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330B1 -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330B1
KR102098330B1 KR1020190013231A KR20190013231A KR102098330B1 KR 102098330 B1 KR102098330 B1 KR 102098330B1 KR 1020190013231 A KR1020190013231 A KR 1020190013231A KR 20190013231 A KR20190013231 A KR 20190013231A KR 102098330 B1 KR102098330 B1 KR 10209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schedule
inform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대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은전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Abstract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가 부족한 국가에서는 나날이 상승하는 석유 값과, 날로 고갈되는 지하자원 및 환경규제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에너지 활용방안 마련과 친환경 전기차의 대중화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
한편, 전기차가 대중화되는 경우, 전기차의 수요가 늘어나는 만큼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을 늘려야만 하는데 이는 막대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어 현재로선 전기차 주차구역을 늘리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전기차의 대중화에 있어 충전 인프라는 매우 중요한 시설 중 하나 인데, 일반적으로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당 완속충전기 및 급속충전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현재로서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있어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만 한다.
즉,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을 늘리기 위해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주차구역이 협소한 국가에서는 이러한 전기차 전용 주차구역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로선 충전 수요가 집중되는 대단위 주거 및 상공업 단지의 출퇴근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각 전기 자동차의 충전요구량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무분별하게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을 늘릴 경우, 주차구역이 협소한 지역 및 주차장에서 비(非)전기차 운전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대중에게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 수 있어, 전기차를 대중화함에 있어,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을 늘리는 문제는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현재 특정 지역에 전기차 전용주차 구역 및 충전 시설 등의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충전 인프라가 현저히 부족하여,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 시설을 찾아가 무작정 기다리거나, 다른 충전 시설을 찾아가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 요금이 상이한 경우, 충전 인프라를 구비하는 공동 생활 공간에서 거주하는 모든 운전자가 충전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하기를 원하므로 충전 인프라의 이용 시간을 전기차 운전자의 자율에만 의존하면 충전 수요가 특정 시간대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며, 충전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간대를 선점하기 위한 우선 예약을 통해 또는 전기차 충전 공간을 선점하여, 충전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가 충전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하려는 운전자들로 인해 충전 수요가 분산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공동 생활 거주자 내에서, 출퇴근 시간 등의 문제로 비교적 뒷 순서에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해야만 하는 운전자들의 경우, 충전 요금이 상대적으로 비싼 시간에 충전 인프라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는 차량 구동을 위해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하는 전기 차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개인/공공 주택 및 상업시설 등에 충전 인프라를 구축함과 더불어, 전기차의 충전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차를 소유하며, 오피스 지구 또는 공동 주택과 같은 곳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전기차 충전 패턴을 수집하여, 전기차 사용자 별 일일 충전 요구량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충전 시간을 분산시킨 충전 스케줄을 생성함으로써, 일일 충전 전력을 분산시켜 충전 몰림 현상을 방지하고, 충전 부하가 감소되도록 하는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기차를 소유하며, 오피스 지구 또는 공동 주택과 같은 곳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전기차 충전 패턴을 수집하여, 전기차 사용자 별 일일 충전 요구량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충전 시간을 분산시킨 충전 스케줄을 생성함으로써, 일일 충전 전력을 분산시켜 충전 몰림 현상을 방지하고, 충전 부하가 감소되도록 하는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기차 사용자가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함으로써, 충전 용량이 제한적인 충전 인프라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다 많은 사용자가 충전 인프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에서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의 충전 스케줄 조정 전, 후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의 전기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은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 운전자 단말(150) 및 관리자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 충전 장치(110), 전기차(130), 운전자 단말(150) 및 관리자 단말(170)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후술되는 전기차(130)의 충전 내역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복수의 전기차(130)의 충전 시간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 장치(110)는 전기차(1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차(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장치(110)는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차(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110)는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전기차(13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즉, 충전 장치(110)는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지 않은 전기차(130)의 충전 장치(110)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전기차(130)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자동차로서,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전기차(130)는 전술한 충전 장치(1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운전자 단말(150)은 전기차(130)의 운전자의 단말로서,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생성된 충전 스케줄 등을 수신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단말(150)은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생성되는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기 위해, 희망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70)은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로부터 생성된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전술한 충전 장치(110)의 충전 용량 및 전기차(130)의 충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170)은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기차(130)의 총 예상 충전 용량과, 충전 장치(110)의 충전 용량을 비교한 비교 결과를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충전 장치(110)의 충전 용량 내에서 복수의 전기차(13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 장치(110)의 충전 용량을 관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저장부(210), 산출부(230), 생성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저장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내역은 일별 충전량, 전기차의 배터리 소모량 및 충전 관리비 납부 금액 등의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10)는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정보는 업무 공간 내 운전자 지위 및 입출차 기록에 따른 해당 운전자의 충전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용도 정보는 업무 공간 내에서 전기차가 업무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충전 정보,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는 요일 별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운전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내용이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정보에 포함된 일별 충전량이 실제 운전자의 일별 충전량과 상이한 경우,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을 통해 충전 정보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저장부(210)에 저장된 충전 정보는 수정될 수 있다
산출부(230)는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부(230)는 충전 정보에 포함된 일별 충전량,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기차 각각에 대한 충전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패턴은 운전자에 의해 충전 정보가 수정되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수정될 수 있다.
생성부(250)는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50)는 복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 중 다른 전기차와 중복되는 충전 시간이 많은 충전 패턴을 가진 전기차의 충전 권장 시간을 일별 충전량,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른 시간으로 분산시킨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복수의 전기차가 서로 다른 시간에 충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스케줄은 충전 시간대에 따라 서로 다른 충전 요금이 책정될 수 있다. 즉, 생성부(250)는 시간별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250)는 산출된 충전 패턴을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며, 운전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250)로부터 산출된 충전 패턴에 운전자가 고정적으로 충전하고자 하는 충전 시간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는 고정적으로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희망 충전 스케줄을 운전자 단말을 통해 생성부(25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생성부(250)는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생성부(250)는 운전자 단말로부터 회신된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경우, 희망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는 충전 시간에 충전 요금을 상향할 수 있다.
아울러, 생성부(250)는 충전 용량,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이 충전을 희망하는 복수의 전기차를 모두 충전하기에 부족한 경우, 생성부(250)는 이러한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에 기초하여, 충전 가능한 전기차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인프라가 업무 공간 내에 구비되는 경우, 생성부(250)는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직위가 높은 운전자의 전기차를 우선 순위로 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로부터 희망 충전 스케줄이 수신되는 경우, 생성부(250)는 운전자 단말의 사용자의 직위에 기초하여 해당 희망 충전 스케줄의 반영 정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반영 정도에 기초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생성부(250)는 충전 인프라가 업무 공간 내에 구비되는 경우,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업무용 전기차를 우선 순위로 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단말로부터 희망 충전 스케줄이 수신되는 경우, 생성부(250)는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업무용 전기차에 대한 희망 충전 스케줄을 선반영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업무 공간 내 구비되는 충전 인프라가 보다 업무 용도에 맞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충전 장치가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충전 스케줄에 포함되지 않은 전기차에서 충전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에 기초하여 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충전 스케줄 내에 포함되지 않은 전기차의 충전 장치 이용으로 인해, 충전 스케줄에 지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운전자 단말 또는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의 인증을 거친 후, 충전 장치에서 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케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에서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는 운전자의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생성된 충전 스케줄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전기차 A(310), 전기차 B(330), 전기차 C(350)가 모두 경부하요금대에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스케줄이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저렴한 요금으로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자율로 충전 스케줄이 생성되는 경우, 도 3의 (a)와 같이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시간대에 일정 시간대로 몰린 충전 스케줄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250)에 의해 생성된 충전 스케줄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250)는 각각의 전기차 A(310), 전기차 B(330), 전기차 C(350)의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도 3의 (b)와 같이 각각의 전기차별 충전 시간을 분산시킨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250)는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이 일정 시간대에 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기차 D(370)의 추가 충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100)는 하나의 충전 장치에서 보다 많은 전기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스케줄 적용 전, 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의 충전 스케줄 조정 전, 후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는 생성부(250)가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기 전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a)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자율적로 충전 스케줄이 생성되는 경우, 일정 시간대에 충전 요구량이 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자율적로 충전 스케줄이 생성되는 경우,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저렴한 요금의 시간대 혹은 출퇴근 시간대에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기 때문에, 도 4의 (a)와 같이 충전 요구량이 일정 시간대에 몰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4의 (b)는 생성부(250)가 충전 스케줄을 조정한 후를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부(250)는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고, 이렇게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도 4의 (b)와 같이 각각의 전기차별 충전 시간을 분산시킨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여, 복수의 전기차의 충전 시간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도 4의 (a)와 같이 충전 요구량이 일정 시간대에 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전 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기차가 원활하게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의 전기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산출부는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생성부는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70에서 제어부는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210: 저장부
230: 산출부
250: 생성부
270: 제어부

Claims (6)

  1. 업무 공간 내 구비되는 충전 인프라를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 및 일별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과, 업무 공간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운전자 지위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 및 업무 공간 내 상기 전기차가 업무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충전 용량,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일별 충전량,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일별 충전량,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 중 다른 전기차와 중복되는 충전 시간이 많은 충전 패턴을 갖는 전기차의 충전 권장 시간을 다른 시간으로 분산시킨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산출된 충전 패턴을 운전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시간별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되, 상기 희망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희망 충전 스케줄을 전송한 상기 운전자 단말의 충전 시간에 상기 충전 요금을 상향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단말 또는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의 인증을 거친 후, 상기 충전 장치에서 상기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
  6. 업무 공간 내 구비되는 충전 인프라를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충전 내역 및 일별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장치의 충전 용량과, 업무 공간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의 운전자 지위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 및 업무 공간 내 상기 전기차가 업무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용도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용량, 운전자 정보 및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 스케줄을 조정하되,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일별 충전량,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충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권장 시간을 기록한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고, 상기 일별 충전량,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상기 용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차별 충전 패턴 중 다른 전기차와 중복되는 충전 시간이 많은 충전 패턴을 갖는 전기차의 충전 권장 시간을 다른 시간으로 분산시킨 상기 충전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차 충전 관리 방법.
KR1020190013231A 2018-11-09 2019-02-01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KR102098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7646 2018-11-09
KR1020180137646 2018-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330B1 true KR102098330B1 (ko) 2020-04-07

Family

ID=7029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231A KR102098330B1 (ko) 2018-11-09 2019-02-01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3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867A (ja) * 2004-08-31 2006-03-1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KR20120052955A (ko) * 2009-08-11 2012-05-24 소니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충전 방법, 프로그램, 충전 제어 장치 및 충전 제어 방법
KR101233820B1 (ko) * 2009-07-07 2013-02-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48413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지능형 충전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4075903A (ja) * 2012-10-04 2014-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867A (ja) * 2004-08-31 2006-03-16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バッテリ充電システム
KR101233820B1 (ko) * 2009-07-07 2013-02-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52955A (ko) * 2009-08-11 2012-05-24 소니 주식회사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충전 방법, 프로그램, 충전 제어 장치 및 충전 제어 방법
KR20130048413A (ko) * 2011-11-02 2013-05-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의 지능형 충전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4075903A (ja) * 2012-10-04 2014-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ong et al. Vehicle grid integration for demand response with mixture user model and decentralized optimization
CN112277716B (zh) 一种智能有序充电管控系统及其方法
US10220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harging schedule for an electric vehicle
US106256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harging schedule for an electric vehicle
CN105550763A (zh) 一种电动汽车充电站云服务管理系统
Vaidya et al.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for smart cities
US11368028B2 (en) Facilitating charging of acceptor nodes by mobile charging systems
US8825247B2 (en) System for managing battery charg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CN110476312B (zh) 用于协调在小单元和电传输网络之间的功率交换的方法
WO2021069597A1 (en) Method, central scheduler and vehicle to reduce data transfer volume in load optimization of distribu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US11820249B2 (en) Managing the charging of a fleet of vehicles to align with a renewable energy supply curve for an electric grid
KR102131275B1 (ko) 전기차용 충전기의 전력공급방법
US9887566B2 (en) System for charging mobile device using an ad-hoc infrastructure with energy harvesting capabilities
CN109460997B (zh) 一种基于充电桩的电网辅助服务交易系统
Afshar et al. Mobile charging stations for EV charging management in urban areas: A case study in Chattanooga
Pinto et al. Space-aware modeling of two-phase electric charging stations
KR102098330B1 (ko) 전기차의 충전을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Chung et al. Design of fast response smart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Tang et al. A holistic review on advanced bi-directional EV charging control algorithms
CN112258892A (zh) 一种可预约车位的电动汽车充电桩管理系统
CN107578135B (zh) 一种柔性充电系统的管理方法、装置及柔性充电系统
CN113054675B (zh) 电力需求响应方法、系统、设备及介质
KR20220050114A (ko) 전기 자동차의 홈 충전 요금 처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충전 데이터의 활용 방법
Ismail et al. PEV charging in the future smart grid
GB2569096A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queue for charging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