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793B1 -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793B1
KR102100793B1 KR1020180083989A KR20180083989A KR102100793B1 KR 102100793 B1 KR102100793 B1 KR 102100793B1 KR 1020180083989 A KR1020180083989 A KR 1020180083989A KR 20180083989 A KR20180083989 A KR 20180083989A KR 102100793 B1 KR102100793 B1 KR 10210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lten metal
unit
nozzle
measurem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528A (ko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8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7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용융금속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측정부; 및 상기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고,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MOLTEN METAL SUPPLYING APPARATUS AND INSPECTING METHOD OF MEASURING MACHINE THEREOF}
본 발명은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에 이상이 있는지 검사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은,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인발하여 슬래브, 블룸, 빌렛 등과 같은 여러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연속 주조공정을 수행하는 연속 주조설비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이 담기는 래들, 래들로부터 공급받은 용강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턴디쉬, 턴디쉬로부터 전달된 용강을 초기 응고시키는 주형, 및 주형에서 인발되어 이동하는 주편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는 냉각대를 포함한다.
용강에는 불순물인 슬래그가 혼재하기 때문에, 노즐을 통해 래들에서 턴디쉬로 용강을 공급하는 말기에 슬래그도 함께 공급된다. 슬래그는 턴디쉬 내 용강을 재산화시켜 산화성 개재물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슬래그에 포함된 산화철(FeO)이 용강 내 알루미늄(Al)과 반응하여 산화 알루미늄(Al2O3)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주편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슬래그가 턴디쉬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래그가 노즐로 유입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래들에서 턴디쉬로의 용강 공급을 중단시켰다. 용강과 슬래그의 비중 차이로 인해, 용강이 노즐에 유입될 때 노즐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슬래그가 용강에 혼입되어 노즐에 유입될 때 노즐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르다. 따라서, 노즐의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슬래그가 노즐에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센서가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감지하지 못했다. 이에, 센서가 작동 불량인 경우, 래들에서 턴디쉬로의 용강 공급을 중단할 시점을 올바로 판단하지 못해, 턴디쉬로 래들 내 슬래그가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래들 내 슬래그가 턴디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의 상태를 검사하고 센서를 안정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2004-0088780 A
본 발명은 용기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검사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측정부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고 교체할 수 있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융금속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측정부; 및 상기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부의 작동으로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진동 측정결과들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하부에 장착 가능한 제2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재 내외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구동기; 및 상기 이동부재를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기는,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경로에 위치한다.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진동발생부로 상기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1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진동발생부로 상기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의 차를 구하는 과정; 상기 차를 미리 정해진 설정범위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차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는,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진동발생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가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상기 노즐들로 슬래그가 유입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는 과정은 복수회가 수행되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되지 않는 시기들에 수행된다.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출부에 설치된 측정부를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용기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이에, 측정부가 오작동하여 슬래그의 배출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가 용기 내부의 용융금속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측정부의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측정부를 안정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고, 측정부를 상시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측정부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면, 용기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슬래그가 용융금속과 함께 용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가 용기 외부에 저장된 용융금속과 혼합되거나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금속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의 검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주조설비는 주편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연속 주조설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조설비는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 턴디쉬(20), 주형(30), 및 냉각대를 포함한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는 턴디쉬(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는 내부에 수강된 용강을 턴디쉬(20)로 공급해줄 수 있다.
턴디쉬(20)는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턴디쉬(20)의 내부에는 용강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턴디쉬(2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턴디쉬(20)의 하부에는 용강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턴디쉬(20)의 개방된 상부는 턴디쉬 커버로 덮일 수 있다. 턴디쉬 커버는 턴디쉬(20) 내부에 저장되는 용강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턴디쉬(20) 내 용강이 산화 및 응고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침지노즐(25)은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침지노즐(25)의 하단부는 주형(3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단부가 턴디쉬(20)의 토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침지노즐(25)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침지노즐(25)의 하단부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턴디쉬(20) 내부에서 토출구를 통해 침지노즐(25)의 상부로 유입된 용강이, 배출구를 통해 주형(3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침지노즐(25)에서 주형(3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양은 스토퍼(미도시) 또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주형(30) 내 용강 탕면의 높이에 따라 턴디쉬(20)에서 주형(3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주형(30)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이다. 주형(30)은 턴디쉬(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형(30)은 복수개의 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형(3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부재와, 한 쌍의 장변부재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단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변부재들과 단변부재들 사이의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주형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침지노즐(25)은 주형(3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주형(30) 내부로 용강을 공급할 수 있고, 주형 내부에서 응고된 용강이 주형(30)의 하부로 인발되어 주편이 될 수 있다.
냉각대는 주형(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대는 주편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45), 및 이송롤러(45)에 의해 이동하는 주편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대는 주형(30)으로부터 인발되어 이동하는 주편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발생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는 내부에 저장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하여, 외부에 배치된 다른 장치로 공급해주는 공급장치이다.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는 용기(100), 배출부(200), 측정부(300), 및 진동발생부(400)를 포함한다.
용기(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0)는 용융금속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용기(100)의 하부에는 용융금속이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철피, 및 철피의 내부에 축조되는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0)는 래들일 수 있고,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으며, 용기(100)에 저장된 용강이 턴디쉬에 공급될 수 있다. 용강(M)에는 불순물인 슬래그(S)가 혼재하기 때문에, 용기(100) 내부에는 용강(M)과 함께 슬래그(S)도 함께 저장된다. 그러나 용기(10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배출부(200)는 용기(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200)는 용기(100)에 설치된다. 배출부(200)는 노즐부재(210) 및 지지부재(220)를 포함한다.
노즐부재(210)는 내부에 용융금속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노즐부재(210)는 용기(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용기(100) 내부의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노즐부재(200)는 제1 노즐(211), 제2 노즐(212)을 포함한다. 노즐부재(210)는 게이트(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노즐(2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노즐(21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제1 노즐(211)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1 노즐(211)의 상부로 유입된 용융금속이, 제1 노즐(211)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211)은 용기(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노즐(211)은 용기(100)에 형성된 구멍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용기(100) 내부의 용융금속이 구멍을 통해 제1 노즐(211)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211)은 콜렉터 노즐일 수 있다.
게이트(213)는 용기(100)와 제1 노즐(2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213)는 상부 플레이트, 중간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들의 중심부에는 용융금속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중간 플레이트가 슬라이딩되면서,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의 유량을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턴디쉬(20)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의 유량을 제어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노즐(2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노즐(212)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융금속의 이동경로가 형성되고, 제2 노즐(212)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제2 노즐(212)의 상부로 유입된 용융금속이, 제2 노즐(212) 내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노즐(212)은 제1 노즐(211)의 하부에 장착 가능하다. 제1 노즐(211)의 내부와 제2 노즐(212)의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노즐(212)의 하부는 턴디쉬(20)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0)에서 제1 노즐(211)로 유입된 용융금속이 제2 노즐(212)을 통과하여 턴디쉬(2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노즐(212)은 쉬라우드 노즐일 수 있다.
이때, 제2 노즐(212)의 하부는 턴디쉬(20) 내에 수강된 용융금속에 침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노즐(212)을 통해 턴디쉬(20) 내부로 공급되는 용융금속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용융금속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제2 노즐(212)을 지지해줄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제2 노즐(212)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20)는 제2 노즐(212)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노즐(211)의 하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20)는 지지암(221), 제1 조작체(222), 및 제2 조작체(223)를 포함한다.
지지암(221)은 일측이 제2 노즐(212)을 파지하여 지지하고, 타측이 제1 조작체(222)에 연결된다. 지지암(221)은 적어도 일부가 제2 노즐(212)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암(221)의 일측이 제2 노즐(212)의 둘레 전체를 감쌀 수도 있고, 일부만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2 노즐(212)을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지지암(221)이 이동하면, 제2 노즐(212)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지지암(221)에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제2 노즐(21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지지암(221)이 제2 노즐(212)을 지지해주기 때문에, 지지암(221)과 제2 노즐(212)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2 노즐(2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지지암(221)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암(221)에 측정부(300)를 설치하더라도, 제2 노즐(21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
제1 조작체(222)는 회전축에 의해 지지암(2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조작체(222)는 지지암(221)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조작체(222)에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지지암(221)이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지지암(221)의 타측을 중심으로 일측이 회전 이동할 수 있고, 제2 노즐(212)도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조작체(223)는 회전축에 의해 제1 조작체(22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작체(223)는 제1 조작체(22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조작체(223)에 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모터의 작동으로 제1 조작체(22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1 조작체(222)와 연결된 지지암(221)도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암(221)에 결합된 제2 노즐(212)도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22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조작체(222)와 제2 조작체(223)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다양할 수 있다.
측정부(300)는 배출부(200)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측정부(300)가 지지부재(220)의 지지암(221)에 설치될 수 있다. 측정부(300)는 지지암(221)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이에, 측정부(300)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측정부(300)를 지지암(221)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측정부(300)를 지지암(221)에 설치하여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0)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에, 측정부(300)는 배출부(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노즐(212)로부터 지지암(221)에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부(300)가 측정할 수 있다. 용융금속과 슬래그의 비중 차이로 인해, 용융금속이 배출부(200)의 노즐들에 유입될 때 지지암(221)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슬래그가 배출부(200)의 노즐들에 유입될 때 지지암(2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다르다. 따라서, 측정부(300)로 지지암(221)의 진동 변화를 감지하면, 슬래그가 배출부(200)의 노즐들에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300)는 게이트(213)와 전기적을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300)가 노즐들로 슬래그의 유입을 감지하면, 게이트(213)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용융금속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0) 내 슬래그가 턴디쉬(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0)는 측정값을 숫자로 표시하거나 주파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측정값의 변화량이 일정하거나 주파수가 일정한 파형을 형태로 나타나면, 슬래그가 유입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정하던 측정값의 변화량이 갑자기 변하거나, 주파수의 파형이 변하는 경우, 슬래그가 유입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부(300)가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슬래그가 배출부(200)에 유입되는 것이 감지되면, 게이트(213)의 작동을 제어하여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용융금속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즉, 용기(100)와 턴디쉬(20) 사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0) 내 슬래그가 턴디쉬(20)로 공급되어 용융금속을 재산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400)는 배출부(200)에 연결된다. 진동발생부(400)는 배출부(200)의 지지부재(220)를 타격하여 지지부재(22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진동발생부(400)가 지지부재(220)의 지지암(221)에 설치되어 지지암(22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부(400)는 몸체부재(410), 이동부재(420), 및 구동부재(430)를 포함한다.
몸체부재(410)는 도 2와 같이 박스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재(410)의 중심부에는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공간(또는, 관통구)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몸체부재(410)의 중심부에 이동부재(420)가 배치되어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은 상부영역의 직경이 중간영역 및 하부영역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부재(4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동부재(420)는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에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부재(420)는 지지부재(22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재(410)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420)는 이동체(421) 및 접촉체(422)를 포함한다.
이동체(421)는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일 수 있다. 이동체(421)의 일방향(또는, 상하방향) 길이는 몸체부재(410)의 일방향(또는,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421)가 몸체부재(41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동체(421)의 일단(또는, 상단) 및 타단(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몸체부재(4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이동체(421)의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421)의 하단은 지지암(221)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동체(421)의 하단부가 뾰족해지면 이동체(421)와 지지암(221)의 접촉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421)가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암(221)과 접촉하여 지지암(221)을 타격할 때, 지지암(221)에 진동을 정밀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의 진동을 지지암(221)에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측정부(300)가 진동발생부(400)에 의한 진동을 측정할 때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421)의 직경은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의 상부영역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이동체(421)가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의 상부영역을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접촉체(422)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체(422)는 이동체(421)의 중심부의 설치될 수 있다. 접촉체(422)의 직경은 이동체(421)의 직경, 및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 상부영역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접촉체(422)는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에서 일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의 상부영역에 걸려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체(422)와 연결된 이동체(421)도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이동부재(420)가 몸체부재(410)의 상부를 통해 몸체부재(4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촉체(422)는 구동부재(430)에 구비되는 탄성체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체는 접촉체(422)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접촉체(422)는 탄성체에 의해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 상부영역에 형성된 턱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할 수 있다.
이때, 접촉체(422)는 이동체(421)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4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부재(430)는 이동부재(420)를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또는,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430)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왕복 이동하면서, 이동부재(420)가 지지부재(220)의 지지암(221)을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재(430)는 제1 구동기(431) 및 제2 구동기(432)를 포함한다.
제1 구동기(431)는 이동부재를 일방향(또는,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기(431)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부재(420)의 하단부가 몸체부재(4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22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구동기(431)는 회전체(431a) 및 동력체(431c)를 포함한다.
회전체(431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431a)는 동력체(431c)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431a)에는 둘레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431b)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체(431a)의 돌기(431b)가 이동부재(420)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431a)는 이동부재(4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체(431a)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420)의 상단은 돌기(431b)의 회전경로에 배치된다. 따라서, 돌기(431b)가 이동부재(420) 측으로 회전할 때마다 이동부재(420)의 상단부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도 3의 (a)와 같이 이동부재(420)는 돌기(431b)가 누르는 힘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부재(420)의 하단부가 지지부재(220)를 타격할 수 있다.
이동부재(420)를 밀어낸 돌기(431b)는 계속 회전하여 이동부재(42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420)를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없어져, 도 3의 (b)와 같이 제2 구동기(432)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상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돌기(431b)의 회전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돌기(431b)는 회전하면서 다시 이동부재(420) 측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420)와 접촉하면서 이동부재(420)를 하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돌기(431b)가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이동부재(4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구동기(431)와 제2 구동기(432)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상하로 반복해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체(431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체(431c)는 회전체(431a)를 지지해줄 수 있다. 동력체(431c)는 회전체(431a)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체(431c)는 모터일 수 있다. 동력체(431c)의 샤프가 회전체(431a)의 중심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동력체(431c)의 샤프트가 회전하면, 회전체(431a)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동력체(431c)는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또는, 상부)이 동력체(431c)와 연결되고, 타측(또는, 하부)이 몸체부재(4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동력체(431c)는 몸체부재(410)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제2 구동기(432)는 이동부재(420)를 일방향과 반대방향(또는,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제1 구동기(43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 이동부재(420)를, 제2 구동기(432)가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420)의 하단부가 지지부재(220)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기(432)는 탄성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는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420)의 이동체(421)는 탄성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는 몸체부재(4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일측(또는, 하단부)이 몸체부재(41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또는, 상단부)이 이동부재(420)의 접촉체(422) 하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재(410)의 하부에 탄성체의 하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턱이 구비될 수 있고, 이동체(421)는 턱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의 상단부는 접촉체(422)와 함께 몸체부재(410)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기(431)가 이동부재(420)의 상단을 눌러 하측으로 밀어내면, 탄성체가 수축하면서 이동부재(420)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420)의 하단부가 지지부재(220)를 타격할 수 있다. 제1 구동기(431)가 이동부재(420)를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탄성체가 상측으로 신장되면서 이동부재(420)를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420)가 지지부재(22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220)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기(431)와 제2 구동기(432)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연속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이동부재(420)가 지지부재(220)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구동기(431)가 회전체(431a)를 회전시키는 속도를 조절하면, 진동의 주기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구동기(431)에 작동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기나 진폭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부(400)는 고정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40)는 몸체부재(410)에 설치된다. 고정부재(440)는 몸체부재(410)를 지지부재(220)의 지지암(2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300)의 이상유무를 검사할 때만 고정부재(440)를 지지암(221)에 고정시켜, 몸체부재(410)를 지지암(221)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220)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고, 고정부재(440)는 몸체부재(4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자석일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440)가 자기력에 의해 지지암(221)에 부착될 수 있고, 지지암(221)에 부착된 고정부재(440)에 의해 몸체부재(410)가 지지암(221)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420)가 몸체부재(410) 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이동부재(420)가 지지부재(220)의 지지암(221)을 타격하면서 지지암(22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440)는 전자석일 수도 있다. 이에, 고정부재(440)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40)를 지지암(221)에 부착할 때는 고정부재(4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고정부재(440)를 지지암(221)에서 분리할 때는 고정부재(44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고정부재가 지지암(221)을 관통하여 몸체부재(410)에 체결되는 볼트일 수도 있다. 이에,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암(221)과 몸체부재(4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볼트를 풀어주면 지지암(221)과 몸체부재(41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용융금속 공급장치(1000)는 판단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500)는 측정부(300)와 연결되어, 측정부(300)에서 측정되는 측정결과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판단부(500)는 진동발생부(400)의 작동으로 측정부(300)에서 측정되는 측정결과들을 비교하여,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발생부(400)로 동일한 조건의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측정부(300)로 진동을 복수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시기에 측정된 측정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측정부(300)가 정상상태라면 동일한 조건으로 발생한 진동을 서로 다른 시기에 측정하더라도 동일한 측정결과가 나온다. 측정부(300)에 이상이 발생하면 동일한 조건으로 발생한 진동이라도 서로 다른 시기에 측정한 측정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측정결과들을 비교하여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진동을 측정하는 어느 한 시기와, 그 다음 진동을 측정하는 시기 사이에, 용기(100)에서 용융금속을 배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용기(100)에서 용융금속을 배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는, 측정부(300)를 이용하여 슬래그가 용기(1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용융금속의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발생부(400)를 이용하여 용기(100) 내 용융금속을 배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면서 측정부(300)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검사할 수 있다. 판단부(500)가 측정부(300)의 이상을 감지하면, 판단부(500)는 측정부(300)가 손상되었거나 오작동을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지지암(221)에 설치된 손상된 측정부(300)를 다른 새로운 측정부(30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100)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에, 측정부(300)가 오작동으로 슬래그의 배출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가 용기(100) 내부의 용융금속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측정부(300)의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측정부(300)를 안정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고, 측정부(300)를 상시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측정부(300)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면, 용기(100)에서 슬래그가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슬래그가 용융금속과 함께 용기(10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가 용기(100) 외부에 저장된 용융금속과 혼합되거나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융금속으로 제조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의 검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검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부의 검사방법은,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측정부의 검사방법은, 용기에 설치되어 외부로 용융금속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에,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마련하는 과정(S110), 진동발생부로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1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S120), 진동발생부로 배출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S130), 및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140)을 포함한다. 이때, 용기(100)는 래들일 수 있고,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금속은 용강일 수 있으며, 용기(100)에 저장된 용강이 턴디쉬에 공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배출부(200)에 구비되는 지지암(221)에, 진동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300),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40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300)는 지지암(2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0)는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노즐(211), 제1 노즐(211)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 노즐(212), 및 제2 노즐(212)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220)를 포함한다. 측정부(300)는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노즐들로 슬래그가 유입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용융금속이 노즐들에 유입되었을 때 노즐들에 발생하는 진동과, 슬래그가 혼입된 용융금속이 노즐들에 유입되었을 때 노즐들에 발생하는 진동이 다르다. 따라서, 측정부(300)는 노즐들에서 지지암(2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변화를 감지하여 슬래그가 노즐들에 유입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400)와 측정부(300)가 지지암(221)에 설치되면, 진동발생부(400)로 지지암(22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발생부(400)는 지지암(221)을 타격하여 충격을 가하므로, 지지암(22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부(400)는 작업자가 원하는 진폭과 주기의 진동을 일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지지암(221)이 진동발생부(40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측정부(300)가 지지암(221)에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1차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1차 측정결과는 판단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200)의 제1 노즐(211)과 제2 노즐(212)에 용융금속이 통과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그 다음, 진동발생부(400)로 지지암(221)에 진동을 다시 발생시킬 수 있다. 처음 진동을 발생시킬 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조건으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발생부(400)는 지지암(221)을 타격하여 충격을 가하므로, 지지암(221)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지지암(221)이 진동발생부(40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 측정부(300)가 지지암(221)에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2차 측정결과는 판단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측정부(300)는 1차 측정결과를 획득할 때와 동일한 시간동안 동일한 조건에서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배출부(200)의 제1 노즐(211)과 제2 노즐(212)에 용융금속이 통과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측정결과에 용융금속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모두 획득하면,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결과가 측정값이면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연산하여, 둘의 차를 구할 수 있다. 둘의 차를 미리 정해진 설정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설정범위는 1차 측정결과 2차 측정결과의 오차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범위는 1차 측정결과의 ±1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둘의 차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측정부(30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둘의 차가 설정범위 이내이면 측정부(300)가 정상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는,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가, 일정시간 동안의 진폭을 나타내는 주파수 형태의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1차 측정결과의 이미지와, 2차 측정결과의 이미지를 비교할 수도 있다. 즉, 두 이미지의 차를 연산할 수 있다. 둘의 차를 미리 정해진 설정범위와 비교할 수 있다. 설정범위는 1차 측정결과 2차 측정결과의 오차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범위는 1차 측정결과의 ±10%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둘의 차가 10%를 초과하는 부분이 발견되면 측정부(30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고, 둘의 전체적인 차가 10% 이하이면 측정부(300)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비교하는 측정결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용융금속을 공급하지 않을 때, 1차 측정결과와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측정부(300)에 진동발생부(400)가 지지암(221)에 발생시키는 진동 외에, 용융금속에 의해 노즐들에서 지지암(2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측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300)의 측정결과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면서, 진동발생부(400)가 지지암(221)에 충격을 가해 발생시키는 진동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는 과정은 복수회가 수행될 수 있다. 1차 측정결과 및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되지 않는 시기들에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공급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측정부(300)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고, 손상되거나 오작동하는 측정부(300)를 사용하여 공급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정부(3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측정부(300)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배출부(200)의 지지암(221)에 설치된 측정부(300)를 다른 측정부(300)로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측정부(300)의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측정부(300)를 안정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고, 측정부(300)를 상시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측정부(30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손상된 측정부(300)를 사용하여 용기(100)에서 턴디쉬(20)로 슬래그가 공급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용기 200: 배출부
300: 측정부 400: 진동발생부
410: 몸체부재 420: 이동부재
430: 구동부재 440: 고정부재
500: 판단부 1000: 용융금속 공급장치

Claims (16)

  1. 용융금속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노즐부재, 및 상기 노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측정부; 및
    상기 지지부재에 동일한 조건의 진동을 복수회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타격할 수 있는 진동발생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가 동일한 조건으로 발생시키는 진동들을 상기 측정부가 서로 다른 시기들에 측정해서 얻은 진동 측정결과들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노즐; 및
    상기 제1 노즐의 하부에 장착 가능한 제2 노즐;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부재;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에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재 내외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를 일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구동기; 및
    상기 이동부재를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구동기;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기는,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회전경로에 위치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기는,
    상기 몸체부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이동할 수 있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몸체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자석을 포함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
  10. 용융금속 공급장치에 구비되면서, 노즐부재 및 상기 노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배출부에 연결되어 진동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진동발생부로 상기 지지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1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진동발생부로 상기 지지부재에 동일한 조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부로 진동을 측정하여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상기 진동발생부로 상기 지지부재를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1차 측정결과와 상기 2차 측정결과의 차를 구하는 과정;
    상기 차를 미리 정해진 설정범위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차가 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진동발생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가하는 충격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상기 노즐들로 슬래그가 유입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을 통과시키는 과정은 복수회가 수행되고,
    상기 1차 측정결과 및 상기 2차 측정결과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노즐들에 용융금속이 통과되지 않는 시기들에 수행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의 이상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측정부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출부에 설치된 측정부를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 공급장치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재는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융금속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KR1020180083989A 2018-07-19 2018-07-19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KR10210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89A KR102100793B1 (ko) 2018-07-19 2018-07-19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89A KR102100793B1 (ko) 2018-07-19 2018-07-19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28A KR20200009528A (ko) 2020-01-30
KR102100793B1 true KR102100793B1 (ko) 2020-04-14

Family

ID=6932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989A KR102100793B1 (ko) 2018-07-19 2018-07-19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448A (ko) 2021-08-10 2023-02-17 김경윤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080B1 (ko) * 1996-12-06 2001-10-24 이구택 연속주조기의주형진동특성진단장치
KR100949679B1 (ko) * 2002-12-23 2010-03-26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에서의 슬래그 유출 검출방법
KR100950396B1 (ko) 2003-04-11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롱노즐부착형 진동센서를 이용한 슬래그 유출감지장치
KR20130046739A (ko) * 2011-10-28 2013-05-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노즐 실링용 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528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821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molten steel in mold
KR102100793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측정부의 검사방법
JP2000225446A (ja) 金属ストリップ鋳造方法及び装置
KR102124335B1 (ko)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US20160031014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ducing shots
KR101766673B1 (ko) 주조장치 및 편류 제어방법
KR20190069090A (ko) 커버장치 및 폐쇄방법
JP5450807B2 (ja) 素材速度測定装置
KR102173169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KR102139638B1 (ko) 주조 장치 및 롤 진단방법
KR100954934B1 (ko) 침지노즐 센터링 장치
JPS63157742A (ja) 改良された鋳型振動装置を有する連続鋳造機
KR100913921B1 (ko) 토출구의 센터링이 용이한 침지노즐 조립장치
KR101129951B1 (ko) 연속 주조용 몰드의 마모량 측정 장치
KR102038648B1 (ko) 주조장치
JP4665551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22521Y2 (ko)
KR101722951B1 (ko) 침지 노즐
KR101701985B1 (ko) 자기장 측정 장치
KR100829968B1 (ko) 연주설비의 롱노즐 수직도 측정장치
JP2008221287A (ja) 鋳型内溶鋼の流動制御方法及び連続鋳造鋳片の表面品質判定方法
KR20140106802A (ko) 응고물 형성장치 및 응고물의 거동 분석 방법
US20060144551A1 (en) Casting control method
KR101526453B1 (ko)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KR100525600B1 (ko) 연속주조용 용강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