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74B1 - 사용자 조립형 간판 - Google Patents

사용자 조립형 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74B1
KR102099174B1 KR1020180154919A KR20180154919A KR102099174B1 KR 102099174 B1 KR102099174 B1 KR 102099174B1 KR 1020180154919 A KR1020180154919 A KR 1020180154919A KR 20180154919 A KR20180154919 A KR 20180154919A KR 102099174 B1 KR102099174 B1 KR 10209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
assembly
bas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
Original Assignee
오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 filed Critical 오민
Priority to KR102018015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4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실내 간판의 문자를 조립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문자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닛; 및 상기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또는 상기 서브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호 조립되어 특정 문자를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조립형 간판{USER ASSEMBLY SIGNBOARD}
본 발명은 사용자 조립형 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스로 실내 간판의 문자를 조립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문자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에 관한 것이다.
간판은 건물의 외벽 또는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업소의 상호, 메뉴, 인테리어 등을 제공한다. 간판으로는 평면적으로 형성된 간판의 전면에 다수의 광고문구 또는 그림 등을 인쇄하고, 그 내부에 다수의 형광등을 설치하여 야간에 광고면이 잘 보이도록 하는 평면 간판과,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문자 형태를 이루도록 입체적으로 절곡시켜 벽면 또는 플레이트에 직접 앵커볼트로 결합시키는 입체 문자 간판이 제공되고 있다,
평면 간판은 다수의 형광등이 사용됨에 따라 폐형광등이 많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형광등을 사용함에 따른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며, 광고의 표현 방식이 제한적이어서 광고 효율이 높지 않다는 등의 이유로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반면, 입체 문자 간판은 입체적으로 광고 문자를 표현함에 따라 광고 효과가 향상됨은 물론 입체 문자 내에 발광체로서 형광등이 아닌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네온 등이 설치됨에 따라 전력 소비량이 감소되어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입체 문자 간판은 입체적인 형상 등 그 표현 방식을 더욱 다양하고 사실감 있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더욱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체 문자 간판은 간판에 적용되는 문자 및 문양을 제작 업체에서 미리 제작한 후, 이를 간판 설치 업체에서 인계받아 설치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설치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한번 설치 완료한 입체 문자 간판은 설치 현장에서 수정 변경이 불가능하고, 새로운 문자나 문양으로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 설치된 입체 문자 간판을 제거하고 새로운 입체 문자 간판을 다시 제작하여 설치해야 한다.
영세 소상공인들은 업종, 상호, 메뉴, 인테리어 등 간판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매번 새로운 간판을 제작하여 다시 설치해야 하므로, 그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기존 간판의 철거 및 폐기 처분에 따른 처리 비용 또한 증가하는 등 간판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많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실내 간판의 문자를 조립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문자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문자 조립형 단위 블록을 제공하여 필요할 때마다 단위 블록을 조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스스로 제작할 수 있어 새로운 문자 제작을 위한 간판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 배치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자연스러운 문자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문자 전체 또는 일부에 LED를 제공하여 문자에 대한 입체감, 인식률 및 인테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닛; 및 상기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또는 상기 서브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호 조립되어 특정 문자를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정 너비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의 일정 면적을 커버하거나 또는 도트(dot)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부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배치 가능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 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되거나 상기 단위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단위 조립체의 단위를 기반으로 NxM 행렬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위 조립체의 조립 형상에 따라 이웃하는 서브 유닛의 NxM 행렬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가 인쇄된 커버지로 제작되어 상기 단위 조립체의 조립 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단위 조립체 각각과 결합 홈 및 결합 돌기 또는 자력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조립체는 상기 문자 자체의 전체 블록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일정 크기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조립체는 상기 단위 블록으로 제작되는 경우 이웃하는 단위 블록 간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실내 간판의 문자를 조립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다양한 문자를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문자 조립형 단위 블록을 제공하여 필요할 때마다 단위 블록을 조립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스스로 제작할 수 있어 새로운 문자 제작을 위한 간판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문자 배치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자연스러운 문자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문자 전체 또는 일부에 LED를 제공하여 문자에 대한 입체감, 인식률 및 인테리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립형 간판(100)은 벽면(10)에 설치되는 베이스 유닛(110),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121)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닛(120), 및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121)에 따라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 또는 서브 유닛(120)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호 조립되어 특정 문자를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유닛(110)과 서브 유닛(120)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서 베이스 유닛(110) 또는 서브 유닛(120)이 생략될 수 있으며, 베이스 유닛(110)이 생략되는 경우 서브 유닛(120)이 직접적으로 벽면(10)에 설치되고, 서브 유닛(120)이 생략되는 경우 베이스 유닛(110)에 단위 조립체(130)가 탈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벽면(10)에 설치되어 서브 유닛(120)과 단위 조립체(130)를 벽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 등)를 통해 벽면(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접착 물질을 통해 벽면(10)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베이스 유닛(110)은 일정 너비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벽면(10)의 일정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110)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원형의 플레이트, 사용자 맞춤 모양의 플레이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 탈부착되는 서브 유닛(1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서브 유닛(120)의 하부면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베이스 유닛(110)은 핀과 같은 도트(dot) 형태로 형성되어 벽면(10)의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유닛(110)은 사용자가 설치할 문자의 모양에 따라 벽면(10)의 특정 위치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벽면(10)의 일정 면적 내에서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상부면에 탈부착되는 서브 유닛(1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서브 유닛(12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고 서브 유닛(1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10)은 상부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 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발광 부재(140)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원 공급 회로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발광 부재(140)는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 전체에서 일정 간격으로 고정 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배치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부재(140)는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 서브 유닛(120)의 전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발광 부재(140)는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면 단위 조립체(130)의 일부에서만 빛이 발광되도록 배치(140-1)되거나 또는 단위 조립체(130)의 전체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배치(140-2)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유닛(110)은 위치가 가변되는 발광 부재(140)의 설치를 위해 복수의 관통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관통 홈에 발광 부재(140)가 끼움 결합되어 상부면의 특정 위치에서 발광 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발광 부재(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회로는 베이스 유닛(110)을 관통하여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유닛(120)은 베이스 유닛(110)이 구비되는 경우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베이스 유닛(110)이 생략되는 경우 벽면(10)에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유닛(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플레이트 내에 단위 조립체(130)의 배치 위치를 안내하는 배치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치 가이드(121)은 단위 조립체(130)의 문자 형상에 따라 결정되고, 서브 유닛(120)의 제작시 간판 업체에서 인쇄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홈이나 오목 형상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가이드(121)는 단위 조립체(130) 문자의 특정 모서리 부분만 형성되어 단위 조립체(130)의 배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배치 가이드(121)는 서브 유닛(120)이 단위 조립체(130)의 조립을 통해 형성되는 특정 문자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서브 유닛(120)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서브 유닛(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되면 그 하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닛(110)이 투영되어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유닛(110)은 일정 너비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유닛(120)은 베이스 유닛(110)에 발광 부재(140)가 배치되면 발광 부재(140)에 의한 빛에 따라 단위 조립체(130)의 입체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고, 베이스 유닛(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별도의 인테리어를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간판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서브 유닛(120)은 단위 조립체(1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단위 조립체(130)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베이스 유닛(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유닛(110)은 일정 너비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트(dot)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벽면(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유닛(120)은 베이스 유닛(110)에 발광 부재(140)가 배치되면 단위 조립체(130)가 발광하게 되어 단위 조립체(130)의 입체감과 문자 형상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고, 베이스 유닛(110)에 사용자가 원하는 별도의 인테리어를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형 간판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유닛(12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혼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고하면, 서브 유닛(120)은 단위 조립체(130)의 단위를 기반으로 NxM(여기에서, N, M은 자연수) 행렬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단위 조립체(130)의 조립 형상에 따라 이웃하는 서브 유닛(120)의 NxM 행렬이 결정될 수 있다.
서브 유닛(120)은 단위 조립체(130)의 문자 형상에 따라 자연스러운 완성형 문자를 제작하기 위해 NxM 행렬을 가지는 복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NxM 행렬 플레이트 간에 슬라이드 또는 홈/돌기를 이용한 끼움 결합을 통해 이웃하는 플레이트 간에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유닛(120)은 제1 플레이트(120-1)와 제2 플레이트(120-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20-1)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치 가이드(120-11)와 제2 플레이트(120-2)를 구성하는 복수의 배치 가이드(120-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0-1)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문자(예를 들어, 가, 나, 다, 라 등)의 단위 조립체(13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플레이트(120-2)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문자(예를 들어, +, -, *, % 등)의 단위 조립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유닛(120)는 단위 조립체(130)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지는 특정 NxM 행렬 플레이트가 해당 단위 조립체(130)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고하면, 서브 유닛(120)은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121)가 인쇄된 커버지로 제작되어 단위 조립체(130)의 조립 후 베이스 유닛(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서브 유닛(120)은 베이스 유닛(110)에 임시로 부착되어 있다가 단위 조립체(130)가 부착된 후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서브 유닛(120)은 결합 홈 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베이스 유닛(110) 및 단위 조립체(130)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 또는 결합 홈 간의 끼움 결합으로 상호 결합되거나, 자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베이스 유닛(110) 및 단위 조립체(130)에 형성되는 자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단위 조립체(130)는 문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ㄴ, ㄷ, ㅏ, ㅑ, ㅓ 등과 같은 자음과 모음, A, B, C 등과 같은 알파벳, 1, 2, 3 등과 같은 숫자, 로마자, 특수문자 등 다양한 문자 자체의 전체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일정 크기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 제작되어 단위 블록의 조립을 통해 특정 문자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단위 블록의 조립은 이웃하는 단위 블록 간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위 조립체(130)는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121)에 따라 베이스 유닛(110)의 상부면 또는 서브 유닛(120)의 상부면에 탈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고하면 단위 조립체(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베이스 유닛(110)에 배치되는 발광 부재(140)에 의해 특정 부분의 단위 블록이 발광될 수 있다. 단위 조립체(130)는 베이스 유닛(110)에서 문자의 일부분 위치에만 발광 부재(140-1)가 배치되면 해당 위치의 단위 블록(130-1)만 발광하고 나머지 단위 블록(130-2)에서 발광하지 않고, 베이스 유닛(110)에서 문자의 전체 위치에 발광 부재(140-2)가 배치되면 모든 단위 블록(130-3)에서 발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위 조립체(130)는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브 유닛(120)을 관통하여 서브 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고, 관통되는 깊이가 조절되어 관통되는 깊이에 따라서 문자의 입체감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조립형 간판
110: 베이스 유닛
120: 서브 유닛
130: 단위 조립체
140: 발광 부재
10: 벽면

Claims (9)

  1.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문자에 대한 배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홈이나 오목 형상을 통해 형성되는 배치 가이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유닛;
    상기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 또는 상기 서브 유닛의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일정 크기의 단위 블록으로 분할 제작되어 이웃하는 단위 블록 간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움 결합을 통해 상호 조립되어 특정 문자를 형성하는 단위 조립체; 및
    상기 단위 조립체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유닛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홈에 가변적으로 끼움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일정 너비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의 일정 면적을 커버하거나 또는 도트(dot)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벽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되거나 상기 단위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단위 조립체의 단위를 기반으로 NxM 행렬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위 조립체의 조립 형상에 따라 이웃하는 서브 유닛의 NxM 행렬이 결정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문자에 대한 배치 가이드가 인쇄된 커버지로 제작되어 상기 단위 조립체의 조립 후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유닛은
    상기 베이스 유닛 및 상기 단위 조립체 각각과 결합 홈 및 결합 돌기 또는 자력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조립형 간판.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4919A 2018-12-05 2018-12-05 사용자 조립형 간판 KR10209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19A KR102099174B1 (ko) 2018-12-05 2018-12-05 사용자 조립형 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919A KR102099174B1 (ko) 2018-12-05 2018-12-05 사용자 조립형 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174B1 true KR102099174B1 (ko) 2020-04-09

Family

ID=702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919A KR102099174B1 (ko) 2018-12-05 2018-12-05 사용자 조립형 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887A (ko) * 2002-12-16 2004-06-25 이종만 자성체를 이용한 간판
KR200444709Y1 (ko) * 2009-02-19 2009-05-29 주식회사 유일컴 문자부착용 간판구조
KR20090109995A (ko) * 2008-04-17 2009-10-21 진점남 퍼즐 조립식 시그널 표시장치
KR20100072136A (ko) * 2008-12-20 2010-06-30 (주)간연사 배경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립식 프레임 광고간판
KR20120094612A (ko) * 2011-02-17 2012-08-27 김병수 탈부착이 쉽고 다양한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는 간판
KR20150139122A (ko) * 2014-06-02 2015-12-11 주식회사모던디자인 광고내용의 탈부착이 가능한 간판
KR20180043053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셈앤텍 입체 문자 간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3887A (ko) * 2002-12-16 2004-06-25 이종만 자성체를 이용한 간판
KR20090109995A (ko) * 2008-04-17 2009-10-21 진점남 퍼즐 조립식 시그널 표시장치
KR20100072136A (ko) * 2008-12-20 2010-06-30 (주)간연사 배경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조립식 프레임 광고간판
KR200444709Y1 (ko) * 2009-02-19 2009-05-29 주식회사 유일컴 문자부착용 간판구조
KR20120094612A (ko) * 2011-02-17 2012-08-27 김병수 탈부착이 쉽고 다양한 글자체를 사용할 수 있는 간판
KR20150139122A (ko) * 2014-06-02 2015-12-11 주식회사모던디자인 광고내용의 탈부착이 가능한 간판
KR20180043053A (ko) * 2016-10-19 2018-04-27 주식회사 셈앤텍 입체 문자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5177U (ja) 光る看板の構造
KR102099174B1 (ko) 사용자 조립형 간판
KR20120004712U (ko) 발광 간판
KR102214597B1 (ko) 채널간판 조립체
KR20090001569U (ko) 엘이디 조명 아크릴 간판
KR20090102381A (ko) 도광판을 이용한 사인 및 조명 장치
JP6753626B1 (ja) 発光看板
KR100566372B1 (ko) 광고용 간판
KR20020029057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20230051357A (ko) 플렉시블 led를 이용한 간판
KR200450592Y1 (ko) 후광 효과를 가지는 면발광 채널 간판
KR200209791Y1 (ko) 입체형 광고문자
KR100814118B1 (ko)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KR200311613Y1 (ko) 광고장치
KR100814120B1 (ko) 측광 및 후광을 이용한 문자나 도형 광고용 간판
KR20150004557U (ko) 엘이디 모듈 간판
KR200487069Y1 (ko) 다색 엘이디 사인 간판
KR200427728Y1 (ko) 다기능 게시판
KR100814369B1 (ko) 광고조명용채널
KR20090012157U (ko) 간판
RU27878U1 (ru) Средств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наружной рекламы (варианты)
KR200364225Y1 (ko) 다중 디스플레이식 광고 간판
KR200449929Y1 (ko) 조립식 채널 사인
KR200282956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101307543B1 (ko) Led 문자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