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929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929B1
KR102099929B1 KR1020190033723A KR20190033723A KR102099929B1 KR 102099929 B1 KR102099929 B1 KR 102099929B1 KR 1020190033723 A KR1020190033723 A KR 1020190033723A KR 20190033723 A KR20190033723 A KR 20190033723A KR 102099929 B1 KR102099929 B1 KR 10209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aerosol
cigarette
insertion hol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647A (ko
Inventor
임헌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168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271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ublication of KR2019004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17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04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 G02B19/0009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means employed having refractive surfac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2Flame-retardant; Preventing of inflamm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219Thermoelectric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덮개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궐련 삽입 구멍을 개폐 가능한 커버,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n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화기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을 궐련을 통과시킴으로써 풍부한 풍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연소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반영하여 비연소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휴대용 장치로서 일반적인 궐련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을 구비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가방 또는 주머니 등에 휴대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 잘못 눌려짐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원치 않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라도 버튼이 잘못 눌려짐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배터리 및 가열기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버튼 또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대기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안전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궐련 삽입 구멍을 개폐 가능한 커버;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액상 조성물을 수용하여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생성한 에어로졸을 상기 궐련 측으로 전달하는 증기화기; 상기 제어부, 상기 히터 및 상기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ON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히터 및 상기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증기화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버튼을 활성화하며, 상기 케이스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ON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버튼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히터가 기 설정된 온도로 예열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로졸의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ON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궐련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었다고 판단됨에 따라 상기 히터가 기 설정된 온도로 예열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상기 OFF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OFF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히터 및 상기 증기화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OFF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부팅(booting) 관련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부팅 관련 기능은 클럭 기능, RTC(Real Time Clock) 기능 및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대기하는 인터럽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개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궐련에 포함된 금속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 상기 궐련이 삽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기계식 스위치, 상기 궐련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궐련의 표면에 인쇄된 패턴을 감지하는 광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덮개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궐련 삽입 구멍을 개폐 가능한 커버,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OFF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는 배터리와 히터 및 증기화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고,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며, 제2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1) 버튼이 잘못 눌려짐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원치 않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2)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3)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구성으로서, 버튼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커버를 제공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추가적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히터(130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증기화기(14000)를 작동시켜, 증기화기(1400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증기화기(140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증기화기(14000)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히터(13000) 또는 증기화기(14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0)는 배터리(11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히터(1300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0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히터(13000)가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히터(130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00)들은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00)들 중 일부는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0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0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0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궐련(20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궐련(200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궐련(20000)은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은 담배 로드(2100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3에는 필터 로드(2200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0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0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00)은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00)은 2 이상의 래퍼(2400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0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0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이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00) 또는 필터 로드(2200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0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0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0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0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0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0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32400)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3240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0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0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00)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0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 1 및 도 2의 100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도 1 및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20)를 포함한다. 궐련(7)은 도 1 내지 도 3의 궐련(2000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20)의 상부에는 덮개(10)가 결합된다. 덮개(10)는 케이스(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덮개(10)의 상면에는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커버(30)가 설치된다. 다만,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스(20) 및 덮개(10)는 분리 가능하지 않도록 서로 결합된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덮개(10)의 상면에는 커버(3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16)과, 궐련(7)이 삽입되는 궐련 삽입 구멍(18)이 설치된다. 레일(16)은 덮개(10)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커버(30)가 덮개(10)의 상면에 형성된 레일(16)을 따라 도 8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궐련 삽입 구멍(18)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궐련(7)이 궐련 삽입 구멍(18)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30)가 덮개(10)에 결합되는 방식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커버(30)가 덮개(10)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커버(30)가 궐련 삽입 구멍(18)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덮개(10)의 상면을 따라 커버(3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는 동작과 연계하여 여러 가지 준비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30)에 의해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는 순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 변경, 내부의 히터들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 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동작 등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덮개(10)의 상면을 따라 커버(3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는 동작과 연계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케이스(20)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button, 28)과, 여러 가지 미리 정해진 색상들 중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여 발광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기의 예인 LED(발광다이오드, 29)가 설치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는 LED(29)를 발광시킴으로써 히터 정상 작동 및/또는 배터리의 충분한 잔량 상태와 같은 조건에 기초한 '정상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는 조작을 실시하면 LED(29)가 발광하므로, 사용자가 LED(29)의 발광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전기량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29)가 초록색의 광을 발광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 전기량이 충분하는 것을 의미하고, LED(29)가 적색의 광을 발광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 전기량이 불충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8)을 누르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상이한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28)을 길게 눌러서 미리 정해진 시간('제2 누름 시간'이라 함) 동안 버튼(28)이 누름 조작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리셋(초기화 설정)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28)을 눌러서 미리 정해진 시간('제1 누름 시간'이라 함) 동안 버튼(28)이 누름 조작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덮개(10), 케이스(20), 버튼(28) 및 커버(30) 외에 증기화기(40), 히터(52), 배터리(60), 제1 센서(61), 제2 센서(62)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의해 구동될 애플리케이션들, 드라이버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며, 나아가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액세스될 수 있는 외부의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61)는 궐련 삽입 구멍(18)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61)는 커버(30)가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온 신호를 발생시키고, 커버(30)가 궐련 삽입 구멍(18)이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61)는 커버(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센서일 수 있다.
제2 센서(62)는 케이스(20)에 궐련(7)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62)는 궐련(7)에 포함된 금속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 궐련(7)이 삽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물리적인 변화를 감지하는 기계식 스위치, 궐련(7)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및 궐련(7)의 표면에 인쇄된 패턴을 감지하는 광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앞선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센서(62)는 케이스(20)에 궐련(7)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센서일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센서(61)가 커버(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센서(62)가 케이스(20)의 내부에서 히터(5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센서(61) 및 제2 센서(62)는 케이스(20) 내부의 임의의 적절한 곳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터(52)는 케이스(20)에 배치되어 케이스(20)에 삽입된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일 수 있다. 히터(52)는 도 1 및 도 2의 히터(13000)에 대응될 수 있다. 히터(52)는 케이스(20)의 내부에서 지지관의 상측에 배치되며, 케이스(20)에 삽입된 궐련(7)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터(52)는 외부로부터 전기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저항성 패턴을 구비한 필름(film)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히터(52)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등의 소재를 포함한 기판과, 기판의 표면을 따라 배치된 전기 저항성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히터(52)는 예를 들어, 열전달관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이나 반원통 형상으로 감기어 열전달관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원통 형상'과 '반원통 형상'은 히터(52)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원이나 반원인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원에 가깝거나 반원에 가까운 원호 형상인 경우도 포함한다.
증기화기(40)는 액상 조성물을 수용하여 케이스(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케이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생성한 에어로졸을 궐련(7) 측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증기화기(40)는 도 1 및 도 2의 증기화기(14000)에 대응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60)는 제어부(70), 히터(52) 및 증기화기(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6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6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배터리(60)는 도 1 및 도 2의 배터리(11000)에 대응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MCU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어부(70)는 도 1 및 도 2의 제어부(12000)에 대응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경질의 회로기판이나 유연성 재질의 회로기판이나 복수 개의 회로기판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또한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반도체칩이나, 반도체칩에 내장되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2 개 이상의 회로 기판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 1개의 회로 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증기화기(40), 히터(52) 및 배터리(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배터리(60)가 공급하는 전력, 증기화기(40)에 포함되는 가열 요소 및 히터(52)의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제1 센서(6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 삽입 구멍(18)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는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배터리(60)가 히터(52) 및 증기화기(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버튼(28)을 활성화하며, 케이스(20)에 궐련(7)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2 센서(6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블루투스(Bluetooth) 기능과 같은,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어부(70)는 히터(52) 및 증기화기(4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버튼(28) 또는 제2 센서(62)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버튼(28) 또는 제2 센서(6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차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28) 또는 제2 센서(62)가 활성화됨에 따라 버튼(28) 또는 제2 센서(6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대기하는 인터럽트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활성화된 버튼(28)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히터(52)가 기 설정된 온도로 예열되도록 배터리(60)의 히터(5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의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활성화된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7)이 케이스(2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궐련(7)이 케이스(20)에 삽입되었다고 판단됨에 따라 히터(52)가 기 설정된 온도로 예열되도록 배터리(60)의 히터(5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경우는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를 의미하므로, 사용자가 궐련 삽입 구멍(18)에 궐련(7)을 삽입하여 흡연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인 상태에서 활성화된 버튼(28)을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되는 히터(52)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즉,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70)는 활성화된 버튼(28)을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활성화된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히터(52)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앞선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70)가 버튼(28)을 통한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기다리지 않고,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었음을 감지하자마자 곧바로 히터(52)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이용하여 흡연을 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궐련 삽입 구멍(18)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FF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고, 버튼(28)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차단하며,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고, 버튼(28)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이 차단되며,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가 차단되면, 버튼(28)이 잘못 눌려짐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원치 않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인 경우 제어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블루투스 기능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이용하여 흡연하지 않는 경우에 불필요한 기능들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인 경우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부팅(booting) 관련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부팅 관련 기능은 클럭 기능, RTC(Real Time Clock) 기능 및 제1 센서(61)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대기하는 인터럽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인 경우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부팅 관련 기능은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면서도 사용자가 흡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부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10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궐련 삽입 구멍(18)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6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 삽입 구멍(18)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 및 OFF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11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61)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궐련 삽입 구멍(18)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판단 결과 궐련 삽입 구멍(18)이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1130을 수행하고, 궐련 삽입 구멍(18)이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1135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N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배터리(60)가 히터(52) 및 증기화기(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버튼(28)이 활성화되며, 케이스(20)에 궐련(7)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2 센서(62)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N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버튼(28)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단계 114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14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히터(52)가 기 설정된 온도로 예열되도록 배터리(60)의 히터(5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13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를 OFF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배터리(60)와 히터(52) 및 증기화기(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고, 버튼(28)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이 차단되며,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모드가 OFF 모드로 설정된 경우 버튼(28)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발생되더라도, 단계 1145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버튼(28)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2 센서(62)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28)이 잘못 눌려짐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원치 않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가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그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궐련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상면에 위치하며, 궐련이 삽입되는 궐련 삽입 구멍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및 버튼에 의한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제1 누름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버튼이 제1 누름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되더라도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비적인 가열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덮개의 상면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상기 덮개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와 상기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예비적인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이 제2 누름 시간 동안 누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리셋 작동을 실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개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제2 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센서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기 궐련의 내부를 가열하는 판 형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에 의해 궐련 삽입 구멍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궐련 삽입 구멍이 폐쇄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033723A 2017-10-30 2019-03-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9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2578 2017-10-30
KR1020170142578 2017-10-30
KR1020190016835A KR102052716B1 (ko) 2017-10-30 2019-02-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835A Division KR102052716B1 (ko) 2017-10-30 2019-02-1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47A KR20190049647A (ko) 2019-05-09
KR102099929B1 true KR102099929B1 (ko) 2020-04-10

Family

ID=8755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723A KR102099929B1 (ko) 2017-10-30 2019-03-25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30441A1 (en) * 2019-10-16 2024-04-25 Philip Morris Products S.A. Charger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improved closing means
CN114585271A (zh) * 2019-10-17 2022-06-03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带有多部件盖的充电器和气溶胶生成系统
KR20220082883A (ko) * 2019-10-17 2022-06-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회전식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478152B1 (ko) * 2020-03-02 2022-12-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90572B1 (ko) * 2020-09-23 2023-0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4358771A1 (en) * 2022-09-05 2024-05-0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233Y1 (ko) * 2000-06-19 2000-11-15 최성문 휴대용 권련 저장구
KR100304044B1 (ko) * 1993-09-10 2001-11-22 로버트 제이. 에크, 케이 팻시 에이 풍미를전달하기위한전기적흡연시스템과이시스템을제조하기위한방법
WO2016096337A1 (en) * 2014-12-18 2016-06-23 Jt International Sa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2017511123A (ja) * 2014-03-31 2017-04-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1850A1 (en) * 2008-12-24 2010-06-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rticl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EP2253233A1 (en) * 2009-05-21 2010-11-2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GB2514893B (en) * 2013-06-0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ainer
KR20160086118A (ko) * 2015-01-09 2016-07-19 오재호 하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전자담배
US20160321879A1 (en) * 2015-04-30 2016-11-03 Taeyeon OH Smoking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smoking pattern managing apparatus
KR102231228B1 (ko) *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044B1 (ko) * 1993-09-10 2001-11-22 로버트 제이. 에크, 케이 팻시 에이 풍미를전달하기위한전기적흡연시스템과이시스템을제조하기위한방법
KR200203233Y1 (ko) * 2000-06-19 2000-11-15 최성문 휴대용 권련 저장구
JP2017511123A (ja) * 2014-03-31 2017-04-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WO2016096337A1 (en) * 2014-12-18 2016-06-23 Jt International Sa Contain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647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64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271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99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1228B1 (ko)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882882B2 (en) Method of controll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geomagnetic sensor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trolled thereby
KR20200057487A (ko) 하나의 배터리로 두 개의 히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622580B2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generation method
KR10245553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6249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712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40000128A (ko) 에어로졸 발생 매질 제조 시스템, 에어로졸 발생 물품 제조 방법,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40033626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76343A (ko)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0077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