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99B1 -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 Google Patents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99B1
KR102100899B1 KR1020190142580A KR20190142580A KR102100899B1 KR 102100899 B1 KR102100899 B1 KR 102100899B1 KR 1020190142580 A KR1020190142580 A KR 1020190142580A KR 20190142580 A KR20190142580 A KR 20190142580A KR 102100899 B1 KR102100899 B1 KR 10210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ing
ste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춘욱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99B1/en
Priority to PCT/KR2020/015181 priority patent/WO202109118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83Computer or electronic system, e.g. GP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ystem for monitor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comprises: an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including an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to sense an external force received by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a tilt detection unit including a tilt detection sensor to sense a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monitoring server to receive tilt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side, receiv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or an intensity of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side to determine a state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accordance with a determined result. A position at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 position and a cause of ground subsidence, or whether water leaks and a water leakage position can be quickly identified. Therefore, a preemptive response action can be taken before a crack is creat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management convenience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되는 형태 또는 지상에 설치된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유지 관리하기 위한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for monitoring and maintaining the state of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stalled in the ground or installed in the ground.

마을 상수도 또는 공업용수 등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물의 공급을 위하여 물탱크 또는 저수조가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물탱크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된 물을 일정양 이상 저수하기 위하여 외부에 대하여 격리되는 내부저수공간이 마련된다. Water tanks or reservoirs are often used for more stable and smooth water supply, such as village waterworks or industrial water.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water supplied using a pump.

많은 양의 물을 저수하는 물탱크는 구조적으로 안정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외력에 의하여 물탱크가 손상되지 않아야 안정적인 급수관리가 가능하므로 물탱크의 상태관리는 중요하다. 따라서 물탱크의 견고성을 위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물탱크는 콘크리트를 주 소재로 하여 건설된다. A water tank that stores a large amount of water is required to be structurally stable.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condition of the water tank because stable water supply is possible only when the water tank is not damaged by external forces. Therefore, for the robustness of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installed in the ground is constructed using concrete as the main material.

물탱크가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0632호(발명의 명칭 :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물탱크 수위조절시스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와 같은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횡하중에 대한 물탱크의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tank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force, technologies such a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00632 (invention name: water tank water level control system that improves resistance to lateral loa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have been proposed. .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capable of adjus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to improve the water tank's resistance to lateral loads.

그러나, 이와 같이 횡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물탱크의 상태에 대한 관찰과 관리가 사고의 예방적 차원에서 중요하다. 특히 물탱크가 태풍과 같이 강력한 풍력이나 토압과 같은 외력을 받고 있다면 어느 정도의 크기의 외력을 어느 부위에서 받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물탱크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However, while it is important to secure resistance to lateral loads as described above, ob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condition of the water tank is important in preventing accidents. In particular, if the water tank is receiv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a strong wind or earth pressure, such as a typhoon, it is possible to monitor in advance the condition of the water tank so that it can proactively deal with it by knowing in advance at what part the external force of a certain size is received. Is required.

지상 또는 지중에 설치된 스테인리스물탱크는 크기가 거대하므로 관리자가 예방점검이 요구되는 모든 부분을 점검체크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스테인리스물탱크가 지중에 설치된 경우 관리자가 직접 관찰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므로 더욱 더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Since the stainless steel tank install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is huge,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manager to check and check all parts that require preventive inspection. Especially, when the stainless water tank is installed in the groun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manager to directly observe. More and more, a technology capable of monitoring the condi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999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67699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063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50063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인리스물탱크에 토압 또는 태풍처럼 강한 풍력 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스테인리스물탱크 상의 위치와 크기, 스테인리스물탱크 하측의 지반침하발생 여부를 파악하여 선제적 대응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location and size on the stainless water tank to which an external force, such as strong wind, such as earth pressure or typhoon, is applied to the stainless water tank, the ground subsidence occurs under the stainless water tank. It is to provide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at provides monitoring information to grasp whether or not to take preemptive action and preventive measur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가 받는 외력을 센싱하는 외력감지센서를 다수 포함하는 외력감지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감지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울기감지부; 상기 기울기감지부 측으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력감지부 측으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가 받는 상기 외력의 크기 또는 상기 외력의 작용방향을 포함하는 외력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comprising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for sensing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water tank part; A tilt detec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including at least one tilt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tilt of the stainless water tank; Obtai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side, and receive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tank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side or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It may also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the received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generates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tan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여기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누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부에서 감지된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켜서 생성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leak detection unit is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includes a leak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further comprising, the monitoring server is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unit Another feature is to receive leak detec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it by including whether or not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외력감지정보 또는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외력주의보 또는 외력경보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판단제어부;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력감지정보, 상기 기울기감지정보 또는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판단제어부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전달받아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monitoring server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or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mpares them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an external force advisory or an external force alarm for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generat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or th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which receiv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외력감지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외력감지센서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단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의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하나의 외력감지크루(crew)를 이루고, 상기 외력감지부에는 상기 외력감지크루가 다수 포함되며, 다수의 상기 외력감지크루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외력감지크루와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도록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included i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has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has one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 Further, the external force detec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ng crews,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ng crews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o hav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external force detecting crew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t can also be characterized as.

여기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외력이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내구강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미만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sensor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less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internal oral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he slope detected by the tilt sensor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es a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외력이 주의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인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하측의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fter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lop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detect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is determined to be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the tilt detection sensor If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d 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ize,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content determined as the ground unde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ubsided by the external force,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external force advisory. You can also do that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주의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nother feature that is a value corresponding to 7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여기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외력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determination controller compar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alarm reference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larm reference value. Another feature may include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external force alarm by including,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sensed and the determination that ground subsidence has occurr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have.

여기서, 상기 경보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alarm reference value may be characterized as another value that is a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여기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수질상태를 센싱하는 수질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t may be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quality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ainless steel tank.

여기서, 상기 외력감지부로부터 상기 외력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기울기감지부로부터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전달하는 데이터로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data logger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force sensing unit and receive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gradient sensing unit and deliver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은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감지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ing, and the sensing step of sensing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s the tilt sensor is disposed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he monitoring serve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and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tilt sensor in the sensing step,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mparativ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step of providing the manager with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t may also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one.

여기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하며,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얻어지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detection step, the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water tank senses whether or not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the monitoring server detects the leak detection unit.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leakage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receiving the leakage information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외력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내구강도이 비하여 일정수준 미만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comparing and determining step,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a preset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but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has an intraoral strength less than a certain level, and is detected from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If the inclination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여기서,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를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comparing and determining step, i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ution standar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caution standard value,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a position where an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caution standard value is detected, Another feature may be to output an external force advisory to be recognized by the manager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여기서,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aution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caution threshold value, and if the gradient detected i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 caution threshold value Including the loca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detected and the content determined to have caused subsidence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and outputting an external force advisory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in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You can also make it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주의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nother feature that is a value corresponding to 7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여기서,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in the comparing and determining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larm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alarm threshold, and if the slope detected i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the alarm threshold Including the loca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detected and the content determined as the ground subsidence has occurr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and outputting an external force alarm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it in the information provision step. You can also make it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경보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alarm reference value may be characterized as another value that is a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 또는 지반침하의 위치와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선제적 사전 대응예방조치가 가능하게 되며, 스테인리스물탱크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determine the location and the caus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or the ground subsidence, so that the precautionary measures to be taken before damage occurs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t become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stainless water tank management.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스테인리스물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surface of a stainless water tank in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nitoring server of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method us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specifically understood.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1은 스테인리스물탱크가 지상에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스테인리스물탱크가 지중에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스테인리스물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inless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stainless water tank is provided on the ground, and FIG. 2 shows that the stainless water tank is in the ground. It shows an example provided. And,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inless water tank in the stainless steel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외력감지부, 기울기감지부 및 모니터링서버(100)를 포함하며, 누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 데이터로거(2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to 3, the stainless steel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a tilt detection unit and a monitoring server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leak detection unit. The data logger 200 may be further included.

외력감지센서(400)는 지중에 설치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배치되어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받는 외력을 센싱한다. 이러한 외력감지센서(4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다수개가 마련되며, 다수개의 외력감지센서(400)는 외력감지부에 포함된다.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nstalled in the ground to sense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A plurality of such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and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are included i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이러한 외력감지센서(400)는 가속도센서나 압력센서 등과 같이 외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외력감지센서(400)로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력감지정보는 외력감지센서(400)가 센싱한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다수의 외력감지센서(400) 각각은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어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외력감지센서(400)들이 배치된 위치가 다르므로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어느 부위에서 측정된 외력감지값인지를 알 수 있다.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may be used a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as long as it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external force,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pressure sensor. Here,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is preferably assigne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is managed. Since the positions where each of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400 are arranged are different, it is possible to know from which par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 external force sensing value is measured throug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여기서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여 외력감지센서(400)에 대한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Here,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force sensor 400 will be continu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urther.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4는 스테인리스물탱크가 지상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스테인리스물탱크가 지중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4 and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is installed on the ground by way of example, 5 exemplarily shows a case where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is installed in the ground.

도 4와 도 5를 더 참조하면, 외력감지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외력감지센서(4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의 외력감지센서(400)가 하나의 외력감지크루(crew)를 이룬다. 이러한 외력감지크루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4 and 5,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included i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at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forms a single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 may be provided in one or multiple.

도 4 또는 도 5에서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외력감지크루가 3개 마련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서 맨 하측에 있는 외력감지크루를 제1 외력감지크루(CR1)라고 하고, 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제2 외력감지크루(CR2), 제3 외력감지크루(CR3)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외력감지크루 내에서 다수의 외력감지센서(400)는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4 or FIG. 5, three external force sensing crews are provid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by way of example.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 external force sensing crew at the bottom is called the first external force sensing crew (CR1), and as it goes upward, it can be divided into the second external force sensing crew (CR2) and the third external force sensing crew (CR3). have. In addition, as referred to in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400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within one external force sensing crew.

이처럼 외력감지부에는 외력감지크루(CR1, CR2, CR3)가 다수 포함되며, 다수의 외력감지크루는 서로 이웃하는 외력감지크루(CR1, CR2, CR3)와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도록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배치된 것도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s (CR1, CR2, CR3), and the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s are stainless steel water tanks having a difference in height from neighboring external force detection crews (CR1, CR2, CR3). It is also preferable to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K).

도면에서는 각 외력감지크루(CR1, CR2, CR3)에 8개의 외력감지센서(400)가 포함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각 외력감지센서(400)들은 독립적으로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배치된 위치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한다. In the drawing, it is exemplarily shown that each of the external force sensing crews CR1, CR2, and CR3 includes eight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400. Each of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400 independently detect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a position dispos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기본적으로 외력감지센서(400)는 외력의 크기를 감지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도 센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as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senses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nd can sen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acts.

이와 같이 외력감지센서(400)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배치되면, 외력이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어느 부분에 가해지고 있는지 파악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t can be determined which par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s applied.

기울기감지센서(3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를 센싱한다. 이러한 기울기감지센서(300)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울기감지부에 포함된다. 여기서, 기울기감지정보는 기울기감지센서(300)가 센싱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Tilt sensor 300 is disposed on the top or top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o sense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One or a plurality of the tilt detection sensors 300 may be arranged, and are included in the tilt detection unit. Here,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sens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300.

외력감지부로부터 외력감지정보가 모니터링서버(10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으며, 기울기감지부로부터 기울기감지정보가 모니터링서버(10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ferred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or the gradient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gradient detection unit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또는 외력감지정보가 외력감지부로부터 데이터로거(200)로 전달되고, 기울기감지정보가 기울기감지부로부터 데이터로거(200)로 전달된 후 모니터링서버(100)로 외력감지정보와 기울기감지정보가 전달되는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Alternativel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to the data logger 200, and the gradient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gradient detection unit to the data logger 200, and the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gradient det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It is also possible.

누수감지센서(5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접합부위(WL)에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되며, 접합부위(WL)에서 누수의 발생여부를 센싱한다. 특히 접합부위(WL)는 장시간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의 반복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이다. 따라서, 누수감지센서(5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접합부위(WL)에서의 누수 발생여부를 센싱하여 누수감지정보를 모니터링서버(100)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leak detection sensor 500 is disposed in one or a plurality of joints W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senses whether leaks are generated in the joints WL. In particular, the joining portion WL is a region where leakage is likely to occur due to repeated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long-term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ly, the leak detection sensor 500 senses whether or not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W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transmit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지상에서 콘크리트마운트(MT)위에 설치된 경우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과 콘크리트마운트(MT)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에 누수감지센서(510)이 배치된 것도 바람직하다. I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mount (MT) from the ground, a leak may occur between the bottom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and the concrete mount (MT).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510 is disposed.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510)는 누수여부를 센싱하여 누수감지정보를 모니터링서버(100)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leak detection sensor 51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senses whether there is a leak and transmit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누수감지부로부터 누수감지정보가 모니터링서버(100)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또는 누수감지정보가 누수감지부로부터 데이터로거(200)로 전달된 후 모니터링서버(100)로 누수감지정보가 전달되는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Leakage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leak detection unit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Alternatively, after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ferred from the leak detection unit to the data logger 200,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그리고, 누수감지부는 이러한 누수감지센서(500, 510)를 하나 또는 다수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eak detection un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leak detection sensors 500 and 510.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더 포함될 수 있는 데이터로거(200)는 외력감지부로부터 외력감지정보를 전달받고, 기울기감지부로부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모니터링서버(100)로 전달한다. 데이터로거(200) 자체적으로 외력감지정보와 기울기감지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data logger 200, which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tainless steel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receives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force sensing unit, receive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gradient sensing unit, and transmit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The data logger 200 may stor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ilt sensing information on its own.

여기서 도 6을 더 참조하여 모니터링서버(100)에 대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Here, the descrip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100 will be continued with reference to FIG. 6 furth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nitoring server of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더 참조하면, 모니터링서버(1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감지정보를 기울기감지부 측으로부터 전달받고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받는 외력의 크기 또는 외력의 작용방향을 포함하는 외력감지정보를 외력감지부 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ure 6 further, the monitoring server 100 receives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side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or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and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to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그리고, 모니터링서버(100)는 누수감지센서(500,510)에서 센싱한 누수감지정보를 누수감지부 측으로부터 전달받는다.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서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와 누수가 발생한 경우 누수의 발생위치를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 누수가 발생된 경우 누수발생위치와 함께 누수경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Then, the monitoring server 100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s 500 and 510 from the leak detection unit side. Whether or not a leak has occurred in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where the leak has occurred ar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f a leak occurs, a leak alarm is provided to the manager along with the location of the leak.

이와 같이 모니터링서버(10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는 관리자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상태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is provided to the manager so that the manager can grasp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이러한 모니터링서버(100)는 통신부(120), 판단제어부(110), 저장부(160),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server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0,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a storage unit 160, and an output unit 150.

또한, 모니터링서버(100)는 입력부(1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4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nitoring server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통신부(120)는 외력감지정보, 기울기감지정보 또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는다. 외력감지부, 기울기감지부 또는 누수감지부로부터 직접 전달받는 것도 가능하며, 데이터로거(200)가 마련된 경우에는 데이터로거(200)와의 통신을 통해 외력감지정보, 기울기감지정보와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receives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tilt detection information, or leak detection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data directly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the tilt detection unit, or the leak detection unit. When the data logger 200 is provided,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data logger 200. You may receive it.

통신부(120)로 전달된 외력감지정보, 기울기감지정보 또는 누수감지정보는 판단제어부(110)로 전달된다.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the tilt sensing information, or the leak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입력부(140)는 판단제어부(110)가 비교판단하기 위한 기준치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The input unit 140 may receive a reference value from the manager for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to compare and judge.

여기서 외력감지정보와 비교되는 기준치는,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외력기준치, 외력의 세기에 따라 외력주의보나 외력경보를 발령할 판단기준이 되는 주의기준치와 경보기준치를 총칭한 것이다. Here, the reference value that is compared with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s a general reference value and an alarm reference value that is a judgment criterion for issuing an external force advisory or an external force alarm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xternal force. .

출력부(150)는 판단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모니터링정보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to provide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출력부(150)로서,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판단제어부(110)에서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전시(display)한다. As the output unit 150,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displays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판단제어부(110)는 통신부(120)로 수신된 외력감지정보와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대한 외력주의보 또는 외력경보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한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slop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an external force warning or an external force alarm for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monitoring information Produces

아울러, 판단제어부(110)는 통신부(120)로 수신된 누수감지정보를 통신부(120)로부터 전달받고,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 includes it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이를 위해 판단제어부(11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판단제어부(110)는 입력부(140)로부터 비교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전달받고, 기준치와 외력감지정보를 비교하고 기울기감지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내용이 포함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한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reference value for comparison determination from the input unit 140,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with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and synthesizes and determines the slope detection information. Then,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ontent is generated.

판단제어부(110)는 외력감지부에 감지된 외력이 기준치 이하이고 기울기도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며, 누수감지부에 누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안정적인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s in a stable and steady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nd the slope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and no leakage is detected by the leakage detection unit. .

판단제어부(110)는 외력감지센서(400)에 감지된 외력이 외력기준치 미만이고, 기울기감지센서(300)에 감지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스테인리스물탱크(TK) 하측의 지반이 단순 침하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모니터링정보에 스테인리스물탱크(TK) 하측의 지반이 단순 침하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내용과 외력감지정보 및 기울기감지정보를 함께 포함시켜서 관리자가 출력부(150)를 통해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I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s less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and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detect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t is judged that the ground on the lower side is simply subsided. In additi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ground under the stainless steel tank (TK) simply sinks, and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tilt sensing information are also included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rough the output unit 150.

판단제어부(110)는 외력감지센서(400)에 감지된 외력이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내구강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미만이고, 기울기감지센서(300)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면,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모니터링정보에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킨다.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the external force detected by the external force sensor 400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less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internal oral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 tilt detected by the tilt sensor 300 is an error If it is horizontal within th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force is being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Then, the loca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또한 판단제어부(110)는, 외력감지센서(400)에 감지된 외력이 주의기준치 이상이고, 기울기감지센서(300)에 감지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인 것으로 판단되고 일정 시간 경과된 후에 기울기감지센서(300)에 감지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 하측의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lop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detect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300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3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size, the content determined as the ground under the stainless steel tank TK subsided by external force is determined. Include it in monitoring information.

그리고, 판단제어부(110)는 출력부(150)가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utput unit 150 to output an external force advisory.

여기서, 주의기준치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가 입력부(140)를 통해 주의기준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precautionary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a value that corresponds to 75% of the inner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if necessary, the administrator can change the precautionary value through the input unit 140.

또한 판단제어부(110)는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외력의 크기가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larm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alarm threshold value. And it is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determine that the ground settlement has occurr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by external force.

그리고, 출력부(150)가 외력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n, the output unit 150 is controlled to output an external force alarm.

여기서, 경보기준치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가 입력부를 통해 경보기준치를 변경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Here, the alarm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a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dministrator to change the alarm reference value through the input unit.

판단제어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저장부(160)는 판단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외력감지정보, 기울기감지정보, 누수감지정보 또는 모니터링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60 stores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tilt detection information, leak detection information or monitor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저장부(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비식별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종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be compos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 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and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perform de-identification of data.

모니터링서버(100)는 기업의 업무처리용 서버(server),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The monitoring server 100 may be in the form of a serv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or a tablet PC for business processing of the enterprise.

위와 같은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서 각각의 외력감지센서(400)가 감지한 외력의 크기와 외력의 방향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판단제어부(110)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형상으로 모델링하여 출력부(150)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nd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each external force sensor 400 in th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ly display it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output unit 150 by modeling it into a shape.

위와 같은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크랙(crack)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배치되는 브릴루앙 광센서가 더 포함되는 응용적인 형태도 바람직하다. An application form in which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 Brillouin optical sensor dispos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TK) to detect whether a crack occurs in the stainless water tank (TK). Also preferred.

아울러 위와 같은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스테인리스물탱크(TK) 내에 저수된 물의 수질상태를 센싱하는 수질센서가 더 포함되는 실시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above-described stainless water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es a water quality sensor that senses the water quality state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TK) is sufficiently possible.

이어서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ubsequently, referring to FIG. 7, a method for monitoring stainless water tank monitoring using a stainless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7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using a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스테인리스물탱크(TK) 모니터링 관리방법은 감지단계(S100), 비교판단단계(S200) 및 정보제공단계(S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furthe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ection step (S100), a comparative judgment step (S200) and information Step S300 is included.

<< S100 >><< S100 >>

감지단계(S100)는 지중에 설치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400)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300)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단계이다. In the sensing step (S100),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40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nstalled in the ground sense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and the upper end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or The tilt sensor 30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s a step of sensing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또한 감지단계(S100)에서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한다. 또한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지상에서 콘크리트마운트(MT)위에 설치된 경우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과 콘크리트마운트(MT)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센싱한다.In addition, in the sensing step (S100), the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senses whether the water stor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leaks. In addition, when the stainless water tank (TK)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mount (MT) from the ground, it senses whether a leak has occurr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and the concrete mount (MT).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외력감지센서(400)가 독립적으로 외력을 감지한다. 각 외력감지센서(400)는 배치된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외력이 감지되면,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어느 부위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지 파악된다. 또한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도 감지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independently sense the external force. Each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has a fixed position, so when an external forc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ich external force is being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tank TK. 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acts can also be detected.

이처럼 외력감지센서(400)가 감지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기울기감지센서(300)가 감지하여 얻어지는 기울기정보는 판단제어부(110)로 직접 전달되거나, 데이터로거(200으로 전달된 후 데이터로거(200)에서 판단제어부(110)으로 전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and the gradient information obtained by the tilt detection sensor 300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or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data logger 200, the data logger ( 200) to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누수감지부의 누수감지센서(5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접합부위(WL)에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되며, 접합부위(WL)에서 누수의 발생여부를 센싱한다. 특히 접합부위(WL)는 장시간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의 반복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이다. 따라서, 누수감지센서(50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접합부위(WL)에서의 누수 발생여부를 센싱하여 누수감지정보를 모니터링서버(100) 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leak detection unit 500 of the leak detection unit is disposed in one or a plurality of joints W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senses whether or not leaks are generated in the joints WL. In particular, the joining portion WL is a region where leakage is likely to occur due to repeated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long-term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ly, the leak detection sensor 500 senses whether or not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W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transmit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지상에서 콘크리트마운트(MT)위에 설치된 경우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과 콘크리트마운트(MT)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단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510)로부터 누수감지정보가 모니터링서버(100) 측으로 전달된다. When the stainless water tank (TK)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mount (MT) from the ground, a leak may occur between the bottom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and the concrete mount (MT),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leak detection sensor 510 to the monitoring server 100 side.

<< S200 >><< S200 >>

비교판단단계(S200)는 모니터링서버(100)가 감지단계(S100)에서 외력감지센서(400)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기울기감지센서(300)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200), the monitoring server 100 compar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or 400 and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gradient sensor 300 with the reference value in the sensing step (S100). It is a step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TK) and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water tan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여기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외력감지정보와 비교되는 기준치는,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외력기준치, 외력의 세기에 따라 외력주의보나 외력경보를 발령할 판단기준이 되는 주의기준치와 경보기준치를 총칭한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the reference value that is compared with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es an external force standard value, which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 caution standard value, which is a criterion for issuing an external force advisory or an external force alarm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external force. It is a general term for the alarm threshold.

외력감지센서(400)에 감지된 외력이 기준치 이하이고 기울기도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며, 누수감지부에 누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판단제어부(11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가 안정적인 정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판단한 내용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고,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정보를 출력부(150)로 전달한다.If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4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lope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and no leakage is detected in the leak detection unit,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is in a steady state in which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is stable. I judge that. Then,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ontent is generated, a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5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외력감지센서(400)에 감지된 외력이 외력기준치 미만이고, 기울기감지센서(300)에 감지된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기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판단제어부(11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 하측의 지반이 단순 침하된 것으로 판단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detected by the external force sensor 400 is less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and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TK detected by the tilt sensor 30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is stainless steel It is judged that the ground under the water tank (TK) is simply subsided.

그리고 모니터링정보에 스테인리스물탱크(TK) 하측의 지반이 단순 침하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내용과 외력감지정보 및 기울기감지정보를 함께 포함시켜서 관리자가 출력부(150)를 통해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ground under the stainless steel tank (TK) simply sinks, and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tilt sensing information are also included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rough the output unit 150.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외력기준치를 비교하여 외력의 크기가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내구강도이 비하여 일정수준 미만이고,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인 경우, 판단제어부(110)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의 자세 변화 없이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but the inner diameter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slope detected by the slope detection information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without changing the posture to the stainless steel tank TK.

그리고,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출력부(150)를 통해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정보에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킨다.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 또한 포함될 수 있다.The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the loca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information is included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acts may also be included.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외력의 크기가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판단제어부(110)는 모니터링정보에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를 포함시킨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higher than the caution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the preset caution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includes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caution threshold value is detect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그리고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부(150)를 통해 외력주의보를 출력한다.The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the external force advisory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reference level is detected.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외력의 크기가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판단제어부(110)는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with a pre-set caution criter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ution criterion, and when the gradient detected from the tilt sensing inform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size,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caution criterion And it is determined that ground subsidence has occurr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due to the external force.

그리고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the content determined to have caused subsidence o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due to the location and the external force at which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reference level was detected.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판단제어부(110)는 외력주의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시킨다.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the judgment control unit 110 outputs the external force advisory through the output unit 15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여기서, 주의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도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하여 주의기준치는 설정변경될 수도 있다.Here, the precautionary reference value is also preferably a value corresponding to 7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as mentioned above, the precautionary reference value may be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판단제어부(110)는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alarm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larm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slope detected in the gradient detec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cts an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alarm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ground subsidence has occurr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due to the position and the external force.

그리고, 판단제어부(110)는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and control unit 110 includes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alarm reference value is sensed and the determination that ground subsidence has occurred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by the external force.

그리고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경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시킨다.The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an external force alarm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it.

경보기준치는 스테인리스물탱크(TK)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도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하여 경보기준치는 설정변경될 수도 있다.The alarm reference value is also preferably a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oral strength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as previously mentioned, the alarm reference value may be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그리고, 판단제어부(110)는 감지단계(S100)에서 누수감지센서(500,510)에서 센싱한 누수감지정보를 누수감지부 측으로부터 전달받는다. 그리고 비교판단단계(S200)에서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서 누수가 발생했는지 여부와 누수의 발생위치를 판단한다. 누수가 발생한 경우 누수의 발생위치와 함께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킨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s 500 and 510 in the sensing step S100 from the leak detection unit side. Then,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200), it is determined whether a leak has occurred in the stainless steel tank TK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When a leak occurs, it is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of the leak.

그리고 정보제공단계(S300)에서 관리자가 스테인리스물탱크(TK)에서 누수가 발생한 사실과 누수의 발생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출력부(150)를 통해 누수경보와 모니터링정보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the administrator controls the leakage alarm and monitoring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so as to determine the fact of the leak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in the stainless steel tank TK.

<< S300 >><< S300 >>

정보제공단계(S300)는 비교판단단계(S200)에서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계이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S300) is a step of providing the administrator with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and determining step (S200).

모니터링서버의 판단제어부(110)는 모니터링정보에 따라 관리자에게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of the monitoring server may have a different form of providing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manager according to the monitoring information.

모니터링정보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구체적으로 표시된다. 각각의 외력감지센서(400) 및 기울기감지센서(300)가 감지한 수치와 판단제어부(110)가 판단한 내용이 표시된다. 아울러, 누수감지센서(500, 510)가 감지한 누수감지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Monitoring information is specifically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The numerical values sensed by each of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400 and the tilt detection sensor 300 and the contents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are displayed. In addition, leak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sensors 500 and 510 may be displayed.

비교판단단계(S200)에서, 판단제어부(110)가 외력주의보를 발령할 조건에 해당된다고 판단하면 외력주의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외력주의보를 전시시킨다. 출력부(150)에는 스피커와 같은 음향적 출력장치도 포함된다. 스피커를 통해 외력주의보에 해당되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좀 더 빨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corresponds to the condition for issuing the external force advisory, the external force advisory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For example, an external force advisory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The output unit 150 also includes an acoustic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The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advisory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more quickly.

비교판단단계(S200)에서, 판단제어부(110)가 외력경보를 발령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외력경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모니터를 통해 외력경보를 전시시켜서 관리자로 하여금 외력경보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스피커를 통해 외력경보에 해당되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청각적으로도 빠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issues an external force alarm, the external force alarm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External monitors are displayed through a monitor so that managers can grasp the contents of external monitors. In addition, a notific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force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o that the manager can quickly and audibly recognize.

그리고, 비교판단단계(S200)에서, 판단제어부(110)가 누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경보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누수경보를 전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피커를 통해 누수경보에 해당되는 알람음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좀 더 빨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S200), i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re is a leak, the leak alarm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The leak alarm can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nitor. In addition, the alarm sound corresponding to the leak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it more quick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은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 또는 지반침하의 위치와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스테인리스물탱크에 크랙이 발생하기 전에 선제적 사전 대응조치가 가능하며, 관리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진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부위 등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발생 사실과 누수의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좀 더 빠른 복구조치가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 또한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inless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inless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an quickly identify the location and the caus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water tank or the ground subsidence. It is possible to preemptively respond to a crack before it occurs, and impro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In addition, when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the fact that the leak occurs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can be grasped, so that a faster recovery action i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described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bov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100 : 모니터링서버 200 : 데이터로거
300 : 기울기감지센서 400 : 외력감지센서
500, 510 : 누수감지센서 TK : 스테인리스물탱크
110 : 판단제어부 120 : 통신부
140 : 입력부 150 : 출력부
160 : 저장부
100: monitoring server 200: data logger
300: tilt detection sensor 400: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500, 510: Leakage detection sensor TK: Stainless steel water tank
110: judgment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40: input unit 150: output unit
160: storage unit

Claims (19)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가 받는 외력을 센싱하는 외력감지센서를 다수 포함하는 외력감지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감지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기울기감지부;
상기 기울기감지부 측으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에 대한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외력감지부 측으로부터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가 받는 상기 외력의 크기 또는 상기 외력의 작용방향을 포함하는 외력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누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부에서 감지된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켜서 생성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외력감지정보 또는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외력주의보 또는 외력경보를 출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판단제어부;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력감지정보, 상기 기울기감지정보 또는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판단제어부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전달받아서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감지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외력감지센서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단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의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하나의 외력감지크루(crew)를 이루고,
상기 외력감지부에는 상기 외력감지크루가 다수 포함되며,
다수의 상기 외력감지크루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외력감지크루와 일정 간격의 높이차를 갖도록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외력이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내구강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미만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An external force detecting unit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for sensing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 tilt detec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including at least one tilt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the tilt of the stainless water tank;
Obtai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side, and receive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received by the stainless steel tank from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side or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It includes; a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the received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generates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tank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It further includes a leak detection unit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water tank and including a leak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water tank.
The monitoring server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eak detection unit and generates it by including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whether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The monitoring server,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r the tilt sensing information;
A determination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mpares the reference value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an external force advisory or an external force alarm for the stainless steel tank;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the tilt detection information, or the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d
Includes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from the judgment control unit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s included in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t the sam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forms an external force sensing crew,
The external force detec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xternal force detecting crews,
A plurality of the external force sensing crew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o as to hav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external force sensing crew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judgment control unit,
The external force detected by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sensor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but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compared to the internal oral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f the tilt detected by the tilt sensor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s being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includes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information,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외력이 주의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인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기울기감지센서에 감지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하측의 지반이 침하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judgment control unit,
After the external force sensed by the external force sensor is judged to be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inclination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d by the inclination sensor is judged to be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d by the inclination sensor If the slope of is more than a certain size,
Including the contents judged to have subsided the ground under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external force advisory,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corresponding to 75% of the oral cavity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외력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judgment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a preset alarm reference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larm reference value.
If the inclination detected in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alarm threshold is detected and the content determined to have caused ground subsidence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ar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external force alarm,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alarm reference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oral cavity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수질상태를 센싱하는 수질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quality sensor for sensing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stored in the stainless steel tank;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감지부로부터 상기 외력감지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기울기감지부로부터 상기 기울기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전달하는 데이터로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ta logger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force sensing unit, receive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gradient sensing unit, and delivers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server.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감지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하며,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얻어지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외력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외력기준치보다 크되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내구강도이 비하여 일정수준 미만이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오차범위 내에서 수평이면,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A sensing step in which an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tilt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
The monitoring server judg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and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tilt sensor in the sensing step,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mparativ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n the detection step,
A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whether or not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The monitoring server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whether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the external force reference value, but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has an inner oral strength less than a certain level,
If the inclination detected by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horizontal within the error r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tank, and includes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nitoring information,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감지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하며,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얻어지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를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A sensing step in which an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tilt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
The monitoring serve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and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tilt sensor in the sensing step,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mparativ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n the detection step,
A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whether or not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The monitoring server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whether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ution threshol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caution threshold value,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a location where an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caution threshold value is detect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n external force advisory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감지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하며,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얻어지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주의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주의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주의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A sensing step in which an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tilt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
The monitoring serve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and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tilt sensor in the sensing step,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mparativ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n the detection step,
A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whether or not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The monitoring server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whether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aution standard value by comparing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with a preset caution standard value,
If the inclination detected in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reference standard value is detected and the content determined to have caused ground subsidence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due to the external force,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n external force advisory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7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corresponding to 75% of the oral cavity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외면에 배치된 외력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로 가해지는 외력을 센싱하고,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상단 또는 상면에 배치된 기울기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감지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외력감지정보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가 센싱하여 얻어지는 기울기감지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는 비교판단단계; 및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모니터링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 배치된 누수감지센서가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 내에 저수된 물의 누수여부를 센싱하며,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누수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얻어지는 누수감지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접합부위에서 누수 발생여부를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상기 외력감지정보와 기 설정된 경보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가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기울기감지정보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면,
상기 경보기준치 이상의 외력이 감지된 위치 및 상기 외력에 의하여 스테인리스물탱크의 하측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내용을 상기 모니터링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 상기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력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A sensing step in which an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a tilt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the til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
The monitoring server determines the state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based on the external forc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external force sensing sensor and the gradient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the tilt sensor in the sensing step,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A comparative determination step of generating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And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th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monitoring server i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step;
In the detection step,
A leak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joint of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senses whether or not water is leaked in the stainless steel water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The monitoring server receives the leak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sensing by the leak detection sensor and includes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whether a leak occurs at the junction of the stainless steel tank,
In the comparison judgment step,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force detec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a preset alarm reference value, and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larm reference value.
If the inclination detected in the inclination detection information is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he loca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bove the alarm threshold is detected and the content determined to have caused ground subsidence in the lower side of the stainless steel tank by the external force ar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tep,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n external force alarm for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준치는 상기 스테인리스물탱크의 벽의 내구강도의 85%에 해당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리스물탱크 모니터링 관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The alarm reference valu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corresponding to 85% of the inner oral cavity of the wall of the stainless steel tank,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method.
KR1020190142580A 2019-11-08 2019-11-08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KR102100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80A KR102100899B1 (en) 2019-11-08 2019-11-08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PCT/KR2020/015181 WO2021091187A1 (en) 2019-11-08 2020-11-03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80A KR102100899B1 (en) 2019-11-08 2019-11-08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899B1 true KR102100899B1 (en) 2020-04-14

Family

ID=7029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580A KR102100899B1 (en) 2019-11-08 2019-11-08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899B1 (en)
WO (1) WO202109118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7382A (en) * 2020-10-12 2021-02-12 浙江亚德复合材料有限公司 Glass steel wisdom storage tank
WO2021091187A1 (en) * 2019-11-08 2021-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0245A (en) * 2021-05-21 2021-08-03 无锡嘉禾环保科技有限公司 High-strength combined water tank for PCW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094A (en) * 2007-12-06 2009-06-11 유병하 Safty alarm device of a water tank
KR101171306B1 (en) * 2009-12-18 2012-08-06 정순우 Underground facilities administration system
KR101500632B1 (en) 2014-11-05 2015-03-09 조선남 Water level controll system for water tank
KR101676999B1 (en) 2016-07-11 2016-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mart water tank and safety system thereof
KR101812719B1 (en) * 2017-08-31 2017-12-27 성일기계공업 (주) Leakage detecting system of Water tank
KR101859070B1 (en) * 2016-03-14 2018-05-18 (주)다울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large scale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7390A (en) * 2015-06-26 2017-01-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Building equipment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1756207B1 (en) * 2016-01-20 2017-07-10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Safety device for the subsurface water upper equipment having leakage detection and security function
KR102100899B1 (en) * 2019-11-08 2020-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094A (en) * 2007-12-06 2009-06-11 유병하 Safty alarm device of a water tank
KR101171306B1 (en) * 2009-12-18 2012-08-06 정순우 Underground facilities administration system
KR101500632B1 (en) 2014-11-05 2015-03-09 조선남 Water level controll system for water tank
KR101859070B1 (en) * 2016-03-14 2018-05-18 (주)다울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large scale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KR101676999B1 (en) 2016-07-11 2016-11-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mart water tank and safety system thereof
KR101812719B1 (en) * 2017-08-31 2017-12-27 성일기계공업 (주) Leakage detecting system of Water tan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187A1 (en) * 2019-11-08 2021-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tainless steel water tank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112357382A (en) * 2020-10-12 2021-02-12 浙江亚德复合材料有限公司 Glass steel wisdom storage tank
CN112357382B (en) * 2020-10-12 2022-04-26 浙江亚德复合材料有限公司 Glass steel wisdom storag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187A1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899B1 (en)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tainless Watertank
Webb et al. Categories of SHM deployments: Technologies and capabilities
US7918126B2 (en) Intelligent underwater leak detection system
EP227713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torage tank hatch monitoring
KR101944823B1 (en)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US11473275B2 (en) Pipeline pressure testing accounting for measurement uncertainties
BR112014011418B1 (en) method for generating an alarm or warning for drilling a well bore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larm or warning for deflecting a well by penetrating an earth formation
US20200048992A1 (en) In-situ evaluation of gauges
KR20150126432A (en) Detection system for destroyed underground utilities and method thereof
KR102100939B1 (en)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ndergraound Concrete Watertank
KR20100012359A (en) Device and method for alarming dang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Jayakumar et al. Mobile based gas leakage monitoring using IOT
EP3679331A1 (en) Tank volume monitoring using sensed fluid pressure
KR1017814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urban sinkhole based on shear strength measured by vane tester
KR102142133B1 (en) The Module Device for Sensing a Building Structure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09314A (en) Sinkhole prediction system by measuring leakage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KR201500242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of support span error in piping design
KR201700782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leak
KR20160132355A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sewer
DK180665B1 (en) Augmented Reality Maintenance System
JP2021144433A (en) Structure abnormality discrimination method and abnormality discrimination system
JP2002340741A (en) System for predicting damage to storage tank using optical fiber
JP2017194335A (en) Temperature distribution detection system
KR202100175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