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558A -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 Google Patents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558A
KR20230148558A KR1020220047449A KR20220047449A KR20230148558A KR 20230148558 A KR20230148558 A KR 20230148558A KR 1020220047449 A KR1020220047449 A KR 1020220047449A KR 20220047449 A KR20220047449 A KR 20220047449A KR 20230148558 A KR20230148558 A KR 2023014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blanket
sewing machine
lower plat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주
Original Assignee
김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주 filed Critical 김명주
Priority to KR102022004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558A/en
Publication of KR2023014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5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05B35/04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with movabl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1) 상에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대(11)를 다수개 구비하고, 지지대(11)의 상부로 이불(1)를 안착하는 안착대(13)를 구비하는 하부판(10); 상기 하부판(10)과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이불(1)을 고정하도록 고정판(21)을 구비하는 상부판(20); 상기 하부판(10)의 측면으로 이불(1)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31)를 구비하고, 이불(1) 둘레를 봉제하도록 미싱기(31)를 이송하는 이송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정된 미싱기에 작업자가 이불을 이동하면서 봉제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불을 상,하부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불 둘레를 회전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연결된 미싱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동적인 봉제작업이 아닌 미싱기의 자동화 봉제작업에 따라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봉제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that performs sewing work on a blanket (1): a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11) for supporting the ground, and a seat (11) for seating the blanket (1)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s (11). A lower plate (10) having 13); An upper plate (20) facing the lower plate (10) and having a fixing plate (21) to secure the blanket (1) to the lower plate (10); Equipped with a sewing machine 31 for sewing the quilt 1 on the side of the lower plate 10, and transport means 30 for transporting the sewing machine 31 to sew around the quilt 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rried ou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wing machine connected to a transfer means that rotates around the blanket with the blanket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ewing while the worker moves the blanket on a fixed sewing machine, so that the worker can passively perform sewing work.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er's sewing work due to the automated sewing work of the sewing machine rather than the actual sewing work.

Description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본 발명은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된 미싱기에 작업자가 이불을 이동하면서 봉제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불을 상,하부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불 둘레를 회전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연결된 미싱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동적인 봉제작업이 아닌 미싱기의 자동화 봉제작업에 따라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봉제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까지 방지할 수 있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transport mechanism for sewing a blank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transport mechanism for sewing a blanket, and more specifically,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sewing while moving the blanket on a fixed sewing machine, the machine rotates and transfers the circumference of the blanket while fixing the blanket with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sewing machine transport device for quilt sewing that uses a sewing machine connected to a transport means to maximize work efficiency through the machine's automated sewing work rather than the worker's manual sewing work, while also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er's sewing work. It's about.

통상, 원단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함에 있어서, 전통적으로는 바늘을 이용하여 바늘귀에 실을 끼워서 바느질하려는 원단의 테두리부를 상기 실로써 마감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옷을 만들어 왔으나, 기계산업이 발달하면서 바느질 전용 기계인 미싱이 개발되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미싱기(재봉틀)란 원단에 바늘땀을 만들어 가며 원단을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하는 장치로서, 산업현장 및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when sewing with fabric, traditionally, clothes were made by inserting thread into the eye of the needle using a needle and finishing the edge of the fabric to be sewn with the thread, bu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chinery industry, sewing-specific machines were created. Sewing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used in many fields. A sewing machine is a device that creates stitches on fabric and moves the fabric mechanically, and is widely used in industrial settings and homes.

종래부터 미싱기는 미싱기 본체를 가지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작업대가 장착된다. 이때 작업대에는 바늘판이 설치된다. 바늘판에 대응하여 미싱기 본체에는 바늘을 가지는 니들부가 장착되고 그 측면에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지지하는 노루발이 장착된다. 바늘판에는 바늘이 관통하는 홀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노출되어 미싱되어지는 원단 등을 이송한다. 또한, 작업대의 하부에는 북집과 톱니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등이 설치된다. 이때, 니들부가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 사용자가 원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단이 바느질이 된다. 그리고 원단의 바느질이 종료되었을 때, 사용자는 원단의 마감 처리를 위해 원단을 바느질 종료점 부근에서 절단하였다. Conventionally, a sewing machine has a sewing machine body and a workbench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wing machine body. At this time, a needle plate is installed on the workbench. In response to the needle plate, the main body of the sewing machine is equipped with a needle part having a needle, and a presser foot that supports the fabric to be sewn is mounted on its side. A hole through which the needle passes is formed in the needle plate, and teeth are exposed at the edge to transport the fabric to be sewn.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that drives the bobbin case and the gear teeth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workbench. At this time, when the needle part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abric is sewn by the user moving the fabric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when sewing of the fabric was completed, the user cut the fabric near the sewing end point to finish the fabric.

이에 따라, 원단을 절단해야 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미싱기가 요구되었다. 이는 주지한 장치로서 원단의 절단장치를 회전체에 대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회전체와 함께 니들부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미싱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원단을 미싱 및 절단하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차 시트의 마감 처리를 위하여 다단의 원단을 미싱함과 동시에 절단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다단이란 복수 개의 원단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것을 의미한다. 다만, 통상의 절단장치를 구비하는 미싱기의 경우, 절단부(cutter)가 수직 방향으로 상하 왕복 운동함으로써 원단을 절단하는 바, 다단의 원단이 동시에 절단되어 진다. 따라서, 복수 개의 원단의 절단된 길이가 동일해지며, 이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실제품화 하기 위해 뒤집어서 사용할 때 보여지는 마감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마감처리가 올바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미싱기와 관련된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용이하게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users who have to cut the fabric, a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a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fabric was required. This is a well-known device, and it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sewing machine that allows a fabric cutting devic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 rotating body, and is also rotatable around the axis of the needle portion together with the rotating body.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sewing and cutting fabric used for car seats, there are cases where multiple layers of fabric must be sewn and cut at the same time to finish the car seat. At this time, multi-stage means sequentially stacking a plurality of fabrics. However, in the case of a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a normal cutting device, the cutting unit (cutter) cuts the fabric by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multiple stages of fabric are cut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cut length of the plurality of fabrics becomes the same, and as a result, when the fabric that has been processed is turned over and used to turn it into an actual product, the finish that is visible becomes messy or the finishing process is incorrect. A sewing machine is used to solve this problem. The situation is being easily changed throug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8702호에 따르면 미싱기 본체의 헤드부에 위치하는 니들부; 상기 미싱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작업대에 형성되어 상기 니들부가 관통하는 홀부; 상기 홀부의 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위치되어, 상기 니들부에 의해 바느질되는 다단의 원단 중 하부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위치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작업대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일부 돌출되고,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의 상부에 삽입되어 절단되는 상기 하부원단 외의 상기 원단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미싱장치를 제안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98702, a needle portion locat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A hole portion formed on a workbench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body through which the needle portion passes; a groove portion located on a side of the hole portion and recess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work table; and a cutting part located in the groove part to cut the lower fabric of the multi-stage fabric sewn by the needle part, wherein the cutting part includes a motor part;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motor unit and rotating; and a blade portion locat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wherein the blade portion partially protrudes in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abric to be cut, thereby cutting the fabric other than the lower fabric. We propose a sewing machine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to prevent cutting.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은 미싱 자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미싱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미싱작업이 고르게 수행할 수 없고, 작업의 위험도 또한 높아 미싱작업시 부주의에 의한 인명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는 위험성을 포함한 상태로 미싱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literature requires the worker to manually perform the sewing work while the sewing machine itself is fixed, so the sewing work cannot be performed evenly depending on the worker's condition, and the risk of the work is also high, resulting in carelessness during sewing work. There is a difficulty in performing sewing work with the risk of having to proceed with the work in a situation where problems that can lead to personal accidents have not been resolv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8702호 "미싱장치"(2020.04.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98702 “Sewing Machine Device” (2020.04.02.)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된 미싱기에 작업자가 이불을 이동하면서 봉제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불을 상,하부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불 둘레를 회전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연결된 미싱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동적인 봉제작업이 아닌 미싱기의 자동화 봉제작업에 따라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봉제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까지 방지할 수 있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fundamentally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sewing while moving the blanket on a fixed sewing machine, the quilt is rotated around the blanket while the top and bottom plates are fixed. A sewing machine for quilt sewing that uses a sewing machine connected to a transport means to maximize work efficiency through automated sewing work of the sewing machine rather than the manual sewing work of the worker, while also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er's sewing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port mechanis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불 상에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대를 다수개 구비하고, 지지대의 상부로 이불를 안착하는 안착대를 구비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과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하부판의 이불을 고정하도록 고정판을 구비하는 상부판; 상기 하부판의 측면으로 이불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를 구비하고, 이불 둘레를 봉제하도록 미싱기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ing machine for performing sewing work on a blanket: a low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s for supporting the ground, and a seat for seating the blanket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s; an upper plate facing the lower plate and having a fixing plate to secure the blanket of the lower plate; A transfer means provided with a sewing machine for sewing a blanket on a side of the lower plate and transporting the sewing machine to sew a perimeter of the blanke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판은 하부판에 안착된 이불을 고정하도록 천장과 고정판 사이에 상하이동이 가능한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wire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ixing plate to fix the blanket seated on the lower plate.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하부판의 지지대를 감싸면서 상하로 대향하는 LM가이드를 구비하고, 하방의 LM가이드 외측으로 랙기어를 구비하며, 미싱기의 회전모터에 벨트를 연결하여 랙기어와 기어 결합하는 원형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means is provided with an LM guide facing upward and downward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of the lower plate, and a rack gear is provided outside the lower LM guide, and a bel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to connect the rack gear and the rack gea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ircular gear for gear coupling.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수단은 LM가이드를 따라 미싱기가 회전이송하면서 이불의 둘레를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eans sews the perimeter of the blanket while the sewing machine rotates and transfers along the LM guid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prior to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used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된 미싱기에 작업자가 이불을 이동하면서 봉제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불을 상,하부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불 둘레를 회전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연결된 미싱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동적인 봉제작업이 아닌 미싱기의 자동화 봉제작업에 따라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봉제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wing machine connected to a transfer means that rotates around the blanket while the blanket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ewing while moving the blanket on a fixed sewing machine. It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through automated sewing work of a sewing machine rather than the worker's manual sewing work, while also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er's sewing 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이송기구를 단면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기구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이송기구를 측면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이송기구를 단면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기구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transfer mechanism of Figure 1 from the sid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nsfer mechanism of Figure 2.
Figures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transfer mechanism of Figure 5 from the sid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nsfer mechanism of Figure 6.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이불(1) 상에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구에 관련되며, 하부판(10), 상부판(20), 이송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device that performs sewing work on a blanket (1), and its main components include a lower plate (10), an upper plate (20), and a transport means (30).

본 발명에 따른 하부판(10)은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대(11)를 다수개 구비하고, 지지대(11)의 상부로 이불(1)을 안착하는 안착대(13)를 구비한다. 하부판(10)은 이불(1)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주요구성 중 하나로 사용하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면서 지지하도록 다수개의 지지대(11)를 구비하고, 지지대(11)의 상부로는 봉제작업이 진행될 이불(1)을 전폭으로 안착하는 안착대(13)를 구비하여 지지대(11)와 안착대(13)를 하나의 구성인 하부판으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안착대(13)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불(1)을 안착대(13) 상에 안착하는 것은 가능하나, 후술하는 상부판(20), 이송수단(30)을 연계히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의 하부판(10)으로 구성하여야 이들 구성들을 개재하여 봉제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착대(13)의 하단에 하부판(10)의 다리역할을 위한 지지대(11)를 다수개로 구비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사용상 용이하다.The lower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11 for supporting the ground, and is provided with a seating base 13 for seating the blanket 1 on top of the supports 11. The lower plate 10 is used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for performing the sewing work of the blanket 1,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11 to support it while being position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s 11 is used for sew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ating base 13 that seats the blanket 1 on which work is to be done in its full width, and the support base 11 and the seating base 13 are formed as a single component of the lower plate. When using only the seating base 13, it is possible to place the blanket (1) on the seating base 13, but in order to use it in conjunction with the upper plate 20 and the transfer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ust be placed at a certain level on the ground. Since sewing work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 these components interposed only when it is composed of a high lower plate 10, a plurality of supports 11 to serve as legs of the lower plate 10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t 13. It is easy to use by forming it.

그리고 하부판(10)은 그 구성인 지지대(11)와 안착대(13)의 구성에 있어 이불(1)을 안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술하는 상부판(20)과 이송수단(30)과 연계하여 봉제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불(1)의 크기에 따라 구비개수나 크기는 작업환경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10 is sewn in connection with the upper plate 20 and the transfer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maintaining the seated state of the blanket 1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11 and the seating 13. When performing work, it is effective to set the number and size of the blanket (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lanket (1) to suit the work environment.

또,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판(20)은 상기 하부판(10)과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이불(1)을 고정하도록 고정판(21)을 구비한다. 상부판(10)은 상술한 하부판(10)과 한 쌍으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부판(10)의 상단으로 대향하도록 구비하여 하부판(10)의 안착대(13) 상에 안착되는 이불(1)을 상부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주어 고정하는 고정판(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불(1) 상에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불(1)이 움직이면 봉제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어 원하는 모양이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봉제기기의 고장이나 불량작업으로 인한 이불(1)을 생산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에 봉제작업을 시작하기 전 이불(1)의 위치이동이나 뒤틀림을 사전에 차단하여 이불(1)의 표면에 안전한 봉제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주요구성이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face the lower plate 10,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21 to fix the blanket 1 to the lower plate 10. The upper plate 10 is used as a pair with the above-mentioned lower plate 10, and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10, and is a blanket (1) seated on the seat 13 of the lower plate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21) that is fixed by pressing with a certain pressure from the upper part. If the quilt (1) moves during the sewing process on the quilt (1), the sewing work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desired shape or work is not achieved, causing damage to the quilt (1) due to a breakdown of the sewing machine or defective work. As problems such as production may arise, this is a major component for safely performing sewing work on the surface of the blanket (1) by blocking positional movement or distortion of the blanket (1) before starting the sewing work.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상부판(20)은 하부판(10)에 안착된 이불(1)을 고정하도록 천장과 고정판(21) 사이에 상하이동이 가능한 와이어(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불(1)을 하부판(10)과 상부판(20)의 연계에 의한 고정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정상태인 하부판(10) 상에 이불(1)을 안착하고, 이불(1)의 상부를 눌러주어 고정하는 상부판(20)의 작동에 따른 구성에 있어 설치장소를 기준하여 천장과 고정판(21) 사이에 와이어(23)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부판(20)이 하부판(10)과 상하로 접하면서 고정개폐의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고정구성인 하부판(10)의 상부로 대향하게 위치하면서 이불(1)을 상하로 압착 고정하여 움직임을 잡아주기 위해서는 상부판(20)이 하부판(10)으로 상하이동하여 탈부착 개폐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상부판(20)의 고정판(21)은 설치되는 천장과의 공간 사이에 상하로 이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어(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판(10)과 상부판(20)이 모두 고정된 상태라면 이들 구성의 연계로 인한 이불(1)을 압착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고정은 하부판(10)이 수행하고, 동적이면서 개폐에 의한 이불(1)의 압착 고정작업은 상하이동을 요하는 와이어(23)를 구비한 상부판(20)이 천장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하부판(10) 사이에 안착하는 이불(1)을 상하로 잡아주어 대향하는 이불(1)의 상하면을 모두 고정하여 후술하는 이송수단(30)으로 안전하게 봉제작업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20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wire 23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ixing plate 21 to fix the blanket 1 seated on the lower plate 10. Do it as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blanket (1) by linking the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the blanket (1) is placed on the fixed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art of the blanket (1) is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20), which is fixed by pressing, a wire (23) is provided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ixing plate (21)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so that the upper plate (20) is connected up and down with the lower plate (10). It can easily perform the role of fixed opening and closing while touching. In order to secure movement by pressing and fixing the blanket (1) up and down while facing the upper part of the fixed lower plate (10), the upper plate (20) moves up and down with the lower plate (10) to perform a detachable opening and closing role. This is necessary, and for this purpose, the fixing plate 21 of the upper plate 20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wire 23 that can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space and the ceiling where it is installed. If both the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are fixed, the work of pressing and fixing the blanket 1 due to the linkage of these configurations cannot be performed, so the fixing is performed by the lower plate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is dynamic. The pressing and fixing operation of the blanket (1) is performed by holding the blanket (1) seated between the lower plates (10) up and down while the upper plate (20), which is equipped with a wire (23) that requires vertical movement, moves up and down from the ceiling. By fixing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lanket (1) facing each other, sewing work is performed safely using the transport means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30)은 상기 하부판(10)의 측면으로 이불(1)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31)를 구비하고, 이불(1) 둘레를 봉제하도록 미싱기(31)를 이송한다. 이송수단(30)은 하부판(10)과 연계하여 이불(1) 상에 봉제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구성으로,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주요부인 미싱기(31)를 하부판(10)의 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하고, 하부판(10)에 구비된 상태의 미싱기(31)를 사용하여 하부판(10)과 상부판(20)으로 고정한 이불(1)의 둘레를 자동화방식으로 이송하면서 봉제작업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인 이송수단(30)은 기존의 작업자가 직접 이불(1)을 움직여가며 봉제작업을 수행하던 수동식 봉제방식에서 벗어나 미싱기(31)가 하부판(10)의 측면에 구비한 상태에서 이송수단(30)의 구성에 따라 자동화방식으로 변화되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이불(1)을 봉제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자동화방식을 적용하여 하부판(10)과 상부판(20)에 고정만 해주면 이후의 봉제작업은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어 작업진행의 효율성이 높아진다.In addition, the transport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wing machine 31 for sewing the quilt 1 on the side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sewing machine 31 is used to sew around the quilt 1. transport. The transport means 30 is configured to smoothly perform sewing work on the blanket (1)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plate 10, and the sewing machine 31, the main part that performs sewing work, is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side of the lower plate 10. Sewing work is performed by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perimeter of the blanket (1) fixed to the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using the sewing machine (31) provided on the lower plate (10). . The transport means (3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parture from the existing manual sewing method in which the worker directly moves the blanket (1) to perform sewing work, and is equipped with a sewing machine (31) on the side of the lower plate (10).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means (30), it can be changed to an automated method, which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sewing at least one blanket (1). In other words, by applying an automated method to perform sewing work and simply fixing it to the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subsequent sewing work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ork progress.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30)은 하부판(10)의 지지대(11)를 감싸면서 상하로 대향하는 LM가이드(33a)(33b)를 구비하고, 하방의 LM가이드(33b) 외측으로 랙기어(35)를 구비하며, 미싱기(31)의 회전모터에 벨트(37)를 연결하여 랙기어(35)와 기어 결합하는 원형기어(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제작업의 자동화를 실행하기 위한 이송수단(30)의 주요구성으로는 지지대(11)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대향하는 LM가이드(33a)(33b)를 구비하고, LM가이드(33a)(33b) 중 하방에 구비하는 LM가이드(33b)의 외측으로는 랙기어(35)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싱기(31)의 회전모터와 연계하는 원형기어(39)를 구비하여 회전모터와 벨트(37)로 연결된 상태에서 LM가이드(33b)의 랙기어(35)와 기어로 결합하여 미싱기(31)의 봉제작업과 이송작업을 동시에 진행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means 30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LM guides 33a and 33b facing upward and downward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11 of the lower plate 10, and the lower LM guide 33b )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ack gear 35 on the outside and a circular gear 39 that connects the belt 37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31 and engages the rack gear 35. The main components of the transfer means 30 for automating sewing work include LM guides 33a and 33b that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1 and face each other upward and downward, and LM guides 33a and 33b. ) A rack gear (3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M guide (33b)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circular gear 39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31,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and the belt 37 by combining it with the rack gear 35 of the LM guide 33b and the sewing machine 31. Sewing work and transfer work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수단(30)은 LM가이드(33a)(33b)를 따라 미싱기(31)가 회전이송하면서 이불(1)의 둘레를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수단(30)으로 LM가이드(33a)(33b), 랙기어(35), 벨트(37), 원형기어(39)의 구성을 구비하여 미싱기(31)가 LM가이드(33a)(33b)에 연결되고, 하방에 위치하는 LM가이드(33b)의 외측으로 형성된 랙기어(35) 상에 미싱기(31)의 회전모터와 벨트(37)로 연결되는 원형기어(39)가 기어치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machine 31 rotates and transfers along the LM guides 33a and 33b to sew the perimeter of the blanket 1. The transport means 30 includes an LM guide (33a) (33b), a rack gear (35), a belt (37), and a circular gear (39), so that the sewing machine (31) is attached to the LM guide (33a) (33b).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ircular gear 39 connected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31 and the belt 37 meshes with the rack gear 35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LM guide 33b located below. .

도 1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작동방법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미싱기(31)의 회전모터에 동력을 가하면 회전모터와 벨트(37)로 연결된 원형기어(39)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원형기어(39)와 치합하는 랙기어(35)가 형성되고 연계하는 LM가이드(33a)(33b)의 경로를 따라 미싱기(31)가 이송하면서 하부판(10)과 상부판(20)으로 고정된 이불(1)의 가장자리 둘레로 자동화방식이 적용된 봉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o briefly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using FIGS. 1 to 9,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31, the rotation motor and the circular gear 39 connected to the belt 37 rotate in conjunction, and the circular gear 39 ) and the rack gear 35 that engages is formed and the sewing machine 31 is transported along the path of the linked LM guides 33a and 33b, and the blanket (1) is fixed with the low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Sewing work using an automated method can be performed around the edges of the machin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된 미싱기에 작업자가 이불을 이동하면서 봉제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이불을 상,하부판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불 둘레를 회전 이송하는 이송수단이 연결된 미싱기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수동적인 봉제작업이 아닌 미싱기의 자동화 봉제작업에 따라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봉제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까지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wing machine connected to a transfer means that rotates around the blanket with the blanket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ewing while moving the blanket on a fixed sewing machine, so that the worker can passively remove the blanket. It provides the effect of maximizing work efficiency and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worker's sewing work due to the automated sewing work of the sewing machine rather than the actual sewing work.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이불 10 : 하부판
11 : 지지대 13 : 안착대
20 : 상부판 21 : 고정판
23 : 와이어 30 : 이송수단
31 : 미싱기 33a : LM가이드
33b : LM가이드 35 : 랙기어
37 : 벨트 39 : 원형기어
1: blanket 10: bottom plate
11: support 13: seat
20: upper plate 21: fixing plate
23: wire 30: transportation means
31: Sewing machine 33a: LM guide
33b: LM guide 35: Rack gear
37: belt 39: circular gear

Claims (4)

이불(1) 상에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하는 지지대(11)를 다수개 구비하고, 지지대(11)의 상부로 이불(1)를 안착하는 안착대(13)를 구비하는 하부판(10);
상기 하부판(10)과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하부판(10)의 이불(1)을 고정하도록 고정판(21)을 구비하는 상부판(20); 및
상기 하부판(10)의 측면으로 이불(1)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미싱기(31)를 구비하고, 이불(1) 둘레를 봉제하도록 미싱기(31)를 이송하는 이송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
In the sewing machine device that performs sewing work on the blanket (1):
A lower plate (10)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s (11) for supporting the ground and a seating base (13) for seating the blanket (1) on top of the supports (11);
An upper plate (20) facing the lower plate (10) and having a fixing plate (21) to secure the blanket (1) to the lower plate (10); and
Equipped with a sewing machine 31 for sewing the quilt 1 on the side of the lower plate 10, and transport means 30 for transporting the sewing machine 31 to sew around the quilt 1; A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quilt se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0)은 하부판(10)에 안착된 이불(1)을 고정하도록 천장과 고정판(21) 사이에 상하이동이 가능한 와이어(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per plate (20) is a sewing machine transport mechanism for sewing a blank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ire (23)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ceiling and the fixing plate (21) to fix the blanket (1) seated on the lower plate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0)은 하부판(10)의 지지대(11)를 감싸면서 상하로 대향하는 LM가이드(33a)(33b)를 구비하고, 하방의 LM가이드(33b) 외측으로 랙기어(35)를 구비하며, 미싱기(31)의 회전모터에 벨트(37)를 연결하여 랙기어(35)와 기어 결합하는 원형기어(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ransfer means 30 is provided with LM guides 33a and 33b facing upward and downward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11 of the lower plate 10, and has a rack gear 35 outside the lower LM guide 33b. A sewing machine transport mechanism for quilt sew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ircular gear (39) that connects the belt (37) to the rotation motor of the sewing machine (31) and engages the rack gear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0)은 LM가이드(33a)(33b)를 따라 미싱기(31)가 회전이송하면서 이불(1)의 둘레를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 봉제용 미싱 이송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veying means (30) is a sewing machine conveying mechanism for sewing a blan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machine (31) rotates along the LM guides (33a) (33b) to sew around the perimeter of the blanket (1).
KR1020220047449A 2022-04-18 2022-04-18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KR202301485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49A KR20230148558A (en) 2022-04-18 2022-04-18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449A KR20230148558A (en) 2022-04-18 2022-04-18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558A true KR20230148558A (en) 2023-10-25

Family

ID=8851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449A KR20230148558A (en) 2022-04-18 2022-04-18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55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02B1 (en) 2019-11-26 2020-04-08 안신엽 Sewing machi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02B1 (en) 2019-11-26 2020-04-08 안신엽 Sewing machi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9416B1 (en) Sewing direction control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US20090249990A1 (en) Presser Foot Drive Structure for Embroidery Machine
US4838186A (en) Automatic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mattress-sacks
JP2009112325A (en) Presser foot device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CN108377645A (en) Punching machine and embroidery machine with the punching machine
KR102205272B1 (en) Overlock sewing machine having disk shaped feeding module
JP2009011594A (en) Embroidery method using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KR102098702B1 (en) Sewing machiine
KR20230148558A (en) Sewing machine transfer mechanism for duvet sewing
TW202012725A (en) Sewing machine comprising threading device
JP4799946B2 (en) Sewing sewing machine
CN109667070A (en) A kind of lockstitch button holder
CN205636041U (en) Buttonhole darning sewing machine
JP2006187522A (en) Binding sewing machine
US10612173B2 (en) Hopping foot for a maneuverable quilting machine
CN107620171B (en) Overedger with automatic thread end cutting function
US4022139A (en) Tacker guide and method
US1944690A (en) Embroidery hoop
JP6443860B2 (en) Sewing needle guide mechanism of tatami stitching device and tatami stitching device provided with sewing needle guide mechanism
CN214271239U (en) Structure is cut out to limit seam limit of single-needle quilter
JP4726567B2 (en) Sewing sewing machine
JP2002510215A (en) Method and an automatic sewing machine for sewing a flap and a pocket with a raw closing edge to a part of a sewing product in a single step
CN110735239A (en) automatic sewing device
KR200389572Y1 (en) Spangle supply device of embroidery machine
CN214782498U (en) Feed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