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956Y1 -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956Y1
KR200282956Y1 KR2020020010016U KR20020010016U KR200282956Y1 KR 200282956 Y1 KR200282956 Y1 KR 200282956Y1 KR 2020020010016 U KR2020020010016 U KR 2020020010016U KR 20020010016 U KR20020010016 U KR 20020010016U KR 200282956 Y1 KR200282956 Y1 KR 200282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advertisement display
light
display panel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김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현 filed Critical 김재현
Priority to KR2020020010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956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투과체의 차광막에 의해 소정영역이 투과영역으로 되어 문자 및 도형(이하 광고표시부라 함)등이 형성되는 광고표시판과, 상기 광고표시부의 영역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의 빛을 광고표시판의 배면에 조사하되 독립된 연출이 필요한 영역내의 인접한 LED들을 조사면적이 서로 약간씩 중첩되게 배치 고정시킨 LED 고정보드와, 광고표시판의 배면측과 LED 고정보드 사이에 선택적으로 당접 입설되는 차광판으로 구성되는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광고표시판 중에서 광고표시부에 설정된 각각의 영역에만 다수의 LED가 발광 조사되도록 LED 고정보드에 LED를 배치 고정하고, 독립된 연출이 필요한 영역은 입설되는 차광판에 의해 내부구획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 취부되는 LED의 빛이 다른 내부구획공간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독립된 연출이 필요한 영역간의 빛의 간섭을 막으며, 광고표시판의 광고표시부 이외의 부분에는 차광막을 구성하여 광고표시판에 표현된 광고표시부의 섬세한 부분까지 선명하고 균일한 면 형태의 광고 투과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부의 다양한 LED 제어로 점등 및 점멸은 물론 색깔의 변화도 줄 수 있어 자유로운 연출을 통한 고품위의 광고를 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The advertisement-board by using LED}
본 고안은 빛을 발하는 반도체 소자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표시판 중에서 광고표시부에 설정된 각각의 영역에만 다수의 LED가 발광 조사되도록 LED 고정보드에 LED를 배치 고정하고, 독립된 연출이 필요한 영역은 입설되는 차광판에 의해 내부구획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 취부되는 LED의 빛이 다른 내부구획공간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독립된 연출이 필요한 영역간의 빛의 간섭을 막으며, 광고표시판의 광고표시부 이외의 부분에는 차광막을 구성하여 광고표시판에 표현된 광고표시부의 섬세한 부분까지 선명하고 균일한 면 형태의 광고 투과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프로그램을 통한 제어부의 다양한 LED 제어로 점등 및 점멸은 물론 색깔의 변화도 줄 수 있어 자유로운 연출을 통한 고품위의 광고를 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정보매체의 발달과 산업발달에 따라 자신이 취급하는 업무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타인에게 알리기 위한 광고문화가 전반적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보다 효과적이며 시각적이고 저렴한 비용에 의한 광고효과를 기대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같은 광고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현대인들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한 정보수취 수단으로 자리매김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의 흐름이 갈수록빨라지고 있음에 따라 이를 위한 다양한 정보전달의 매체들 또한 발달하고 있고, 광고주들은 보다 빠르고 다양하게 소비자들에게 정보 전달을 위한 다수의 광고매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상품 및 기업 광고를 위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철역, 노변 등에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서 된 광고판을 이용하고 있는바, 종래의 광고장치에는 주로 형광등이나 네온등 등을 광원으로 사용하여 왔다.
상기의 광고장치 중 형광등을 사용한 대표적인 광고장치인 후렉스간판은 가격이 저렴하고 섬세한 문자 또는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광원으로 형광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 광고판의 두께가 상당하고 수명이 짧으며, 사용된 문자 또는 도형에 점멸 등의 연출 효과를 줄 수 없어 상당히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네온간판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연출효과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압 방전관의 사용으로 가격이 높고 전력 소모가 상당하며 고장이 잦고 사용수명이 짧으며 광고판의 두께가 두껍고, 섬세한 문자 또는 도형 등을 표현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선 형태로 발광되므로 면 형태의 광고를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하고, 특히 주간에는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LED를 사용한 일반적인 전광판의 경우,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전체 면적에 LED를 일정한 격자형태로 배치하고 LED에서 발광되는 점 형태의 빛을 직접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연출의 폭이 매우 넓은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높고 문자 및 도형 등의 섬세하고 미려한 표시에는 애로가 있으며,특히 정해진 문자 및 도형만을 표현하는 단순한 광고판으로는 용도에 비하여 가격이 높아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같이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혼색성 및 화이트밸런스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배광특성을 ◎힘과 동시에 고휘도화를 도모하기 위한 공개번호 특1998-087151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설치방법 및 작업이 까다롭고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문자 및 도형 등을 표현하기 위한 광고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만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고휘도의 광지향성(廣指向性) LED를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하여 광고판 두께의 최소화 및 원가를 절감하며, 독립적인 광고 연출을 원하는 광고표시부에 대해서는 상호간의 빛의 간섭을 막기 위해 구분을 원하는 곳에 차광판을 선택적으로 입설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이루기 위해 조사된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확산성이 우수한 재질의 판을 설치하되 연출을 원하는 광고표시부를 제외한 부분에 차광막을 구성하여 광고표시부의 섬세한 면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부의 다양한 LED 제어로 광고표시부를 자유롭게 연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의 분리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LED고정보드로서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 함)을 이용한 경우 LED가 취부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작조건에 따라 LED고정보드로서 PCB의 사용에 제약이 따른 경우 대체용 LED고정보드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3a 및 3b는 고휘도의 협지향성(狹指向性) LED 및 광지향성(廣指向性) LED가 조사되는 각도를 나타낸 각각의 부분 단면도들,
도 4a는 협지향성(狹指向性) LED에 의해 조사되었을 경우 광고표시판과 LED 고정보드간의 이격거리 및 LED간 거리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광지향성(廣指向性) LED에 의해 조사되었을 경우 광고표시판과 LED 고정보드간의 이격거리 및 LED간 거리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와 5b는 LED 고정보드로서 PCB대체용 LED고정보드를 사용한 경우 LED 및 차광판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LED 고정보드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5c는 LED 고정보드로서 PCB를 사용하여 LED 및 차광판 그리고 LED 제어에 필요한 각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PCB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d는 도 5c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광고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광고판 110; 본체 프레임 111; 홈
120; LED고정보드 121; 구멍 122; 내부구획공간
130; 차광판 131; 돌기 140; 광고표시판
141; 광고표시부 142; 차광막 150; LED
170; 후면커버판 171; 전면커버판
P; 인쇄회로기판(PCB) θ12); 투사각 λ12); 투사영역
A1(A2); 교차면적 B1(B2); 조사면적
h1(h2); 광고표시판과 LED 고정보드간 거리
d1(d2); LED간 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LED(150)를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한 점등 및 점멸로 광고표시판 (140)에 표현된 광고표시부(141)에 투과 및 확산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어부(C)를 포함하는 LED 고정보드(120), 본체 프레임(110), 후면커버판(170), 광고표시판(140),전면커버판(171) 등으로 구성되는 광고판(100)에 있어서,
광고표시부(141)와 차광막(142)을 갖는 광고표시판(140)과,
상기 광고표시부(141)의 영역에 따라 LED(150)의 빛 투사영역에 의해 광고표시판(140) 배면에 조사되고 조사면적이 약간씩 중첩되도록 이격 고정되는 LED(150) 배치 구조를 갖는 LED 고정보드(120)와, 광고표시판 배면측과 LED 고정보드(120) 사이에 선택적으로 당접 입설되는 차광판(130)으로 구성되는 광고판(100)에 관한 것으로, 광고표시부(141)의 표현 모양에 따라 구획되는 내부구획공간(122)에 다수의 LED(150)를 배치·고정하여 연속되는 면 형태의 광고면이 선택적으로 선명하고 섬세하게 투과, 투영될 수 있는 광고판을 제공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반도체 소자인 LED(150)를 이용하여 광고판(100)을 형성하되, 그 광고판(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표시판(140)에 표현된 광고표시부(141)가 LED(150)로부터 투광, 투사될 때 그 표현된 광고표시부(141)의 면이 세밀하고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는 광고판(100)을 제공한다.
이와같은 광고판(100)은 다수의 LED(150)를 배치하기 위한 LED 고정보드(120)와, 본체 프레임(110) 및 본체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다양한 광고표시부(141)가 형성된 광고표시판(140),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후면부에 고정되는 후면커버판(170) 및 전면부측에 커버되는 전면커버판(171)과 LED(150)의 점등 및 점멸을 입력된 프로그램의 순서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로 구성된다.
상기의 LED(150)는 도 3a와 도 3b에서 조사되는 빛의 투영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협지향성(狹指向性)의 LED(150)보다는 광지향성(廣指向性)의 고휘도 LED(1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θ1〈 θ2)
즉, 도면(도 3a, 4a 참조)에서 보듯이 LED(150)의 조사 각도가 예각(θ1)을 이룰 경우 그 투사영역(λ1)이 좁게 되어, 본 고안의 목적 중의 하나인 균일한 면의 자연스럽고 세밀한 연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LED(150)로부터 투영면적이 조금씩 중첩되어 조사되는 교차면적(A1)을 갖도록 LED(150)간의 이격거리(d1)를 좁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한 LED(150)의 좁은 조사각(θ1)을 고려할 때 설정영역에 설치되는 LED(150) 사용개수의 증가 등 다수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도 3b 및 도 4b에서 보듯이 고휘도의 광지향성(廣指向性) LED(150)를 사용하여 그 조사각(θ2)이 둔각을 이루도록 하면,광고표시판(140)과 LED(150)간 거리(h2)를 가깝게 유지하여 광고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투사영역(λ2)간 중첩되는 교차면적(A2)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어 고정 설치되는 LED(150)의 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a에서 보듯이 LED(150)의 투사영역(λ1) 즉, 광고표시판(140)에 맺히는 조사면적(B1)을 넓게 하기 위해 상기 광고표시판(140)과 LED(150)간의 거리 (h1)를 멀리 유지하면 광고판(100)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LED(150)간 이격거리(d1)를 가깝게 유지해야 되며, 이와같이 구성할 경우 상당히 많은 LED(150)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등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현상을 피하기 위해 LED(150)의 조사각(θ2)이 둔각을 이루는 광지향성(廣指向性) LED를 사용하여 그 조사면적(B2) 즉 투사영역(λ2)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투사영역(λ2)을 고려하여 선정된 광지향성(廣指向性) LED(150)를 후술하는 LED 고정보드(120)에 설치하게 되는데, 각 LED(150)간의 상호 간섭 투영에 의한 교차면적(A2)과 조사면적(B2)의 구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고표시판(140)에 투영되는 빛의 세기 및 확산성을 고려하여 최적이 되는 거리(d2)만큼 각 LED(150)들이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의 LED 고정보드(120)와 광고표시판(140)간의 이격거리(h2)는 전체적 광고판(100)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각 LED(150)들의 투사영역(λ2)에 의한 교차면적(A2)이 적절히 형성되도록 하여 광고표시부(141)에 표현되는 광고면이 선(LINE) 또는 점(POINT) 투영과 같은 부분적 집중 투사에서 탈피하여 균일한 면(SPACE) 투영을 이루도록 하여 그 선명도 및 세밀함과 자연스러운 연출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LED 고정보드(120)는 상기한 LED(15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5c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 함; P)을 사용하면 배선은 물론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C) 등을 상기 LED 고정보드(120)의 빈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량 생산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도 5a와 같이 합성수지판 등을 사용하면 제어부(C)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PCB를 LED 고정보드(120)의 배면에 부착하여 배선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광고판의 크기 또는 소량 생산에 의한 LED 고정보드(120)로서의 PCB의 사용이 부적합한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한편 이와같이 LED 고정보드(120)로서 다수의 부품이 표면에 실장되어 회로를 구성하는 PCB(P)를 사용하여 제어부(C)를 구비하고 입설되는 LED(150)를 배열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합성수지재 등의 판을 이용하여 상기 LED(150)를 광고표시부(141)의 설정영역에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게 배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C) 등을 포함하는 PCB(P)와 접합하여 설치 할 수도 있는바, 간판 크기 또는 생산 규모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설명에서는 상기 LED 고정보드(120)로서 PCB(P)를 사용한 것에 의한 실시예로 설명한다.
PCB(P)로 구성되는 LED 고정보드(120)에 광고표시부(141)에 해당되는 설정영역을 고려하여 각각 LED(150)를 적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상에 삽입 고정한고 제어회로에 필요한 부품 등을 차광판의 설치에 구애받지 않는 공간에 설치한다.
그런다음, 광고표시부(141)의 설정영역을 따라 차광판(130)을 상기 LED 고정보드(120)에 각각 입설하여 광고표시부(141)에 해당되는 내부구획공간(122)에만 LED(150)가 위치되는 형상을 갖도록 하고 LED(150)의 빛 조사시 광고표시부(141)로 이루어진 광고영역에만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제어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C)에 의해 LED(150)의 점멸, 점등을 제어토록 하게 된다.
이와같이 되는 LED(150)는 조사될 때, 상기의 차광판(13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타 영역, 즉 독립적인 연출이 필요한 분할된 광고문자 또는 광고 그림 등의 영역으로 확산되거나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선택 분할된 광고표시부(141)에 각각의 고유한 색상으로 선택된 LED(150)의 빛 조사가 이루어져 선명하며 섬세한 광고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차광판(130)의 입설 높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LED(150)간의 거리(d2) 및 조사각(θ2)과 그 투사영역(λ2)의 간섭영역 즉, 조사면적(A2)간 교차되는 교차면적(B2)을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상기한 LED 고정보드(120)와 광고표시판(140) 및 전면커버판(171)과 후면커버판(170) 등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 프레임(110) 내주면측에 각각 홈(111)을 형성하여 상기한 각각의 판(100, 120, 140, 170, 171)들이 내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고표시판(140)은 광고주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문자 및 광고 그림 등으로 되는 광고표시부(141)를 표현하기 위한 일반적 수단이며, 이와같은 광고판(100)의 재질은 LED(15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그대로 외부에 투과되는 것이 아니라 광고표시판(140)에서 확산분포 되도록 하는 확산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확산성이 우수한 재질의 광고표시판(140)을 사용함으로써 광고표시부(141)의 섬세한 부분까지도 균일하며 밝고 선명한 면 형태로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확산성이 우수한 재질의 광고표시판(140)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합성수지판등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광고표시부(141)를 제외한 다른 영역은 필름을 부착하거나 인쇄를 하여 형성되는 차광막(142)을 상기 광고판(100)의 광고표시판(140)의 전면 또는 후면에 구성하여 빛이 투과 및 확산되는 광고표시부(141)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빛이 투과되지 못하는 비투과영역으로 분할 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판(170, 171)은 본체 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광고표시부(141)를 갖는 광고표시판(140)이 있는 전면부측의 전면커버판(171)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고정되고, 후면부측의 후면커버판(170)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체로 된다. 그러나, 본체 프레임의 전·후면부 양면에 각각 광고표시판(140)을 개재할 수 있는바, 이때에는 전·후면에 각각 투과체의 전면커버판(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먼저 광고주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문안 또는 그림 등으로 되는 광고표시부(141)를 결정하게 되면, 그 광고표시부(14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따라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필름을 부착시키거나 인쇄를 하여 광고표시판(140)을 구성하고 선택된 광고표시부(141)의 영역에 의해 LED(150)를 LED 고정보드(120)에 배치·고정한다.
이때 각양각색의 LED(150)를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독립적인 연출을 원하는 광고표시부(141)에 따라 LED 고정보드 (120)에 분할영역을 따라 차광판(130)을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 입설 시키거나 또는 하단에 돌기(131)가 형성된 차광판(130)을 광고표시부(141)를 따라 LED 고정보드(120)에 형성한 다수개의 구멍(121)에 끼워 입설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상기한 바와 같이 LED(150)의 조사각(θ2) 및 투사영역(λ2)과 조사면적(B2)를 고려하여 상호 각각의 LED(150)에 따른 조사면적(B2)이 하나의 분할영역 내에서는 교차면적(A2)을 갖고 조사 가능하도록 LED(150)간 이격거리(d2)를 유지하여 입설 고정하게 된다.
이와같이 분할영역에 따라 차광판(130)을 입설하고, 그 내부구획공간(122)에 각각 조사각(θ2)에 따른 투사영역(λ2)을 고려하여 조사면적(B2)이 적절히 중첩되어 교차면적(A2)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LED(150)를 고정하고, 제어부(C)에 의해 점등 및 점멸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C)의 제어프로그램은 선택된 광고표시부(141)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설정영역을 따라 다수의 LED(150)와 제어부(C)의 부품 등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차광판(130)을 분할된 내부구획공간(122)을 따라 입설 고정하게 되고, 본체 프레임(110) 전면부에 광고표시부(141)가 형성된 광고표시판(140)을 본체 프레임(110) 내측 홈(111)을 따라 고정한 후 투과체의 전면커버판(171)으로 커버링하고, 배면부측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비투과체의 후면커버판(170)으로 커버하여 광고판(100)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광고판(100)은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 및 대형 간판 등에도 채택 가능하며, LED(150)의 순차적 점멸·점등과 색상의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구획 분할된 영역에 따라 조사되는 빛에 의해 면 투영효과 및 세밀한 부분까지 선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광고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LED 고정보드에 광고표시부를 따라 구획되며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여 설정영역에만 조사 가능하도록 하는 차광판을 구비하여 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교차면적에 의해 균일한 면 조사 효과를 이루게 되므로, 광고표시부의 미세한 문자 및 도형 등에 섬세한 조사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광고표시판과 LED간의 거리를 상당히 가깝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적 광고판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설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간결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확산성이 우수한 재질의 광고표시판에 의해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점이나 선 표현은 물론 면 투영에 의한 광고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되므로 순차적 LED 점등, 점멸에 따른 면투영 방법이 가능하게 되어, 광고매체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광지향성(廣指向性) LED에 의해 둔각의 투사각을 형성하여 조사면적에 의한 교차면적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LED간에 상당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LED의 소요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른 전력소비량의 절감 및 LED의 고장에 따른 유지보수비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LED(150)를 이용하여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점등, 점멸되어 광고표시판 (140)에 표현된 광고문자 및 도형 등의 광고표시부(141)에 투과되어 광고되는 상기 제어부(C)를 포함하는 LED 고정보드(120), 본체 프레임(110), 커버판(170,171), 광고표시판(140) 등으로 되는 광고판(100)에 있어서,
    비투과체의 차광막(142)에 의해 소정영역이 투과영역으로 되는 광고표시부 (141)가 형성되는 광고표시판(140)과,
    상기 광고표시부(141)의 연출 내용에 의한 구획설정 영역을 따라 차광판(130)이 상기 광고표시판(140) 배면측과 당접되며, 광고표시판(140)과 LED 고정보드(120)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내부구획공간(122)을 따라 LED(150)의 빛이 투사영역(λ2)에 의해 광고표시판(140)의 배면에 조사되며, 조사면적(B2)이 교차면적(A2)을 갖는 간격(d2)으로 이격 고정되는 LED(150)를 갖는 LED 고정보드(120)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고정보드(120)에 다수의 구멍(121)이 다수열 배열 배치 천공되고, 광고표시판(140)의 해당 광고표시부(141)의 설정 영역을 따라 구획되는차광판(130)의 하단에 돌기(131)를 고정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3. 제 1 항에 있어서,
    광지향성(廣指向性) LED(120)의 빛 투사각(θ2)이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고정보드(120)는 제어부(C)를 갖는 인쇄회로기판(PCB, P)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2020020010016U 2002-04-03 2002-04-03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200282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16U KR200282956Y1 (ko) 2002-04-03 2002-04-03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016U KR200282956Y1 (ko) 2002-04-03 2002-04-03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164A Division KR20020029057A (ko) 2002-04-03 2002-04-03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956Y1 true KR200282956Y1 (ko) 2002-07-24

Family

ID=7312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016U KR200282956Y1 (ko) 2002-04-03 2002-04-03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26A (ko) * 2003-03-12 2004-09-20 강석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보드
KR101350047B1 (ko) 2012-06-25 2014-01-13 양희곤 엘이디를 이용한 면발광 인등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26A (ko) * 2003-03-12 2004-09-20 강석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보드
KR101350047B1 (ko) 2012-06-25 2014-01-13 양희곤 엘이디를 이용한 면발광 인등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591A (en) Sign with indirect illumination from light emitting diodes
JP3145177U (ja) 光る看板の構造
JPWO2006003913A1 (ja) 面状光源および電飾看板
KR20020029057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KR101039205B1 (ko) 광고용 led 간판
JP2008256920A (ja) 看板用照明切文字
KR101186454B1 (ko) 입체 간판용 광확산 3면 구조체
KR101911467B1 (ko) 라이팅 광고 패널
KR200282956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WO2009093131A1 (en) Illuminated signage and advertising display device
KR101106152B1 (ko) 주야 변환형 사인보드
KR102141402B1 (ko) 아크릴 광고판 엘이디 조명장치
KR20090001569U (ko) 엘이디 조명 아크릴 간판
KR100753963B1 (ko) 발광 엘이디 사인물
KR102241408B1 (ko) 에지형 면광원 양방향 표지판
KR200450592Y1 (ko) 후광 효과를 가지는 면발광 채널 간판
JP4031735B2 (ja) 発光表示装置
KR100999001B1 (ko) Led간판
KR200346369Y1 (ko) 광고장치
KR20090003869U (ko) 광고판
JP4975604B2 (ja) 自光式標識構体
KR20130122200A (ko) 난반사 확산을 이용한 면 발광 광고 장치
KR200394336Y1 (ko) Led 램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5466B1 (ko) 광원과 반사판을 이용한 광고용 간판
KR20050012317A (ko) 백라이트와 이를 이용한 광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