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702B1 - Sewing machiine - Google Patents

Sewing machi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702B1
KR102098702B1 KR1020190153695A KR20190153695A KR102098702B1 KR 102098702 B1 KR102098702 B1 KR 102098702B1 KR 1020190153695 A KR1020190153695 A KR 1020190153695A KR 20190153695 A KR20190153695 A KR 20190153695A KR 102098702 B1 KR102098702 B1 KR 10209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fabric
cut
cutt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신엽
Original Assignee
안신엽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신엽,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신엽
Priority to KR102019015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02B1/en
Priority to PCT/KR2020/015728 priority patent/WO2021107459A1/en
Priority to CN202080003893.9A priority patent/CN113179649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8Cutting devices with rotat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The sewing machine comprises: a needle part which is located in a head part of a body of the sewing machine; a hole part which is formed on a worktabl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sewing machine, and in which the needle part penetrates; a groove part which is located on a side of the hole part and is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table; and a cutting part which is located in the groove part and cuts a lower fabric of multiple layers of fabrics sewn by the needle part. Due to the aforementioned features, the sewing machine can solve a problem of the prior art with respect to the finish quality of a sheet which is not good when cutting the multiple layers of fabric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sewing machine can cut only the lower fabric of the multiple layers of fabrics. Accordingly, as the length of the cut fabrics are different, the sewing machine can neatly finish cutting.

Description

미싱장치{SEWING MACHIINE}Sewing machine {SEWING MACHIINE}

본 발명은 미싱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단의 원단에 대하여 미싱부 뿐 아니라 원단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를 포함하되, 깔끔한 마감처리를 위하여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부 및 하부 원단 외의 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cutting unit capable of cutting a fabric as well as a sewing unit with respect to a multi-stage fabric used in an automobile seat, but a lower fabric among multi-stage fabrics for a clean finish.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portion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ut only the bay and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the fabric other than the lower fabric from being cut is formed.

원단(피봉제부재)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함에 있어서, 전통적으로는 바늘을 이용하여 바늘귀에 실을 끼워서 바느질하려는 원단의 테두리부를 상기 실로써 마감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옷을 만들어 왔으나, 기계산업이 발달하면서 바느질 전용 기계인 미싱이 개발되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싱기(재봉틀)란 원단에 바늘땀을 만들어 가며 원단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는 장치로서, 산업현장 및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sewing by using a fabric (a sewing material), traditionally, clothes are made by finishing the edge of the fabric to be sewn with the thread by using a needle to thread the needle, but the machine industry has developed. Sewing machine, a sew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many fields. A sewing machine (sewing machine) is a device that moves the fabric mechanically while making needle sweat on the fabric, and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sites and homes.

종래부터 미싱기는 미싱기 본체를 가지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작업대가 장착된다. 이때 작업대에는 바늘판이 설치된다. 바늘판에 대응하여 미싱기 본체에는 바늘을 가지는 니들부가 장착되고 그 측면에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지지하는 노루발이 장착된다. 바늘판에는 바늘이 관통하는 홀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노출되어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이송한다. 또한, 작업대의 하부에는 북집과 톱니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등이 설치된다. 이때, 니들부가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 사용자가 원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단이 바느질이 된다. 그리고 원단의 바느질이 종료되었을 때, 사용자는 원단의 마감 처리를 위해 원단을 바느질 종료점 부근에서 절단하였다. Conventionally, a sewing machine has a sewing machine body, and a worktable is mounted under the sewing machine body. At this time, a needle plate is installed on the work surface. In response to the needle plate, a needle portion having a needle is mounted on the sewing machine body, and a presser foot for supporting fabric or the like that is sewn to the side thereof is mounted. The needle plate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enetrates and transfers the fabric or the like, which is exposed by teeth on the edge, and is machined.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or the like for driving the bobbin case and the teet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ork table. At this time, when the needle portion reciprocates vertically, the fabric is sewn by moving the fabric in a desired direction. And when the sewing of the fabric is finished, the user cuts the fabric near the sewing end point for finishing of the fabric.

이에 따라, 원단을 절단해야 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미싱기가 요구되었다. 이는 주지한 장치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원단의 절단장치를 회전체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회전체와 함께 니들부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미싱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ewing machine having a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fabric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 of cutting the fabric. This is a well-known device, and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sewing machine that enables the cutting device of the fabric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axis of the needle portion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특히,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원단을 미싱 및 절단하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차 시트의 마감 처리를 위하여 다단의 원단을 미싱함과 동시에 절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단이란 복수 개의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것을 의미한다. 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sewing and cutting the fabric used in the automobile sea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multi-stage fabric is machined and cut at the same time for finishing the automobile seat. At this time, the multi-stage means that a plurality of fabrics are sequentially stacked.

다만, 통상의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미싱기의 경우, 절단부(cutter)가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운동함으로써 원단을 절단하는 바, 다단의 원단이 동시에 절단되어 진다. 따라서, 복수 개의 원단의 절단된 길이가 동일해지며, 이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실제품화 하기 위해 뒤집어서 사용할 때 보여지는 마감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마감처리가 올바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utting device, the cutting unit cuts the fabric by verticall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multi-stage fabric is cu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ut lengths of the plurality of fabrics are the same, an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nishing shown when the processed fabric is turned upside down to be used for actual production becomes dirty or the finishing is incorrect.

W02007/128364호 공보W02007 / 128364 Publication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673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11673

본 발명은 미싱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단의 원단에 대하여 미싱부 뿐 아니라 원단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를 포함하되, 깔끔한 마감처리를 위하여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만을 절단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부 및 하부 원단 외의 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cutting unit capable of cutting a fabric as well as a sewing unit with respect to a multi-stage fabric used in an automobile seat, but a lower fabric among multi-stage fabrics for a clean finish.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portion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ut only the bay and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the fabric other than the lower fabric from being cut is form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는 미싱기 본체의 헤드부에 위치하는 니들부;, 상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대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부가 관통하는 홀부;, 상기 홀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위치되어, 상기 니들부에 의해 바느질되는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edle portion positioned at the head of the sewing machine body; a hole portion formed at a work tabl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body to penetrate the needle portion; , I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le,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table; And a cutting unit positioned at the groove portion to cut the lower fabric among the multi-stage fabric sewn by the needle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상기 절단부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위치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tting unit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to rotate; And a blade portion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작업대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ade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ome proj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worktable.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는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의 상부에 삽입되어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 외의 상기 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the fabric from being cut outside the lower fabric being cut by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being cut.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절단되는 상기 하부 원단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에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ver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to be cut;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to extend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head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ade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rotating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removable.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원단을 미싱 및 절단하는 공정에 있어서, 다단의 원단을 동시에 절단하는 경우 시트의 마감 품질이 좋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여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만을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원단이 절단된 길이가 상이하여 깔끔하게 마감처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sewing and cutting the fabric used for an automobile seat, when cutting multiple stages of fabric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that the finishing quality of the sheet is poor is solved, so that only the lower fabric of the multiple stages can be cut. There is this. Due to this, the length of the cut fabric is differen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neatly finis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절단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절단부, 홈부 및 가이드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미싱 및 절단 공정에 의해 완성된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2단의 원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ut portion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cutting part, a groove part, and a guide part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appearance of the two-stage fabric used in the car seat completed by the sewing and cutt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ordinary practitioner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 and relative size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에 동시에 수직하는 z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외측 방향"이란 내측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은 xy평면을 기준으로 한다. "상면" 및 "하면"은 xy평면을 기준으로 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and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based on FIG. 1.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inner direction" means the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in the same member. "Outward direction" means the inner opposite side. "Inward direction" and "outward direction" are based on the xy plane. The "top" and "bottom" are based on the xy pla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싱장치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1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통상의 미싱기는 미싱기 본체를 가지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작업대가 장착된다. 이때 작업대에는 바늘판이 설치된다. 바늘판에 대응하여 미싱기 본체에는 바늘을 가지는 니들부가 장착되고 그 측면에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지지하는 노루발이 장착된다. 바늘판에는 바늘이 관통하는 홀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노출되어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이송한다. 또한 작업대의 하부에는 북집과 톱니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등이 설치된다. A typical sewing machine has a sewing machine body and a worktable is mounted under the sewing machine body. At this time, a needle plate is installed on the work surface. In response to the needle plate, a needle portion having a needle is mounted on the sewing machine body, and a presser foot for supporting fabric or the like that is sewn to the side thereof is mounted. The needle plate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enetrates and transfers the fabric or the like, which is exposed by teeth on the edge, and is machined.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bobbin case and the teeth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ork table.

본 발명에 따른 미싱장치는 통상의 미싱장치와 같이 미싱기 본체(10) 및 미싱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대(20)로 구성된다. 미싱기 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헤드부(11), 본체부로 구성되고, 본체부의 단부는 작업대(20)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미싱기 본체(10)에는 니들부(30) 및 가이드부(300)가 구비되고, 작업대(20)에는 니들부(30)가 관통하는 홀부(40), 절단부(100) 및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홈부(200)가 구비된다.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wing machine main body 10 and a work table 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10 like a conventional sewing machine.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11, the main body portion, th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work table (20). In addition, a needle portion 30 and a guide portion 300 are provided in the machine unit 10, and the hole portion 40, the cutting portion 100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cessed through the needle portion 30 are recessed in the work table 20. The groove part 200 is provided.

니들부(30)는 미싱기 본체(10)의 헤드부(11)에 위치하고, 홀부(40)는 작업대(20)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니들부(30)가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홀부(40)를 관통하고, 사용자가 원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단을 바느질할 수 있다.The needle portion 30 is located in the head portion 11 of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10, and the hole portion 40 is formed in the work table 20. Accordingly, the needle portion 30 penetrates the hole portion 40 while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ser can sew the fabric by moving the fabric in a desired dir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절단부(100)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1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절단부(100)는 모터부(110), 회전축(120) 및 블레이드부(130)를 구비한다.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utting unit 100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utt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art 100 includes a motor part 110, a rotating shaft 120, and a blade part 130.

모터부(110)는 회전축(120) 및 블레이드부(130)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축(1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부가 모터부(110)와 연결되어 모터부(110)에 의해 회전한다. 블레이드부(130)는 회전축(120)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회전축(120)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부(130)는 회전하면서 니들부(30)에 의해 바느질되는 다단의 원단 중 블레이드부(130)에 맞닿는 하부 원단(2)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motor unit 110 provides power to the rotating shaft 120 and the blade unit 130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to rotate by the motor unit 110. The blade unit 13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20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20. Accordingly, the blade unit 130 serves to cut the lower fabric 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lade unit 130 among the multi-stage fabric sewn by the needle unit 30 while rotating.

이때, 회전축(120)은 일 예로 모터부(110)의 전기적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나, 다른 예로 타이밍 벨트의 회전 동력을 통해 회전축(120)이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120 may be rotated by, for example, the electric power of the motor unit 110, but in another example, the rotating shaft 120 may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ng power of the timing belt.

또한, 또 다른 예로, 모터부(110)는 미도시된 프레임에 결합되어, 프레임이 유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블레이드부(1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강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motor unit 110 is coupled to a frame (not shown), the frame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ydraulic pressure, and when the blade unit 130 is not used, it descends to prevent an unforeseen accident. Can be prevented.

이 때, 블레이드부(130)는 폭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축(120)과 수직으로 결합되며,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원단의 마감처리를 위해서는 길게 이어진 직선형태의 미싱이 필요하므로, 원단은 이동거리의 제한이 없는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블레이드부(130)도 역시 원단이 이동하는 폭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싱된 부분과 소정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형태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blade portion 130 is preferably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Specifically, vertic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1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 the finishing treatment of the fabric used in the automobile seat, a long straight straight sewing machine is required, so the fabric is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limitation of the moving distance. It moves, and the blade unit 130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width of the fabric. Accordingly, the machined part can be cut into the same shape at a predetermined constant distance.

종래의 미싱장치의 절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거나, 상하 이동에 따라 회동하여 원단을 절단하였다. 이에 따라, 다단의 원단을 절단하는 경우, 다단의 원단을 모두 절단할 수밖에 없어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실제품화 하기 위해 뒤집어서 사용할 때 보여지는 마감이 지저분하게 되는 등 마감처리가 올바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The cutting unit of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cuts the fabric b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rotating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cutting multi-stage fabric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inishing treatment was incorrect, such as the finishing of the fabrics, which had to be cut when used upside down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finished fabrics, because all of the multi-stage fabrics had to be cut.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미싱장치의 절단부(100)는 폭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부(130)를 구비하여 다단의 원단을 모두 절단하지 않고, 하부 원단(2)만을 분리하여 절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원단이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이 아닌 동일한 방향으로 블레이드부(130)를 회전시키고, 블레이드부(130) 자체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는바, 블레이드부(130)가 맞닿는 원단의 수직방향의 높이 및 원단의 개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원단이 절단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utting unit 100 of the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ade unit 130 that rotate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it does not cut all of the multi-stage fabrics, but only the lower fabric 2 can be separated and cut. Is done. That is, the blade portion 13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bric is moved and not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lade portion 130 itself is fixed, so that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abric where the blade portion 130 abuts is fixed. The user can select the height and the number of fabrics to adjust the height at which the fabric is cu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절단부(100), 홈부(200) 및 가이드부(30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싱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절단부(100), 홈부(200) 및 가이드부(300)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utting part 100, the groove part 200, and the guide part 300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ide view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cutting part 100, the groove part 200, and the guide par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홈부(200)는 작업대(20)에 위치한 홀부(40)의 측면에 위치한다. 도 3에는 홈부(200)를 홀부(40)의 내측방면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홈부(200)는 작업대(20)가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형상이며, 후술하겠지만 절단부(100)가 홈부(200)에 위치한다.The groove part 20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le part 40 located on the work table 20. In FIG. 3, the groove portion 200 is illustr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le portion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groove part 200 is a shape in which the work table 20 is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utting part 100 is located in the groove part 2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절단부(100)의 블레이드부(130) 및 블레이드부(130)와 결합된 회전축(120)의 일부는 홈부(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모터부(110) 및 모터부(110)와 연결된 회전축(120)의 일부는 작업대(20)에 의해 상부가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모터부(110)가 홈부(2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터부(110) 또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portion 130 of the cutting portion 100 and a part of the rotation shaft 120 combined with the blade portion 130 are located inside the groove portion 200 to the outside Exposed, the motor part 110 and a part of the rotating shaft 120 connected to the motor part 110 are covered by the work table 20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tructure, and the motor unit 110 may be located inside the groov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nd accordingly, the motor unit 110 may also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 때, 블레이드부(130)는 작업대(20)의 상부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부 길이(d)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제적으로, 블레이드부(130)는 홈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있으나, 블레이드부(130)의 상측 일부가 작업대(20)의 상부 표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대(20)의 표면에 위치한 원단을 일부 돌출된 블레이드부(130)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ade portion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some length (d) is proj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table (20). Remedy, the blade portion 130 is located inside the groove portion 200,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13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table 20. Accordingly, the fabric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worktable 20 can be easily cut by the partially protruding blade unit 1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130)는 작업대(20)의 상부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높이(d)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모터부(110)의 밑면의 양측에 한 쌍의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장치는 모터부(110)의 양측면에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된다. 높이 조절 장치는 일측면에 상하 경사지도록 돌출과 함몰을 반복하는 제1 조절부와, 타측면에 제1 조절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 조절부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 사이의 경로를 따라 모터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높이를 높게 조절하면 모터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20) 및 회전축(120)에 결합되어 있는 블레이드부(130)의 높이 또한 높아진다. 따라서, 작업대(20) 표면을 기준으로 블레이드부(130)가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높이(d)가 높아지며, 블레이드부(130)에 의해 절단할 수 있는 원단의 높이 또한 높아지게 된다. Blade unit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d)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table (20).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eight adjustment devi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nderside of the motor unit 110. 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installed in pairs to face both side surfaces of the motor unit 110.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first adjustment unit which repeats protrusion and depression to incline up and down on one side, and a second adjustment uni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djustment unit on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motor unit may be adjusted along the path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unit and the second adjustment unit. Accordingly, when the height is adjusted high b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the height of the rotating shaft 120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10 and the blade unit 130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20 also increases. Therefore, the height (d) of the blade portion 130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20 is increased, and the height of the fabric that can be cut by the blade portion 130 is also increas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원단의 높이 또는 개수를 고려하여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블레이드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blade unit 130 by a height adjust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r number of the fabric to be cut.

가이드부(300)는 'ㄴ'자 형상이며, 가림부(310) 및 지지부(320)를 구비한다. 가림부(31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절단되는 하부 원단(2)의 상부 및 절단되는 하부원단 외의 원단(1)의 하부에 위치한다. 지지부(320)는 가림부(310)의 일단부에서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미싱기 본체(10)와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지지부(320)가 미싱기 본체(10)의 헤드부(11)와 결합되도록 표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부(320)이 결합되는 위치는 미싱기 본체(10)이며, 미싱기 본체(10)의 헤드부(11)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guide part 300 has a 'b' shape, and includes a cover part 310 and a support part 320. The covering part 3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2 being cut and the lower fabric 1 other than the lower fabric being cut. The support part 32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cover part 310 and the upper part is combined with the sewing machine body 10. In FIGS. 3 and 4, the support part 320 is expressed to be coupled with the head part 11 of the sewing machine body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art 320 is coupled is the sewing machine body 10, and the sewing machine It is not limited to the head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이 때, 가림부(310)의 타단부는 블레이드부(130)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00)는 하부 원단(2)은 블레이드부(130)에 의해 절단되되, 하부 원단 외의 원단(1)이 블레이드부(130)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하부 원단 외의 원단(1)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portion 310 is in a position that can contact the blade portion 130. Accordingly, the guide portion 300 is the lower fabric (2) is cut by the blade portion 130, to prevent the fabric (1) other than the lower fabric from contacting the blade portion 130, the fabric other than the lower fabric (1) Thi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상기 가이드부(300)는 미싱기 본체(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원단의 개수 및 두께를 고려하여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300 is preferably removable from the sewing machine body 10. Therefore, it can be detached or attach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and thickness of fabrics to be cu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싱기 본체(10)에는 지지부(310)의 상면과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요홈이 구비된다. 따라서, 지지부(310)를 요홈에 삽입하면 지지부(310)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의 상면에 N극 또는 S극의 자성체를 부착하고, 지지부(310)의 상면에 S극 또는 N극의 상반되는 자성체를 부착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반면에 가이드부(300)를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부(300)를 하측방면으로 당겨 요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10 has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0, and is provided with a recess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support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support portion 310 may be fitted. In addition, the magnetic body of the N-pole or the S-pol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pposite magnetic body of the S-pole or the N-pol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0, thereby strengthening the fixing for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portion 300 is to be detached, the inserted guide portion 300 can be pulled downward and separated from the groov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싱장치의 미싱 및 절단 공정에 의해 완성된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단의 원단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단의 원단이 동시에 바느질 됨과 동시에 하부 원단만이 짧게 절단된 것을 알 수 있다.Figure 5 shows a multi-stage fabric used in the car seat completed by the sewing and cutt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t the same time that the multi-stage fabric is sewn simultaneously, only the lower fabric is cut short.

이를 위해 사용자는 블레이드부(130)의 작업대(20)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d)를 하부 원단(2)의 높이에 맞추고, 가이드부(300)의 가림부(320)를 하부 원단(2)의 상부 및 하부 원단 이외의 원단(1)의 하부에 삽입한다. 이후 미싱기를 작동시키고, 사용자는 다단의 원단을 폭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킨다. To this end, the user sets the height d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20 of the blade unit 130 to the height of the lower fabric 2, and the blinding portion 320 of the guide portion 300 is the lower fabric 2 It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fabric (1) other than the upper and lower fabrics. Thereafter, the sewing machine is operated, and the user moves the multi-stage fabric at a constant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미싱 및 절단 공정을 거친 경우, 다단의 원단을 동일한 길이로 절단한 시트보다 깔끔하게 마감되어 마감 품질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ewing and cutt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finishing quality is improved because the multi-stage fabric is finished neatly than the sheet cut into the same length.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하부원단 외의 원단
2 : 하부원단,
10 : 미싱기 본체,
20 : 작업대,
30 : 니들부,
40 : 홀부,
100 : 절단부,
110 : 모터부,
120 : 회전축,
130 : 블레이드부,
200 : 홈부,
300 : 가이드부,
310 : 지지부,
320 : 가림부.
1: Fabric other than the lower fabric
2: lower fabric,
10: machine body,
20: workbench,
30: needle part,
40: hole,
100: cutting part,
110: motor unit,
120: rotating shaft,
130: blade unit,
200: groove,
300: guide unit,
310: support,
320: cover part.

Claims (7)

미싱기 본체의 헤드부에 위치하는 니들부;
상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대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부가 관통하는 홀부;
상기 홀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위치되어, 상기 니들부에 의해 바느질되는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위치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작업대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부 돌출되고,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의 상부에 삽입되어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 외의 상기 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미싱장치.
A needle portion locat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body;
A hole portion formed on a work tabl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body to penetrate the needle portion;
A groove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hole portion and rec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table; And
It is located in the groove portion, cutting portion for cutting the lower fabric of the multi-stage fabric sewn by the needle portion; includes,
The cutting part
Motor part;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rotating; And
And a blade portion position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The blade portion is partially proj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worktabl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 preventing the fabric is cut outside the lower fabric is cu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being cut;
Sewing mach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절단되는 상기 하부 원단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에 수직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미싱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cover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abric to be cut; And
It is formed to exten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ver portion coupled to the head portion; having
Sewing machin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폭방향으로 회전하는
미싱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blade portion rotates in the width direction
Sewing machin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탈부착이 가능한
미싱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uide part is detachable
Sewing machine.
KR1020190153695A 2019-11-26 2019-11-26 Sewing machiine KR102098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95A KR102098702B1 (en) 2019-11-26 2019-11-26 Sewing machiine
PCT/KR2020/015728 WO2021107459A1 (en) 2019-11-26 2020-11-11 Sewing device
CN202080003893.9A CN113179649B (en) 2019-11-26 2020-11-11 Sew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95A KR102098702B1 (en) 2019-11-26 2019-11-26 Sewing machi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02B1 true KR102098702B1 (en) 2020-04-08

Family

ID=7027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95A KR102098702B1 (en) 2019-11-26 2019-11-26 Sewing machi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8702B1 (en)
CN (1) CN113179649B (en)
WO (1) WO2021107459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59A1 (en) * 2019-11-26 2021-06-03 안신엽 Sewing device
KR20230148558A (en) 2022-04-18 2023-10-25 김명주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9189A (en) * 1992-05-08 1993-11-22 Kyokuto Sanki Co Ltd Rush mat @(3754/24)tatami) disassembling device
JPH0666578U (en) * 1993-02-25 1994-09-20 ジューキ株式会社 sewing machine
JPH07308889A (en) * 1994-05-12 1995-11-28 Kyokuto Sanki Co Ltd Breaking up device of tatami mat
KR200311673Y1 (en) 2003-01-16 2003-05-09 이흥열 Sewing machine by which the swing part is sleek by forming edge print thereon
JP2003181178A (en) * 2001-12-20 2003-07-02 Juki Corp Lock stitch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cloth end cutting device
KR102047314B1 (en) * 2019-09-10 2019-11-21 김남홍 Sewing machine and sewing a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4082B2 (en) * 1988-05-09 1997-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Tape material cutting device
JPH03206172A (en) * 1989-08-24 1991-09-09 Tsuboi Sewing Mach Shokai:Kk Cloth-cutting device
KR102098702B1 (en) * 2019-11-26 2020-04-08 안신엽 Sewing machi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9189A (en) * 1992-05-08 1993-11-22 Kyokuto Sanki Co Ltd Rush mat @(3754/24)tatami) disassembling device
JPH0666578U (en) * 1993-02-25 1994-09-20 ジューキ株式会社 sewing machine
JPH07308889A (en) * 1994-05-12 1995-11-28 Kyokuto Sanki Co Ltd Breaking up device of tatami mat
JP2003181178A (en) * 2001-12-20 2003-07-02 Juki Corp Lock stitch sewing machine provided with cloth end cutting device
KR200311673Y1 (en) 2003-01-16 2003-05-09 이흥열 Sewing machine by which the swing part is sleek by forming edge print thereon
KR102047314B1 (en) * 2019-09-10 2019-11-21 김남홍 Sewing machine and sewing a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59A1 (en) * 2019-11-26 2021-06-03 안신엽 Sewing device
KR20230148558A (en) 2022-04-18 2023-10-25 김명주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79649A (en) 2021-07-27
CN113179649B (en) 2022-10-21
WO2021107459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702B1 (en) Sewing machiine
JPS62251098A (en) Grinding and guide apparatus for cutting edge
JP2010035680A (en) Sewing machine
US4008672A (en) Work guiding and trimm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JP4799946B2 (en) Sewing sewing machine
US10612173B2 (en) Hopping foot for a maneuverable quilting machine
US8899164B2 (en) Embroidery frame transport device and sewing machine
JP2000254370A (en) Sewing device for making pocket with piping
JP2007089987A (en) Sewing machine for binding
JP6443860B2 (en) Sewing needle guide mechanism of tatami stitching device and tatami stitching device provided with sewing needle guide mechanism
JP6443859B2 (en) Tatami sewing device and tatami sewing method
JP3568187B2 (en) Automatic sewing device for sword rags
CN212800782U (en) Fur integrated special covering machine
CN219195344U (en) Automatic sewing machine
JPH0727469U (en) Eyelet hole cutting device
KR10238961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vehicle headrest cover
KR20230148558A (en)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CN212335486U (en) Seam pressing machine presser foot
CN208362649U (en) A kind of multi-needle quilter
JP4994697B2 (en) Sewing machine with cutting function
JPS6345261Y2 (en)
JPH0426437A (en) Feed bar driving device for hole overlock sewing machine
JP3868961B2 (en) Automatic sewing device
JPH0727470U (en) Knife device for eyelet holing machine
JPH06262420A (en) Working device for holding tool for stuff to be sewn in automatic sew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