기적 감지가 가능한 탄소섬유를 보강섬유로 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 코팅된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멀티미터는 통전수단을 통하여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탄소섬유의 전도성을 이용하고, 멀티미터로 전기적 특성감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가 받는 하중, 균열에 대한 감지를 통해, 모터 또는 펌프의 실시간 상태 및 손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통전수단은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인발 성형시 통전수단이 내부에 매립되거나,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양 말단에 고정 및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중이나 충격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분(펌프, 모터, 배관 등의 일 영역)을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포함하도록 형성시키고, 구리선을 포함하는 통전수단을 이용하여 섬유강화 복합재료와 멀티미터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전기저항을 감지하도록 하여 설비의 변형, 응력, 하중, 손상 등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측기기(200)는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며, HART 통신을 이용한 양 방향 통신을 통해 계측정보를 송신하거나 교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산제어설비부(300)는 계측기기(200)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기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연산제어부(300)는 계측기기(200), 설비, 밸브 등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명령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연산제어부(300)는 운영서버부(100)에서 획득한 정보를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 로직에 대입하고 분석하여 장애 발생시 장애의 원인을 관리자가 빠른 시간에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계측기기(200)로부터 계측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획득된 정보가 임계치 정보를 초과할 경우에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 순서에 따라 설비 또는 계측기기(200)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 연산제어설비부(300)를 통해 보다 지능적이고 신속한 자체상태진단 및 원격점검기능을 구현하여 신속한 복구 및 안정적인 설비운영을 할 수 있으며, 별도로 운영서버부(100)를 운영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일괄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상승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앙제어설비부(400)는 계측기기(200) 및 연산제어설비부(300)를 통해 전송된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를 운영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중앙제어설비부(400)는, 계측기기(200), 설비, 연산제어설비부(3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설비부(400)는 설비 또는 계측기기(200) 등의 계장 감시 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취득, 저장, 제어를 수행하는 설비로서, 계장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며,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설비인 것이다.
원격제어설비부(500)는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비에 동작신호를 제공한다. 원격제어설비부(500)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계측기기(200), 설비 등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 명령을 처리한다. 즉, 원격제어설비부(500)는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설비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공하며, 제어에 따라 각종 설비들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진동감쇄부(1000)는 설비 및 계측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한다. 진동감쇄부(1000)는 설비 및 계측기기(2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화시켜,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온전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또한, 진동감쇄부(1000)는 진동을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설비가 위치한 곳의 진동값을 제공하고, 진동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부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서버부(100)는 운영정보서버모듈(110), 설비관리모듈(120), 운영관리모듈(130), 중공관리모듈(140) 및 유지보수관리모듈(150)을 포함한다.
운영정보서버모듈(110)은 설비의 운영정보를 저장한다. 계장운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운영관리모듈(130)에서 제공된 중앙제어설비부(400), 원격제어설비부(500)를 관리하는 정보, 준공관리모듈(140)에서 제공된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 유지보수관리모듈(150)에서 제공된 유지보수 이력 정보, 조치사항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설비관리모듈(120)은 기자재 명칭, 상기 설치 위치,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별 정보, 자료 관리한다. 설비관리모듈(120)은 기자재 명칭, 설비의 설치 위치,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는 설비 별로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별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여 관리한다.
운영관리모듈(130)은 중앙제어설비부(400) 및 원격제어설비부(500)를 관리한다. 운영관리모듈(130)은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문제 발생시 운영관리모듈(130)을 통해 현재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토대로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스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인력을 감축하고 자동으로 운영되는 부분은 점차 증가하여 관리자가 모든 로직을 숙지하고 대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는 바, 운영관리모듈(130)을 제공하여 장애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한 대응 할 수 있다.
중공관리모듈(140)은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관리한다. 준공관리모듈(140)은 특정 설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의 구조와 특성을 판단한다.
유지보수관리모듈(150)은 유지보수 이력 정보, 조치사항 정보를 관리하는구성으로서, 운영관리모듈(150)은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문제 발생시 운영관리모듈(150)을 통해 현재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스 정보를 제공한다. 유지보수관리모듈(150)은 작업자에 의해 조치한 조치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유지보수 일자 및 내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원격지에서도 문제 파악을 분석한 후, 이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촬영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영역(410)과 데이터 시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420)과, 데이터 시트에 대한 그래프 생성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3 영역(430)과, 저장 또는 인쇄될 그래프를 표시하기 위한 제4 영역(440)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영역(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제어설비부(400)의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제1 영역(411)과 데이터 시트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영역(412)과, 데이터 시트에 대한 그래프 생성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3 영역(413)과, 저장 또는 인쇄될 그래프를 표시하기 위한 제4 영역(414)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들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영역(41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은 계측기기(2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1 영역(411)에 표시하고, 계측기기(200)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데이터 시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2 영역(4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량명의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량명에 대응되는 변량들을 기초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3 영역(413)에 표시하며,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인쇄 또는 저장을 위하여,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를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4 영역(414)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명칭 및 그래프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한 변량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선택된 변량명에 소속된 변량들에 대한 그룹별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고, 다이나믹 그래프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제3 영역(413)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정보는 생성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생성되고, 상기 그래픽 정보는 평균, 표준분포, 도수, 회귀선, 도수분포다각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시트 및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는 각각의 계측기기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셀이 행과 열로 구성된 데이터 시트 양식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2 영역(412)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 시트의 공란, 즉 어느 하나의 셀에 통계 분석을 위한 변량들을 입력하여 통계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변량들을 기초로 데이터 시트에 변량을 기록한 결과를 제2 영역(412)에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시트에 통계 자료가 기록된 후,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그래프의 종류에 대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제3 영역(413)상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제2 영역(412)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시트에 기록된 모든 변량들 중에서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한 변량들을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시트에는 변량들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셀(이하, 변량명 영역)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변량명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변량명 영역에 소속된 변량들을 수집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제5 영역인 인터페이스 영역(415) 상의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수집된 변량들 및 선택된 아이콘의 종류에 따른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의 종류는 막대 그래프, 원 그래프, 띠 그래프, 꺾은선 그래프, 점 그래프, 히스토그램, 줄기 그래프, 상자 그래프 및 산점도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에서 생성되는 그래프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계자료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종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은 각각의 그래프의 종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인터페이스 영역(415)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료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모듈(410)은 계측기기 또는 설비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는 설비 또는 계측기기의 경우,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저장하거나 인쇄하기 위한 영역 또는 UI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를 제4 영역(414)으로 이동시켜, 제4 영역(414)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4 영역(414)은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시트 및 그래프들이 정렬되어 표시되는 영역으로, 출력을 위한 규격에 적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쇄부(1000)는 진동저감모듈(1100), 진동저감시트(1200) 및 진동측정센서(1300)를 포함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설비 및 계측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 진동저감모듈(1100)은 사각형 모서리부분에 코너 부재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코너 부재(1111)의 내부에 형성한 안착 홈(1112)에 제1,2 연결 부재(1113)(1114)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제1,2 연결 부재(1113)(1114)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 홈(1115)에 제3,4 연결 부재(1116)(1117)를 세로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안착홈(1112)의 양 내측에 고정홈(1111a)을 형성하며, 제1,2,3,4 연결 부재(1113)(1114)(1116)(1117)의 상단 면에 완충 부재(1118)를 부착한다. 진동저감모듈(1100)은 제1,2,3,4 연결 부재(1113)(1114)(1116)(1117)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흡음 부재(1119)를 삽입하며, 완충 부재(1118)의 상단 면에 단열 부재(1120)를 설치하여 단열 부재(1120)의 하단 면이 흡음부재(1119) 상단 면과 밀착한다. 단열 부재(1120)의 상단 면 내측에는 복수의 관로 홈(1122)을 형성하여 내부에 냉온수관(1123)을 삽입하며, 단열 부재(1120)의 상단 면에 보조 흡음 부재(1124)를 설치하고, 보조 흡음 부재(1124)의 상단 면에는 마감 부재(1125)가 형성된다.
진동저감시트(1200)는 진동저감모듈(1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2차적으로진동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 진동저감시트(1200)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서, 시트부재(1210), 전달부재(1220) 및 분산부재(1230)를 포함한다.
시트부재(1210)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킨다. 시트부재(1210)는 고밀도의 재질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연성 및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시트부재(1210)가 고밀도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시트부재(1210)의 상부로 충격이 작용하여 시트부재(1210)의 상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시트부재(1210)는 충격 또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며 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PE), 발포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폴리스틸렌(EPS)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시트부재(1210)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진동이 분산되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1211), 가이드모듈(1211)과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이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비닐 성형 장치(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가이드모듈(1211)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1212)를 구비한다.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반구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과 시트부재(1210) 사이에 구비되어 공간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달부재(1220)는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하여 시트부재(1210)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응집되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달부재(1220)를 통하여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수에 의하여 진동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1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분산되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모듈(1211)과 흡수모듈(121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모듈(1211)은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서 반구의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모듈(1211)는 분산부재(1230)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가이드모듈(1211)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모듈(1211)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시트부재(1210)의 상부로 충격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분산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모듈(1211)로 전달될 때 진동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과 접하는 흡수모듈(1212)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흡수모듈(1212)은 가이드모듈(1211)의 하부에 형성되며, 가이드모듈(1211)보다 저밀도로 형성되어 진동을 흡수하여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가이드모듈(1211)과 흡수모듈(1212)을 동일한 밀도의 재질로 형성하면 흡수모듈(121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의 양이 가이드모듈(1211)를 통해 전달하는 진동의 양과 동일하게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흡수모듈(1212)을 저밀도로 형성하여 가이드모듈(1211)에 의하여 전달되는 진동의 양이 저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부재(1220)는 시트부재(1210)와 동일하게 소음이 적게 발생할 수 있도록 충격에 의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 발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폴리스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다수의 전달부재(122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전달부재(1220)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1231) 및 완충모듈(1231)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에 접하는 접촉모듈(1232)를 구비한다.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다수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와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달부재(1220)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원기둥에 나선형의 홈을 구비하여 스프링과 같이 외력으로 원기둥의 길이를 늘려 탄성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산부재(1230)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시트부재(1210)로 작용하는 충격이 전달부재(1220)로 집중되어 진동수가 증폭되는 것을 분산시키는 완충모듈(1231)과, 완충모듈(12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며 진동측정센서(1300)가 구비되는 접촉모듈(12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 및 전달부재(1220)와 동일하게 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발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폴리스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는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부재(1210)의 상부에 충격이 발생하면 시트부재(1210)가 충격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부로 하락할 수 있다. 이 때, 분산부재(1230)는 시트부재(1210)가 하부로 하락되므로 시트부재(1210) 하부에 결합되어 시트부재(1210)와 동일한 길이로 하부로 하락될 수 있다. 분산부재(1230)가 충격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부로 하락될 때 나선형으로 형성된 완충모듈(1231)이 탄성에 의하여 높이가 줄어들며 다시 원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때 분산되는 진동은 소멸되거나 약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부재(1230)가 시트부재(1210)의 하부에 돌출되지 않으면 시트부재(1210)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이 전달부재(1220)로 직접 전달되어 전달부재(1220)를 통해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전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분산부재(1230)에 의하여 전달부재(1220)로 직접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분산부재(1230)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완충모듈(1231)에 의하여 이동하며 탄성이 작용할 때 진동이 제거되거나 약해져 전달부재(1220)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진동측정센서(1300)는 진동저감시트(1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진동저감시트(1200)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진동측정센서(1300)는 접촉모듈(1232)에 구비되어 분산부재(1230)에 작용하는 진동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감지부(1310), 진동수의 변화가 소정 범위 이내인 시간 동안의 측정값을 평균하여 제1 임계값을 생성하는 임계값 생성부(1320), 임계값 생성부(132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임계값 또는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임계값을 측정값과 비교하는 비교부(1330)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임계값을 수신하고, 비교부(1330)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값이 제1 임계값 또는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감지부(1310)의 측정값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진동제어부(13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2 임계값은 설비 및 계측기기(200)가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진동제어부(1340)는, 측정값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조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시스템(20)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 기능을 구비한 계측기기(200), 화재대응기기(700) 및 검교정장치(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차이점만을 기술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유지관리시스템(20)은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는 복수의 계측기기(200)를 포함한다. 계측기기(200)는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며, HART 통신을 이용한 양 방향 통신을 통해 계측정보를 송신하거나 교정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HART 통신 기능을 위하여, 계측기기(200)는 HART 통신 대응 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HART 통신 대응 기기는 다종류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HART 통신 대응 기기의 파라미터는 관리자나 연산제어설비부(30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HART 통신 대응 기기는, HART 통신 기능을 탑재하며, HART 통신 신호를 입출력한다. HART 통신 신호는, 4 mA∼20 ㎃의 직류 신호(제1 신호)에, 디지털 신호의 논리를 2200 ㎐와 1200 ㎐의 주파수 신호에 할당하여 변환한 교류 신호(제2 신호)를 중첩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이다. 상기 4 mA*㎃의 직류 신호는, HART 통신 대응 기기마다 설정되는 하나의 변수값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변수값으로서는, 예컨대, 유량, 압력, 온도 등의 측정값이나, 밸브 개방도 등의 제어값이 해당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는, 예컨대, HART 통신 대응 기기 내에서 수집 가능한 각종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각종 데이터로서는, 예컨대, HART 통신 대응 기기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정보나, HART 통신 대응 기기에 편입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진단 정보가 해당된다.
일 실시예에서, HART 통신 대응 기기는 이하와 같이 하여 HART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최초에, HART 통신 대응 기기는, 예컨대 0과 1로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를, 각각 2200 ㎐의 주파수 신호와 1200 ㎐의 주파수 신호에 할당하여 교류 신호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HART 통신 대응 기기는, 변환 후의 교류 신호를, 측정값이나 제어값 등을 나타내는 4 mA*㎃의 직류 신호에 중첩한다. 이에 의해, HART 통신 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설비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온도 및 연기를 감지하는 화재대응기기(700), 계측기기(200) 및 화재대응기기(700)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기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설비 및 화재대응기기(700)를 제어하는 연산제어설비부(300)을 포함한다.
계속하여, 계측기기(200), 화재대응기기(700) 및 연산제어설비부(300)로부터 전송된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비 및 화재대응기기(700)를 운영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설비부(400)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중앙제어설비부(400)에서 제공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설비 및 화재대응기기(700)의 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데이터에 따라 설비 및 상기 화재대응기기(700)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설비부(500)을 포함한다.
또한, 계측기기(200), 화재대응기기(700), 연산제어설비부(300), 중앙제어설비부(400) 및 원격제어설비부(500)를 관리하는 운영서버부(100)를 포함하고, 설비, 계측기기(200) 및 화재대응기기(70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는 진동감쇄부(1000)를 포함한다.
화재대응기기(700)는, 온도 및 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모듈(710) 및 화재 사실을 경보하거나 진압하기 위한 방재모듈(720)을 포함한다. 감지센서모듈(710)은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재모듈(720)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하는 구성으로서, 물을 분사하거나 소화분말, 소화액, 이산화탄소 등을 분사하는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재모듈(720)은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재모듈(720)은 적어도 일 영역에 바퀴, 엑츄에이터 등의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화재가 발생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방재모듈(720)은 스프링쿨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산제어설비부(300)는, 감지센서모듈(710) 및 방재모듈(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감지센서모듈(710)로부터 감지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감지센서모듈(710)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방재모듈(720)를 구동시키고, 감지센서모듈(71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따른 화재 및 재해 발생 상황 정보를 중앙제어설비부(400)로 전송하며, 원격제어설비부(5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재모듈(720)을 구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원격제어설비부(500)로부터 생성된 상기 동작신호는 연산제어설비부(300)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이 아닌 새로운 동작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동작신호란, 연산제어설비부(300)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킨 후 관리자의 제어에 의해 새로운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제어설비부(400)는, 상기 계측기기, 상기 설비, 상기 화재대응기기 및 상기 연산제어설비부(3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제어설비부(400)의 디스플레이모듈(410)은, 디스플레이모듈(410)에 계측기기(200) 또는 화재대응기기(70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계측기기(200) 또는 화재대응기기(700)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데이터 시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2 영역(412)에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하여, 사용자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량명의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량명에 대응되는 변량들을 기초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3 영역(413)에 표시할 수 있다. 계측기기(200) 또는 화재대응기기로(700)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인쇄 또는 저장을 위하여, 제2 영역(412)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를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4 영역(414)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명칭 및 그래프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한 변량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선택된 변량명에 소속된 변량들에 대한 그룹별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제3 영역(413)에 표시된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그래픽 정보는 생성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생성될 수 있다. 그래픽 정보는 평균, 표준분포, 도수, 회귀선, 도수분포다각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4 영역(414)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다이나믹 그래프는 각각의 계측기기(200)별 또는 화재대응기기별(700)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대응기기(700)는 감지센서모듈(710) 및 방재모듈(720)의 적어도 일 영역 형성되며, 감지센서모듈(710) 및 방재모듈장치(720)가 설치된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설비부(400)의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제 4 영역(41)에 카메라모듈(730)을 제공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계속하여, 카메라모듈(730)의 작업 시작 시간 내지 종료 시간 이내에 생성된 화재데이터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이벤트 영상 및 비-이벤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410)은 소정의 이벤트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영상을 결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탐색 영상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이벤트 영상의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탐색 바를 생성하고, 탐색 바를 디스플레이모듈(410)의 제 4 영역(414)의 일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의 식별 정보, 상기 이벤트의 발생 위치, 상기 이벤트의 내용,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 및 상기 이벤트의 재생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벤트 영상 중 상기 이벤트의 내용 및 상기 이벤트의 우선순위 값에 따라 특정 이벤트 영상은 디스플레이모듈(410)로 전송하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화재대응기기의 온도 또는 연기와 관련된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 데이터 기록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검교정장치(800)는 계측기기(200)로부터 전달받은 계측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산제어설비부(300) 및 상기 중앙제어설비부(400)로 송신하며, 중앙제어설비부(400)로부터 교정정보를 수신하여 계측기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중앙제어설비부(40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검교정장치(800)와 연결되며, 계측기기(200)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교정정보를 검교정장치(800)로 송신하고,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교정장치(800)의 전체 목록을 표시할 수 잇다. 이 때, 상기 목록은 작업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검교정장치800)는 계측기기(200)가 위치하는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운용되며, HART통신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측기기(200)와 양 방향 통신을 통해 계측정보를 수신하거나 교정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계측정보는, 계측기기(200)의 고유식별번호, 검측치, 검측일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 유지관리시스템
100: 운영서버부
200: 계측기기
300: 연산제어설비부
400: 중앙제어설비부
500: 원격제어설비부
700: 화재대응기기
800: 검교정장치
1000: 진동감쇄부

Claims (2)

  1. 설비의 운영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계측하기 위하여, 통전수단을 통하여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터(multimeter)를 포함하는 복수의 계측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기 설정된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는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계측기기 및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설비를 운영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중앙제어설비부;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에 따라 상기 설비에 동작신호를 제공하는 원격제어설비부;
    상기 계측기기,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및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를 관리하는 운영서버부; 및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 및 충격을 완화하는 진동감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설비는 모터 또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또는 상기 펌프의 적어도 일 영역은 섬유강화 복합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 또는 상기 펌프에는 적어도 일 영역에 통전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멀티미터는 상기 통전수단과 연결형성되며,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전기적 감지가 가능한 탄소섬유를 보강섬유로 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이 코팅된 복합재료이며, 상기 멀티미터는 상기 통전수단을 통하여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전기저항, 전류, 및 전압 중 어느 하나의 변화량을 측정하되,
    상기 중앙제어설비부는, 상기 계측기기, 상기 설비,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부는,
    상기 설비의 운영정보를 저장하는 설비인 운영정보서버모듈; 기자재 명칭, 설치 위치,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를 포함하는 설비별 정보, 자료 관리를 위한 설비관리모듈;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및 상기 원격제어설비부를 관리하기 위한 운영관리모듈;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준공관리모듈; 및 유지보수 이력 정보, 조치사항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보수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설비관리모듈은 상기 기자재 명칭, 상기 설비의 설치 위치, 상기 제작사, 관련 카탈로그 정보, 상기 유지보수 지침서 정보는 상기 설비 별로 고유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고유 식별코드별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운영관리모듈은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문제 발생시 상기 운영관리모듈을 통해 현재 시스템 구성현황, 네트워크 관리, 현장 운영로직 관리 정보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베이스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준공관리모듈은 특정 상기 설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준공 도서, 준공 도면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의 구조와 특성을 판단하며,
    상기 유지보수관리모듈은 작업자에 의해 조치한 조치사항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유지보수 일자 및 내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원격지에서도 문제 파악을 분석한 후, 이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진동감쇄부는,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모듈; 상기 진동저감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진동저감시트; 및 상기 진동저감시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저감시트의 하부 바닥에 구비되어 진동수를 측정하여 상기 연산제어설비부로 전송하는 진동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저감시트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분산시키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부재에 작용한 충격을 하부로 응집시켜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다수의 상기 전달부재 사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로 집중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완충모듈 및 상기 완충모듈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는 접촉모듈을 구비하는 분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시트부재로 작용하는 상기 진동이 분산되어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로 집중되도록 가이드하는 반원형의 가이드모듈; 및 상기 가이드모듈과 상기 설비 또는 상기 계측기기가 위치한 바닥이나 구조물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달되는 상기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모듈보다 연질로 형성되는 저밀도의 흡수모듈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측정센서는,
    상기 접촉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분산부재에 작용하는 진동수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진동수의 변화가 소정 범위 이내인 시간 동안의 상기 측정값을 평균하여 제1 임계값을 생성하는 임계값 생성부; 상기 임계값 생성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2 임계값을 상기 측정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임계값을 수신하고,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값이 상기 제1 임계값 또는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을 상기 연산제어설비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및 상기 중앙제어설비부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진동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설비 및 상기 계측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한 장소의 온도, 습도 및 바람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진동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조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출하고,
    상기 중앙제어설비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상기 계측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데이터 시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시트의 소정 영역에 대한 선택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변량명의 종류를 구분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변량명에 대응되는 변량들을 기초로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3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계측기기로부터 획득한 계측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정보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인쇄 또는 저장을 위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시트 및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제4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되,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선택신호의 순서에 따라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의 명칭 및 그래프의 가로축 및 세로축에 대한 변량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하고, 선택된 변량명에 소속된 변량들에 대한 그룹별 다이나믹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상기 제3 영역에 표시된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 상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그래픽 정보는 생성된 다이나믹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로 생성되고, 상기 그래픽 정보는 평균, 표준분포, 도수, 회귀선, 도수분포다각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역에 표시된 상기 데이터시트 및 상기 다이나믹 그래프는 각각의 계측기기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유지관리시스템.
  2. 삭제
KR1020190154194A 2019-11-27 2019-11-27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KR10210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94A KR102101225B1 (ko) 2019-11-27 2019-11-27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94A KR102101225B1 (ko) 2019-11-27 2019-11-27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225B1 true KR102101225B1 (ko) 2020-04-21

Family

ID=7045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194A KR102101225B1 (ko) 2019-11-27 2019-11-27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2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205A (ko) * 2012-09-27 2015-05-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전 기기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37524B1 (ko) 2016-10-12 2017-05-29 주식회사 이콘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205A (ko) * 2012-09-27 2015-05-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전 기기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37524B1 (ko) 2016-10-12 2017-05-29 주식회사 이콘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8004B (zh) 自动化温度记录检查处理的方法
US8903551B2 (en) Sensor-swarm environmental event detection
KR101567773B1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2393706A (zh) 基于物联网的消防远程监管安评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JP6018898B2 (ja) 建物安全管理システム
KR101940633B1 (ko) 철도차량 객실 실시간 감시 시스템
CN102099614A (zh) 防备机器人危险事件的人安全保护系统
KR102278744B1 (ko) 로봇의 이상 상태에 대한 알람을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116313A (ko) 산업용 로봇의 고장 징후 감지장치 및 고장징후 측정방법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JPH10257673A (ja) 変電機器監視診断システム
CN115343568A (zh) 电缆巡检的异常识别装置、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2101225B1 (ko) 멀티미터를 포함하는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KR102296561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복수개의 배전반 통합 관제시스템
KR101473694B1 (ko) 온습도 원격 제어장치와 온습도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82367B1 (ko) Hart 통신 기능을 구비한 계측기기를 이용한 유지관리시스템
WO2020195536A1 (ja) 構造物の異常判別方法及び異常判別システム
CN113465777A (zh) 一种电缆温度监控平台及方法
KR102161751B1 (ko) 교량 조인트부 원격 위험 감지 시스템
KR100625077B1 (ko) 선박의 뉴메틱 자가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KR102439487B1 (ko) 드론을 이용한 송전선로설비 상태점검 시스템 제공방법
KR20200119359A (ko) 혼합 현실을 이용한 설비 모니터링 장치
KR20060102804A (ko) 구조물의 피로 강도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