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871B1 -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871B1
KR102099871B1 KR1020190109908A KR20190109908A KR102099871B1 KR 102099871 B1 KR102099871 B1 KR 102099871B1 KR 1020190109908 A KR1020190109908 A KR 1020190109908A KR 20190109908 A KR20190109908 A KR 20190109908A KR 102099871 B1 KR102099871 B1 KR 10209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unit
display
frame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텍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텍, 박용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텍
Priority to KR102019010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71B1/ko
Priority to PCT/KR2020/011515 priority patent/WO2021045450A1/ko
Priority to US17/580,818 priority patent/US117963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유닛;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계측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Fixture for Instrument for Display Inspe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부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계측기의 장착 높이를 승강을 통해서 조절함으로써 계측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검사 위치를 조절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V와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제품은 기능적인 품질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품질 만족을 위해서 시각적 품질 검사가 요구되고 있다.
시각적 품질은 화질 결함 여부, 화면상의 선이나 점 등이 나타나는 결함 여부 및, 색상의 선명도, 그림이나 문자의 뚜렷한 정도, 눈의 피로도, 색상의 휘도 및 색도의 균일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시각적 품질 검사를 위해서, 디스플레이의 밝기, 휘도, 색도, 색온도 등의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계측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계측기로는 휘도계, 색차계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계측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촬영된 영상의 품질 상태를 판별하는 마이컴으로 송부하고, 마이컴에서 품질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계측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검사자가 계측기를 들고 계측기의 촬영부가 디스플레이의 검사위치를 향하도록 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삼각대에 계측기를 장착하여 계측기의 촬영부가 디스플레이의 검사위치를 향하도록 하여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105085호에는, 계측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의 시각적 품질을 검사하는 색도 검사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리고, 계측기를 삼각대에 장착하여 디스플레이를 촬영하는 검사 방법이 도면상에 개시된다.
하지만, 계측기를 검사자가 들고 검사를 하는 경우, 검사에 큰 불편함이 발생하며, 흔들림으로 인해서 검사 결과에 큰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검사시 마다 계측기를 디스플레이의 사이 간격이 달라지는 등 검사 조건의 편차가 심해 안정적인 검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계측기를 삼각대에 장착하여 검사를 하는 경우에도, 검사시 마다 삼각대를 놓는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워 계측기와 디스플레이의 사이 간격이 달라지는 등 검사 조건의 편차가 심해 안정적인 검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검사 대상 디스플레이가 놓이는 위치의 변경이나, 디스플레이의 크기의 변화에 대응하여 계측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탈착 가능하며, 계측기가 디스플레이의 검사위치를 향하도록 고정 가능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측기와 디스플레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의 장착 높이를 조절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검사위치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응가능 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유닛;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계측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하로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 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를 전방에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구속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 영역에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은, 상기 승강 가이드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고정구 삽입홀로 인출입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하로 연장된 승강 유닛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계측기가 장착되는 계측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계측기를 향하여 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 장착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계측기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계측기 안착부; 상기 계측기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기 계측기 안착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는, 디스플레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유닛과, 고정프레임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이동프레임에 장착되며 계측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계측기 고정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상단에 고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놓인 위치에 상관없이 검시사 마다 계측기를 디스플레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 유닛이 디스플레이에 탈착 가능하므로, 고정프레임의 유닛의 장착위치를 디스플레이의 상단을 따라서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계측기의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이 승강 가능하므로, 이동프레임을 승강시켜 계측기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기를 디스플레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검사 위치를 상하 및 좌우로 변경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계측기가 장착되는 승강 유닛이 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의 승강에 더하여 승강 유닛의 승강을 통해서, 계측기의 상하 조절 가능 범위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의 크기 변경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이동프레임에는 좌우측으로 이격된 한쌍의 가이드 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프레임 유닛은,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를 전방에서 가로지르며 양단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승강 가이드에 의해서 이동프레임이 고정프레임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의 양단이 한쌍의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므로, 이동프레임이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의 승강시 가이드 슬릿의 양단이 한쌍의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동프레임의 승강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 영역에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은, 상기 승강 가이드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고정구 삽입홀로 인출입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가 고정구를 조작하여 이동프레임의 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이동프레임을 승강 시킬 수도 있으며, 이동프레임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를 대응하도록 위치된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시켜, 이동프레임이 승강되지 못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고정구의 간단한 이동 조작을 통해서 이동프레임를 용이하게 승강 가능 상태 및 고정 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다섯째, 이동프레임에는, 상하로 연장된 승강 유닛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고, 승강 유닛은, 이동프레임에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돌출되며 계측기가 장착되는 계측기 장착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징에 의하면, 이동프레임에 관통 형성된 승강 유닛 장착구에 승강 유닛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승강 유닛 장착구를 통해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상기 승강 유닛에 장착된 계측기를 이용하여 촬영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통해서 계측기가 디스플레이를 촬영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유닛을 이동프레임의 중심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무게 중심이 편측되지 않도록 형성 가능하면서도, 승강 유닛에 장착된 계측기로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가 장착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프레임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과 승강 유닛 장착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가 장착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프레임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계측기(3)는,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의 밝기, 휘도, 색도, 색온도 등을 포함하는 성능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사 가능한 계측기일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계측기(3)는 휘도계, 색차계일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휘도계로는 'CA-310','CA-410' 등의 제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색차계로는 'CM-H50','CM-H600' 등의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3)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2)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 위치에 상기 계측기(3)를 특정시간 동안 조준하여야 한다. 그리고, 균일한 검사를 위해서 상기 계측기(3)와 디스플레이(2)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1)는, 디스플레이(2)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디스플레의 상단에 탈착 가능함에 따라, 상기 계측기(3)를 이용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위치를 좌우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위치를 좌우로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2)의 검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는,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3)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위치를 상하로 변경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계측기(3)가 장착되는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위치를 상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200)과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을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위치를 상하로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2)의 검사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 유닛>
보다 상세히,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은,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걸이식 구조로 찰탁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은,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승강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1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111)와, 상기 안착부(111)에서 일측에서 절곡된 절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안착부(11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2)는 상하 및 좌우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안착부(111)의 좌우방향 폭 보다 좁은 좌우방향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의 좌우방향 폭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12)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13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절곡부(1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안착부(111)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의 전단에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을 구속하는 다수의 걸림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5)는, 상기 안착부(1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11)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은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5)의 전후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전후면이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5)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이 다수의 걸림돌기(115)의 전후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구속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10)가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유동되지 않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5)는 전후 이격공간이 조절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115)는, 고정 걸림돌기(116)와 이동 걸림돌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안착부(111)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는 상기 안착부(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어 상기 안착부(1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는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착부(111)에는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가 관통하며,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113)은 상기 안착부(11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걸림돌기(122)의 후방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는 하부가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113)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부(111)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는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113)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의 상부는 상기 안착부(111)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이 상부를 파지하여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와 이동 걸림돌기(117)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다른 다양한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고정프레임 유닛(100)을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는 상기 안착부(111)에 좌우측으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도 상기 안착부(111)에 좌우측으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113)은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의 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는 상기 절곡부(112)의 좌우측에 배치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걸림돌기(117)는 상기 한쌍의 고정 걸림돌기(116)의 직 후방에 배치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걸림돌기(116)와 이동 걸림돌기(117)가 좌우로 이격된 다수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디스플레이(2)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상기 고정프레임(110)에 승강 가능하게 구속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단이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후술할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의 사이를 전방에서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양단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을 관통하여 상기 절곡부(112)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양단은 상기 절곡부(112)에 스크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를 원하는 높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4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4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구(140)는 상기 승강 가이드(130)를 전방에서 관통하는 핀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승강 가이드(130)를 관통하여 후술할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고정구 삽입홀(2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높이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양단이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22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대략 길이 중간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220)은 좌우로 이격된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가로폭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220)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시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이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220)은 상면 및 하면이 차폐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승시,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130)와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하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하강시, 상기 승강 가이드(130)는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130)와 상기 가이드 슬릿(200)의 상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에는 상기 고정구(140)가 삽입되는 고정구 삽입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삽입홀(210)은 상하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21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시 상기 승강 가이드(13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210)은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210)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 상하로 이격배치되되,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부에서 부터 대략 중간 부분 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200)에는, 상기 승강 유닛(300)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 유닛(300)의 이동 공간을 형성하는 승강 유닛 장착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전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가로 방향 폭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는 상기 고정구 삽입홀(210)이 형성된 영역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대략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길이 중간 부분 부터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은, 일부가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는 상면과 하면이 차폐되어,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유닛(300)의 상승시, 상기 승강 유닛(300)과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상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승강 유닛(3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승강 유닛(300)의 하강시, 상기 승강 유닛(300)과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하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승강 유닛(300)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둘레를 따라 단차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0)는 적어도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40)의 좌우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40)의 둘레 전체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차부(240)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40)의 좌우 폭 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가지는 함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과 승강 유닛 장착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유닛(3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승강 유닛>
상기 승강 유닛(300)은, 상기 계측기(3)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계측기 장착부재(310),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를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장착부재(320), 승강 고정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는, 소정의 상하 및 좌우 폭을 가지는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전면 승강부(311)에서 연장되는 계측기 안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승강부(311)는, 상하 및 좌우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승강부(311)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방 개구 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좌우측의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면에 좌우측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는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와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는 좌우로 소정의 전후 및 좌우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계측기(3)의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되어 상기 전면 승강부(3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는, 상기 계측기(3)의 좌우측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계측기 고정리브(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 고정리브(313)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로 이격된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313)는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의 좌우 양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313)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상기 계측기(3)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측기(3)는 상기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313)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313)에 의해서 좌우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313)는, 상기 계측기(3)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이 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를 향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에는,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에 안착된 상기 계측기(3)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부재 삽입구(3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는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는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의 좌우 폭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는 대략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의 전단에서 부터 대략 전후 길이 중심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는 스크류 또는 볼트 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계측기(3)에는, 상기 계측기(3)를 삼각대와 같은 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와 볼트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에 위치된 상기 계측기(3)를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를 관통하여 상기 계측기(3)에 제공되는 체결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 삽입구(316)가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체결부재를 풀어 상기 계측기(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를 조임으로써 상기 계측기(3)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3)의 크기 및 사양에 대응하여 상기 계측기(3)를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에 체결부재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를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방 개구의 가로 폭 보다 작은 가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방 개구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방 개구의 가로 폭 보다 작은 가로 폭으로 형성되되, 최대한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내측면과의 인접하거나 접촉하여 상기 승강 유닛(300)의 안정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을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후방 두께에 대응하거나 작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배면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하로 이격된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돌출부(314)가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배면에 상하로 이격된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320)는, 소정의 상하 및 좌우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320)의 좌우 폭 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320) 외측의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 좌우측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승강부(311)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의 좌우 폭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좌우 폭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 유닛 장착구(320)의 좌우측에 위치된 일부분이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장착부재(3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승강 유닛(300)의 승강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장착부재(320)의 사이를 지나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영역은 레일부(도2, 250)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부(250)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320)의 좌우측에 위치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일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320)를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돌출부(314)가 상하로 이격된 한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한쌍의 돌출부(314)의 이격 공간에 삽입 가능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320)는 상기 단차부(240)의 깊이에 대응하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24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재(320)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고정구(330)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부재(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면 승강부(311)에는 제1 삽입구(315)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320)에는 제1 삽입구(3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삽입구(3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삽입구(315)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에서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325)는 상기 장착부재(320)에서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고정구(3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을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승강 고정구(33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 승강부(311)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조작부(331), 상기 조작부(33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31)는 상기 제1 삽입구(315)를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삽입구(315)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332)는 상기 제1 삽입구(315)와 제2 삽입구(325)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구(315)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삽입구(3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나사부(332)는 상기 제1 삽입구(315) 및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삽입구(32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구(325)에는 상기 나사부(332)의 나사산과 연동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사산의 연동에 의해서 상기 장착부재(320)가 상기 나사부(332)를 따라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는, 사이에 위치된 상기 레일부(250)에 밀착되고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나사산의 연동에 의해서 상기 장착부재(320)가 상기 나사부(332)를 따라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이 넓어지게 되고, 상기 전면 승강부(311) 및 장착부재(320)에 의한 상기 레일부(250)의 가압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승강 유닛(300)의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유닛(300)은 승강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50)가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의 사이에 구속됨에 따라서,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는 상기 레일부(25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 유닛(300)의 상강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유닛(300)은 기능에 따라, 승강부, 계측기(3) 장착부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돌출부(314), 상기 장착부재(320),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 장착부는 상기 계측기(3)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 상기 계측기 고정리브(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장치의 승강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디스플레이(2)의 상단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상기 고정구(140)를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40)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고정구(140)가 상기 이동프레임 유닛(200)의 고정구 삽입홀(210)로 부터 이탈되면,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으로 부터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승강시,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내측에 위치된 양단은, 상기 가이드 슬릿(2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승강 가이드(130)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의 사이 영역을 전방에서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220)을 관통하므로, 상기 이동프레임(200)은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구속되고, 승강 높이가 제한되게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차폐된 상면과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00)이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슬릿(220)의 차폐된 하면과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프레임(20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40)를 상기 승강 가이드(130)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기 고정구 삽입홀(210)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높이 조절을 통해서, 상기 이동프레임 유닛(200)의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가 상기 디스플레이(2)의 검사 영역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측기(3)는 상기 승강 유닛(300)에 장착되되, 검사부가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를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기(3)는 검사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3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계측기(3)의 검사부가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정 중앙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계측기 안착부(312)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 고정리브(313)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좌우폭 중심을 수직 관통하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유닛(300)은,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의 좌우 폭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좌우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250)를 사이에 구속함에 따라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고정구(330)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전면 승강부(311)과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승강 유닛(300)을 상기 레일부(25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 유닛(300)이 상기 이동프레임(200)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계측기 장착부재(310)의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이 넓어지고, 상기 레일부(25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승강 유닛(300)이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이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승강 유닛(300)의 높이 조절을 통해서, 상기 계측기(3)의 검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2)의 정확한 검사 위치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 유닛(30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고정구(3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상기 장착부재(320)의 사이 공간이 좁아지고, 상기 레일부(250)가 가압상태가 되어, 상기 승강 유닛(300)이 승강되지 못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의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계측기(3)는 상기 디스플레이(2)의 정확한 검사 위치를 향하면서 유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측기(3)를 이용한 보다 안정적인 디스플레이(2)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시, 상기 전면 승강부(311)와 장착부재(320)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14)는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300)의 승강시,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상면과 하면이 차폐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승강 유닛(300)과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차폐된 상면과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승강 유닛(30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230)의 차폐된 하면과 상기 승강 유닛(300)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승강 유닛(300)의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314)와 상기 장착부재(320)가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제공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2)의 전면을 향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으로 부터 돌출된 부분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200)의 배면으로 부터 돌출된 부분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가 파손되는 문제의 발생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1)를 이용한 보다 안전한 디스플레이(2)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100 고정프레임 유닛 110: 고정프레임
111: 안착부 112: 절곡부
113: 걸림돌기 가이드 슬릿 115: 걸림돌기
116: 고정 걸림돌기 117: 이동 걸림돌기
130: 승강 가이드 140: 고정구
200: 이동프레임 210: 고정구 삽입홀
220: 가이드 슬릿 230: 승강 유닛 장착구
240: 단차부 250: 레일부
300: 승강 유닛 310: 계측기 장착부재
311: 전면 승강부 312: 계측기 안착부
313: 계측기 고정리브 314: 돌출부
315: 제1 삽입구 316: 체결부재 삽입구
320: 장착부재 325: 제2 삽입구
330: 승강 고정구 331: 조작부
332: 나사부

Claims (5)

  1. 디스플레이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유닛;
    상하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계측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하로 연장된 한쌍의 가이드 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를 전방에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구속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슬릿의 사이 영역에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유닛은,
    상기 승강 가이드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고정구 삽입홀로 인출입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된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하로 연장된 승강 유닛 장착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계측기가 장착되는 계측기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유닛 장착구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계측기를 향하여 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 장착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계측기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계측기 안착부;
    상기 계측기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기 계측기 안착부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쌍의 계측기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KR1020190109908A 2019-09-05 2019-09-05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KR10209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08A KR102099871B1 (ko) 2019-09-05 2019-09-05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PCT/KR2020/011515 WO2021045450A1 (ko) 2019-09-05 2020-08-28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US17/580,818 US11796355B2 (en) 2019-09-05 2022-01-21 Device for fixing measuring instrument for inspec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08A KR102099871B1 (ko) 2019-09-05 2019-09-05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871B1 true KR102099871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08A KR102099871B1 (ko) 2019-09-05 2019-09-05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96355B2 (ko)
KR (1) KR102099871B1 (ko)
WO (1) WO20210454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50A1 (ko) * 2019-09-05 2021-03-11 주식회사 에스피텍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KR20220075492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보다 이상 상태 탐지 카메라용 고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69A (ko) * 2003-03-11 2004-09-20 김옥주 엘씨디 및 패널단선검사용 측정바늘지지구
KR20120049166A (ko) * 2009-09-01 2012-05-16 상하이 다오솅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설상 및 면상 데이터 채집 장치 및 방법
KR101937747B1 (ko) * 2018-04-25 2019-01-11 (주)디이엔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085A (ko) 2003-06-04 2004-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색도 검사 시스템
KR20100025305A (ko) * 2008-08-27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EP2607773B1 (en) * 2011-12-22 2017-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30079164A (ko) * 2011-12-22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9871B1 (ko) * 2019-09-05 2020-04-10 주식회사 에스피텍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US20220024605A1 (en) * 2020-07-24 2022-01-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ll-Purpose Foreign Object Debris Detection and Retrieva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69A (ko) * 2003-03-11 2004-09-20 김옥주 엘씨디 및 패널단선검사용 측정바늘지지구
KR20120049166A (ko) * 2009-09-01 2012-05-16 상하이 다오솅 메디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설상 및 면상 데이터 채집 장치 및 방법
KR101937747B1 (ko) * 2018-04-25 2019-01-11 (주)디이엔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50A1 (ko) * 2019-09-05 2021-03-11 주식회사 에스피텍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KR20220075492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보다 이상 상태 탐지 카메라용 고정 장치
KR102587852B1 (ko) * 2020-11-30 2023-10-11 주식회사 보다 이상 상태 탐지 카메라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450A1 (ko) 2021-03-11
US11796355B2 (en) 2023-10-24
US20220146289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871B1 (ko) 디스플레이 검사용 계측기 고정장치
KR101051103B1 (ko) 색상 검사 장치 및 색상 검사 방법
KR101207146B1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광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2509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글라스패널의 마이크로 검사장비용스테이지
KR20130019597A (ko) 액정패널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EP3557217A1 (en)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KR20110140112A (ko) 판상 투명체의 결함 검사 장치 및 결함 검사 방법
KR101631193B1 (ko)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KR20060042502A (ko)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한 백라이트유닛의 자동 결함검사장치
KR20110095091A (ko) 잉곳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164427B1 (ko) 카메라 틸팅용 스테이지
TWI470210B (zh) 顯示裝置之光學層件之缺陷檢測方法
KR10260230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지그
US10473830B2 (en) Display device with haze layer
JP200713291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ビジョン及び輝度検出システム
CN215036831U (zh) 一种蜗杆定位装置
JP2011149453A (ja) 電子機器取付装置及び電子機器用取付ブラケット
KR10199923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검사장치
CN208654434U (zh) 一种目视辅助电子视频显微镜
JP5040227B2 (ja) カラーフィルタの検査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の検査方法
KR20100000460A (ko) 디지털 비젼 검사장치
JP6693437B2 (ja) X線ct分解能評価装置
KR101588855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각도조절장치
CN205787337U (zh) 漫反射视频显微镜
CN108732799A (zh) 承载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