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70B1 - 인공 석재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석재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70B1
KR102099770B1 KR1020190122130A KR20190122130A KR102099770B1 KR 102099770 B1 KR102099770 B1 KR 102099770B1 KR 1020190122130 A KR1020190122130 A KR 1020190122130A KR 20190122130 A KR20190122130 A KR 20190122130A KR 102099770 B1 KR102099770 B1 KR 102099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fixed
dispos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석
Original Assignee
(주)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 filed Critical (주)디엠
Priority to KR1020190122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여 인공 석재 사이의 접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이다.

Description

인공 석재 접합 장치{JOINTING DEVICE FOR ARTIFICIAL STONES}
본 발명은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여 인공 석재 사이의 접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대리석 등을 본뜬 인공 석재로서는, 대리석의 입자를 백(白) 시멘트로 굳혀 표면을 연마하는 테라조나, 대리석 또는 어영판(御影板) 등의 돌 입자를 수지에 혼합하여 굳힌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공 석재를 제조하기 위해 일본 등록 특허 제2551858호에는 바닥이 평면형인 테이블 유리로 한 형틀의 내측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제1 공정, 형틀 내의 테이블 유리 상에 투명 수지를 도포하고, 이 투명 수지가 덜 마른 상태에서 패턴 시트를 놓고 공기를 빼면서 투명 수지와 패턴 시트를 밀착시켜 접합하는 제2 공정, 패턴 시트 상에 돌 입자와 수지의 혼합물인 백업재를 깔아 놓는 제3공정, 이 백업재의 위에 목재 심재를 넣고, 다시 그 위와 주위를 상기 백업재로 덮는 제4 공정, 및 적당한 시간 방치한 후, 완성된 인공 대리석을 형틀로부터 떼어 내는 제5 공정을 갖는 인공 대리석의 제조 방법이 나타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같은 종래의 인공 석재 제조 장치는 2장의 인공 석재를 상호 접합시켜 제조하는 경우 인공 석재 사이의 접합을 균일하게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인공 석재 제조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62147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790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를 포함하여 인공 석재 사이의 접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는 장치로서,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100) 및 하부 지지대(200)와, 상기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700)와, 상기 가압부(700)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700)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800)과, 상기 하부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1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상부 지지대(100-1) 및 상기 제1상부 지지대(1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 지지대(100-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대(2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지지대(200-1) 및 상기 제2하부 지지대(2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하부 지지대(200-2)를 포함하며, 상기 탄력 지지대(300) 상에 제2인공 석재(S2)를 배치한 후 하부 지지대(200) 상으로 제2인공 석재(S2)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인공 석재(S2) 상에 제1인공 석재(S1)를 배치한 후 상기 무빙 블록(800)을 하향 가압하여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700)는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7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이송 샤프트(740)를 포함하여, 상기 무빙 블록(800)은 상기 이송 샤프트(74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800)이 하향 이동하며 제1 인공 석재(S1)를 가압함에 의해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710)는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케이스 본체(711)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면에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가 안착되는 구획판(712)과, 상기 구획판(712)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는 이송 샤프트(740)가 관통하는 개방부(712a)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내측면 중 구획판(712) 하측 부분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71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800)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제1인공 석재(S1)를 가압하는 무빙 블록 본체(810)와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를 상하 방향 관통하고 상기 이송 샤프트(740)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공(820)과,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의 양 측면에 요홈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713)와 암수 결합하는 가이드 결합부(8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구획판(712)의 개방부(712a)에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 샤프트(7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이송 샤프트(740)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이송 샤프트(74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1)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인공 석재 사이의 접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접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접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접합 장치의 가압부와 무빙 블록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접합 장치의 가압부의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과 이송 샤프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일반적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 중 지지 디스크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리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상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하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2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접합 장치의 제어부와 관련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석재 접합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공 석재 접합 장치(10)는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100) 및 하부 지지대(200)와, 상기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700)와, 상기 가압부(700)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700)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800)과, 상기 하부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지지대(1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상부 지지대(100-1) 및 상기 제1상부 지지대(1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 지지대(100-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진다.
유사하게, 상기 하부 지지대(2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지지대(200-1) 및 상기 제2하부 지지대(2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하부 지지대(200-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 지지대(100)와 하부 지지대(200) 사이는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 지지대(100-3)와 제2수직 지지대(200-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 지지대(100-3)는 상부 지지대(100)와 하부 지지대(20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2수직 지지대(200-3)는 상부 지지대(100)와 하부 지지대(2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100)와 하부 지지대(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 일 측에 탄력 지지대(30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력 지지대(300) 상에 제2인공 석재(S2)를 배치한 후 하부 지지대(200) 상으로 제2인공 석재(S2)를 이동시킨다.
상기 탄력 지지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지지대(200)의 전방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력 지지대(300)에 제2인공 석재(S2)를 배치한 후 하부 지지대(2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탄력 지지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받침대 본체(310)와 상기 받침대 본체(310) 상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수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820)는 기둥 형상의 흡수부 기둥(821)과 상기 흡수부 기둥(821) 상에 배치되는 흡수부 헤드(322)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부(820)는 고무 등과 같은 고무 재질을 이용하여 탄력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 본체(310)는 별도의 지지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부 지지대(2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받침대 본체(310)가 하부 지지대(200) 일 측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인공 석재(S2) 상에 제1인공 석재(S1)를 배치한 후 상기 무빙 블록(800)을 하향 가압하여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한다. 이때, 상기 제1인공 석재(S1)와 제2인공 석재(S2) 사이에 소정의 접착제를 도초하여 상기 제1인공 석재(S1)와 제2인공 석재(S2)를 상호 가압하여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1인공 석재(S1)를 하향 가압하기 위해 가압부(700)와 무빙 블록(8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700)는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7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이송 샤프트(740)를 포함한다.
즉,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부(730)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이송 샤프트(740)가 회전한다. 상기 이송 샤프트(740)는 무빙 블록(800)과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무빙 블록(800)이 승하강 한다. 상기 무빙 블록(800)이 하강하면 제2인공 석재(S2)상에 배치된 제1인공 석재(S1)를 하향 가압하여 제1인공 석재(S1)와 제2인공 석재(S2)가 상호 접합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블록(800)은 상기 이송 샤프트(74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800)이 하향 이동하며 제1 인공 석재(S1)를 가압함에 의해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한다.
상기 케이스(710)는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케이스 본체(711)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면에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가 안착되는 구획판(712)과, 상기 구획판(712)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는 이송 샤프트(740)가 관통하는 개방부(712a)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내측면 중 구획판(712) 하측 부분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7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획판(712)으로 상하 방향 분할된 케이스 본체(711) 내부 공간 중 상기 구획판(712) 상에 회전력 발생부(73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의 크기가 구획판(712)상의 케이스 본체(711) 내부 공간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가 안정적으로 케이스 본체(711)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무빙 블록(800)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제1인공 석재(S1)를 가압하는 무빙 블록 본체(810)와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를 상하 방향 관통하고 상기 이송 샤프트(740)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공(820)과,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의 양 측면에 요홈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713)와 암수 결합하는 가이드 결합부(830)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블록(800)의 결합공(820)은 이송 샤프트(740)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상기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빙 블록(800)이 승하강한다. 이때, 상기 무빙 블록(800)의 가이드 결합부(830)가 무빙 블록 본체(810)의 양 측면에 요홈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결합부(830)에 상기 가이드 돌출부(713)와 암수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블록(800)은 이송 샤프트(740)가 회전하여도 가이드 결합부(830)와 가이드 돌출부(713)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금지되고 상하 방항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800)이 승하강하며, 이때, 상기 이송 샤프트(740)가 외란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무빙 블록(800)의 정밀한 승하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진동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구획판(712)의 개방부(712a)에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 샤프트(7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이송 샤프트(74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즉,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의 크기가 증감하여 압전 소자부(43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이송 샤프트(74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혹은 후퇴한다. 이때,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공기 등과 같은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는 탄력적으로 이송 샤프트(740)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송 샤프트(740)가 회전에 따른 진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에 의해 샤프트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도 7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압전 소자부가 패드를 전후진하여 샤프트(스핀들)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된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 유체가 충진된 탄성 패드(460)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이송 샤프트의 진동을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압력 변동으로 측정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한다. 이러한 이송 샤프트의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압전 소자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이송 샤프트의 진동 감지와 압전 소자부 작용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8은 도 6에서 이송 샤프트(740) 및 동적 베어링(400)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기술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이송 샤프트(740)와 탄성 패드(460)를 직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배선은 제어부(CON)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를 제어한다. 즉, 발생되는 진동이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430)를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이송 샤프트(740)를 가압하여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는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디스크(470)은 판체 형상이고 개방부(472)가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 본체(471)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72)에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한다.
상기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480)가 구비되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480)는 상기 개방부(472)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지지부(481)와, 상기 가압부(500)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며 원호 형상인 제2지지부(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481)에는 제1판 스프링(483)이 설치되고, 제2지지부(482)에는 제2판 스프링(48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은 상기 제2지지부(48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제2판 스프링(484)는 제1지지부(48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 중 제2판 스프링(484) 방향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홀더(485)가 형성되고, 제2판 스프링(484) 중 제1판 스프링(483) 방향 측면에는 제1홀더(485)와 대칭 형상인 제2홀더(48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485)와 제2홀더(486)사이에 탄성볼(487)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가 근접되어도 상기 제1판 스프링(483)과 제2판 스프링(484)의 탄성 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상기 탄성볼(487)에 압축 변형에 의해 2차 흡수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베이스(420)와 요홈부(490) 사이에 지지 블록(450)이 설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490) 벽면과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지지 블록(452)과, 한 쌍의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지지 블록(4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블록(451)의 양 측면은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제2지지 블록(452)의 일 측은 요홈부(490)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 측 일부는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도 7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도 5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부(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510)는 탄성 패드(460) 방향에 배치되고, 제2가압부(520)는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 사이에 제1흡수부(53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1단턱부(5113)가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단턱부(5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평탄부(52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1)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볼(531)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연결 바아(5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532)는 사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32)사이에 연결 바아(5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바아(533)는 사각형 형상의 각 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view 3)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1가압부 본체(51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된 제2상부 흡수부(600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2가압부 본체(52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는 반 시계 방향으로 김긴 형상을 가지고,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동일한 형상이나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이하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2 상부 흡수부(600A)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선부(620)는 유사하게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B)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제11고정 바아(611) 역시 방향1(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1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 바아(613)가 감기게 된다. 또한,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바아(623)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기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2(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방향2(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 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 고정 바아(621)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풀려지게 된다.
다만, 베이스(540)의 저면에 설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루브(543)에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40)의 회전에 따라 걸림되어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부 고정부(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상부 흡수부(600A)가 감겨져서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하부 흡수부(600B)가 감져져서 결국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 하게 된다.
한편, 도 13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회전하여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볼(633)이 변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633)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판(63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13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ON)에는 압전 소자부(430)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의 단속에 의해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탄성 패드(460)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가 연결되어 이송 샤프트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가압부(700)의 회전력 발생부(730)가 연결되어 상기 이송 샤프트를 구동하여 무빙 블록을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하부 지지대(200)의 압력 센서(200S)가 연결되어 제1인공 석재와 제2인공 석재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하부 지지대(200)는 제2인공 석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인공 석재 상에는 제1인공 석재가 배치되어 가압된다. 이때, 제2인공 석재의 길이 방향 각 지점마다 상기 압력 센서(200S)에 의해 압력을 측정한 후 압력이 불균일하면 상기 가압부(700)의 회전력 발생부(730)를 각각 제어하여 제2인공 석재의 길이 방향 각 지점마다 발생하는 압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상부 지지대 200 : 하부 지지대
300 : 탄력 받침대 320 : 흡수부
400 : 동압 베어링 410 : 베어링 본체
420 : 베이스 430 : 압전 소자부
460 : 탄성 패드 490 : 요홈부
500 : 가압부 510 : 제1가압부
520 : 제2가압부 530 : 제1흡수부
600 : 제2흡수부 700 : 가압부
710 : 케이스 730 : 회전력 발생부
740 : 이송 샤프트 800 : 무빙 블록

Claims (8)

  1.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는 장치로서,
    상하 방향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지지대(100) 및 하부 지지대(200)와, 상기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가압부(700)와, 상기 가압부(700) 하 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700)에 의해 상하 방향 이송되는 무빙 블록(800)과, 상기 하부 지지대(200)의 전후 방향 일 측에 배치되는 탄력 지지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1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상부 지지대(100-1) 및 상기 제1상부 지지대(1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상부 지지대(100-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대(20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 지지대(200-1) 및 상기 제2하부 지지대(200-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하부 지지대(200-2)를 포함하며,
    상기 탄력 지지대(300) 상에 제2인공 석재(S2)를 배치한 후 하부 지지대(200) 상으로 제2인공 석재(S2)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인공 석재(S2) 상에 제1인공 석재(S1)를 배치한 후 상기 무빙 블록(800)을 하향 가압하여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되,
    상기 가압부(700)는 상부 지지대(1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7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이송 샤프트(740)를 포함하여,
    상기 무빙 블록(800)은 상기 이송 샤프트(74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710) 내부에서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샤프트(74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800)이 하향 이동하며 제1 인공 석재(S1)를 가압함에 의해 제1 인공 석재(S1)와 제2 인공 석재(S2)를 상호 접합하며,
    상기 케이스(710)는 일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케이스 본체(711)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면에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가 안착되는 구획판(712)과, 상기 구획판(712)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730)에 연동되는 이송 샤프트(740)가 관통하는 개방부(712a)와,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내측면 중 구획판(712) 하측 부분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돌출부(71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800)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상기 제1인공 석재(S1)를 가압하는 무빙 블록 본체(810)와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를 상하 방향 관통하고 상기 이송 샤프트(740)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공(820)과, 상기 무빙 블록 본체(810)의 양 측면에 요홈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713)와 암수 결합하는 가이드 결합부(83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711)의 구획판(712)의 개방부(712a)에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되어 상기 이송 샤프트(7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구비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이송 샤프트(740)가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이송 샤프트(74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하는 인공 석재 접합 장치.
KR1020190122130A 2019-10-02 2019-10-02 인공 석재 접합 장치 KR102099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30A KR102099770B1 (ko) 2019-10-02 2019-10-02 인공 석재 접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130A KR102099770B1 (ko) 2019-10-02 2019-10-02 인공 석재 접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70B1 true KR102099770B1 (ko) 2020-04-10

Family

ID=70292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130A KR102099770B1 (ko) 2019-10-02 2019-10-02 인공 석재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477B1 (ko) 2004-06-03 2006-09-19 와다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석재의 제조 방법
KR200437549Y1 (ko) * 2006-12-15 2007-12-11 리빙아트 주식회사 석재판 접착 고정장치
KR101379095B1 (ko) 2010-04-30 2014-03-2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석재의 제조 방법
KR101614706B1 (ko) * 2016-02-02 2016-04-22 박희정 박판용접용 정밀 클램프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477B1 (ko) 2004-06-03 2006-09-19 와다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석재의 제조 방법
KR200437549Y1 (ko) * 2006-12-15 2007-12-11 리빙아트 주식회사 석재판 접착 고정장치
KR101379095B1 (ko) 2010-04-30 2014-03-2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인공 석재의 제조 방법
KR101614706B1 (ko) * 2016-02-02 2016-04-22 박희정 박판용접용 정밀 클램프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4621B (zh) 以可釋放方式固持一托板的夾持裝置
KR102099770B1 (ko) 인공 석재 접합 장치
EP1090726B1 (en) Scribe device
JP5342116B2 (ja) 工作物端面の研磨装置
KR20120124700A (ko) 기판 흡착용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9987B1 (ko) 초음파 용착장치
US6099193A (en) Composite body
JP2009540225A5 (ko)
KR102074862B1 (ko) 인공 석재 접합 장치
JP2019077192A (ja) 固定可能な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保持部に接続され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2114664B1 (ko) 오링부가 구비된 알루미늄 가스켓 제조 장치
KR10260445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US6892652B2 (en) Self-adjusting dynamic floating fixture
JP4033143B2 (ja) パネル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1124190C (zh) 石材异形加工磨具的制法及其结构
JP5743736B2 (ja) 球状体吸着ヘッド、球状体搭載装置および球状体吸着ヘッド製造方法
US8205655B2 (en) Vibration welding apparatus
KR102134175B1 (ko) 실시간 확인형 레이저 마킹 장치
TWI817833B (zh) 載體保濕夾具裝置
CN116292557A (zh) 保压设备
US4632373A (en) Fixture
CN106064135A (zh) 一种全自动点胶机
TWI498587B (zh) 包含音圈致動器的感測驅動模組
JPH08309594A (ja) 振動成形装置と振動プレス成形装置
TWI668100B (zh) Conveyor belt stack normal temperature pr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