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134B1 -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134B1
KR102098134B1 KR1020190016653A KR20190016653A KR102098134B1 KR 102098134 B1 KR102098134 B1 KR 102098134B1 KR 1020190016653 A KR1020190016653 A KR 1020190016653A KR 20190016653 A KR20190016653 A KR 20190016653A KR 102098134 B1 KR102098134 B1 KR 10209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dimensional structure
printing
manufacturing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형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8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involving additional operations performed on the added layers, e.g. smoothing, grinding or thickness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14Scaffolds; Matr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8General culture methods using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4Collagen; Gelat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저온공정에 의해 제조된 구조체에 비해 골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우수한 골조직 형성능을 가지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및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을 포함하는 프린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용액으로 온도조절 3D 프린팅 하여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구조체를 가교제로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는, 기존 저온공정에 의한 구조체에 비해 골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우수한 골조직 형성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nofibrous collagen three - dimensional structure}
본 발명은 콜라겐의 섬유형성(fibrillogenesis), PF-127의 마이셀(micelle), 및 온도에 따른 졸-겔(sol-gel) 변화 성질을 활용하여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 기관이나 조직이 손상될 경우에 세포, 약물 지지체 등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을 재생하고 있는데, 조직 재생용 구조체는 임플란트 부위에서 물리적으로 안정해야 하고, 재생 효능을 조절할 수 있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어야 하며, 새로운 조직을 형성한 후에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야 하고, 분해산물이 독성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조직 재생용 구조체는 종래 일정한 강도와 형태를 갖는 고분자를 이용한 스폰지 타입, 매트릭스 형태의 나노 섬유 또는 젤 타입의 세포 배양 지지체로 제조되며, 이러한 조직 재생용 구조체(scaffold)는 특정 깊이 또는 높이를 갖는 3차원 형상의 조직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조직공학 분야에서 연구대상 중 하나는 세포 이동과 침윤을 지지할 수 있는 재생 가능한 3차원 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조직 공학에서 사용되는 조직 재생용 구조체는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며 체내 조직 중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많은 역할을 모방한다. 즉 고분자 구조체는 부착, 증식, 분화 등과 같은 세포의 기능, 재생될 생체 조직의 구조 및 수용성 인자와 영양분 그리고 대사산물들의 확산 조절 등을 가능하게 한다. 수용성 콜라겐이나 알지네이트와 같은 천연 생체재료들은 이러한 목적에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되나, 친수성으로 인하여 디자인된 3차원 구조체(scaffold) 제작이 매우 어려웠다. 구조체 상에 새로운 조직을 형성하는 것은 구조체의 다공성, 크기 및 3차원적 다공간 연결구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적절한 다공 구조는 충분한 수의 세포를 운반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상호 연결된 다공 구조는 영양성분 확산을 위해서 필요하다.
콜라겐은 생체 친화성 및 조직 적합성이 우수하고, 항원성이 낮고 숙주 세포의 분화·증식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지혈 작용을 가지며, 생체 내에서 완전히 분해 흡수되므로 의료용 재료의 소재로서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콜라겐으로 제조한 재생공학용 구조체 등은 상온에서 원하는 형태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서,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인체의 조직의 주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은 나노 단위의 섬유 형상인데, 이러한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 기존에는 전기방사(electorspinning)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렇게 제작된 구조체는 부상당한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많은 임상 실험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전기방사를 통해 제작한 콜라겐 구조체는 3차원 구조로 만들기가 어렵고, 세포의 원활한 침투와 영양분 공급을 위한 마크로 단위의 기공을 가진 구조체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3D 프린팅 방식은 이러한 마크로 단위의 기공이 포함된 3D 구조체를 제작하는데 용이하지만, 콜라겐 용액 자체를 활용하여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제작할 경우 구조체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나노 단위의 섬유와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을 포함하며 분산된 구조체로는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76285호
본 발명은 기존 저온공정에 의해 제조된 구조체에 비해 골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우수한 골조직 형성능을 가지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및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을 포함하는 프린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용액으로 온도조절 3D 프린팅 하여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구조체를 가교제로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은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PF-127은 19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온도조절 3D 프린팅은 4 내지 50℃ 에서 행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제는 기니핀(genipin), EDC/NHS,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리보플라빈(Riboflavin), 및 리보오스(Rib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가교제일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제는 3mM 내지 50mM의 기니핀(genipin) 일 수 있고, 상기 가교는 30분 내지 24시간 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된 3차원 구조체에서 PF-127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척은 가교된 3차원 구조체를 24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2 내지 6℃에서 3차수(3 distilled water)에 담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골조직 형성능이 향상된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콜라겐의 변성을 유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조체의 제작이 가능하고, 세포의 원활한 침투와 영양분 공급을 위한 마크로 및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을 가진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콜라겐의 섬유형성(fibrillogenesis), PF-127의 마이셀(micelle), 및 온도에 따른 졸-겔(sol-gel) 변화 성질을 활용하여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는, 기존 저온공정에 의한 구조체에 비해 골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우수한 골조직 형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체 제작에 대한 모식도, 제조공정, 및 최종 제조된 3차원 구조체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로 이루어진 삼차원 구조체 제작에 대한 모식도 이며, 도 1의 (b)는 섬유화가 진행된 콜라겐과 PF-127의 혼합을 통해 프린팅용 용액을 제작한 후, 온도 조절 기능이 있는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3차원 구조체 제작 단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의 (c)는 제작된 구조체를 가교용액 (genipin)을 통해 형상유지를 시킨 후, PF-127 물질의 제거를 진행한 단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d)는 제작 완료된 구조체의 표면 형상을 보여주는 SEM 이미지이며, 도 1의 (e)는 제조된 3차원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콜라겐 및 PF-127에 대한 다양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제작된 콜라겐 용액의 37℃에서 시간에 따른 섬유 생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유변학적 특성을 활용한 측정 방식과 흡광도 차이에 따른 측정 방식 확인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콜라겐 용액의 섬유 형성에 따른 용액의 변화 및 해당 용액의 표면 형상을 확인한 사진이며, 도 2c는 PF-127의 마이셸 구조 형성과 용액-겔 변형 (sol-gel transtion)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d 내지 도 2g는 섬유화된 콜라겐과 다양한 합성고분자들과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형상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h는 콜라겐 섬유의 지름 측정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i는 콜라겐 섬유의 기공 사이즈 측정 데이터로 점 데이터는 raw 데이터이며, 박스 데이터는 5%~95% 범위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3g는 다양한 PF-127 농도에 따른 섬유화된 콜라겐/PF-127 혼합 용액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로, 도 3a는 PF-127 농도 15 wt%(중량%)에서 3D 프린팅 가능성, 가교여부, PF-127 제거 전/후 형상 유지, 및 SEM 이미지 평가 결과이고, 도 3b는 PF-127 농도 19 wt%에서, 도 3c는 PF-127 농도 23 wt%에서, 도 3d는 PF-127 농도 27 wt%에서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e는 섬유화된 콜라겐과 PF-127 농도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f는 35℃ 에서의 저장탄성계수 (Storage modulus, G)를 측정한 결과이며, 도 3g는 섬유화 콜라겐(2wt%)/PF-127 (19wt%) 용액의 프린팅 스테이지(stage)의 온도와 베럴(barrel) 온도에 따른 프린팅 가능성(print-ability)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4a 내지 4h는 19 wt%의 PF-127과 다양한 섬유화 콜라겐의 농도 혼합에 따른 구조체 특성을 평가한 것으로 도 4a는 콜라겐 농도 1wt%(COL-1), 도 4b는 2wt%(COL-2), 도 4c는 3wt% (COL-3)에서 각각의 시각화 이미지 및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콜라겐 섬유의 지름 측정 결과이며, 도 4e는 프린팅 직후와 가교 및 PF-127 제거 이후 제작된 형상의 크기 수축 정도 평가 결과이고, 도 4f는 기공 측정 데이터로 점 데이터는 raw 데이터이며, 박스 데이터는 5%~95% 범위의 데이터를 나타내며, 도 4g는 기공률을 측정결과이며 도 4h는 영률(Young’s modulus) 측정한 결과이다.
도 5a 내지 5i는, 2wt% 섬유화 콜라겐 / 19wt% PF-127 용액을 활용하여 제작한 나노 섬유 콜라겐 구조체(NF-COL) 및 2wt%의 콜라겐과 기존의 저온 공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작한 구조체(COL)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비교한 것으로 도 5a는 COL 구조체의 시각 및 SEM 이미지를, 도 5b는 NF-COL 구조체의 시각 및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 사이즈 측정 결과이며, 도 5d는 마크로 단위의 기공 사이즈 측정결과로 점 데이터는 raw 데이터이며, 박스 데이터는 5%~95% 범위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5e는 기공률 측정결과이며, 도 5f는 단백질(fibronectin) 흡착 측정결과이며, 도 5g는 습윤 상태에서 인장에 대한 기계적 강도 측정 결과이고, 도 5h는 영률(Young’s modulus) 측정 결과이며, 도 5i는 FT-IR(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6g는, 2wt% 섬유화 콜라겐/19wt% PF-127 용액을 활용하여 제작한 나노 섬유 콜라겐 구조체(NF-COL)과 2wt%의 콜라겐과 기존의 저온 공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작한 구조체(COL)의 세포(조골전구세포, pre-osteoblast, MC3T3-E1 cells)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세포의 접종 효율 (cell seeding efficiency)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b는 세포배양 3일 이후 세포 live(초록색)/dead(빨간색) 및 DAPI(세포핵, 파란색)/phalloidin (F-actin, 초록색)를 나타낸 형광 이미지이고, 도 6c는 배양된 세포의 세포 생존율(Day 1, Day 3) 측정 결과이며, 도 6d는 세포 증식율(Day 1, Day 3, Day 7) 측정 결과이며, 도 6e는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ALP, 세포 성숙도 지표) 활성도(Day 3, Day 7, Day 14) 측정 결과이고, 도 6f는 세포의 무기물화 지표인 알리자린 레드 S(Alizarin Red S)(Day 7, Day 14) 측정 결과이고, 도 6g는 조골전구세포의 성숙, 분화에 대한 RT-PCR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및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을 포함하는 프린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용액으로 온도조절 3D 프린팅 하여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구조체를 가교제로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전기방사를 통해 제작한 콜라겐 구조체는 3차원 구조로 만들기가 어렵고, 세포의 원활한 침투와 영양분 공급을 위한 마크로 단위의 기공을 가진 구조체를 제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고, 기존의 3D 프린팅 방식은 이러한 마크로 단위의 기공이 포함된 3D 구조체를 제작하는데 용이하지만, 콜라겐 용액 자체를 활용하여 3D 프린팅을 사용하여 제작할 경우 구조체를 이루는 모든 요소가 나노 단위의 섬유와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을 포함하며 분산된 구조체로는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콜라겐의 섬유형성(fibrillogenesis), PF-127의 마이셀(micelle), 및 온도에 따른 졸-겔(sol-gel) 변화 성질을 활용하는 경우 우수한 골조직 형성능을 가지는 마크로 단위의 기공을 가진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및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을 포함하는 프린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용액으로 온도조절 3D 프린팅 하여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구조체를 가교제로 가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동물의 뼈와 피부 및 근육에 주로 존재하며 연골, 장기 막, 머리카락 등에도 분포되어 있는 경단백질이며 천연 생체적합성 재료로, 본 발명에서는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은 3D 프린팅을 원활하게 해주고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를 분산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 고분자 이다.
상기에서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은 1 내지 3 wt%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PF-127은 19wt% 내지 40 wt%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PF-127가 15 내지 27 wt% 로 포함되는 다공성의 3차원 콜라겐 섬유구조체 제조를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콜라겐이 1 내지 3 wt%로 포함되는 다공성의 3차원 콜라겐 섬유구조체 제조를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상기에서 온도조절 3D 프린팅은, 콜라겐의 변성을 유도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조체의 제작이 가능한 4 내지 50℃ 의 온도범위에서 행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상기에서 가교제는 기니핀(genipin), EDC/NHS,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리보플라빈(Riboflavin), 및 리보오스(Rib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가교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니핀은 3mM 내지 50mM 일 수 있고, 상기 가교는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가교된 3차원 구조체에서 PF-127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척은 가교된 3차원 구조체를 24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2 내지 6℃에서 3차수(3 distilled water)에 담지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2wt% 섬유화 콜라겐/19wt% PF-127 용액을 활용하여 제작한 나노 섬유 콜라겐 구조체(NF-COL)과 2wt%의 콜라겐과 기존의 저온 공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작한 구조체(COL)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콜라겐의 섬유형성(fibrillogenesis), PF-127의 마이셀(micelle), 및 온도에 따른 졸-겔(sol-gel) 변화 성질을 활용하여 제조된 골조직 형성능이 향상된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실시예 4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PF-127의 함유 농도별 다공성의 3차원 콜라겐 섬유구조체의 형태 및 특성 평가
PF-127의 함유 농도별 콜라겐 섬유구조체의 형태 및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프린팅을 위한 용액의 최종 비율이 PF-127은 15 내지 27 wt%으로, 콜라겐은 2 wt%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F-127은 30 내지 54 wt%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Phsphate buffered saline, PBS) 또는 3차수에서 4oC 환경 하에서 녹였다. 콜라겐의 경우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하이 글루코스(High glucose) 용액을 혼합하여 pH는 7 내지 8로 맞추었고 농도는 4 wt%로 맞추었다. 콜라겐 용액은 37oC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콜라겐의 섬유화를 진행시킨 다음 30 내지 54 wt%의 PF-127과 4 wt% 의 콜라겐섬유를 1:1 (wt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PF-127은 15 내지 27 wt%로 콜라겐섬유는 2 wt% 가 되도록 용액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용액은 온도조절 3D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3차원 구조체 형상으로 제작하였고, 5 mM 기니핀(genipin)이 포함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37℃ 에서 1시간 동안 가교를 진행시킨 뒤, 해당 구조체를 4℃ 에서 3차수, 인산완충생리식염수 또는 에탄올에 담지하여 PF-127을 모두 녹여냈다.
그 결과, 도 3a 내지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15 wt%의 PF-127을 포함하여 프린팅할 경우, PF-127이 용해되는 속도가 콜라겐이 가교되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구조체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마크로 기공을 덮어버리는 문제가 있었으나 PF-127이 19 wt% 이상 포함된 잉크에서는 PF-127이 모두 제거되기 전에 형상유지를 위한 콜라겐 가교를 진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 3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화된 콜라겐과 PF-127이 혼합된 wt%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 평가한 결과, PF-127의 wt%가 올라감에 따라, 용액-겔 변형 (sol-gel transtion) 온도(G’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구간)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3f에 나타난 바와 같이 35℃ 에서 섬유화된 콜라겐과 PF-127이 wt%에 따른 혼합된 잉크에서의 G’값에 비추어 PF-127이 많으면 많을수록 저장탄성계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g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온도조절 프린팅 시 용액이 보관되는 배럴의 온도와 토출 후 형상이 놓여지는 프린팅 스테이지 온도에 따른 마크로 포어 구조 형상 유지를 평가한 결과, PF-127이 포함된 잉크의 경우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형상을 제조할 수 있으나, 3D 프린팅을 통한 구조체 제작을 위해서는 PF-127이 19 wt% 이상 포함되어야 하며, 용액-겔 변형 (sol-gel transtion) 온도에 맞추어 프린팅 할 경우 3차원 구조체가 이상적으로 만들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콜라겐이 1 내지 3 wt% 로 포함되는 다공성의 3차원 콜라겐 섬유구조체의 특성 평가
콜라겐이 1 내지 3 wt% 로 포함되는 콜라겐 섬유구조체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프린팅을 위한 용액의 최종 비율이 PF-127은 19 wt%, 콜라겐은 1 내지 3 wt%이 되도록 하여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F-127은 38 wt%로 인산완충생리식염수 또는 3차수에 4℃ 에서 녹였으며, 콜라겐의 경우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하이 글루코스(High glucose) 용액을 혼합하여 pH는 7 내지 8로 맞추었고 농도는 2 내지 6 wt%로 맞추었다. 콜라겐 용액은 37oC 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 콜라겐의 섬유화를 진행시켰고, 이후 38 wt%의 PF-127 및 2 내지 6 wt% 의 콜라겐섬유를 1:1 (wt 비율)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PF-127은 18 wt%로, 콜라겐섬유는 1 내지 3 wt% 가 되도록 용액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용액은 온도조절 3D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3차원 구조체 형상으로 제작하였고, 5 mM 기니핀(genipin)이 포함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37℃ 에서 1시간 동안 가교를 진행시킨 뒤, 해당 구조체를 4oC 에서 3차수, 인산완충생리식염수 또는 에탄올에 담지하여 PF-127을 모두 녹여냈다.
그 결과, 도 4a 내지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콜라겐이 1 내지 3 wt% 인 각 잉크로 3D 프린팅 후 광학 이미지 및 콜라겐의 가교 및 PF-127 제거 이후 표면 형상 이미지를 관찰한 결과 섬유화된 콜라겐이 1 내지 3wt%가 포함된 경우 콜라겐의 지름은 유사하였으나, 콜라겐이 3wt%로 포함된 경우에는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e 내지 도 4h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콜라겐 함유 wt%가 올라갈수록 프린팅 이후 구조체의 수축율이 줄어들고 기공율도 감소하였으나 기계적 강도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2wt% 섬유화 콜라겐/19wt% PF-127 용액을 사용하여 제작한 나노 섬유 콜라겐 구조체(NF-COL) 및 2wt%의 콜라겐과 기존의 저온 공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제작한 구조체(COL)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 평가
NF-COL 및 COL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NF-COL 구조체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고, COL 구조체는 pH 2에 녹여진 콜라겐 2 wt%의 용액을 저온공정 (프린팅 스테이지의 온도가 -15℃ 이하)을 통해 3D 프린팅을 진행 후,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NHS(N-hydroxysuccinimide) 가교 용액을 통한 가교 및 동결건조 방식을 통해 제작되었다
우선, 이미지J 소프트웨어(imageJ software)를 사용하여 NF-COL 및 COL의 기공사이즈를 측정하였으며, 또한 구조체의 부피 및 질량을 측정하고 콜라겐의 이론 밀도값을 사용하여 계산식을 통해 기공률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5a 및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 구조체의 경우 스트럿(strut)이 매트 형태로,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 개발된 잉크로 제작한 구조체는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로 형상이 구현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단위의 구조체가 제작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c 내지 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크로 단위의 기공의 사이즈 및 기공률은 유사하였으나 마이크로 단위의 기공의 경우 본 발명에서 개발된 잉크로 제작된 구조체의 경우 기존 구조체의 경우보다 기공의 크기가 확연히 작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브로넥틴(Fibronectin) 부착율 평가를 위해 에탄올에 소독한 상기 구조체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하룻밤 동안 담지한 다음, 250 νg/ml 의 피브로넥틴 용액에 24시간 동안 37℃ 환경에서 담지하고, 상층액을 뽑아내어, 단백질 양을 측정할 수 있는 BCA(bicinchoninic acid) 키트로 상층액의 단백질 양을 구하고 (x) 250 νg/ml - x 계산식을 통해 구조체에 부착된 피브로넥틴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구조체 표면에 단백질이 얼마나 부착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적이 넓은 NF-COL 구조체에서 더 높은 부착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NF-COL이 COL 보다 세포와의 상호작용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습윤 상태에서 인장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여 구조체의 스트레스-스트레인(stress-strain) 그래프를 작성하였으며, 4 x 15 x 1 mm3 구조체를 인장강도 측정 장비에 넣어 영률(Young's modulus)을 측정한 결과, 도 5g 및 5h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발된 잉크로 제작된 구조체의 경우 기존 구조체의 경우보다 더 탄성이 있는 구조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FT-IR(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를 통해 본 발명 구조체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도 5i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조체의 화학적 구성성분 평가를 위한 FT-IR. 순수 PF-127, 순수 콜라겐의 FT-IR 곡선(curve)과 COL, NF-COL 구조체의 FT-IR 곡선을 통해 제작된 구조체에서 PF-127이 모두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 골조직 형성능 측정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로 구성된 3차원 구조체(실험군, NF-COL) 및 기존에 개발된 저온공정을 통한 3차원 콜라겐 구조체(대조군, COL)에 조골전구세포(preosteoblast, MC3T3-E1)를 사용하여 세포의 증식, 성장, 분화를 확인하였으며 NF-COL 및 COL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우선, 세포의 세포의 생존 및 형상 평가 등을 위해 live/dead 실험 및 DAPI/Phalloidin을 통한 염색 관찰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live/dead 실험을 위해 NF-COL 및 COL 구조체에 세포 접종 후 1 또는 3일 뒤 구조체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 후, 2mM 칼세인(calcein) AM과 2mM 에티듐 호모다이머(ethidium homodimer)-1에 45분동안 37℃, 5% CO2 환경에서 인큐베이팅한 다음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DAPI/Phalloidin을 통한 염색 관찰을 위해 상기 구조체에 세포 접종 후 3일 뒤 구조체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 후, 2mM 디아미디노-2-페닐인돌(diamidino-2-phenylindole, DAPI, 1:100 희석용액) 및 알렉사 플루오르(Alexa Fluor) 568 팔로이딘(phalloidin, 1:100 희석용액)에 45분 동안 37℃, 5% CO2 환경에서 인큐베이팅 시킨 다음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세포의 초기 부착률과 같이 NF-COL에서 세포의 부착이 더 많이 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배양 3일 뒤 Live(살아있는 세포; 초록색) / dead(죽은 세포; 빨간색) 및 DAPI(세포핵; 파란색) / Phalloidin(F-actin; 초록색) 형광 이미지의 분석결과, NF-COL에서 생존 세포들이 더 조밀하게 밀집하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도 6c를 보면 세포 생존률의 경우 1일차 및 3일차에서 COL 및 NF-COL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도 6d를 보면 세포 증식 정도는 COL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구조체에 세포를 접종한 다음 3, 7, 14일 뒤 구조체를 인산완충생리식염수로 2회 세척 후, 0.1 % 트리톤(Triton) X-100이 포함된 25 mM 소듐 카보네이트 버퍼(sodium carbonate buffer)에 10분간 처리 후, 200μl의 세포 용해물(cell lysate)에 포스파테이즈 기질(phosphatase substrate)이 포함된 0.1 M 글리신(glycine) 버퍼(pH 10.4, 1M MgCl2, 1mM ZnCl2)에 반응 시킨뒤 405nm 파장에서 해당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e에 나타난 바와 같이, 3일, 7일 및 14일째 모두 NF-COL에서 ALP 활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의 무기물화를 평가할 수 있는 Alizarin Red S (칼슘이온에 선택적으로 반응)를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Alizarin Red S의 경우 세포 배양 7일 및 14일 뒤에 4℃, 70 v/v% 에탄올에 30분동안 고정시킨 뒤, 0.04mM Alizarin Red S (pH 4.2) 용액에 1시간 담지 하였다. 그 다음 10% 염화세칠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이 포함된 10 mM 소듐 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 버퍼(pH 7.0)에 1시간 동안 녹여낸 뒤 562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f에 나타난 바와 같이 7일 및 14일째 모두 NF-COL에서 높은 흡광도가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세포의 활동성을 RNA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RT-PCR를 수행하였다. 세포 배양 후 3, 5 및 7일에 1mL의 트리졸(Trizol)을 처리하여, 세포를 녹여낸 뒤, RNA를 추출하였다. 500ng의 추출된 RNA는 cDNA로 합성된 뒤에, 타입 I 콜라겐(type I collagen, Col-I), 렁스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Runx2), ALP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의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와 Thunderbird Sybr q PCR Mix를 사용하여 해당 유전자의 발현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거의 모든 인자에 있어서 NF-COL이 COL 보다 높은 발현양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 단위의 콜라겐 섬유로 구성된 3차원 구조체가 대조군에 비해 훨씬 더 효과적인 골조직 형성능 가진다는 점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0)

  1.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 및 플루로닉 F-127 (Pluronic F-127, PF-127)을 포함하는 프린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 용액으로 온도조절 3D 프린팅 하여 3차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구조체를 가교제로 가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화된 콜라겐은 1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F-127은 19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3D 프린팅은 4 내지 50℃ 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기니핀(genipin), EDC/NHS,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리보플라빈(Riboflavin), 및 리보오스(Rib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니핀은 3mM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는 30분 내지 24시간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된 3차원 구조체에서 PF-127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은 가교된 3차원 구조체를 24시간 내지 120시간 동안 2 내지 6℃에서 3차수(3 distilled water)에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90016653A 2019-02-13 2019-02-13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KR102098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53A KR102098134B1 (ko) 2019-02-13 2019-02-13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653A KR102098134B1 (ko) 2019-02-13 2019-02-13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134B1 true KR102098134B1 (ko) 2020-04-08

Family

ID=7027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653A KR102098134B1 (ko) 2019-02-13 2019-02-13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13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246A (ko) * 2003-05-07 2006-05-03 아프메디카, 인크. 흉터 조직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0676285B1 (ko)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20120017225A (ko) * 2010-08-18 2012-02-28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생체활성유리를 포함하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및/또는 콜라겐이 코팅된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4625B1 (ko) * 2015-07-07 2017-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 재생용 인공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3918A (ko) * 2014-03-25 2017-01-10 바이오보츠 인코포레이티드 전자기 방사선을 이용한 조직 및 재료의 제조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24972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삼차원 프린팅용 잉크를 공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차원 프린팅 방법
JP2018501845A (ja) * 2014-12-11 2018-01-25 イーティーエッチ チューリッヒ 軟骨修復のための移植片足場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05189A (ja) * 2015-02-11 2018-02-22 ミメディクス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ラーゲンおよび微粉化胎盤組織からなる組成物ならびにその調製および使用方法
KR20180022252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바이오 잉크를 3차원 프린팅하는 장치
WO2018046920A1 (en) * 2016-09-07 2018-03-15 Jellagen Pty Ltd Method for producing collagen hydrogel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246A (ko) * 2003-05-07 2006-05-03 아프메디카, 인크. 흉터 조직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0676285B1 (ko)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20120017225A (ko) * 2010-08-18 2012-02-28 한국기계연구원 다공성생체활성유리를 포함하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및/또는 콜라겐이 코팅된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3918A (ko) * 2014-03-25 2017-01-10 바이오보츠 인코포레이티드 전자기 방사선을 이용한 조직 및 재료의 제조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8501845A (ja) * 2014-12-11 2018-01-25 イーティーエッチ チューリッヒ 軟骨修復のための移植片足場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505189A (ja) * 2015-02-11 2018-02-22 ミメディクス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ラーゲンおよび微粉化胎盤組織からなる組成物ならびにその調製および使用方法
KR101694625B1 (ko) * 2015-07-07 2017-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 재생용 인공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4972A (ko)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삼차원 프린팅용 잉크를 공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삼차원 프린팅 방법
KR20180022252A (ko) *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바이오 잉크를 3차원 프린팅하는 장치
WO2018046920A1 (en) * 2016-09-07 2018-03-15 Jellagen Pty Ltd Method for producing collagen hydrog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Melo et al. Strategies to use fibrinogen as bioink for 3D bioprinting fibrin-based soft and hard tissues
EP3532117B1 (en)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of 3d bioprinting bioinks for repair of bone defects, based on cellulose nanofibrils hydrogels with natural or synthetic calcium phosphate particles
Zhang et al. Biocompatibility evaluation of bacterial cellulose as a scaffold material for tissue-engineered corneal stroma
Badekila et al. Fabrication techniques of biomimetic scaffolds in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A review
JP5527760B2 (ja) コラーゲン/ヒドロキシアパタイト複合骨格及びその生成方法
CN109364302A (zh) 一种骨软骨修复材料及组织工程支架的制备方法
Yao et al. In vitro angiogenesis of 3D tissue engineered adipose tissue
ES2373124T3 (es) Estructuras corneales multicapa sintéticas que comprenden fibras de colágeno.
US11696974B2 (en) Method for preparing a functionally gradient material for guided periodontal hard and soft tissue regeneration
WO2018078130A1 (en)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of 3d bioprinting bioinks for repair of bone defects, based on cellulose nanofibrils hydrogels with natural or synthetic calcium phosphate particles
CN111097068B (zh) 一种仿生的羟基磷灰石粉体/明胶/海藻酸钠复合3d打印支架及其制备方法
Fu et al. P34HB electrospun fibres promote bone regeneration in vivo
CN101264341A (zh) 三维多孔组织工程支架材料、其制备及应用
CN109608667A (zh) 一种具有促进骨缺损修复作用的埃洛石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972760A (zh) 一种负载内皮细胞外基质的3d打印骨缺损修复支架及其制备方法
Li et al. Mechanically-reinforced 3D scaffold constructed by silk nonwoven fabric and silk fibroin sponge
Pázmány et al. Ultrasound induced, easy-to-store porous poly (amino acid) based electrospun scaffolds
Wan et al. Submicrofiber‐Incorporated 3D Bacterial Cellulose Nanofibrous Scaffolds with Enhanced Cell Performance
Nguyễn et al. Alginate-silk fibroin Bioink: A printable hydrogel for tissue engineering
KR102098134B1 (ko) 나노 섬유질 콜라겐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Deymeh et al. Use of gelatin as a sacrificial agent in combination with ultrasonication to improve cell infiltration and osteogenesis of nanofibrous PCL-nHA scaffold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CN114887116B (zh) 一种负载间充质干细胞外基质的3d打印骨缺损修复支架及其制备方法
Jodat et al. hiPSC-derived 3D bioprinted skeletal muscle tissue implants regenerate skeletal muscle following volumetric muscle loss
CN112354016A (zh) 一种仿生人工骨材料及其生产方法
KR102284592B1 (ko)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배열된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열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