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75B1 -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75B1
KR102099375B1 KR1020180013165A KR20180013165A KR102099375B1 KR 102099375 B1 KR102099375 B1 KR 102099375B1 KR 1020180013165 A KR1020180013165 A KR 1020180013165A KR 20180013165 A KR20180013165 A KR 20180013165A KR 102099375 B1 KR102099375 B1 KR 10209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line
module
line led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851A (ko
Inventor
김규원
하지훈
김하진
Original Assignee
김규원
하지훈
김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원, 하지훈, 김하진 filed Critical 김규원
Priority to KR102018001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은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는 정지선 LED큐브 블럭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 상기 횡단보도와 인도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행자 블록(200); 및 상기 보행자 블록(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전발전모듈(3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STOPLINE LED CUBE BLOCK CROSSWALK SYSTEM}
본 발명은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점멸을 통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사회에서 늘어난 자동차 보급으로 교통사고는 심각한 사회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주된 안전 및 공중보건 문제의 하나이다. 오늘날 자동차의 대량 보급으로 자동차는 도로상에서 보행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자동차사고는 그 발생건수가 급증하여 하루도 빠짐없이 사고발생 상황이 보도되고 있으며,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교통사고는 발생 원인이 다양하여 사람, 차량, 도로환경 등 이 각각 원인인 경우도 있으나 거의 이들 요인이 상호작용한 복합적 요인이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사람이 원인인 사고에 비하여 차량이나 도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사고 발생 시에는 인명피해가 크고, 치명적인 경우가 많다.
횡단보도(橫斷步道)는 도로를 건너기 위한 보행자 시설이다. 하얀 선을 도로와 수평으로 그어 놓은 것과 신호등이 있다. 보통 평면 교차로에 설치되며, 인구의 통행량이 많을 것이라고 판단되는 도로 한 가운데에 그어 놓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보행자가 도로를 건널 수 있게 만들었지만,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건너기도 한다. 보행자가 길의 건너편으로 갈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이고 빠른 방법이다. 다만 보통 신호등과 함께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을 막는다는 인식이 있어 대체재로 육교나 지하도가 생겼다.
횡단보도 종류는 대부분이 도로 건너편으로 갈 수 있게 돼있는 일자형이 대부분이나, 삼거리나 사거리의 경우 자동차 전부에게 적신호를 주고 모든 보행자에게 청신호를 줘서 대각선으로도 건널 수 있게 하는 것들도 있다. 이를 일본에서는 스크럼블 방식이라고 한다. 또 테헤란로 같은 큰 도로에는 횡단보도 신호에 걸려서 원활한 차량 통행이 막힐 것을 우려하여 횡단보도의 가운데에 대기 장소를 두어 두 번으로 나눠서 건너는 식으로 된 곳도 있다.
운전자는 횡단보도에 파란 불이 켜져도 횡단보도에 사람이 없으면 임의대로 출발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경우 보다 더 주의가 필요하다. 어린이들은 파란 불이 켜져 있기 때문에 당연하게 차량이 멈춰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당연하게 차가 멈춰야 하지만, 성급한 운전자들은 기다리는 것을 견디지 못하고 시야 확보다 덜 된 상태에서 운전을 하기 때문이다.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행자들의 인식도 개선되어야 한다. 신호등의 예비 점멸 상태에서는 가급적 횡단을 삼가야 한다. 신형 신호등은 예비 점멸 상태에서 몇 초 후에 신호등이 변한다고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데, 짧지도 않은 횡단보도인데 겨우 2-3초 남은 순간에도 횡단보도를 달리기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교통관제 또한 낙후되어 있다. 한국의 교통신호는 기본적으로 횡단보도 보행자 통과 시간을 1미터에 1초로 상정하여 배정하는데, 외국에 비하면 너무 짧은 시간이다.
무신호 횡단보도에서는 운전자 및 보행자가 서로 주의하며 통행하지만, 신호 횡단보도에서는 운전자 및 보행자가 신호 위반을 할 경우에는 사고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신호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사고 발생이 제일 많이 일어나는 시간대는 19시 이후이다. 그 다음으로는 출퇴근 시간인 오전시간에도 많이 발생한다. 저녁 시간이 지나게 되면, 자동차 수와 보행자의 수가 줄어지만, 운전 시에 부주의가 증가한다. 야간에는 자동차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점멸제를 운영하고 있어서, 자동차의 속력을 증가하여 운전하게 되고, 또한 야간으로 인해 시야가 어두워져 신호등을 잘 인식하지 못하여 사고발생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압전소자가 구비되어 있는 횡단보도와 압전소자와 조명장치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전선이 구비된 압전소자가 결합되어 정지선이 빛나는 횡단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횡단보도를 밟고 난 뒤, 횡단보도에 내장되어 있는 압전소자를 타격함으로써 자동차 도로에 있는 정지선의 LED를 발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LED 조명등이 자동차 운전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75415호(2017.06.19)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전자에게 정지선이 잘 보이는 최적의 각도로 투사되는 LED를 점멸하여 횡단보도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향상하고, 횡단보도 보행신호시 전기를 발생하여 차량정지선에 LED를 발광되게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은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는 정지선 LED큐브 블럭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 상기 횡단보도와 인도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행자 블록; 및 상기 보행자 블록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전발전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은 내압소재로 구성된 직육면체의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장착되고 광속을 조정하는 전류조절부와 온오프조절부를 구비한 광속조정광원부; 상기 광속조정광원부와 연결되고 광도, 조도, 휘도를 조정하는 광투사조정부를 구비한 광가이드부; 및 상기 광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 외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광투영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제1 푸쉬모듈, 제1 무빙모듈, 제1경사모듈, 제1 회전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사조정부는 제2 푸쉬모듈, 제2 무빙모듈, 제2 경사모듈, 제2 회전모듈, 제3 경사모듈, 제3 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사조정부는 복수개의 탄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사조정부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광원이 투사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이 맞물리는 끼움구조로 구성되어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의 복수개의 상기 광속조정광원부가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발전모듈과 폐쇄적으로 연결되는 블럭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행자 블록은 보행자 대기 신호가 LED 점멸로 투영되는 업커버부;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좌우측 가이드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조사각도를 조절하여 LED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분산부; 복수개의 LED가 구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되는 LED 모듈; 사각 박스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 양측에 반호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다운커버부; 양측 모서리 일측이 반호형상의 끼움턱이 돌출되어 다운커버부의 끼움홈에 일측면이 끼워져서 보행자 블록과 체결시키는 결합부; 및 다운커버부의 사각안착홈 하단에 위치되어, 상기 다운커버부를 하단방향에서 안전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발전모듈은 보행자 블럭의 하단면과 접촉되어 보행자 블럭에서 발생되는 외력을 외력 전달부로 전달시키는 압전지지판; 상기 외력 전달부의 헤드이음부에 끼워져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외력 전달부로 반복적으로 외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프링부; 제1 압전부재의 제2 전극과 제2 압전부재의 제3 전극에 접착되어 있고, 탄성스프링부의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제1압전부재 및 제2 압전부재에 외력을 전달시키는 외력 전달부; 상기 외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의해 전단변형이 발생되어 전기를 생성시키도록, 제1 압전체, 제1전극, 제2 전극의 구성을 갖는 제1압전부재와 제2 압전체, 제3전극, 제4 전극의 구성을 갖는 제2 압전부재로 이루어진 압전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C 전원을 인가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교류전원부; 및 상기 교류전원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주기별로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압전발전모듈에서 발생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다운시켜 공급되도록 전력을 변환시키는 파워트랜스부; 상기 파워트랜스부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공급받아 각 기기로 웨이크업 구동신호를 보내고, 상기 압전발전모듈과 교류전원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정확하게 정지선에 멈출 수 있게 하도록 정지선 앞에 예비신호로서 LED를 점멸시켜, 횡단보도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횡단보도 보행신호시, LED 발광시킬 수 있어 횡단보도 교통사고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압전발전모듈, 교류전원부로 이루어진 전원구동으로 전원공급의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기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광투사조정부(150)의 작동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연결모듈(180,180')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블록(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블록(200)과 압전발전모듈(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발전모듈(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험1에 따른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조도와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험 2에 따른 운전자의 위치에서 운전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각도를 구하기 위한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험 3에 따른 시각적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분포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광투사조정부(150)의 작동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연결모듈(180,180')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블록(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블록(200)과 압전발전모듈(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발전모듈(3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험1에 따른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조도와 휘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험 2에 따른 운전자의 위치에서 운전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각도를 구하기 위한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험 3에 따른 시각적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분포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은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는 정지선 LED큐브 블럭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 상기 횡단보도와 인도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행자 블록(200); 및 상기 보행자 블록(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전발전모듈(3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 시스템은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 보행자 블럭(200), 압전발전모듈(300), 교류전원부(400), 컨트롤부(50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이 도시되어 있다.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은 내압소재로 구성된 직육면체의 케이스부(110); 케이스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광속을 조정하는 전류조절부(133)와 온오프조절부(135)를 구비한 광속조정광원부(130); 광속조정광원부(130)와 연결되고 광도, 조도, 휘도를 조정하는 광투사조정부(150')를 구비한 광가이드부(150); 및 광가이드부(150)와 연결되고 케이스(110) 외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광투영부(17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광속조정광원부(130)는 전류조절부(133) 또는 온오프조절부(135)를 구비하고 LED 광원의 광속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광가이드부(150)의 광투사조정부(150')는 LED 광원의 광도, 조도, 휘도를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가이드부(150)는 제1 푸쉬모듈(151), 제1 무빙모듈(152), 제1경사모듈(153), 제1 회전모듈(154)를 포함하고, 광투사조정부(150')는 제2 푸쉬모듈(151'), 제2 무빙모듈(152'), 제2 경사모듈(153'), 제2 회전모듈(154'), 제3 경사모듈(153''), 제3 회전모듈(15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탄성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복수개의 광속조정광원부(130)는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압전발전모듈(300)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블럭회로부(190)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제1푸쉬모듈(151)에 작용력을 가하면 제1 무빙모듈(152)가 밀리게 된다. 제1 무빙모듈(152)가 밀리면 이와 연결된 제1 경사모듈(153)이 제1 회전모듈(154)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 광속조정광원부(130)로부터 발산되는 광속의 방향이 기울어지게 된다. 제1 무빙모듈(152)에 부가된 작용력은 탄성모듈(160)에 부가되고 탄성모듈(160)의 탄성의 정도에 따라 작용력이 임계점을 초과하면 제2 푸쉬모듈(151')이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제2 푸쉬모듈(151')가 우측으로 밀리게 되면 제2 무빙모듈(152')도 우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모듈(154')을 축으로 하여 제2 경사모듈(153')이 회전하게 되어 광속조정광원부(130)로부터 발산되는 광속의 방향이 기울어지게 된다.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복수개의 광속조정광원부(130)는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블럭회로부(190)는 압전발전모듈(300)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투사조정부(150')에서 광속조정광원부(130)의 광원이 투사되는 각도는 45도가 가장 바람직함이 후술하는 실험예에 의하여 산출되었으며, 도로면의 경사도에 따라 30도, 60도 또는 그외의 모든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이 맞물리는 끼움구조로 구성되어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180,18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결합모듈(180)은 다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결합모듈(180')에 맞물리게 끼워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은 횡단보도 측면에 구비된 차량 정지선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매설될 수 있다.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은 차량(10) 기준으로 차량방향에 있는 횡단보도 진입 전 스톱 라인 지점에 위치되어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운행 신호로 바뀌기 전까지 멈춰서 대기하라는 신호를 LED 점멸로 시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차량도로 상에 돌출된 구조 또는 차량도로 내부에 매설된 블록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보행자 블럭(200)은 업커버부(210), 분산부(220), LED 모듈(230), 다운커버부(240), 결합부(250), 베이스커버부(260)로 구성된다.
업커버부(210)는 횡단보도 표면상에 구비되어, 보행자(20)로 하여금 보행 신호가 바뀌기 전 멈춰서 대기하라는 신호를 LED 점멸로 시인시키는 것으로, 이는 측면도 상에서 봤을 때 완만한 정경사를 갖다가 급경사를 갖는 덮개본체가 형성되고, 덮개본체부 선단에 LED 모듈로부터 발광된 빛을 외부로 반사시키는 도광판이 구성된다.
그리고, 덮개본체부 후단에 원형상의 화이트 코팅이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면 모서리 일측에 복수개의 나사홈이 형성된다.
분산부(22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져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좌우측 가이드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조사각도를 조절하여 LED 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LED 모듈(230)은 복수개의 LED가 구성되어, 제어부(5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되는 것으로, 이는 사각판넬형상의 PCB 기판으로 이루어져 다운커버부의 중앙홀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다운커버부(240)는 횡단보도 표면에서 1cm~20cm 하단에 위치되고, 사각 박스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몸체 양측에 반호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 중앙에 사각안착홈이 형성되어, LED 모듈이 안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다운커버부의 몸체 상단 일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업커버부의 나사홈에 관통된 볼트가 삽입된다.
결합부(250)는 양측 모서리 일측이 반호형상의 끼움턱이 돌출되어 다운커버부의 끼움홈에 일측면이 끼워져서 횡단보도 블럭과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 판넬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 양측면에 반호형상의 끼움턱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부(260)는 다운커버부의 사각안착홈 하단에 위치되어, 다운커버부를 하단방향에서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블럭(200)은 하단에 외력에 의해 압전부재에 전단변형(Shear strain)이 발생되어 전기를 생성시키는 압전발전모듈(30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압전발전모듈(300)은 압전지지판(310), 탄성스프링부(320), 외력 전달부(330), 압전부재(340)로 구성된다.
압전지지판(310)은 보행자 블럭(200)의 하단면과 접촉되어 보행자 발전 블럭(500)에서 발생되는 외력을 외력 전달부(33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스프링부(320)는 외력 전달부(330)의 헤드이음부에 끼워져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외력 전달부로 반복적으로 외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력 전달부(330)는 압전부재(340)의 제2 전극과 압전부재의 제3 전극에 접착되어 있고, 탄성스프링부의 탄성력과 복원력에 의해 압전부재(340)에 외력을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압전부재(340)는 외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외력에 의해 전단변형이 발생되어 전기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전부재(340)은 일면과 그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는 타면을 구비하고 있고, 외력에 의해 전단변형이 발생되는 제1 압전체(341b)와, 제1압전체(341b)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극(341a)과, 제1 압전체(341b)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전극(341c)으로 이루어진 제1 압전부재(341)와, 일면과 그 일면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는 타면을 구비하고 있고, 외력에 의해 전단변형이 발생되는 제2 압전체(342b)와, 제2 압전체(342b)의 일면에 형성된 제3전극(342a)과, 제2 압전체의 타면에 형성된 제4 전극(342c)으로 이루어진 제2 압전부재(342)로 구성된다.
압전부재는 PZT(Pb(Ti,Zr)O3), Ba2TiO4, BaTiO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지고, 압전부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며, 그 인가된 힘의 크기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의 양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교류전원부(400)는 압전발전모듈(400) 일측에 설치되어 AC 전원을 인가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일측에 리튬이온배터리 팩 본체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교류전원부(400)는 유선으로 AC 전원을 인가받아, DC 컨버팅 후, 필터링을 거쳐 리튬이온배터리 팩 본체에 연결되어, 리튬이온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컨트롤부(500)는 압전발전모듈(300), 교류전원부(4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주기별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사각박스 형상의 본체와, 본체 내부에 리튬이온배터리 팩 본체가 구성되고, 리튬이온배터리 팩 본체 하단에 제어모듈로 구성된다. 제어모듈은 파워트랜스부(510), 제어부(520)로 구성된다.
파워트랜스부(510)는 압전발전모듈(300)에서 발생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다운시켜 공급되도록 전력을 변환시키는 곳으로, 이는 DC/DC컨버터부와, 버퍼부, 제1D/A 컨버터부, 증폭부, DAR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DC/DC컨버터부는 스텝-다운 컨버터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압전발전모듈(300)에서 발생된 전기(SOL_POWER)가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보다 1V 정도 높게 다운시켜 전력 변환이 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520)에서 리튬이온배터리의 현재 충전전압 상태를 버퍼부로 8비트 디지털 신호로 보내면, 버퍼부에서 이를 D/A 컨버터로 전송시키고, D/A 컨버터에서 현재 충전전압을 레퍼런스 전압(4.2V)과 비교 연산한 후, 레퍼런스 전압(4.2V)이하 일 경우에는 출력단자와 연결된 증폭부의 (+)단자로 DAR 트랜지스터 의 턴온 구동전류를 흘러 보낸다. 그리고, 증폭부에서는 D/A 컨버터에서 출력된 DAR 트랜지스터의 턴온 구동전류를 증폭시켜 DAR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로 흘려보낸다. 이때, DAR 트랜지스터 턴온 구동전류가 인가되면, DAR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에 있던 충전전압(5.2V)이 이미터 단자를 지나 리튬이온배터리에 충전된다. 이에 따라, 압전발전모듈(300)에서 발생된 전기 및 상용전원(18V~50V)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트랜스부(510)를 통해 충전된다. 제어부(520)는 파워트랜스부(510)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공급받아 각 기기로 웨이크업 구동신호를 보내고, 압전발전모듈(300), 교류전원부(4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주기별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89C52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지선 LED 큐브 블록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컨트롤부(500)의 제어하에 압전발전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전기를 각 기기에 공급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부(500)의 제어하에 교류전원부(400)를 통해 AC 전원을 인가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부(500)의 제어하에 20초 ~ 60초 주기별로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 동작 신호를 제어한다.
그리고, 보행자 블럭(200)에서 횡단보도 보행자(20)가 지나가면 전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에서 차량(10)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운행 신호로 바뀌기 전까지 멈춰서 대기하라는 신호를 LED 점멸로 시인시킨다.
여기서,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광투사조정부(150')는 광속조정광원부(130)로부터 발산되는 광속의 방향을 기울어지게 한다. 이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100)의 광투사조정부(150')를 사용자가 조정하여 설치하는 과정으로 작동되는데, 그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1 푸쉬모듈(151)에 작용력을 가하면 제1 무빙모듈(152)가 밀리게 된다. 제1 무빙모듈(152)가 밀리면 이와 연결된 제1 경사모듈(153)이 제1 회전모듈(154)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어 광속조정광원부(130)로부터 발산되는 광속의 방향이 기울어지게 된다. 제1 무빙모듈(152)에 부가된 작용력은 탄성모듈(160)에 부가되고 탄성모듈(160)의 탄성의 정도에 따라 작용력이 임계점을 초과하면 제2 푸쉬모듈(151')이 우측으로 밀리게 된다. 제2 푸쉬모듈(151')가 우측으로 밀리게 되면 제2 무빙모듈(152')도 우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모듈(154')을 축으로 하여 제2 경사모듈(153')이 회전하게 되어 광속조정광원부(130)로부터 발산되는 광속의 방향이 기울어지게 된다.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복수개의 광속조정광원부(130)는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블럭회로부(190)는 압전발전모듈(300)과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된다.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에서 차량(10) 운전자에게 투광하는 LED 광원의 각도별 조도와 휘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실험예와 같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 실험예 >
실험1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에 정지선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LED매립 정지선이 효과적이다. 각도별 빛의 조도값과 휘도값을 알아본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치에서 조도와, 휘도를 측정한다. 다만 제한된 공간에서 A지점은, 빛의 세기의 영향을 제일 많이 받는 부분으로 (세밀한 차이를 두기 위하여) 더 높은 곳에서 측정하였다.
각도별 조도값 측정(lux)
A지점은 LED 매립등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200cm 떨어진 곳이고, B와 C지점은 운전자 시야 정면높이이다. 바닥으로부터 150cm 떨어진 곳(매립등 높이20cm를 제외하면 130cm)을 설정하고, 각 지점의 정면에서 조도를 측정하였다.
지점 각도
30° 조도 45° 조도 60° 조도
A
64 Lux 107 Lux 218 Lux
B
37 Lux 49 Lux 37 Lux
C
9 Lux 14 Lux 14 Lux
각도별로 조도값은 60도의 각도가 제일 조도 범위차가 넓었다.
각도별 휘도 값 측정 (cd/㎡)
A, B, C 각 지점에서 1m 정면에서 휘도를 측정하였다. 휘도계는 미세한 값의 변화가 있어서 차이 변화를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지점 각도
30° 휘도 45° 휘도 60° 휘도
A
0.235 0.866 0.611
B
0.036 0.175 0.059
C
0.175 0.204 0.067
실험1의 결과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실험1에 따른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조도와 휘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각도별 위치에 따라 조도값 차이가 큰 각도는 60° > 45° > 30° 순이었다. 각도별로 조도값을 측정한 결과, 60도의 매립등이 제일 조도의 차이가 컸다. 60도는 수직각도에 가까운 각도로 넓은 방향으로 빛도 강하게 퍼져나가는 각도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좁은 면적에서 이렇게 조도차이가 큰 것은 눈에 피로가 더 빨리 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도는 물리적으로 산출되는 값으로 변환한 것이지만, 사람의 눈은 상대적인 밝기에 의해 공간의 밝고 어둡기를 인지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갑자기 값이 차이가 많이 난다면, 조도값으로 확인한 것처럼 운전자 시야에 피로를 줄 수 있다. 각도별로 휘도값을 측정하였을 때는 전체적으로 45° 매립등의 휘도값이 제일 높았다. 휘도는 빛의 반사면까지 고려한 값이므로, 45°의 밝기가 제일 밝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2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위치에서 운전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각도를 알아본다. 운전자의 위치에서 운전 진로 방향인 정면의 한 지점을 정하여 조도와 휘도를 측정한다.
실험2의 결과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실험 2에 따른 운전자의 위치에서 운전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각도를 구하기 위한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운전자 방향에서 전방 시야의 조도값와 휘도값을 측정한 결과, 조도값이 크면 휘도값도 커졌다. 매립등의 각도가 커질수록 정면에서 나오는 불빛의 세기가 커져 빛의 세기, 조도값, 휘도값도 비례하였다. 정면으로 보았을 때, 45°와 60°의 매립등의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였다. 정면으로 보았을 때, 30° 정지선의 불빛이 도로 노면에서 제일 밝은 빛의 세기를 띈다.
실험3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별 시각적 빛의 분포를 알아본다.
실험3의 결과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험 3에 따른 시각적 각도별 30도(a), 45도(b), 60도(c) 빛의 분포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빛의 분포를 촬영한 사진에서, 각도가 커질수록 매립등 입구에서부터 나오는 불빛의 세기는 밝고, 빛의 퍼짐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등고선 이미지로 나타내어 보면, 60°>45°>30°의 각도 순으로 매립등의 불빛 세기가 높고, 수직 방향에 가까운 각도로 불빛이 뻗어나간다. 30°의 매립등은 낮은 각도로, 정지선의 역할로는 제일 눈에 잘 띠나, 넓은 범위에 빛이 퍼져나가기는 부족하였다. 45°와 60°는 불빛이 세기가 강하고 빛이 넓은 범위로 퍼져 나간다.
실험 1, 실험 2, 실험 3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각도별 위치에 따른 조도값 차이가 큰 각도(측면)는 60° > 45° > 30°순으로 나타났다.
각도별 위치에 따른 휘도값이 높은 각도(측면)는 45° > (30°, 60°) (30°, 60°는 45°보다 휘도값이 작으며 서로간에는 각도에 따라 상이함) 순으로 나타났다.
각도별 위치에 따른 휘도값 차이가 큰 각도(측면)는 60° > 45° > 30°순으로 나타났다.
각도별 운전자 위치에서 정지선의 밝기(정면, 운전자 진행방향)는 30°> 45°= 60°순으로 나타났다.
각도별 운전자 위치에서 조도값 (정면, 운전자 진행방향)은 60° > 45° > 30°순으로 나타났다.
각도별 운전자 위치에서 휘도값 (정면,운전자 진행방향)은 60° > 45° > 30°순으로 나타났다.
사람이 인식하는 빛의 분포(넓이) 분석는 60° > 45° > 30°순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실험결과로30°는 정지선의 기능만 생각한다면, 정지선의 불빛이 제일 강했으나, 멀리서부터 오는 여러 대의 차량이 불빛을 인식하기는 다른 각도들에 비교하여 효과적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빛의 시각적 분포를 확인하여 보면, 45°와 60°는 그 범위나 넓으나, 60°의 정지선은 수직방향으로 뻗는 강한 빛이 더 많고, 구간별 조도차이가 제일 큰 각도로 운전자의 눈에 피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60°보다 45°의 불빛이 운전자 방향으로 넓게 불빛이 퍼짐을 확인 할 수 있다. 45°는 구간별로 휘도값이 고루 높은 것으로 보아, 단위 면적당 밝기가 제일 밝다.
모든 각도를 실험하였을 때 조도값과 휘도값은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절한 빛은 운전자에게 어느 정도의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빛이 부족하거나 과하게 되면 그 기능이 사라질 수 있다. 긴장감을 주되 운전 진로 방해에 방해되지 않으려면 멀리까지 빛이 퍼져나가는 빛이 제일 알맞을 것이다.
45°는 빛의 조도값 차이가 많이 나지 않고, 휘도값도 고루 높아서 운전자가 멀리서부터 진행할 때 눈에 피로를 느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실험1, 실험2, 실험 3의 결과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광속조정광원부(130), 광가이드부(150), 광투영부(170)를 조정하면 광원의 광속, 광도, 조도, 휘도를 조정하여 최적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조도와 휘도는 비례하고, 45도의 각도로 투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차량(10)
보행자(20)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
케이스부(110)
전류조절부(133)
온오프조절부(135)
광속조정광원부(130)
광가이드부(150)
광투사조정부(150')
제1 푸쉬모듈(151)
제2 푸쉬모듈(151')
제1 무빙모듈(152)
제2 무빙모듈(152')
제1 경사모듈(153)
제2 경사모듈(153')
제3 경사모듈(153'')
제1 회전모듈(154)
제2 회전모듈(154')
제3 회전모듈(154'')
광투영부(170)
결합모듈(180,180')
블럭회로부(190)
보행자 블록(200)
업커버부(210)
분산부(220)
LED 모듈(230)
다운커버부(240)
결합부(250)
베이스커버부(260)
압전발전모듈(300)
압전지지판(310)
탄성스프링부(320)
외력 전달부(330)
압전부재(340)
제1 압전부재(341)
제1전극(341a)
제1 압전체(341b)
제2 전극(341c)
제3전극(342a)
제2 압전체(342b)
제4 전극(342c)
제2 압전부재(342)
교류전원부(400)
컨트롤부(500)
파워트랜스부(510)
제어부(520)

Claims (11)

  1.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에 설치되는 정지선 LED큐브 블럭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
    상기 횡단보도와 인도상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행자 블록(200); 및
    상기 보행자 블록(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압전발전모듈(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은
    내압소재로 구성된 직육면체의 케이스부(110);
    상기 케이스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광속을 조정하는 전류조절부(133)와 온오프조절부(135)를 구비한 광속조정광원부(130);
    상기 광속조정광원부(130)와 연결되고 광도, 조도, 휘도를 조정하는 광투사조정부(150')를 구비한 광가이드부(150); 및
    상기 광가이드부(150)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부(110) 외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광투영부(1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150)는 제1 푸쉬모듈(151), 제1 무빙모듈(152), 제1 경사모듈(153), 제1 회전모듈(154)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사조정부(150')는 제2 푸쉬모듈(151'), 제2 무빙모듈(152'), 제2 경사모듈(153'), 제2 회전모듈(154'), 제3 경사모듈(153''), 제3 회전모듈(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사조정부(150')는 복수개의 탄성모듈(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사조정부(150')는 차량(1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광원이 투사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이 맞물리는 끼움구조로 구성되어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180,1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정지선 LED 큐브 블록(100)의 복수개의 상기 광속조정광원부(130)가 병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발전모듈(300)과 폐쇄적으로 연결되는 블럭회로부(1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AC 전원을 인가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교류전원부(400); 및
    상기 교류전원부(4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주기별로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컨트롤부(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500)는
    상기 압전발전모듈(300)에서 발생된 전기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다운시켜 공급되도록 전력을 변환시키는 파워트랜스부(510);
    상기 파워트랜스부(Power Control)를 통해 변환된 전력을 공급받아 각 기기로 웨이크업 구동신호를 보내고, 상기 압전발전모듈(300)와 교류전원부(400)와 연결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차량 정지선 LED 큐브 블럭 동작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5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선 LED 큐브 블럭 횡단보도 시스템.
KR1020180013165A 2018-02-02 2018-02-02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KR10209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65A KR102099375B1 (ko) 2018-02-02 2018-02-02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165A KR102099375B1 (ko) 2018-02-02 2018-02-02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51A KR20190093851A (ko) 2019-08-12
KR102099375B1 true KR102099375B1 (ko) 2020-05-15

Family

ID=676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165A KR102099375B1 (ko) 2018-02-02 2018-02-02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86B1 (ko) * 2020-07-09 2021-12-09 주식회사 글로벌에스텍 방호벽 일체형 도로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호벽
KR102264369B1 (ko) * 2021-01-12 2021-06-1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로드탑 모듈형 led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도로안전 표시 시스템
CN115206116B (zh) * 2022-07-19 2023-08-08 深圳技术大学 一种基于多元清洁能源的交通投影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19B1 (ko) * 2010-12-30 2013-06-14 (주)기술과가치 Led 시그널 블럭을 통한 횡단보도 시인성 개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851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375B1 (ko) 정지선 led 큐브 블록 횡단보도 시스템
JP4745184B2 (ja) 照明装置
US6809655B1 (en) Multi-mode signal
CN102143373B (zh) 用于二维或三维显示的装置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1703237B1 (ko) 횡단 보도용 쉘터
KR101587963B1 (ko) 도로용 시선 유도등
US11480854B2 (en) Vehicle side and rear exterior illumination and projection
KR20130041430A (ko) Led 조명부를 갖는 횡단보도용 신호등 장치 및 그의 횡단보도 조명 방법
US7808402B1 (en) Multi-mode traffic signal bulb assembly
JP7045879B2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及び車両
KR20200115911A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20150012479A (ko) 가시광 통신 차량의 광량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170044561A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제공시스템
JP590638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の調光システム
CN206988975U (zh) 一种多场景智能led路灯
KR20120103190A (ko) 반사판을 이용한 도로 표시 장치
KR101267012B1 (ko) 보행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안내 시스템
CN206036768U (zh) Led路灯系统
KR102093122B1 (ko) 볼라드
JP4552823B2 (ja) 地中埋め込み型照明装置による照明方法及び地中埋め込み型照明装置
KR102624786B1 (ko) 전기 차량의 충전 표시 장치
KR102664068B1 (ko) 전방 방향각 및 위험지역 조명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경광등
KR10174594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발광 지팡이
CN206431977U (zh) 一种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