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09B1 - 과수용 받침지주 - Google Patents

과수용 받침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09B1
KR102099509B1 KR1020180087516A KR20180087516A KR102099509B1 KR 102099509 B1 KR102099509 B1 KR 102099509B1 KR 1020180087516 A KR1020180087516 A KR 1020180087516A KR 20180087516 A KR20180087516 A KR 20180087516A KR 102099509 B1 KR102099509 B1 KR 10209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er
fruit
teeth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344A (ko
Inventor
강경순
Original Assignee
강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순 filed Critical 강경순
Priority to KR102018008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용 받침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된 하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 지주의 상측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케 배출되는 상부지주; 상기 하부지주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하부지주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수의 가지에 열매가 성장하여 하중이 증가하여도 가지가 쳐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과수의 가지를 받치는 상부지주가 하부지주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수용 받침지주{Supports for fruit trees}
본 발명은 과수용 받침지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간편하게 하고, 조절된 길이의 고정이 견고하게 하며,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력이 상실되더라도 자동으로 고정력이 회복되게 함으로서, 과수 가지의 지지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수 가지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케 한 과수용 받침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매를 수확하기 위해서 재배하는 과수는 열매가 성장함에 따라 열매의 무게로 인해 가지가 아래로 쳐지기도 하고, 심지어 가지가 부러지기도 한다.
따라서 열매의 크기에 비해 가지가 가늘어서 잘 부러지는 과수 농사를 짓는 농가에서는 열매의 무게로 인한 가지의 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가지를 받쳐주는 지주를 설치하는 작업이 일반적이다.
종래에는 나무 등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가지와 지면 간에 받쳐서 가지를 지지하였으나, 가지의 위치에 따라 지주의 길이가 모두 달라지기 때문에 일일이 지주를 길이에 맞게 잘라서 설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노동력의 소모가 많고, 반복 재사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안테나 구조와 같이 소정 길이의 하부지주 내부에 상부지주를 삽입 설치하여 하부지주에서 배출되는 상부지주의 배출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하는 과수용 받침지주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하부지주에서 배출되는 상부지주의 위치를 고정할 때, 하부지주의 상단부에서 하부지주의 주벽을 관통하게 설치된 고정나사를 조여서 상부지주의 외주면을 압박함으로써, 상부지주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첫째, 고정나사를 풀거나 조이기 위해서는 스패너와 같은 전용 공구가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다.
둘째, 전용 공구를 사용하더라도 고정나사를 풀거나 조이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받침지주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셋째, 고정나사를 견고하게 고정하였더라도, 외부의 물리적 요인 등으로 인해 고정나사의 조임이 헐거워지는 경우 고정나사에 의한 상부지주의 고정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열매가 열리면서 하중이 증가하는 가지의 무게를 상부지주가 견디지 못하고 하부지주 내부로 투입되면서 상부지주에 의해 지지되던 과수의 가지가 쳐지거나 부러지면서 열매나 과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공보 1990-0007870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하부지주의 상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하부지주에서 배출되는 상부지주의 배출 길이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수 가지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가지를 지지하는 상부지주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지주를 고정한 고정부재에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고정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더라도 자동으로 다시 고정력이 발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된 하부지주(10);
상기 하부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의 상측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케 배출되는 상부지주(20);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어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20)의 배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지주(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마찰력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0); 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는 상부지주(20)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걸림홈(203)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203)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걸림턱(301a)을 구비한 고리형으로 형성된 보스부(301);
상기 보스부(301)의 양단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302);
내측에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마찰력이 작용하는 치형부(303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레버부(303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설치되는 체결볼트(302b)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는 고정부재(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턱(301a)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힌지결합부(302)가 형성된 한 쌍의 보스부(301)가,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형성된 통공부(302a)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02b)와 체결너트(302c)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기어중심(c1)을 기준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어중심(c1)이 고정부재(303)의 회전축이 되는 상기 체결볼트(302b)의 중심과 편심되게 형성되어,
치형부(303a)의 하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근접하고, 치형부(303a)의 상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가 상부지주(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부지주(20)와 치형부(303a) 간 마찰력이 증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상부지주(20)와 접촉하는 상기 치형부(303a)의 접촉단부의 형상이 상기 상부지주(20)의 외경과 일치하는 곡률로 오목한 홈(303a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2개의 접촉면을 가지도록 상기 상부지주(20)와 접촉하는 상기 치형부(303a)의 접촉단부의 형상이 소정 각도로 V홈(303a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3개의 접촉면을 가지도록 3개의 치부(303a3)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각 치부(303a3)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볼트(302b)에는 토션스프링(304)이 설치되되, 토션스프링(304)의 일단부는 상기 레버부(303b) 하측의 걸림홈(303c)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304)의 타단부는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부(303b)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하부지주의 상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하부지주에서 배출되는 상부지주의 배출 길이 조절이 별도의 전용 공구 없이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과수용 받침지주의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후, 과수의 열매가 성장하면서 가지의 하중이 증가할수록 가지를 지지하는 상부지주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력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과수 가지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상부지주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에 외부의 물리력이 작용하여 상부지주에 대한 고정력이 일시적으로 상실되더라도,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지주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상부지주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하부지주(10), 상부지주(20),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지주(10)는 소정 직경의 관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하부지주(10)의 하단부에는 지중으로 파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부지주(20)의 횡단면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지지부(10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주(20)는 상기 하부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의 상측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케 배출된다.
이때, 상부지주(20)의 상단부에는 과수의 가지가 쳐지지 않도록 받쳐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가지가 삽입되는 요입홈(201)이 형성된 받침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어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20)의 배출 길이 조절이 가능케 상부지주(20)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 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보스부(301), 힌지결합부(302), 고정부재(303)를 포함한다.
상기 보스부(30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걸림턱(301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30)을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설치할 때, 상기 걸림턱(301a)에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힌지결합부(302)는 상기 보스부(301)의 양단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한 쌍의 힌지결합부(302)에 형성된 통공부(302a)에 체결볼트(302b)를 투입하여 체결너트(302c)로 체결함으로써, 고리형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부(301)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걸림턱(301a)에 삽입된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물리면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03)는 치형부(303a), 레버부(303b)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볼트(302b)에 회전 가능케 결합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고정부재(303)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상부지주(2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치형부(303a)는 기어중심(c1)을 기준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어중심(c1)이 고정부재(303)의 회전축이 되는 상기 체결볼트(302b)의 중심과 편심되게 형성되어, 치형부(303a)의 하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근접하고, 치형부(303a)의 상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302b)를 중심축으로 하여,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가 상부지주(20) 쪽으로 향하도록 고정부재(303)를 회전시키면, 회전 각도에 따라서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와 근접하면서 치형부(303a) 간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반대로 하부지주(10)에서 상부지주(20)를 당겨서 배출시키면, 상기 고정부재(303)는 치형부(303a)의 형상에 의해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가 하부지주(10) 쪽으로 향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와 이격되면서 마찰력이 저하되어 상부지주(20)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하부지주(10) 내부로 상부지주(20)를 투입할 때, 고정부재(303)의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하지 않도록 수동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부지주(20)의 투입이 용이하게 된다.
반면, 고정부재(303)를 상부지주(20) 방향으로 회전시켜,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하게 하면 마찰력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상부지주(20)가 하부지주(10) 내부로 투입될수록 상기 치형부(303a)의 형상에 의해 치형부(303a)와 상부지주(20)의 외주면 간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면서 상부지주(2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레버부(303b)는 상기 고정부재(303)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303)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때, 별도의 전용공구 없이 레버부(303b)를 아래에서 위로 밀어 올리거나, 위에서 아래로 내리 누르는 조작만으로도 고정부재(303)의 작동이 가능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상부지주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는 상부지주(20)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걸림홈(203)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203)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30)이 상기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때, 상기 걸림홈(203)으로 인해 걸림홈(203)과 고정수단(30) 간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상부지주(2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한 쌍의 보스부(301)를 포함한다.
즉,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턱(301a)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힌지결합부(302)가 형성된 한 쌍의 보스부(301)가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형성된 통공부(302a)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02b)와 체결너트(302c)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체결볼트(302b)와 체결너트(302c)의 체결력에 의해 호형으로 형성된 상기 보스부(301)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걸림턱(301a)에 삽입된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견고하게 물리면서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3)는 상기 보스부(301)의 양측 힌지결합부(302)에 설치된 체결볼트(302b)에 각각 회전 가능케 한 쌍이 대칭으로 설치됨으로써, 각 고정부재(303) 내측에 형성된 치형부(303a)가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 양측에서 접촉함에 따라 더욱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여 상부지주(2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상부지주(20)의 외경과 일치하는 곡률로 오목한 홈(303a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이 작용할 때, 상부지주(20)의 외경과 일치하는 곡률로 오목한 홈(303a1)의 형상으로 인해 상부지주(20)와 더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게 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된 상부지주(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소정 각도로 형성된 V홈(303a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V홈(303a2)은 상기 고정수단(30)을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치형부(303a)가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2개의 접촉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률로 오목한 홈(303a1)에 비해 가공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이 작용할 때,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2개의 접촉면을 가지는 V홈(303a2)의 형상으로 인해 상부지주(20)와 더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게 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된 상부지주(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치형부(303a)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3개의 치부(303a3)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형부(303a)가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이 작용할 때,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3개의 접촉면을 가지는 치부(303a3) 형상으로 인해 상부지주(20)와 더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게 됨으로써, 마찰력이 증가하여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된 상부지주(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형부(303a)에 형성된 각 치부(303a3)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치형부(303a)에 형성된 각 치부(303a3)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에, 상부지주(20)의 외주면의 표면 거칠기가 균일하지 않거나, 상부지주(20)의 부분적인 손상으로 인해 어느 하나의 치부와 맞물리는 상부지주(20) 외주면의 접촉 지점이 움푹하게 들어가서 충분한 마찰력이 작용하지 못하더라도, 또 다른 치부가 상부지주(20)의 또 다른 위치에서 외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상부지주(20)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의 고정수단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토션스프링(3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304)은 상기 고정부재(303)가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설치되는 체결볼트(302b)에 회전 가능케 결합될 때, 고정부재(303)에 탄성력이 작용하게 설치된다.
즉, 토션스프링(304)의 일단부는 상기 레버부(303b)의 하측에 형성된 스프링설치홈(303c)에 고정하고, 토션스프링(304)의 타단부는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부(303b)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탄성력이 작용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레버부(303b)가 상기 하부지주(10)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토션스프링(304)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304)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부(303b)가 상부지주(20)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가 과수의 가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부딪힘이나, 낙과, 조류 등에 의한 간섭 등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상기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에 일시적으로 작용하여 고정부재(303)의 치형부(303a)가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이격되면서 상부지주(20)가 하부지주(10) 내부로 투입되더라도, 레버부(303b)에 일시적으로 작용한 외력이 소멸되는 즉시 토션스프링(30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303)의 치형부(303a)가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지주(20)의 고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상기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20)가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과수의 가지에서 열매가 성장하여 하중이 증가하여도 가지가 쳐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과수의 가지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과수용 받침지주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과수뿐만 아니라, 가로수 또는, 고목의 가지를 받쳐서, 가지가 쳐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폭설시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받치도록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견고하게 지탱하여 비닐하우스에 쌓인 눈으로 인한 비닐하우스의 붕괴를 방지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하부지주 101: 지지부
20: 상부지주 201: 요입홈
202: 받침부 203: 걸림홈
30: 고정수단 301: 보스부
301a: 걸림턱 302: 힌지결합부
302a: 통공부 302b: 체결볼트
302c: 체결너트 303: 고정부재
303a: 치형부 303a1: 홈
303a2: V홈 303a3: 치부
303b: 레버부 303c: 스프링설치홈
304: 토션스프링

Claims (9)

  1.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된 하부지주(10);
    상기 하부지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지주(10)의 상측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케 배출되는 상부지주(20);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어 하부지주(10)에서 배출되는 상기 상부지주(20)의 배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지주(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마찰력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30)은,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걸림턱(301a)을 구비한 고리형으로 형성된 보스부(301);
    상기 보스부(301)의 양단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302);
    내측에는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과 마찰력이 작용하는 치형부(303a)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레버부(303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설치되는 체결볼트(302b)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는 고정부재(3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치형부(303a)는 기어중심(c1)을 기준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기어중심(c1)이 고정부재(303)의 회전축이 되는 상기 체결볼트(302b)의 중심과 편심되게 형성되어,
    치형부(303a)의 하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근접하고, 치형부(303a)의 상측으로 갈수록 체결볼트(302b)와 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3)의 레버부(303b)가 상부지주(2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부지주(20)와 치형부(303a) 간 마찰력이 증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받침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20)의 외주면에는 상부지주(20)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걸림홈(203)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203)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받침지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턱(301a)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힌지결합부(302)가 형성된 한 쌍의 보스부(301)가,
    상기 하부지주(10)의 상단부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부(302)에 형성된 통공부(302a)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02b)와 체결너트(302c)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받침지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87516A 2018-07-27 2018-07-27 과수용 받침지주 KR10209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16A KR102099509B1 (ko) 2018-07-27 2018-07-27 과수용 받침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516A KR102099509B1 (ko) 2018-07-27 2018-07-27 과수용 받침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44A KR20200012344A (ko) 2020-02-05
KR102099509B1 true KR102099509B1 (ko) 2020-04-09

Family

ID=6951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516A KR102099509B1 (ko) 2018-07-27 2018-07-27 과수용 받침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5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36B1 (ko) * 2009-12-31 2010-11-15 문경시 수목용 지지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63490B1 (en) 1988-11-24 1995-05-03 Hoechst Ag Peptides having bradykinin antagonist action
KR101409831B1 (ko) * 2012-11-20 2014-06-19 정현욱 신축형 과수 지지대용 리프트 장치
KR20160059155A (ko) * 2014-11-18 2016-05-26 황경봉 과수목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36B1 (ko) * 2009-12-31 2010-11-15 문경시 수목용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44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165A (en) Hand-held tool with hollow handle
US20020030144A1 (en) Cable protector and support
US5590865A (en) Tree stand fastener
KR102099509B1 (ko) 과수용 받침지주
US9624685B1 (en) Mount system for an umbrella
CA2560807A1 (en) Single bolt deadend anchor clamp
KR20090008381U (ko) 수목 지주대
DE60018959D1 (de) Lösbare befestigungsvorrichtung
KR200395960Y1 (ko) 각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목 보호용 지지구
CN205052068U (zh) 带树枝剪的铲子
KR101025032B1 (ko) 스프링클러용 지지대
JP3187623U (ja) 樹木の枝支持装置
KR100630808B1 (ko) 건축단지 내 가로수 보호대 구조
JP5547306B1 (ja) 碍子バインド
US6977332B2 (en) Anchoring structure for telescopic tubes of drum sets
CN213153208U (zh) 一种林业种植支撑辅助装置
KR200480191Y1 (ko) 농작물 고정용 집게
CN210247628U (zh) 一种幼树拉枝辅助工具
CN206821499U (zh) 一种圆环框三脚式树苗木支撑装置
KR19980059155U (ko) 수목 지지대
KR101813021B1 (ko) 나무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지지대
KR200481472Y1 (ko) 농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기구
CN206866223U (zh) 一种圆环框多铰链式树苗木支撑装置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CN220359816U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保护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