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094B1 -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094B1
KR102100094B1 KR1020180028249A KR20180028249A KR102100094B1 KR 102100094 B1 KR102100094 B1 KR 102100094B1 KR 1020180028249 A KR1020180028249 A KR 1020180028249A KR 20180028249 A KR20180028249 A KR 20180028249A KR 102100094 B1 KR102100094 B1 KR 10210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latex polymer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773A (ko
Inventor
도형석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력, 사용감, 발색력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 필오프 타입 셀프태닝 아이브로우 제품보다 쉽고 간편한 사용방법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issue-off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eyebrow make-up comprising latex polymer}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메이크업의 경우,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섀도우, 아이브로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아이브로우의 경우, 사람의 첫인상을 판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조성물이 갖추어야 할 효과들은 발색, 균일한 발림성, 땀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오래도록 유지되는 지속력 등이 있다.
종래의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제품 중, 상기 화장효과 중 지속력이 우수한 셀프태닝 브로우 제품이 선호 받고 있다. 셀프태닝 제품 중 마커 타입의 리퀴드 아이브로우 제형은 자연스러운 화장효과를 가지나 덧바르면서 고르게 발리지 않거나 착색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필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제형이 출시되어 상기 한계를 극복하였으나, 도포 후 충분히 건조를 시키고 떼어 내야 하는 불편한 사용방법에 그 한계가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08-0102047호는, 눈꺼풀과 아이브로우를 착색시키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102047호
일 양상은 라텍스 폴리머, 착색제, 폴리올, 및 색소를 포함함으로써, 지속력, 사용감, 발색력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 필오프 타입 셀프태닝 아이브로우 제품보다 쉽고 간편한 사용방법을 가지는 티슈오프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라텍스 폴리머, 착색제, 폴리올, 및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셀프태닝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용어, "셀프태닝(self-tanning)", "타투(tattoo)", 및 "착색(coloring)"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피부 또는 눈썹에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색깔이 나는 현상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예를 들어, 수시간 내지 수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브로우(eyebrow) 메이크업용인 것일 수 있다.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제품 중 셀프태닝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제품은 일반적인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제품에 비해 지속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티슈오프 타입인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마커펜 타입 셀프태닝 아이브로우의 경우, 건조속도가 느리고 한번의 터치로 고르게 도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필오프(peel-off) 타입 아이브로우의 경우, 착색력은 우수하나 그 사용방법에 있어서 건조가 후 필-오프 하기까지 일정 시간을 소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일 구체예에 따른 티슈오프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착색력이 우수하고, 빠른 건조 속도로 도포 후 일정 시간 후에 마른 티슈로 닦아주면 되므로 사용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용어, "티슈오프(Tissue-off)"는, 신체의 피부, 눈썹, 또는 얼굴 등의 표면 상에 도포한 후, 형성된 막 또는 물질을, 마른 티슈로 물리적으로 닦아내어 제거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라텍스 폴리머 (Latex Polymer)"란 부드럽고 가벼운 텍스쳐를 가지고 피부에 도포 시 틱소트로픽(Thixotrophic)한 성질 즉, 요변성에 의하여 피부에 밀착되는 사용감을 가지는 폴리머를 의미할 수 있다. 요변성이란 정지 상태에서는 유동성이 없으나,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성을 갖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라텍스 폴리머에 의하여 피부밀착력이 우수하고,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으로 일정한 양으로 고르게 도포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라텍스 폴리머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코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Acryl-based monomer)는 비닐기를 함유하는 에스테르, 즉, 두 개의 탄소가 이중결합(C=C)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탄소 중의 하나(알파 탄소)에 카르보닐기(-COOR)가 직접 결합된 것을 기본 구조로 하는 모노머로서, 상기 기본 구조에 다양한 치환기가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C1 내지 C20의 아크릴계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소듐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와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코폴리머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및 아크릴아미드/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Acrylamid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12 중량%, 5 내지 11 중량%, 6 내지 12 중량%, 6 내지 11 중량%, 6 내지 10 중량%, 7 내지 12 중량%, 7 내지 11 중량%, 7 내지 10 중량%, 7 내지 9 중량%, 7 내지 8 중량%, 또는 약 7 중량%의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라텍스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양이 지나치게 적어 사용감이 묽고 건조속도가 늦어 피부에 밀착되는 정도가 낮은 경향을 보일 수 있고, 라텍스 폴리머의 함량이 12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높아져 분산에 용이하지 못할뿐더러 부드럽고 일정한 사용감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용어, "착색제"란 피부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셀프태닝 효과를 나타내는 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디히드록시아세톤 (Dihydroxyaceto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5 내지 16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4 중량%, 5 내지 13 중량%, 5 내지 12 중량%, 5 내지 11 중량%, 5 내지 10 중량%, 6 내지 16 중량%, 6 내지 15 중량%, 6 내지 14 중량%, 6 내지 13 중량%, 6 내지 12 중량%, 6 내지 11 중량%, 6 내지 10 중량%, 7 내지 15 중량%, 7 내지 14 중량%, 7 내지 13 중량%, 7 내지 12 중량%, 7 내지 11 중량%, 7 내지 10 중량%, 또는 7 내지 9 중량%의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충분한 태닝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2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함량이 많아 점도가 높아지거나 색소와의 반응으로 인한 변색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어, "폴리올(polyol)", 및 "다가 알콜"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메틸글루세스-20(Methyl gluceth-20), 펜틸렌글리콜(Penth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또는 이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5 내지 16 중량%, 5 내지 14 중량%, 5 내지 12 중량%, 7 내지 20 중량%, 7 내지 18 중량%, 7 내지 16 중량%, 8 내지 13 중량%, 또는 9 내지 12 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할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이 나타나고 건조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방부력 또는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수분산 제형의 특성상 물이 휘발되면서 시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광선의 스펙트럼의 일부를 흡수하여 사람의 눈에 색깔을 느끼게 하는 안료(pigment), 또는 그와 같이 설계하여 제조된 염료(dy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색소는 염료일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착색염료로서, 유기색소, 무기색소,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색소는 물에 용해되는 타입으로서, 구체적으로 황색 4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색소는 구체적으로 산화철, 카본 블랙(carbon black),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1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의 함량이 약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메이크업 성능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2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라텍스 폴리머에 의한 점증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젤 텍스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염료 0.01 내지 1.00 중량%일 경우, 라텍스 폴리머 5.00 내지 7.00 중량%가 적합할 수 있고, 염료 1.00 내지 2.00 중량%의 경우, 라텍스 폴리머 7.00 내지 12.00 중량%가 적합할 수 있다. 점증 효과를 가지는 라텍스 폴리머의 경우, 색소 투입 시 점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내는데, 상기와 같은 라텍스 폴리머 및 색소의 함량 비율에서는 젤 타입의 제형을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알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콜은 C1 내지 C10의 하나 이상의 -OH기를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C1 내지 C6의 알콜, C3 내지 C6의 다가 알콜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n-헥산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알콜은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의 함량은 끈적이는 사용감을 개선하고 건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 10 내지 20 중량%, 12 내지 20 중량%, 12 내지 18 중량%, 12 내지 17 중량%, 13 내지 17 중량%, 13 내지 16 중량%, 또는 14 내지 16중량%의 알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버퍼 시스템에 의해 pH 안정도가 증진된 것일 수 있다. 셀프태닝 효과를 가지는 착색제 원료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제형의 pH를 점진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으며, 색소와의 반응으로 변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퍼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성물의 pH를 셀프태닝 착색제가 안정화 될 수 있는 pH로 고정시켜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 시스템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유기산과 짝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산 및 그 짝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종류는 시트르산(cit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락트산(lact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산의 짝염기의 종류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5 내지 약 0.2 중량%의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산의 함량은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5 내지 약 0.2 중량%, 약 0.05 내지 약 0.15 중량%, 약 0.05 내지 약 0.1 중량%, 약 0.1 내지 약 0.2 중량%, 약 0.1 내지 약 0.15 중량%, 또는 약 0.15 내지 약 0.2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0.01 내지 약 0.05 중량%의 유기산의 짝염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산의 짝염기의 함량은 약 0.01 내지 약 0.05 중량%, 약 0.01 내지 약 0.03 중량%, 또는 약 0.03 내지 약 0.05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점증제, 분산제,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라텍스 폴리머, 착색제, 폴리올, 및 색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라텍스, 폴리머, 착색제, 폴리올, 및 색소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정제수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에 색소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색소가 혼합된 수상부에 라텍스 폴리머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착색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이후에 알콜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콜은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이후에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 등의 표현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about 5)"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문맥상 지시된 것이 아니라면 단수형은 복수형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면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순이 될 경우, 본 명세서가 조절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력, 사용감, 발색력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동시에, 기존 필오프 타입 셀프태닝 아이브로우 제품보다 쉽고 간편한 사용방법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조성물의 점증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라텍스 폴리머의 함량을 다르게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폴리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리콜과 글리세린을 이용하였다. 그 다음, 점증제를 투입하여 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점증제는 라텍스 폴리머의 점증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낮은 점도를 나타낼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점증제 격으로 포함하였고, 화장품 성분으로 널리 사용되는 잔탄검(Xanthan gum)을 이용하였다. 색소는 물에 용해되는 타입의 염료 (dye) 색소를 이용하여 투입하였고, 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라텍스 폴리머로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를 투입하여 12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3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올(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12.00 12.00 12.00 12.00
3 방부제 1.50 1.50 1.50 1.50
4 점증제(잔탄검) 0.3 0.3 0.3 0.3
5 색소 0.7 0.7 0.7 0.7
6 라텍스 폴리머 2.00 5.00 7.00 10.00
실험예 1. 분산도 및 사용감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분산정도 및 사용감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분산정도는 조성물 제조 시 분산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사용감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제품을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5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점수들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사용감에 대한 평가 기준
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시험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3
사용감 2.5 3.0 3.8 2.0
육안 평가 및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제형은 분산 정도가 우수하고, 부드럽고 피부에 밀착되는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2의 제형은 분산은 잘 되었으나 끈적이는 사용감과 건조가 느린 단점이 있었고, 비교예 3의 경우 점도가 높아 분산이 어렵고, 끈적이는 사용감을 가지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7.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며, 사용감을 개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은 젤 텍스쳐를 유지하나, 건조속도가 빠르지 못하고 끈적이는 마무리감을 가지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올 함량 조절; 점증제 제거; 및 에탄올 추가를 통하여 개선된 사용감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폴리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사용감을 가지는 프로필렌글리콜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라텍스 폴리머 자체의 점증력으로도 충분하다 판단하여 끈적이는 사용감을 가지는 잔탄검을 제외하였다. 그 다음, 색소를 투입 후 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라텍스 폴리머를 투입하여 12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추가하여 12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4~7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실시예2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올( 프로필렌글리콜 ) 12.00 9.00 9.00 9.00 9.00
3 방부제 1.50 1.50 1.50 1.50 1.50
4 점증제(잔탄검) - - - - -
5 색소 0.7 0.7 0.7 0.7 0.7
6 라텍스 폴리머 7.00 7.00 7.00 7.00 7.00
7 에탄올 - - 5.00 10.00 15.00
실험예 2. 마찰력 및 밀착력 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4~7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 사용감에 대한 평가 기준
1: 끈적이고 건조느림, 2: 끈적임, 3: 보통, 4: 끈적임 없음, 5: 건조속도 빠르고 끈적임 없음
시험항목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실시예2
끈적임 및 건조속도 2.1 3.0 3.4 4.0 4.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4의 제형은 끈적이는 사용감이 나타났다. 비교예 5 내지 7의 제형과 실시예 2의 제형은 사용감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문제가 없었으나,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조속도가 빠르고 끈적임이 없어 사용감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8~9.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며, 착색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감을 개선하였고, 이에 화장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색제를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폴리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색소를 투입 후 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라텍스 폴리머를 투입하여 12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35℃로 냉각하는 단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착색제를 추가하여 12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착색제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추가하여 12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8~9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8 실시예3 비교예9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올(프로필렌글리콜) 9.00 9.00 9.00
3 방부제 1.50 1.50 1.50
4 색소 0.7 0.7 0.7
5 라텍스 폴리머 7.00 7.00 7.00
6 착색제 3.00 7.00 20.00
7 에탄올 15.00 15.00 15.00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효과 테스트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8~9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지속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가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방법인 도포 후 마른 티슈로 닦아낸 후 지속력을 관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 지속력에 대한 평가 기준
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시험항목 비교예 8 실시예 3 비교예 9
지속력 3.2 4.0 4.8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8에서는 닦아낸 후 피부착색이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3 및 비교예 9의 경우, 착색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착색제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은 시간이 지나면서 색소와 반응하여 변색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반응성을 낮추기 위해 착색제를 7중량%로 적용하는 것이 적정함량이라고 판단되었다.
실시예 4~5 및 비교예 10~11. 라텍스 폴리머와 색소의 비율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건조가 빠르고 지속력이 우수하며 끈적임 없이 가볍게 피부에 밀착되는 젤 텍스쳐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조색실험 중 색소 함량에 따라 라텍스 폴리머의 점증력이 달라지는 현상을 발견하였고, 적정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폴리올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색소를 투입 후 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라텍스 폴리머를 투입하여 12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35℃로 냉각하는 단계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착색제를 추가하여 12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추가하여 12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및 비교예 10~12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4 비교예10 비교예11 실시예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올(프로필렌글리콜) 9.00 9.00 9.00 9.00
3 방부제 1.50 1.50 1.50 1.50
4 색소 0.7 1.00 1.00 2.00
5 라텍스 폴리머 7.00 7.00 10.00 10.00
6 착색제 7.00 7.00 7.00 7.00
7 에탄올 15.00 15.00 15.00 15.00
실험예 4. 라텍스 폴리머와 색소 비율에 따른 제형 안정도 테스트
상기 실시예 4~5 및 비교예 10~1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평가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젤텍스쳐를 유지하는지 확인하고 사용감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 안정도에 대한 평가 기준
1: 제형 유지 못함, 2: 제형 유지하나 사용감 묽어짐, 3: 제형 유지하고 사용감 유지
시험항목 실시예4 비교예10 비교예11 실시예5
안정도 2.8 2.1 2.4 2.9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0에서는 실시예 4에 비해 상대적으로 색소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점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늘어난 색소량에 따라 라텍스 폴리머의 함량도 함께 향상 되어야 한다는 것을 비교예 11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상기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조성물의 젤 텍스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염료 0.01 중량% 내지 1.00 중량%일 경우, 라텍스 폴리머 5.00 중량% 내지 7.00 중량%, 염료 1.00 중량% 내지 2.00 중량%의 경우, 라텍스 폴리머 7.00 중량% 내지 12.00 중량%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Claims (11)

  1. 아크릴계 모노머와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의 코폴리머, 착색제, 폴리올, 색소, 및 에탄올을 포함하고,
    상기 코폴리머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색소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에탄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색소가 0.01 중량% 내지 1.00 중량%일 경우, 상기 코폴리머는 5.00 중량% 내지 7.00 중량%, 상기 색소가 1.00 중량% 내지 2.00 중량%일 경우, 상기 코폴리머는 7.00 중량% 내지 12.00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젤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아크릴아미드/ 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인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 메틸글루세스-20, 펜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28249A 2017-03-10 2018-03-09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00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0541 2017-03-10
KR1020170030541 2017-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773A KR20180103773A (ko) 2018-09-19
KR102100094B1 true KR102100094B1 (ko) 2020-04-13

Family

ID=6371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49A KR102100094B1 (ko) 2017-03-10 2018-03-09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0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849A (ja) 2004-03-04 2005-09-15 L'oreal Sa 水溶性又は水分散性の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ポリマーを含有する透明な自己サンタンゲル
US20060239942A1 (en) * 2005-04-20 2006-10-26 L'oreal Stable transfer-resistant self-tanning gel containing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gelling ag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3928B1 (de) 2006-10-20 2009-12-09 Faber-Castell AG Kosmetische Zubereitung zum Färben der Augenlider und der Augenbrauen
KR101480688B1 (ko) * 2007-11-30 2015-01-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90700B1 (ko) * 2008-04-30 2015-02-11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를 함유하는 셀프 태닝용 눈화장료 조성물
KR101659896B1 (ko) * 2015-10-23 2016-09-26 (주)씨앤씨인터내셔널 필오프타입 눈썹 착색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2746B1 (ko) * 2016-01-20 2017-01-04 주식회사 뉴앤뉴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7849A (ja) 2004-03-04 2005-09-15 L'oreal Sa 水溶性又は水分散性の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ポリマーを含有する透明な自己サンタンゲル
US20060239942A1 (en) * 2005-04-20 2006-10-26 L'oreal Stable transfer-resistant self-tanning gel containing a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gelling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773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5946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1934526B1 (ko) 초기 착색력이 우수하고 점도 조절이 용이한 필오프 타입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1370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4664049B2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1867552B (zh) 化妆品用颜料分散液、使用其的水系液体化妆品
KR102100094B1 (ko)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79229B1 (ko) 비수계 분산액,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891A (ko)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지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459288B1 (ko) 겔상 점증제 프리 유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8139B1 (ko) 필 오프 타입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US20190167556A1 (en) Nail compositions containing latex and sulfopolyester compound
KR20080035247A (ko) 볼륨 마스카라 조성물
US11344481B2 (en) Pigment dispersion liquid for cosmetics, and aqueous liquid cosmetic using same
KR102421412B1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48B1 (ko) 수분산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1060837B1 (ko) 수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210047578A (ko) 섬유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062928A (ko) 말토덱스트린과 폴리올을 포함한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KR20220052556A (ko)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3322A (ko) 실리콘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161A (ko) 수분산형 아이라이너 조성물
WO2018044846A1 (en) Aqueous nail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coloring agent
KR20160100438A (ko) 탄성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