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455B1 -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455B1
KR102100455B1 KR1020147023747A KR20147023747A KR102100455B1 KR 102100455 B1 KR102100455 B1 KR 102100455B1 KR 1020147023747 A KR1020147023747 A KR 1020147023747A KR 20147023747 A KR20147023747 A KR 20147023747A KR 102100455 B1 KR102100455 B1 KR 10210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spension
fastening structure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169A (ko
Inventor
마티유 그룸베르그
로이 스크라프포드
Original Assignee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3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59Nonresilient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현수식 비계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연관된 설치, 조립 및 사용 방법들이 본원에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예컨대 구조물에 대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 및 접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매달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조물에 부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개시된 종류의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지지하거나 이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이 예컨대 미리 결정된 패턴 또는 어레이로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Suspension connector system configured for use with suspended scaffolding, and related method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2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1/596,341호의 이점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 전체가 이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물들의 다양한 부분들에 접근하기 위해 가설되는 비계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계를 현수하거나 매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은 해양 선박과 같은 구조물로부터 비계를 현수하거나 매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가설, 보수, 검사 등을 위해 구조물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될 때 현수되거나 매달린다. 이러한 비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현수식 비계 시스템" 또는 "걸이식 비계 시스템"(또는 더 간단하게는 현수식 또는 걸이식 비계)으로 지칭되며, 전적으로 및 단독으로 현수되는 비계 시스템, 및 지지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는 비계 시스템(예컨대, 걸이식 지지된 비계 시스템)을 포함한다. 비계가 현수되거나 매달리는 구조물은 종종 강 I-빔과 같은 노출된 구조 부재들을 구비한 강 구조물 또는 선박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노출된 구조 부재들은 일반적으로 구조물 또는 선박의 선체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연장되고, 현수식 비계의 부착 및 현수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몇몇 유형의 해양 석유 시추 및 펌핑 플랫폼과 같은 몇몇의 이러한 구조물들은 비계 시스템을 고정하거나 현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만약에 있다 해도) 적은 수의 노출된 구조 부재들을 구비한 편평한 또는 적어도 대략 편평한 선체 또는 선체 표면을 포함한다. 도 8은 이러한 구조물의 예시적인 일례를 제공한다. 현재, 수백 개의 "잭업(jack up)" 석유 시추 굴착기들이 멕시코 만에서 단독으로 작업 중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구조물은 매끄러운 강 선체를 구비한 외양선이다. 이러한 선박은 작업 중일 때 상당한 석유 수입을 발생시킨다.
환경적인 조건 및 다른 조건들로 인해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물은 예컨대, 마모된 선체 표면, 파편을 회수하거나 수집한 벽면을 보수하기 위해, 또는 다른 부분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 및/또는 구조물에 대해 장착된 장비를 보수하기 위해, 빈번하진 않더라도 주기적인 검사, 청소, 보수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종종, 비계가 현수될 수 있는 구조물의 높이가 상당히 클 수 있다. 예컨대, 몇몇 해양 플랫폼 구조물들은 수면에서 약 50피트 내지 100피트를 초과한다.
이러한 응용 및 다른 응용을 위해, 시도된 하나의 해결방안은 플레이트 아이("아이 플레이트"로도 지칭됨) 또는 패드 아이와 같은 용접된 연결부들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전히, 플레이트 아이 및 패드 아이와 같은 연결부들은 다양한 이유로 결코 이상적이 아니다. 예컨대, 선박 또는 다른 구조물이 보수를 위해 드라이독에 배치될 때, 구조물에 용접된 플레이트 아이 또는 패드 아이는 부품의 작은 돌출 영역으로 인해 선박의 선체에 구멍을 낼 수 있다. 또한, 선박의 건설에 이어 추가되는 굴착 연결부들은 이들이 초기에 의도된 것과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굴착 및 인양 작업 중에 잠재적 위험을 나타낸다. 아울러, 플레이트 아이 및 패드 아이는 선박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조물 내에 삽입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임의의 파편 또는 물질(예컨대, 해양 생물)을 수집하기가 쉽다. 따라서, 플레이트 아이 및 패드 아이 구조는, 수집된 물질과 함께, 선박(또는 다른 구조물)의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이동 중에 추진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걸이식 지지된 비계 응용을 위해 일반적으로 설계되지 않은 플레이트 아이 및 패드 아이는 즉시 사용 가능한 방식으로 선박 또는 다른 구조물로부터 이러한 비계를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지 않는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조물로부터 현수식 또는 걸이식 비계를 적절하게 고정하는 능력의 부재로 인해, 구조물이 검사, 개장(refurbishment), 또는 보수를 위한 선체 접근 서비스로부터 제외되어야 하므로, 이익의 손실 및 휴지 시간(down time)을 초래한다.
따라서, 적어도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신규한 또는 개선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특히 구조물(예컨대, 해양 플랫폼)로부터 비계를 현수하거나 매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또는 사용 방법(들)이 개발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및 체결 구조와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이 본원에 개시된다.
적어도 몇몇 다른 구현예들에 따르면,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으로,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포함하는 체결 구조;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로,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착탈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구비한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체결 구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구 잠금 구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구 잠금 구조; 및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에 연결되며,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를 구비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개시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방법은: 체결 구조를 구조물에 연결하는 단계;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체결 구조와 착탈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몇몇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본 발명은, 비계 시스템과 결합하여 구조물에 대해 구현되고/구현되거나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으로부터 현수되도록 구성된다(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으로부터 현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양상들 및 구현예들은 본 개시를 철저히 숙독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본 개시의 특징들이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되며, 단지 예시의 목적이다. 본 개시는 응용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부품들의 배치 또는 구성의 상세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다른 구현예들일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식들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들, 조립체들, 부품들 등을 위한 대표적인 구성요소들, 재료들, 및 치수들이 도면에 제공되며, 이러한 도면들 및 다른 정보는 본 개시의 일부에 포함되며 이를 구성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유사한 부품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른, 체결 구조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부품들과 함께, 조립된 형태 및 조립되지 않은(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되지 않은) 형태로 도시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사시도들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제1 연결구 잠금 구조, 제2 연결구 잠금 구조, 및 복수의 연결구 유지 기구들을 더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전단면도, 2C-2C 라인을 따른 상단면도, 및 2D-2D 라인을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도 2a 내지 도 2d의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 사시도, 전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제1 연결구 잠금 구조의 확대 전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 및 도 1b의 현수식 시스템의 측면도들이며,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조립(설치) 및 분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용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구조물에 대해 위치되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의 예시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대안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체결 구조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른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조물의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른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의 사시도들이다. 도 1a는 특히 조립된 형태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을 도시하는 반면, 도 1b는 조립되지 않은(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되지 않은) 형태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조립 및 분해는 본원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은 체결 구조(12) 및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4(도 1b)로 지시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 및 한 쌍의 연결구 유지 기구들(22)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체결 구조(12)는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의 형태를 취하고, 이는 더 큰 구조물(대표적인 일례가 후속 도면에 도시됨)에 고정된다. 특히, 체결 구조(12)는 통상적으로, 구조에 걸친 하중(예컨대, 이후 매달릴 비계로부터의 큰 하중)을 예컨대 다양한 선박 구조 부재들에 분배하고 전달하는 방식으로, 외부 선체(예컨대, 선박의 선체)에 고정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체결 구조(12)는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수식 조립체(14)와 맞물리기 위해 사용되는 대칭형의 경사진 또는 각진 표면들(32a, 32b; 32a 미도시)을 포함하는 일체형 강성 사다리꼴 구조의 형태를 취한다.
유리하게는, 체결 구조(18)의 형상은 레이저 가공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저비용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도시된 체결 구조(12)는 8.88인치의 길이(W), 5.25인치의 폭(W), 및 1.25인치의 두께 또는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치수들로 및 일반적으로,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체결 구조(12)는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포함한다.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는 핸들부(36)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핀 구조들(34a, 34b)을 포함한다. 제2 연결구 잠금 구조는 현수식 조립체(16)를 통해 연장되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돌출된 핀 구조들(34a, 34b)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지 기구(22)는 유지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핀 구조(34a, 34b)를 통과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의 사시도, 전단면도, 상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는 외부 프레임 구조(40)를 포함하며,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외부 프레임 구조(40)는 한 쌍의 중앙 연결부들(44a, 44b)을 통해 연결되는 한 쌍의 직립부들(예컨대, 수직부들)(42a, 42b)을 구비한 U자형 프레임 구조를 위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의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의 부분 확대 사시도, 전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즉, 도 3a 내지 도 3d는 외부 프레임 구조(40)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는 한 쌍의 추가 직립(예컨대, 수직) 플레이트 구조들(46, 48)("중간 플레이트들"로도 지칭됨), 및 한 쌍의 짧은 플레이트 구조들(50, 52)("거셋 플레이트들"로도 지칭됨)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레이트 구조들(46, 48)은 프레임 구조(40)의 직립부들(42a, 42b) 사이에서 이격되며, 일반적으로 이들과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다. 직립부(42a)의 일부는 체결 구조(12)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직립부(42b)의 일부는 체결 구조의 정지부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 구조들(46, 48, 50, 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구조들(및 특히 이들의 연장부들)을 수용하는 맞물림 홀들(54a~54h)을 통해 외부 프레임 구조(40)에 연결된다. 프레임 조립체(16)는 파이프(또는 파이프형) 구조들, 특히 외부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작은 파이프 구조들(56a, 56b), 및 작은 파이프 구조들 사이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제2 큰 파이프 구조(58)의 형태 또는 구조를 취하거나, 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결합 구조들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파이프 구조들(56a, 56b, 58)은 둥근 관형 구조들이며, 큰 파이프 구조는 동일한 직경을 가진 작은 파이프 구조들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대안적인 구현예들이 고려된다. 예컨대, 파이프 구조들(56a, 56b, 58)은 각각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프레임 조립체 부품들은 견고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 용접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3a 내지 도 3d를 계속 참조하면, 각각의 파이프 구조들(56a, 56b, 58)은 (홀들을 통해) 직립 플레이트 구조들(46, 48) 및 다시 홀들(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됨)을 통해 직립부들(42a, 42b) 내에 존재하며, 이들을 통해 각각의 외표면들(즉, 프레임 조립체(16)의 전면 및 배면)을 지나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예컨대, 파이프 구조들(56a, 56b)은 제1 유형의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파이프 구조(58)는 제2 유형의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및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파이프 구조들(56a, 56b)은 일반적으로 걸이식 지지된 비계를 위한 부착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파이프 구조(58)는 더 일반적으로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위한 부착부로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조(56a, 56b)는 통상적으로 결합 구조(58)보다 작은 장치를 수용할 것이다. 특히 체인 결합구 장치(59)를 구비한 체인 기구(57)를 포함하는 이러한 체인들 또는 다른 결합 장치들은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현수하거나 매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몇몇 구현예에서, 구조(58)는 체인 결합구 장치(59) 또는 유사한 결합 장치(들)와 함께 (파선으로 나타낸) 체인 기구(57)를 수용할 수 있다. 요컨대,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은 지지된 비계 부품들을 (예컨대, 체인 및/또는 다른 결합 기구를 통해) 매달기 위한 연결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구성되는 구조들(56a, 56b, 58)을 포함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파이프 구조(58)는 프레임 구조(40)의 홀들(61a, 61b)에 끼워맞춤되며, 연관된 체인의 전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진다. 예컨대, 일 구현예에서, 파이프 구조(58)는 2.875인치의 직경을 가지며, 각각이 2.9인치의 직경을 가진 홀들(61a, 61b)에 끼워맞춤되고, 3/8 그레이드 100 체인의 전체 강도를 유지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파이프 구조들(56a, 56b)은 각각의 홀들(63a, 63a') 및 각각의 홀들(65b, 65b')에 각각 끼워맞춤되며, 각각의 비계 클램프(미도시)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진다. 예컨대, 일 구현예에서, 파이프 구조들(56a, 56b)은 1.9인치의 직경을 가지며, 각각이 1.925인치의 직경을 가진 프레임 구조(40)의 홀들에 끼워맞춤된다.
도 2b 및 도 3c를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40)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83으로 지시되는, 체결 구조(12)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40)는 전체 길이(L)를 가지며,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은 치수들(D1, D2, T)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치수(D1)는 9.19인치, 치수(D2)는 7.93인치, 치수(T)는 0.50인치이며, 프레임 구조(40)의 전체 길이(L)는 13인치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로 명명될 수 있거나 "도브테일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는 도브테일 또는 도브테일형 상호연결부 또는 조인트를 제공하도록 도브테일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며 둘러싸는 형태를 가진 체결 구조 수용 영역(83)을 통해 체결 구조(40)와 접촉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대안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체결 구조(12')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예로써 및 제한 없이, 체결 구조(12)의 각진 표면들(32a, 32b; 예컨대, 도 1b에 도시됨) 중 하나 또는 모두는 현수식 조립체(14')와 접촉하며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12')의 단차 또는 단차형 구조들(32a', 32b')로 재성형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및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단차 또는 단차형 구조들(32a', 32b')은 통상 직각으로 또는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는 "L자형" 표면 또는 단면을 포함하는 앵글재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및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체결 구조들은 적어도 일부가 오버컷(또는 언더컷)되도록 구성되어, 이하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의 하나 또는 다양한 구현예들과의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한 립(lip), 돌기, 또는 다른 구조 또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및 도 7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구조(14')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83')을 포함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체결 구조(12')에 순응하며 체결 구조(12')와의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체결 구조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의 대안적인 구현예들이 고려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1a 및 1b의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확대 전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한 쌍의 "이어형" 측부들(60a, 60b)("탱들"로도 지칭됨)을 포함하는 대략 강성의 일체형 구조로, 이어형 측부들(60a, 60b)은 중앙부(62)를 통해 연결되며, 중앙부(62)로부터 멀리(예컨대, 상향으로 멀리) 연장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는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이다.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또한 사용자에 의한 수동 파지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굽힘부(64)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부들(60a, 60b)은 각각 한 쌍의 개구들(66a, 66b; 68a, 68b)을 포함하고,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개구들은 도 5a 및 도 5b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핀들(76)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다.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진행을 제한하기 위해, 파이프 구조 수용 채널 또는 개구(70)는 예컨대 파이프 구조(58)가 윤곽(예컨대, 둥근) 표면(72)과 접촉하거나 접경할 때까지 파이프 구조(58)를 수용하기 위해 측부들(60a, 60b) 사이에 형성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영역(83) 내에 위치할 때 측부들(60a, 60b)이 체결 구조의 이동 상대 이동을 잠금하거나 방지하기에 충분한 높이(H)를 가진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높이(H)는 8인치이다. 또한,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수용 영역(83)에 끼워맞춤되며 이를 통과하고, 도 3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치수들(D1, D2)을 통과하기 위한 크기의 전체 폭(W)을 가진다. 일 구현예에서, 전체 폭(W)은 7.75인치이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 파이프 구조 수용 채널은 2.875인치의 직경을 가진 파이프 구조(58)를 수용하기 위해 3.15인치의 폭(L)을 가진다.
설치/제거 - 사용
도 5a 및 도 5b는 도 1a 및 도 1b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측면도들이며(편의상 같은 페이지에 도시된다), 도 1a 및 도 1b와 함께, 예시적인 구조물(74)(예컨대, 석유 굴착 플랫폼)에 대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현(설치/제거) 및 사용 과정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시적인 과정의 제1 단계에 따르면, 체결 구조(12)는 구조물(74)에 견고하게 부착(예컨대, 용접)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다. 구조물(74)에 대한 체결 구조의 부착은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Y"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75)로 지시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체결 구조는 부식 또는 기타 파편 또는 물질의 진입 또는 혼입을 없애거나 실질적으로 없애기 위해, 체결 구조와 구조물(예컨대, 플랫폼, 선박, 함정 등) 사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밀봉된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조물의 외주에 전체적으로 용접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연결구 유지 기구들(22)이 (전술한)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로부터 제거된다. 연결구 유지 기구들의 제거는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3 단계에서,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에 대해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의 거리만큼, (통상 외부로) 슬라이딩되며 인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및 최종 위치들은 미리 결정된다. 예컨대, 이러한 위치들은 이동을 미리 결정된 거리로 제한하는 복수의 장치들(76; 예컨대, 핀들, 롤 핀들 등)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의 이동은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X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78)로 지시된다.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의 이동은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제4 단계에서,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에 대해 초기(예컨대, 상승) 위치로부터 최종(예컨대, 하강) 위치로, (예컨대, 중력에 의해, 또는 중력 및 수동 당김과 같은 추가 보조력에 의해) 통상 아래로 슬라이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및 최종 위치들은 미리 결정된다. 예컨대, 이러한 위치들은 제1 잠금 구조 내의 홀들(도 4a에 도시된 홀들(66a, 66b; 68a, 68b))을 통과하며 접하는 복수의 장치들(80, 81; 예컨대, 육각형 볼트 및 와셔 조립체 등)에 의해 결정되고, 그에 따라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이동은 미리 결정된 거리로 제한된다. 다르게 말하면, 초기 및 최종 위치들은, 제1 연결구 잠금 기구의 진행이 이러한 위치들 사이의 거리로 제한되는 제한된 위치들이다. 장치들(80, 81)은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음의 Y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82)로 지시되는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자유로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로부터의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의 완전한 제거를 방지한다.
제5 단계에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체결 구조(12)와 맞물리기 위해 체결 구조(12) 상에 또는 이에 대해 슬라이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위치된다. 특히 및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 따르면, 경사진 또는 각진 표면들(32a, 32b; 도 1b)은 체결 구조 수용 영역 또는 채널 내에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를 수용하며 이와 맞물리기 위해 연결구 프레임 구조(40)의 표면들과 맞물리고, 이 체결 구조 수용 영역 또는 채널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83으로 지시되며, 도 1b(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은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음의 X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84)로 지시된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와 체결 구조(12) 사이의 이동은 (체결 구조(12) 및 조립체(14)의 접촉면들을 따른) 느슨한 슬라이딩 끼워맞춤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 및 매달림은 수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체결 구조(12)는 플레이트(42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수용 영역(83)의 개방 단부 내로 수용되며, 슬라이딩은 체결 구조가 플레이트 구조(42b)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 때,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체결 구조(12)에 "매달리게" 되고, 그에 따라 체결 구조는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의 중량을 지지한다. 또한, 체결 구조(12)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83)에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 내에 또는 이에 대해 유지된다. 이러한 정합 맞물림의 결과로, 체결 구조(12)와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 사이의 상대 이동은 X(및 음의 X) 방향(들)으로 제한되는 반면, Y(및 음의 Y) 및 Z(및 음의 Z) 방향의 상대 이동은 방지된다.
제6 단계에서,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는 체결 구조(12)와 맞물릴 때까지 전술한 방향(82)과 반대 방향으로, 즉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Y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86)로 지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특히, 제1 잠금 구조는 부분들(60a, 60b; 도 4a)이 체결 구조(12, 18)에 인접할 때까지 슬라이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된다. 현수식 조립체(14)는 체결 구조(12)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고, 그에 따라 X(및 음의 X) 방향의 상대 이동이 방지된다.
제7 단계에서,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는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음의 X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88)로 지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은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다시, 전술한 바와 같은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응하는) 범위까지 이루어진다. 특히, 이동은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체결 구조(12)와 맞물리는 위치(예컨대, 상승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계속된다.
그리고 최종 단계에서, 연결구 유지 기구들(22)은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16) 및 제1 연결구 잠금 구조(18)를 통과하는 부분들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와 맞물리기 위해 제2 연결구 잠금 구조(20)에 대해 재삽입된다.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이제 체결 구조(12)에 대해 설치되고, 체결 구조(12)는 추가로 구조물(72)에 부착된다. 따라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은 걸이식 또는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구성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체결 구조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이런 점에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은 "착탈 가능하거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 구조(12)로부터 현수식 조립체를 제거하거나 분리하는 과정 또는 구현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단계들의 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과, 각각의 이러한 연관된 단계 중에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각각의 부품들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상대 이동을 반대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전술한 5 단계를 반대로 할 때,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는 체결 구조(12)로부터 분리되거나 제거되기 위해 이로부터 슬라이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멀리 위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은 도시된 예시적인 축들에서 X 방향에 대응하는 화살표(90)로 지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구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착탈 가능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14)를 포함한다. 다르게 말하면, 본 개시의 구현예들에 따르면, 체결 구조, 및 체결 구조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10)이 개시된다. 따라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이 비인가 굴착, 인양, 또는 현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들거나 완전히 없어진다.
전술한 절차는, 걸이식 또는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을 구비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종류의 다수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특히, 도 6은, 상기에 및 이에 설명되는 절차에 따라 구조물(72)에 대해 위치되며,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0으로 지시된 현수식 비계 시스템과 결합되거나 이와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10)의 예시적인 배치(92)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현수식 비계 시스템은 예컨대 체인 결합 장치들 및 조립체들과 같은 결합 장치들 또는 조립체들을 통해 다른 구조물로부터 현수되기에 적합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관절식 작업 플랫폼 접근 시스템을 포함함)을 포함하는 걸이식 지지된 비계, 현수식 비계를 포함한다.
단계별 순서로 설명된 상기 방법(들)에도 불구하고, 작업들 또는 단계들을 특정한 연대순으로 완료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게다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단계들의 생략, 수정, 재배치, 조합, 재순서가 고려된다.
플랫폼과 같은 구조물의 도장 또는 다른 방식의 개장 후, 및 체결 구조로부터 현수식 비계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의 제거 후와 같이, 현수식 비계를 사용하여 소정 범위의 작업을 완료한 후에, 체결 구조(또는 복수의 이러한 구조들)만이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고려된다. 유리하게는, 체결 구조는 낮은 또는 매우 낮은 프로파일 구조로 설계된다. 따라서, 수중에서 체결 구조(들)를 구비한 선박 또는 다른 구조물을 운송할 때, 체결 구조(들)는 추진 저항성을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을 것이다. 또한, 체결 구조(들)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선형 구조(fairing)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에 따라 제공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은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이 부착되는 구조물의 지속적인 작동을 유지하면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견고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체결 구조(10)(예컨대, "도브테일" 플레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 또는 장치의 형태)는 초기 구성 중에, 드라이독 내의 보수 중에 구조물(예컨대, 선박)에 고정될 수 있거나, 작동 중에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수, 개장, 또는 검사를 위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드라이독이나 다른 장소로 구조물을 이동해야 할(및 그에 따라 작동 및 서비스로부터 구조물을 제외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거나 완전히 없어진다.
본원에 제공된 설명은 특히 구조물 및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적어도 대략 편평한 표면 또는 외표면(예컨대, 선체)에 대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로써 의도된 것이다. 실제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과정이 다른 다양한 유형의 구조물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소정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상이한 부품들, 조립체들, 및 구조들의 특정한 형상들은 많은 경우에 달라질 수 있다. 단지 일례로, 파이프 구조들은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다른 결합 장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구조는 다른 프로파일을 가진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들은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부품들에 적합한 재료들은 금속(예컨대, 강, 알루미늄 등)뿐만 아니라 다른 적합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현수식 비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금속(예컨대, 강,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품들은 솔리드형, 파형, 격자형, 평활형,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의 아이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비계 조립체의 패널부들은 그 중에서도 원목판, 합판, 지붕 데크 재료, 프레임 상의 금속, 격자, 강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으로부터 및 지지 구조(들)에 대해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현수할 때, 다양한 유형의 링크 장치들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링크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체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통상 가요성이 있는 다른 링크 장치들(예컨대, 와이어, 와이어 로프, 또는 유사한 유형의 링크 장치들) 및 몇몇 경우에 강성 링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현수식 비계 시스템은 다수의 별개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작업 플랫폼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작업자(들)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기존의 설치부 상에서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동안,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기존 부분들을 수정하거나 이들에 추가할 수 있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작업자(들)는 이러한 상황에서 수공구만을 사용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부품들을 연장하거나, 재배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기존의 부품들에 대한 추가 또는 제거를 위해 기계 공구, 인양기, 크레인, 또는 다른 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적어도 몇몇 구현예들에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설치는 본질적으로 "공중"에서 이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다부품 승강 또는 인양 장비의 사용을 통해 부품 별로 "공중에서" 가설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비계 시스템 부품이 지상에서 또는 먼 장소에서 사전 조립된 후, 사전-조립 모듈로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인양되며, 구조물로부터 현수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앞서 논의되진 않았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유형의 부품들이 또한 현수식 비계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구현예들에서, 레일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레일들은 그 중에서도 체인, 케이블(예컨대, 아연도금 항공기 케이블), 라인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은 아연도금된 항공기 케이블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들에서, 레일 표준들은 또한 작업 인클로져 시스템을 가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타프, 시트 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작업 영역(들)을 둘러싸기 위해 레일 표준들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소정의 구현예들이 상기에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남 없이 다수의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구성 부품들, 그 재료들, 그 형상들, 그 상대 배치 등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는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들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나타내진 않았지만, 본원에 포함된 임의의 구현예들은 안전하거나, 임의의 특정한 안전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제로, 안전한 작동은, 예컨대 설치 방식, 유지 방식, 담당자들의 훈련 방식 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의 다수의 요인들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또한,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다양한 부재들의 서로에 대한 및/또는 다른 기준점(예컨대, 굴착기 또는 선박과 같은 구조물)에 대한 상대 위치 또는 이동을 기술하기 위한 용어들 또는 참조부호들(예컨대, 화살표)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이러한 관계 특성을 만족하지 않거나 반드시 만족하지는 않는 특징들을 구비한 다른 다양한 구현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포함된 구현예들 및 도면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 구현예들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수정된 형태의 구현예들, 및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 있는 상이한 구현예들의 부재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히 의도된다.

Claims (25)

  1.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로서,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포함하는 체결 구조; 및
    상기 체결 구조와 착탈식으로 맞물리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으로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한쌍의 중앙 연결부들에 의해 연결된 한쌍의 직립부들 및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가지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직립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직립부들과 같은 길이로 연장되는 한쌍의 중간 직립 플레이트들 및,
    중간 직립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짧은 거셋 플레이트들(gusset plates)들을 포함하고,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은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수용 시에, 상기 현수식 연결구 및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상호연결부에서 착탈식으로 맞물리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잠금 구조, 및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수용 시에, 상기 현수식 연결구 및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상호연결부에서 착탈식으로 맞물리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낮은 프로파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낮은 프로파일 구조와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추가로,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가 상기 체결 구조와 맞물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구조는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에 잠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구조는 제1 연결구 잠금 구조 및 제2 연결구 잠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는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며, 상기 제2 연결구 잠금 구조는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상기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수용 시에, 상기 현수식 연결구 및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상호연결부에서 착탈식으로 맞물리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는 체인 또는 체인형 결합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파이프 구조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i) 상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작업 플랫폼 조립체 또는 시스템을 포함하고/포함하거나, (ii) 상기 체결 구조가 연결되는 상기 구조물은 해양 플랫폼 구조물을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3.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으로,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포함하는 체결 구조;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로,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의 적어도 일부와 착탈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구비한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구 잠금 구조;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상기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구 잠금 구조; 및
    상기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에 연결되며,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를 구비한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조는 파이프 또는 파이프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장치는 상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체인 또는 체인형 결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이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복수의 측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들 사이에 상기 파이프 구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더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은 상기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수용 시에, 상기 현수식 연결구 및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상호연결부에서 착탈식으로 맞물리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사다리꼴 구조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 구조는 상기 체결 구조가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에 수용될 때 상기 현수식 조립체와 맞물리기 위해 사용되는 대칭형의 경사진 또는 각진 표면들을 구비한 일체형 강성 구조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서로 반대측의 표면들을 구비한 구조를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서로 반대측의 단차진 구조들을 포함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20. 제13항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의 사용 방법으로,
    체결 구조를 구조물에 연결하는 단계; 및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와 착탈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는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형 구조를 맞물리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구비한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제1 연결구 잠금 구조, 제2 연결구 잠금 구조, 및 결합 장치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하는 단계;
    상기 제2 연결구 잠금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연결구 잠금 구조를 상기 연결구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체결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하는 단계;
    상기 결합 장치 지지 구조를 사용하여 결합 장치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현수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장치 지지 구조는 파이프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장치는 체인 또는 체인형 결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구조는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도브테일 플레이트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체결 구조 수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는 도브테일 상호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현수식 연결구를 상기 체결 구조에 대해 슬라이딩식으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수하는 단계는 상기 체인 또는 체인형 결합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현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구조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를 상기 체결 구조와 착탈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구조물에 연결되는 복수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을 제공하기 위해 반복되고, 상기 복수의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들은 상기 현수식 비계 시스템을 현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계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작업 플랫폼 조립체 또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식 연결구 조립체는 상기 체결 구조로부터 해제되며 제거되고, 제거 시에, 상기 체결 구조는 상기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방법.
KR1020147023747A 2012-02-08 2013-02-07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102100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6341P 2012-02-08 2012-02-08
US61/596,341 2012-02-08
PCT/US2013/025178 WO2013119836A1 (en) 2012-02-08 2013-02-07 Suspension connector system configured for use with suspended scaffolding, and relate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69A KR20140135169A (ko) 2014-11-25
KR102100455B1 true KR102100455B1 (ko) 2020-04-13

Family

ID=4790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747A KR102100455B1 (ko) 2012-02-08 2013-02-07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243742B2 (ko)
EP (1) EP2812514B1 (ko)
JP (1) JP6231497B2 (ko)
KR (1) KR102100455B1 (ko)
CN (1) CN104254655B (ko)
BR (1) BR112014019454B1 (ko)
CA (1) CA2864051C (ko)
DK (1) DK2812514T3 (ko)
MX (1) MX354018B (ko)
MY (1) MY166730A (ko)
PL (1) PL2812514T3 (ko)
SG (1) SG11201404687UA (ko)
WO (1) WO2013119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5073B2 (en) * 2007-10-15 2012-07-10 Hurricane Fabric, Llc Weather protection system
EP3109159B1 (en) * 2015-06-22 2019-08-07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rope suspension device with at least one rope suspension module
US10106992B2 (en) * 2015-09-23 2018-10-23 Oda Systems Ltd Bracket for an access platform
US10465396B2 (en) 2015-10-06 2019-11-05 Paul Kristen, Inc. Platform with a track for attaching decking
US10292883B2 (en) * 2017-04-13 2019-05-21 Cadwell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medical equipment
CN110892172B (zh) 2017-07-13 2021-10-22 3M创新有限公司 防坠落装置连接器
CN109854915B (zh) * 2018-11-23 2024-05-2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格栅处自容式传感器临时固定支撑装置
DE102022124154A1 (de) * 2022-09-20 2024-03-21 Vibracoustic Se Haltestruktu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5792A (en) * 1916-02-24 1916-11-21 Crompton & Knowles Loom Works Weft-detecting mechanism.
US2038521A (en) * 1934-09-26 1936-04-28 James W Bell Ladder
US2057092A (en) * 1934-11-21 1936-10-13 Warner Bros Suspended platform
SE366364C (ko) * 1973-05-25 1975-05-29 R Petren
SE424893B (sv) * 1980-09-11 1982-08-16 Goeteborg Staellningsgruppen Anordning for att vid en veggyta eller dylikt lostagbart uppbera en arbetsstellning
US4413707A (en) * 1981-05-28 1983-11-08 Swiss Fabricating, Inc. Suspended chain scaffolding employing adjustable posts with chain threaded therethrough
US4421205A (en) * 1982-02-01 1983-12-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agnetic ship's hog line holder
US4766975A (en) * 1987-09-08 1988-08-30 Whitson Frederick A Collapsible scaffolding
US4815563A (en) * 1988-03-17 1989-03-28 Figgie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post and method of using the post to erect suspension scaffolding
US4872632A (en) * 1988-09-27 1989-10-10 Johnson Van P Adjustable overhead hanger with lock pulley
US5145032A (en) * 1990-11-13 1992-09-08 Figgie International, Inc. Mason's scaffold
US5350071A (en) * 1993-02-19 1994-09-27 Pond Kelan B Suspendable tray
TW294754B (ko) * 1994-06-30 1997-01-01 Shinsei Industries Co
JP2835498B2 (ja) * 1995-01-13 1998-12-14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ビル用吊り金具
JPH08284403A (ja) * 1995-04-11 1996-10-29 Aruinko Kk 索条吊り用クランプ
US6742306B2 (en) * 2000-07-21 2004-06-01 Muhlhan Surface Protect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arrying out work on an object related to shipbuilding or building construction or industrial installations
JP4132983B2 (ja) * 2002-05-29 2008-08-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クリップの取付構造
US8480047B2 (en) * 2004-12-31 2013-07-09 Michael J. Sloan Flexible adjustable storage system for Sea-Land shipping containers
CN201863994U (zh) * 2010-11-18 2011-06-15 江苏扬子江船厂有限公司 船舶吊篮悬挂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69A (ko) 2014-11-25
CN104254655A (zh) 2014-12-31
JP2015512003A (ja) 2015-04-23
SG11201404687UA (en) 2014-09-26
MY166730A (en) 2018-07-18
MX354018B (es) 2018-02-08
DK2812514T3 (en) 2017-07-17
MX2014009495A (es) 2015-04-13
CA2864051A1 (en) 2013-08-15
EP2812514A1 (en) 2014-12-17
EP2812514B1 (en) 2017-04-05
BR112014019454B1 (pt) 2022-09-27
JP6231497B2 (ja) 2017-11-15
US20130199024A1 (en) 2013-08-08
CA2864051C (en) 2020-01-14
CN104254655B (zh) 2016-11-16
PL2812514T3 (pl) 2017-09-29
WO2013119836A1 (en) 2013-08-15
BR112014019454A8 (pt) 2021-02-17
US9243742B2 (en)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455B1 (ko) 현수식 비계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현수식 연결구 시스템, 및 관련 방법
SU695571A3 (ru) Бурова вышка
CN204822025U (zh) 一种船用施工平台
CN107142954B (zh) 一种整体吊装的钢吊箱吊装系统及其吊装方法
CN106499201A (zh) 一种可拆卸的安全绳工具式固定卡具及其使用方法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CN207157449U (zh) 一种船用悬挂式脚手架
US8672039B2 (en) Coiled tubing inline motion eliminator apparatus and method
JP5087154B2 (ja) 水域構造物の足場構築工法及び足場構造
CN211571625U (zh) 一种码头护舷安装平台
CN209797307U (zh) 一种抗剪力强的塔机标准节
CN217918343U (zh) 一种可拆卸的水上作业平台
CN209924942U (zh) 一种海洋模块钻机猫道专用的活动挡板装置
CN115030123B (zh) 一种举升平台设备及其操作方法
KR20070110380A (ko) 사다리
CN214879712U (zh) 用于鹅脖管的翻转架
CN113605346B (zh) 一种大型疏水阀门不停航检修方法
CN203742189U (zh) 一种索固定式井道防护装置
US201601594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load rollers in undercarriage assembly
KR20140086200A (ko) 반잠수식 구조물의 탈착식 수직운동 저감장치
CN212885825U (zh) 一种舷侧中组工装
JP2012210884A (ja) 可搬式足場
CN211173022U (zh) 廊桥施工作业平台装置
JP3180873U (ja) 補修用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