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55B1 -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55B1
KR102099155B1 KR1020190128995A KR20190128995A KR102099155B1 KR 102099155 B1 KR102099155 B1 KR 102099155B1 KR 1020190128995 A KR1020190128995 A KR 1020190128995A KR 20190128995 A KR20190128995 A KR 20190128995A KR 102099155 B1 KR102099155 B1 KR 10209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 ash
paddle
mixer
stabilization devic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도
Original Assignee
대구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환경공단 filed Critical 대구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9012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30Incineration ashes
    • B09B222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플라이 애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급슈트와, 공급슈트를 통과한 플라이 애쉬를 물 및 킬레이트와 혼합하는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구에 배치되고 혼합기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와, 혼합기로 유입되는 플라이 애쉬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STABILIZATION DEVICE FOR FLY ASH}
본 발명은 플라이 애쉬를 안정화물(고형물)로 만들기 위한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 또는 소각장 등에서는 석탄이나 중유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를 이용하는데, 연소 과정에서 플라이 애쉬(fly ash)가 발생한다. 플라이 애쉬는 석탄 또는 중유 등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회분을 굴뚝에서 전기 집진기로 포집한 연소재로서 구상인 입자 크기는 시멘트와 같은 정도이고 알루미나(Al2O3)와 실리카(SiO2)가 주성분이며 주로 콘크리트의 혼화재로서 사용된다.
특히, 소각장에서는 분진 제거 목적으로 간단한 전기 집진기를 채택해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분진 및 비산재 제거, 중금속 흡착, 다이옥신(dioxin) 제거를 목적으로 고효율 백필터(여과식 집진기)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약제인 소석회 및 활성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연소 과정에서 폐열보일러 및 조온탑, 백필터에서 플라이 애쉬(fly ash)가 발생한다. 포집된 비산재는 고형화 처리 공정에서 약품(chelate)와 물을 혼합해서 중금속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고형화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플라이 애쉬는 주로 시멘트 혼화재, 성토재, 토지 개량재, 경량 골재 등과 같은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된다. 플라이 애쉬는 시멘트 혼화재 등으로 생성되기 이전에 안정화 공정을 거쳐서 고형화 될 필요가 있다. 플라이 애쉬를 안정화 하기 위해서는 플라이 애쉬에 물과 킬레이트(chelate)를 혼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를 위한 장치는 플라이 애쉬에 물과 킬레이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mixing device)를 포함하고, 혼합기의 전단에는 플라이 애쉬가 공급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슈트(chute)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플라이 애쉬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에 의해서 슈트가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혼합기가 비정상적으로 운용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플라이 애쉬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에 의해서 혼합기 내부의 패들이 쉽게 마모되거나 과부하가 발생해서 모터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종래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플라이 애쉬와 물이 혼합된 상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로 인해 혼합물의 중량이 증가해서 처리 비용이 증가하고 최종 처리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을 소모하게 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5566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플라이 애쉬의 원활한 혼합이 가능한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플라이 애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급슈트와, 공급슈트를 통과한 플라이 애쉬를 물 및 킬레이트와 혼합하는 혼합기와, 혼합기의 출구에 배치되고 혼합기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와, 혼합기로 유입되는 플라이 애쉬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슈트는, 플라이 애쉬의 이동 통로에 해당하는 공급덕트와, 공급덕트의 내부에 구비된 메쉬와, 공급덕트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조인트와, 공급덕트에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확장조인트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한 쌍이 구비되고, 바이브레이터는 한 쌍의 확장조인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혼합기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들결합돌기와, 패들결합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들은 패들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베이스에서 단부 방향으로 그 폭이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제1 패들과, 베이스에서 특정 높이에서부터 그 폭이 확장되는 제2 패들을 포함하고, 제1 패들은 제2 패들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바이패스부는, 공급슈트의 측면에 형성되어 플라이 애쉬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과, 제1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플라이 애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과, 수납공간의 플라이 애쉬를 이송해서 재투입 할 수 있게 하는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혼합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혼합물의 이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컨베이어를 차폐하는 커버와,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차단용커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이 애쉬와 첨가제(물 및 킬레이트)의 원활한 혼합이 가능한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지 보수가 편리하고 세정이 용이한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에서 혼합기의 전단에 설치된 공급슈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공급슈트의 내부에 설치된 메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에서 공급슈트의 측면에 설치된 바이패스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에서 혼합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에서 혼합기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혼합기에 구비된 패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예시된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의 건조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사일로(102)에 투입되거나 포집된 플라이 애쉬에 물과 킬레이트를 혼합 및 건조해서 안정화(고형화)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물과 킬레이트를 혼합기(130)에 공급하는 혼합탱크(180)를 포함한다. 혼합탱크(180)는 혼합기(130)의 내부에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가 100:25:1 정도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물과 킬레이트의 혼합물을 제공한다. 혼합탱크(180)에 사용되는 물은 추후 건조기(160)에서 수분 증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물과 킬레이트가 각각 별도의 탱크에서 혼합기(130)에 제공될 수 있다.
플라이 애쉬를 공급하는 사일로(102)는 안정화 장치(100)의 최상부에 위치한다. 사일로(102)에서 배출된 플라이 애쉬는 배관을 통해서 하향 이동하면서 공급슈트(110)에 투입되어 이물질(도시하지 않음)이 메쉬(도3의 도면부호 120)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 혼합기(130)에 투입된다. 혼합기(130)의 내부에서 플라이 애쉬는 혼합탱크(180)에 의해 공급된 물 및 킬레이트와 혼합된 후 분쇄기(152)에 의해서 파쇄되어 그 부피가 감소한다. 그리고 분쇄기(152)를 통과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의 혼합물은 건조기(160)를 통과하면서 건조되어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플라이 애쉬가 혼합기(130)의 내부에 투입되기 이전에 메쉬를 통해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때문에 혼합기(130) 고장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플라이 애쉬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건조기(160)에 의해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의 혼합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혼합물의 무게 감소로 인해서 처리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추후 혼합물을 더욱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플라이 애쉬가 혼합기(130)에 투입되기 이전에 바이패스해서 별도의 수납공간(196)으로 배출하는 바이패스부(190)를 구비한다. 바이패스부(190)는 혼합기(130)가 고장 등에 의해서 작동하지 않을 때 사일로(102)에 과다 적재된 플라이 애쉬를 수납공간(196)으로 배출해서 추후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에서 혼합기(130)의 전단에 설치된 공급슈트(11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공급슈트(110)의 내부에 설치된 메쉬(12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공급슈트(110)는 혼합기(130)의 전단에 배치되어 플라이 애쉬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플라이 애쉬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슈트(110)는 플라이애쉬의 이동 통로에 해당하는 공급덕트(112)를 포함한다. 공급덕트(112)의 하단부는 혼합기(130)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덕트(112)의 내부에는 메쉬(120)가 구비되어 있다. 메쉬(120)는 SUS304와 같은 금속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홀 크기는 10~30mm에 해당할 수 있다. 플라이 애쉬에 포함된 금속 이물질 등은 메쉬(120)에 의해서 필터링 될 수 있다.
공급덕트(112)는 두 개의 확장조인트(114, 116)를 구비한다. 제1 확장조인트(114)는 제2 확장조인트(116)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확장조인트(114) 및 제2 확장조인트(116) 사이에서 공급덕트(112)의 외주면에는 바이브레이터(118)가 구비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118)는 제1 확장조인트(114) 및 제2 확장조인트(116)에 의해서 양 단이 플렉서블하게 형성된 공급덕트(112)의 진동영역(113)에 진동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메쉬(120)는 진동영역(113)의 내부에서 제2 확장조인트(11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8)에 의해서 진동하는 진동영역(113)의 내부에 메쉬가 위치하기 때문에, 플라이 애쉬에 포함된 이물질의 필터링 효율을 높이고 플라이 애쉬의 이송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확장조인트(114) 및 제2 확장조인트(116)는 금속 재질의 벨로우즈 또는 고무 재질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영역(113)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바이브레이터(118)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덕트(112)의 외주면에는 윈도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122)는 공급덕트(112)의 내부 및 메쉬(12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윈도우(122)를 통해서 공급슈트(110)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고, 메쉬(120)에 의해 필터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급슈트(11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플라이 애쉬는 혼합기(130)의 내부에 투입되어서 물 및 킬레이트와 혼합된다.
도 4는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에서 공급슈트(110)의 측면에 설치된 바이패스부(19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바이패스부(190)는 공급슈트(110)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이송수단(194)을 구비한다. 제1 이송수단(194)은 이송 컨베이어 또는 이송 스크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이송수단(194)은 플라이 애쉬를 공급슈트(110)로 공급되지 않고 별도의 수납공간(196)으로 바이패스하게 한다. 따라서 제1 이송수단(194)에 의해서 이송된 플라이 애쉬는 수납공간(196)의 내부에 투입된다. 제1 이송수단(194)은 혼합기(130)의 고장 또는 수리와 같이 혼합기(13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작동할 수 있다.
수납공간(196)의 내부에 투입된 플라이 애쉬는 제2 이송수단(198)에 의해서 투입호퍼(192)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수납공간(196)의 플라이 애쉬는 투입호퍼(192)를 통해서 재투입되어서 공급슈트(110)를 통과해서 혼합기(130)에 공급될 수 있다. 제2 이송수단(198)은 호이스트(hoist)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이송수단(198)은 혼합기(130)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 작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에서 혼합기(130)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도면이고, 도 8은 혼합기(130)에 구비된 패들(146, 148)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혼합기(130)는 그 내부에 투입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를 혼합해서 혼합물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혼합기(130)는 모터(132)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전 속도를 감속기(136)를 통해서 감속한 후 기어박스(142)를 통해서 두 개의 샤프트(144)에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모터(132)는 모터풀리(134)를 구비하고, 감속기(136)는 감속기풀리(138)를 구비한다. 모터풀리(134) 및 감속기풀리(138)는 V 벨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된다. V 벨트는 수리가 용이하고 유지비가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감속기(136)는 기어박스(142)와 커플러(도면부호 없음)에 의해서 연결된다. 기어박스(142)는 하나의 회전 입력을 두 개로 형성한다. 따라서 기어박스(142)의 출력측에는 두 개의 샤프트(144)가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샤프트(144)는 동일한 길이 및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44)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패들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들결합돌기에는 제1 패들(146) 및 제2 패들(148)이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에는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너트키(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패들(146) 및 제2 패들(148)은 샤프트(144)의 외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를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패들(146)은 패들결합돌기에 체결되는 베이스(146a)에서 단부 방향으로 그 폭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제1 패들(146)은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의 혼합을 용이하게 한다. 제2 패들(148)은 베이스(148a)에서 단부 방향으로 그 폭이 특정 높이에서부터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패들(148)은 제1 패들(146)의 후단에 배치되어 플라이 애쉬와 물 및 킬레이트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패들(146)은 샤프트(144)의 전단에 일정한 길이에 걸쳐서 다수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들(148)은 샤프트(144)의 후단에 일정한 길이에 걸쳐서 다수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들(146) 및 제2 패들(148)은 샤프트(144)의 길이 방향으로 45도 정도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들(146) 및 제2 패들(148)의 재질은 SUS304 또는 SS400+hard facing에 해당할 수 있다.
혼합기(130)의 측면에는 맨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맨홀은 혼합기(13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맨홀을 통해서 혼합기(130)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샤프트(144)에 결합된 제1 패들(146) 및 제2 패들(148)을 분리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혼합기(130)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종래에는 패들이 샤프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패들이 파손된 경우에 이를 교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는 패들(146, 148)이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서 샤프트(144)에 체결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혼합기(130)의 출구 측에는 분쇄기(152)가 구비되어 있다. 분쇄기(152)는 혼합기(130)에서 배출된 플라이 애쉬, 물 및 킬레이트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부피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혼합물의 부피 감소로 인해서 추후 건조기(160)에서 혼합물의 건조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분쇄기(152)는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샤프트(154)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154)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56)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블레이드(156)는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혼합물을 타격해서 더 작은 크기 및 더욱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분쇄기(152)를 통과한 혼합물은 건조기(160)에 투입되어 건조된다.
도 9는 도 1에 예시된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100)의 건조기(16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고하면, 건조기(160)는 플라이 애쉬의 혼합물을 컨베이어(174)에 의해서 벙커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혼합물을 컨베이어(174) 위에서 건조한다. 컨베이어(174)는 커버(172)에 의해서 그 상부가 커버되어 있고 측면에도 격벽(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건조기(160)의 후단에도 공기차단용커튼(170)이 설치되어 있어서 건조기(160)의 출구를 통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공기차단용커튼(170)은 플렉서블한 재질인 고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컨베이어(174)의 하부에는 히터(166)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66)는 컨베이어(174)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그 상부에서 이송되는 혼합물의 건조를 촉진할 수 있다.
건조기(160)의 상부에는 분사노즐(164)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164)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 장치(100)는 컨베이어(174)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분사노즐(164)의 경사 각도는 45~60도에 해당할 수 있다. 분사노즐(164)을 통해서 뜨거운 공기가 혼합물에 공급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혼합물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건조기(160)의 후단에는 공개배출구(168)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구(168)는 소각로(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분사노즐(164)을 통해서 건조기(160)의 내부에 공급된 뜨거운 공기를 소각로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110: 공급슈트
130: 혼합기
152: 분쇄기
160: 건조기
190: 바이패스부

Claims (8)

  1. 플라이 애쉬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급슈트;
    상기 공급슈트를 통과한 플라이 애쉬를 물 및 킬레이트와 혼합하는 혼합기;
    상기 혼합기의 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혼합기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분쇄하는 분쇄기;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기; 및
    상기 혼합기로 유입되는 플라이 애쉬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슈트는, 플라이 애쉬의 이동 통로에 해당하는 공급덕트와, 상기 공급덕트의 일부에 해당하고 진동을 하는 진동영역과, 상기 진동영역의 내부에 구비된 메쉬와, 상기 진동영역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영역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확장조인트와, 상기 진동영역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진동을 가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진동영역의 외주면에 구비된 윈도우를 포함하고,
    혼합기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들결합돌기와, 상기 패들결합돌기에 나사 결합하는 패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들은 상기 패들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베이스에서 단부 방향으로 그 폭이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제1 패들과, 특정 높이에서부터 그 폭이 확장되는 제2 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들 및 제2 패들은 각각 다수 열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패들은 상기 제2 패들의 전방에 위치하는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부는, 상기 공급슈트의 측면에 형성되어 플라이 애쉬를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과, 상기 제1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플라이 애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플라이 애쉬를 이송해서 재투입 할 수 있게 하는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혼합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혼합물의 이송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는 상기 컨베이어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컨베이어의 단부에 위치하는 공기차단용커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KR1020190128995A 2019-10-17 2019-10-17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KR10209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95A KR102099155B1 (ko) 2019-10-17 2019-10-17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995A KR102099155B1 (ko) 2019-10-17 2019-10-17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155B1 true KR102099155B1 (ko) 2020-05-22

Family

ID=7091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995A KR102099155B1 (ko) 2019-10-17 2019-10-17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712A (zh) * 2020-09-17 2020-11-20 深圳市泰美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的飞灰螯合固化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688A (ja) * 1999-01-12 2000-07-25 Maeda Corp 粉粒体貯蔵ホッパ
KR100300106B1 (ko) * 1998-07-24 2001-10-27 김징완 소각재 용융 시스템
JP2006150339A (ja) * 2004-11-02 2006-06-15 Ebara Engineering Service Co Ltd 焼却飛灰の安定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355663B1 (ko) 2013-05-22 2014-02-06 주식회사 비티에스이엔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의 플라이 애쉬 핸들링 시스템
KR101539360B1 (ko) * 2014-11-07 2015-07-2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고화 처리 단계별 특성에 따른 탈취 장치를 구비한 하수슬러지 고화 설비
US20160166997A1 (en) * 2013-04-17 2016-06-16 Bühler AG Paddle, paddle rail, mixer shaft for a mixer, mixer and method for mix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06B1 (ko) * 1998-07-24 2001-10-27 김징완 소각재 용융 시스템
JP2000203688A (ja) * 1999-01-12 2000-07-25 Maeda Corp 粉粒体貯蔵ホッパ
JP2006150339A (ja) * 2004-11-02 2006-06-15 Ebara Engineering Service Co Ltd 焼却飛灰の安定化方法とその装置
US20160166997A1 (en) * 2013-04-17 2016-06-16 Bühler AG Paddle, paddle rail, mixer shaft for a mixer, mixer and method for mixing
KR101355663B1 (ko) 2013-05-22 2014-02-06 주식회사 비티에스이엔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의 플라이 애쉬 핸들링 시스템
KR101539360B1 (ko) * 2014-11-07 2015-07-27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고화 처리 단계별 특성에 따른 탈취 장치를 구비한 하수슬러지 고화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712A (zh) * 2020-09-17 2020-11-20 深圳市泰美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环保的飞灰螯合固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2051A (en) Fresh wet concrete reclaimer
EP3303706B1 (en) Highly portable asphalt plant
US5121699A (en) Reclam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oil and other products
KR102099155B1 (ko) 플라이 애쉬 안정화 장치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CN110976030A (zh) 一种供热废渣处理装置
JP4297432B2 (ja) 焼却飛灰積込みシステム
US20100226722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Processes Involved with Hydrating Particulate Material
JP4302384B2 (ja) 油汚染土壌の処理装置
KR200163064Y1 (ko) 집진기의 더스트 배출장치
KR100671955B1 (ko) 고온 열풍건조 선별 장치
JP6598355B2 (ja) 汚泥の乾燥処理方法及び汚泥乾燥処理装置
US3834128A (en) Liquid clarifying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les from a gas stream
CN114522973A (zh) 一种用于重金属污染土壤水泥窑协同处置系统
JP3645546B2 (ja) 残存生コンクリートの分別方法及び分別水分蒸発処理方法
JP3827976B2 (ja) 灰溶融炉の前処理方法及び前処理装置
KR200324158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465813B1 (ko) 소각열을 이용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구비한 폐기물처리시스템
JP3540189B2 (ja) 回転式乾燥機
JP2831261B2 (ja) 吹付落下綿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737731B2 (ja) 建設残土の焼成方法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CN215754870U (zh) 一种烧结用混合设备的抑尘装置
JPH053867Y2 (ko)
JP2001327825A (ja) 湿式集塵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