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616B1 -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 Google Patent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616B1
KR102097616B1 KR1020130001445A KR20130001445A KR102097616B1 KR 102097616 B1 KR102097616 B1 KR 102097616B1 KR 1020130001445 A KR1020130001445 A KR 1020130001445A KR 20130001445 A KR20130001445 A KR 20130001445A KR 102097616 B1 KR102097616 B1 KR 10209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air
acid
p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9711A (en
Inventor
김도희
김상윤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0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616B1/en
Priority to PCT/KR2013/000201 priority patent/WO2013105795A1/en
Priority to CN201380003360.0A priority patent/CN103889558B/en
Priority to PCT/KR2013/008861 priority patent/WO2014106982A1/en
Publication of KR2014008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20Operation control schemes defined by a periodically repeated sequence comprising filtration cycles combined with cleaning or gas supply, e.g. 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사막; 상기 중공사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중공사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는 산기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중공사막의 상부영역의 오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 hollow fiber membrane; A support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 collect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an air pipe having an air path formed therein and air diffused on the outer surfac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Thereby, contamination of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can be suppressed.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Hollow fiber membrane modul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영역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easily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upper region.

주지된 바와 같이,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일 종이다. As is well known, the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is one of the separation techniques using the material-selective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mer materials.

기존의 분리막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판틀형(plat and frame) 등 여러 형식이 있다. Existing separation membranes are of various types, such as spiral wound, tubular, hollow, and plat and frame.

상기 중공사형은 직경이 0.2~2 mm이고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상의 중공사를 이용하므로,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서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진다. Since the hollow fiber type uses hollow fiber having a diameter of 0.2 to 2 mm and an empty center, a membrane area ratio per unit volume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types, and thus has higher productivity.

중공사형 분리막은 중공사를 다발지어 모듈로 형성된다.The hollow fiber type separation membrane is formed of a bundle of hollow fibers as a module.

중공사막 모듈 중 소위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은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의 수조에 직접 침지하여 사용된다. Amo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s, a so-called immersion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used by immersing directly in a water tank of a fluid to be treated.

도 1은 종래의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mmersion-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중공사막 모듈은, 내부에 중공(12)이 구비된 중공사막(10)과, 상기 중공사막(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부(20)와, 상기 중공사막(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콜렉터(3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es a hollow fiber membrane 10 having a hollow 12 therein, a support portion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0,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It has a collector 30 coupled to the top of (10).

상기 지지부(20) 및 콜렉터(3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20) 및 콜렉터(30)를 연결하는 지지체(40)가 마련된다. A support 40 for connecting the support 20 and the collector 30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20 and the collector 30.

상기 지지부(20)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공, 노즐, 산기구 또는 산기공(22)(이하, "산기공(22)"이라 표기함)이 마련된다.The support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n outlet hole, a nozzle, an acid mechanism, or an acid hole 22 through which air flows o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id hole 22").

상기 산기공(22)을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부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공사막(10)을 흔들어 상기 중공사막(10)의 표면의 오염물질이 분리막 표면에서 제거되도록 한다. The air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22 moves to the upper region and shakes the hollow fiber membrane 10 so that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0 are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20)의 산기공(22)을 통해 유출된 공기(기포) 중 일부는 중공사막 모듈의 외측으로 이탈(이동)되어 중공사막(10)의 표면의 오염물질 분리에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중공사막(10)의 상부영역은 하부영역에 비해 운전 압력 차에 기인하여 오염정도는 심하고 공기의 이탈이 발생되므로 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다. By the way, in such a conventional immersion 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some of the air (bubbles)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22 of the support part 20 is detached (mov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the hollow fiber membrane 10 ) Does not contribute to the separation of contaminants on the surface. In particular,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0 has a higher degree of contamination due to a difference in operating pressure than the lower region, and since the escape of air is generated, contamination may be further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공사막의 상부영역의 오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suppressing contamination of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의 외부로 공기가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apable of suppressing the escape of air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중공사막; 상기 중공사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중공사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llow fiber membrane; A support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 collect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It is provided with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and an air pipe is formed inside the air pipe is provided with acid pores through which air flows out,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여기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콜렉터의 중심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air diffuse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llector.

상기 산기관의 외경은 상기 콜렉터의 외경의 50%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diffuser may be 50% or less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ctor.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산기공은 상기 지지부의 반경의 절반 이내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ir hole to allow air to flow out, and the air hol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half of the radius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산기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상기 산기공은 서로 다른 간격(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may be formed at different intervals (pitch).

상기 산기공은 상하로 이격된 제1산기공, 제2산기공 및 제3산기공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acid po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ird and second acid pores.

상기 제1산기공, 제2산기공 및 제3산기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acid pore, the second acid pore, and the third acid pore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상기 산기관의 내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공기공급관이 각각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air diffuser into different spaces may be provided, and air supply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산기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cid pores of different sizes may be formed in the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s.

상기 산기공은 상기 산기관의 높이(H)의 절반(H/2)의 상측에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ight (H / 2) of the height (H) of the air diffuser.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이 구비될 수 있다.An acid pore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to allow air to flow o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을 구비하여 일 단은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콜렉터에 연결되는 산기관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산기관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모듈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flow path is formed inside and an acid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out is provided on one surface,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By providing 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diffuse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상기 산기관을 상기 콜렉터 및 지지부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산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모듈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diffuser at the center of the collector and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diffuse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또한, 상기 산기관의 외경은 상기 콜렉터의 직경의 50%이하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설치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ffuser can be formed to be 50%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collector, thereby securing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또한, 산기관의 산기공이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기포(공기방울)을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오염물질 입자를 중공사막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air pores of the air diffuser to have different diameters, it is possible to form bubbles (air bubbles) of various sizes so that contaminant particles of various sizes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또한, 산기공이 서로 다른 피치(간격)를 구비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기포가 다양하게 분포되게 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pores to be arranged with different pitches (intervals), bubbles can be variously distributed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또한, 산기관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공기공급관이 각각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기포를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form bubbles of various sizes by dividing a plurality of internal spaces of the diffuser and providing air supply pipes to the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s.

도 1은 종래의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산기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측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mmersion-typ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iffuser of FIG. 2, respectively,
5 is a side view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130);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142)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130)에 연결되는 산기관(140);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support portion 120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collector 13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nd an air pipe formed inside and having an air hole 142 through which air flows on the outer surfac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130. ; Can be provided.

중공사막(110)은, 예를 들면, 소정 개수(미리 설정된 개수)의 중공사막(110)을 구비한 복수의 다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ndles having a predetermined number (preset number)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부에는 지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A support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부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20)의 포팅재에 의해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to be blocked by the potting material of the support 120.

상기 지지부(120)는, 예를 들면, 원반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upport 120 may be implemented in a disc shape, for example.

상기 지지부(120)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12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20 may be provided with acid pores 122 to allow air to flow out.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을 통해 유출된 공기(124), 공기방울, 기포(이하, "공기"로 표기함)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ir 124, air bubbles, and air bubb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122 of the support part 120 may be moved upward.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는 콜렉터(130)가 구비될 수 있다. A collector 13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는 상기 콜렉터(13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collector 130.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는 상기 중공사막(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투과수)이 유출될 수 있게 개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콜렉터(130)에서 상기 각 중공사막(110)의 내부로 투과된 투과수가 집수(수집)되어 유출될 수 있다.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so that water (permeate) introduced into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can be discharged. As a result, permeate permeated from the collector 130 to the inside of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collected (collected) and discharged.

상기 콜렉터(130)는, 예를 들면, 소정 직경(D)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llector 130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D).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는 투과수의 유입이 촉진될 수 있게 흡인력(음압,부압; Negative Pressure)이 작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 가까운 상부영역이 상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하부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이 촉진될 수 있다. A suction force (negative pressure, negative pressure) may be configured to ac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so as to facilitate the inflow of permeate. Accordingly, contamination of the upper region near the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relatively promoted compared to the lower region far from the upper end.

상기 콜렉터(130)에는 흡인력이 작용할 수 있게 도시 않은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oll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a pump (not shown) so that suction force can act.

한편,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콜렉터(130) 사이에는 산기관(140)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n air diffuser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collector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기관(140)의 일 단부(하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고 상기 산기관(140)의 타 단부(상단부)는 상기 콜렉터(130)에 연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one end (lower end) of the diffus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120 and the other end (upper portion) of the diffuse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or 130.

상기 산기관(140)은, 예를 들면, 상기 중공사막(110)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중공사막(110)은 상기 콜렉터(130)와 상기 지지부(120) 사이에 느슨하게 늘어져 유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산기관(140) 및/또는 상기 지지부(120)로부터 유출되어 상향 이동하는 공기(공기방울, 기포)(124)에 의해 상기 각 중공사막(110)이 흔들리면서 상기 각 중공사막(110)의 표면의 오염물질이 상기 중공사막(11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제거)될 수 있다. The diffuser 14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for example. Accordingly, eac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110 may be loosely stretched between the collector 130 and the support part 120 to be flowabl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is shaken by air (air bubbles, air bubbles) 124 that is discharged from the air diffuser 140 and / or the support unit 120 and moves upward.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110) may be separated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An air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air diffuser 140.

상기 산기관(140)의 상부영역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복수의 산기공(14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cid pores 142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region of the air diffuser 140 to allow air to flow out.

상기 산기공(142)은 상기 산기관(140)의 높이(H)의 절반(H/2)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염이 주로 발생하는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영역에 공기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공사막(110)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may be preferably formed above the half (H / 2) of the height (H) of the air diffuser 140. Thereby, air is intensively suppli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where contamination mainly occurs,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contaminant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상기 산기공(142)은, 예를 들면, 동일한 직경(d)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d), for example.

상기 산기공(142)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피치)(p)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pitch) 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산기공(142)은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산기관(140)의 산기공(142)은 6단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산기공(142)의 크기, 간격 및 단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air holes 142 of the air pipe 140 are formed in six stages, the size, spacing, and number of stages of the air holes 142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상기 산기공(142)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3단(143a)은 상하로 열을 이루게 배치되고, 하측의 3단(143b)은 상측의 3단의 산기공(143a)의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산기공(142)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패턴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upper three-stage (143a) is arranged to form a column up and down, the lower three-stage (143b) is the upper three-stage acid pores It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143a). Thereby, the pattern of air flowing out through the acid pores 142 may be varied.

또한, 상기 산기공(142)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의 산기공이 홀수 단(145a)과 짝수 단(145b)이 서로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산기공(14)을 통해 유출된 공기의 패턴이 더욱 다양하게 되어 상기 중공사막(110)을 더욱 효과적으로 흔들어 상기 중공사막(110)의 오염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id pores 14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acid pores of each stage are arranged in an zigzag manner with the odd stage 145a and the even stage 145b. As a result, the pattern of air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14 is more diversified, so that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is shaken more effectively to more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상기 산기관(140)은, 예를 들면, 상기 콜렉터(130)의 직경(D)의 50%(D/2)이하의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렉터(130)의 직경이 5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중공사막(110)의 설치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수처리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The diffuser 1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ameter of 50% (D / 2) or less of the diameter D of the collector 130, for example. Here, when the diameter of the collector 130 exceeds 50%,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relatively small, thereby deteriorating water treatment capacity.

상기 산기관(140)의 일 측에는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공기공급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An air supply unit 15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ffuser 140 to supply air to the inside of the diffuser 140.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도시 않은 송풍팬과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a blower fan (not shown) to supply air.

예를 들면,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기관(140)의 산기공(142) 및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을 통해 공기(기포)(124)가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 및 상기 산기관(140)의 산기공(142)으로 적절한 공기가 공급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example, 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20. Accordingly, air (bubble) 124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acid pore 142 of the air diffuser 140 and the acid pore 122 of the support part 120. Here, of course, 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appropriate air to the acid pores 122 of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acid pores 142 of the air diffuser 14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공기공급부(15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 및 상기 산기관(140)의 산기공(142)을 통해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50,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hole 122 of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air hole 142 of the air diffuser 140.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을 통해 유출된 공기(공기방울)(124)는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공사막(110)을 흔들어 상기 중공사막(110) 표면의 오염물질이 상기 중공사막(110)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air (air droplets) 124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122 of the support part 120 moves upward and shakes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to contaminate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with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한편, 상기 산기관(140)의 산기공(142)을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부영역으로 유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오염이 심하게 발생되는 중공사막(110)의 상부영역의 오염물질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ir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142 of the air diffuser 140 is discharg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thereby contaminants in the upper reg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where contamination is relatively severe. Make it easy to separat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and the same parts as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components for convenience of drawing,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so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130);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142)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130)에 연결되는 산기관(140);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support portion 120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collector 13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nd an air pipe formed inside and having an air hole 142 through which air flows on the outer surfac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130. ; Can be provided.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에는 지지부(120)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콜렉터(130)가 연결될 수 있다. A support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nd a coll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한편, 상기 산기관(140)의 상부영역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n acid pore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iffuser 140 to allow air to flow out.

상기 산기공(142)은, 예를 들면, 상측에 배치되는 제1산기공(151), 상기 제1산기공(15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산기공(152) 및 상기 제2산기공(15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산기공(153)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acid pores 142 are, for example, first acid pores 151 disposed on the upper side, second acid pores 15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cid pores 151, and the second acid pores It may be configured by having a third acid hole 153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152).

상기 제1산기공(151)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직경(d1)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mountain pore 15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first diameter d1.

상기 제1산기공(151)은 원주방향을 따라 제1피치(p1)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mountain pores 151 may be spaced apart at a first pitch p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1산기공(151)은, 예를 들면,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단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mountain pores 151 may be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stages spaced apart, for example.

상기 제2산기공(152)은 상기 제1산기공(151)의 제1직경(d1)에 비해 큰 제2직경(d2)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mountain pore 15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econd diameter d2 that is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of the first mountain pore 151.

상기 제2산기공(152)은 상기 제1산기공(151)의 제1피치에 비해 큰 제2피치(p2)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ountain pores 152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second pitch p2 larger than the first pitch of the first mountain pores 151.

상기 제2산기공(152)은, 예를 들면,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단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acid pore 15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stages spaced apart, for example.

상기 제3산기공(153)은, 예를 들면, 상기 제2산기공(152)의 제2직경(d2)에 비해 큰 제3직경(d3)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third mountain pore 15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ird diameter d3 larger than, for example, the second diameter d2 of the second mountain pore 152.

상기 제3산기공(153)은, 예를 들면, 상기 제2산기공(152)의 제2피치(p2) 보다 큰 제3피치(p3)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mountain pores 153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a third pitch p3 larger than the second pitch p2 of the second mountain pores 152, for example.

여기서, 상기 제1산기공(151), 제2산기공(152) 및 제3산기공(153)의 직경 및 피치, 상하로 배치된 단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diameters and pitches of the first acid pores 151, the second acid pores 152, and the third acid pores 153, and the number of stages arranged up and down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한편, 상기 산기관(140)에는 상기 산기관(140)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공기공급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diffuser 140 to supply air to the air diffuser 140.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20 and configured to supply air to the interior of the air diffuser 14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기공급부(15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산기공(122)을 통해 유출되어 상향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110)이 흔들리면서 중공사막(110) 표면의 오염물질이 분리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50, some of the air flows out through the acid hole 122 of the support unit 120 and moves upward. As a result,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ay be separated while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is shaken.

한편, 공급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산기관(140)을 따라 상향 이동하여 상기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제1산기공(151)을 통해 유출된 공기는 상기 산기관(140)에 가까운 거리에서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기 산기관(140)에 근접 배치된 중공사막(110)을 흔들어 상기 중공사막(110)의 표면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other parts of the supplied air may move upward along the diffuser 14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cid pores 151 to 153. At this time, the air leaked through the relatively small first mountain pores 151 may be moved upward at a distance close to the air diffuser 140. Thereby,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diffuser 140 is shaken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그리고, 상기 제1산기공(15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제2산기공(152)을 통해서 유출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산기관(140)으로부터 더 이격되어(예를 들면 중간 지점)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중공사막(110)(예를 들면 상기 콜렉터(130)의 테두리와 상기 산기관(140)의 외경 사이의 중간 정도에 배치된 중공사막(110)들)을 흔들어 상기 중간의 중공사막(110)을 흔들어 중공사막(110)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ir leaked through the second mountain pore 152,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irst mountain pore 151, may be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air diffuser 140 (for example, an intermediate point) and moved upward. have. By this, the hollow fiber membranes 110 disposed relatively far (for example, the hollow fiber membranes 110 disposed in the middle between the rim of the collector 13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diffuser 140) are shaken to The intermediate hollow fiber membrane 110 is shaken to remove contaminants from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또한, 가장 큰 제3산기공(153)을 통해 유출된 공기(기포)는 상대적으로 상기 산기관(140)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상기 콜렉터(130)의 테두리에 근접)되어 상향 이동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멀리 배치된 중공사막(110)(예를 들면 외곽영역에 배치된 중공사막(110))을 흔들어 상기 중공사막(110)의 표면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ir (air bubbles) leaked through the largest third mountain pore 153 is relatively farther away from the air diffuser 140 (closer to the rim of the collector 130) and moved upward. The disposed hollow fiber membrane 110 (for example,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disposed in the outer region) is shaken to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공기공급부(150)를 통해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산기관(140)의 상부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각각 유출된다. By this configura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diffuser 140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50, the air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ffuser 140 is the first acid pores 151 to 3 Each is leaked through the acid pores 153.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110)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의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상기 산기관(140)으로부터 각각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고 공기가 상향 유동함에 따라 상기 산기관(140)으로부터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각 중공사막(110)을 적절히 흔들어 각 중공사막(110) 표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modules of this embodiment have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from the aeration pipes 140 through the first mountain pores 151 to the third mountain pores 153 having different diameters. As the air flows upward,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spaced apart from the air diffuser 140 at different intervals can be properly shaken to effectively separate and remove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110);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120); 상기 중공사막(1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130);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142)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120)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130)에 연결되는 산기관(140);을 구비할 수 있다. 6,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support portion 120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 collector 13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And an air pipe formed inside and having an air hole 142 through which air flows on the outer surfac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130. ; Can be provided.

상기 중공사막(110)의 하단 및 상단에는 지지부(120) 및 콜렉터(1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A support portion 120 and a collector 130 may be provided at lower and upper end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respectively.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콜렉터(130) 사이에는 산기관(140)이 구비될 수 있다.An air diffuser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120 and the collector 130.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An air flow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air diffuser 140.

한편,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60)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partition wall 160 partitioning a spa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ffuser 140.

상기 격벽(160)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60 may be formed.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제1격벽(161) 내지 제3격벽(163)이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diffuser 140, for example, the first partition wall 161 to the third partition wall 163 may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 상부영역에 제1격벽(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161)의 하측에는 제2격벽(162)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first partition wall 160 may be formed in an inner upper region of the diffuser 140, and a second partition wall 162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partition wall 161. .

상기 제2격벽(162)의 하측에 제3격벽(163)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는 제1공간(171), 제2공간(172) 및 제3공간(173)이 각각 구획형성될 수 있다. A third partition 16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artition wall 162. Accordingly, a first space 171, a second space 172, and a third space 173 may be partitioned in the interior of the diffuser 140.

상기 제1격벽(161)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171)의 외벽에는, 예를 들면, 제1산기공(15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An outer wall of the first space 171 partitioned by the first partition wall 161 may be formed, for example, through a first mountain pore 151.

상기 제2공간(172)의 외벽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산기공(151)에 비해 큰 직경(d2)을 가지는 제2산기공(15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space 172, for example, a second mountain pore 152 having a larger diameter d2 than the first mountain pore 151 may be formed through.

상기 제3공간(173)의 외벽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2산기공(152)에 비해 큰 직경(d3)을 가지는 제3산기공(15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uter wall of the third space 173, for example, a third mountain pore 153 having a larger diameter d3 than the second mountain pore 152 may be formed through.

상기 공기공급부(150)는 상기 산기관(140)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80)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50 may include an air supply pipe 180 that supplies air to the interior of the air diffuser 140.

상기 공기공급관(180)은, 예를 들면, 상기 제1공간(171)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급관(181), 상기 제2공간(17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공간(172)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급관(182) 및 상기 제3공간(173)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공간(173)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3공급관(18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pipe 180 is, for example, dispose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181 and the second space 172 for supplying air to the first space 171, the second space 172 A second supply pipe 182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and a third supply pipe 183 for supplying air to the third space 173 may be provided inside the third space 173.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공급관 내지 제3공급관을 통해 공기가 상기 제1공간(171) 내지 제3공간(173)에 각각 공급되면 해당 공간에 형성된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공기가 각각 유출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71 to the third space 173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to the third supply pipe, first acid pores 151 to third mountain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res 153, respectively.

상기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유출된 공기는 각각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주위의 중공사막(110)을 흔들어줌으로써 각 중공사막(110)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Contaminants are removed from the surfaces of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by shaking the surrounding hollow fiber membranes 110 while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first mountain pores 151 to the third mountain pores 153 moves upwards, respectively. As possible.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의 제1산기공(151) 내지 제3산기공(153)을 통해 서로 다른 크기의 공기방울(기포)가 각각 상향 이동되어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중공사막(110)을 각각 흔들어줌으로써 중공사막(110)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air bubbles (bubbles) having different sizes are moved upwar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ird pores 151 to 153, respectively, having different diameters, respectively. The contaminants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shaking each of the hollow fiber membranes 110 disposed in the region.

더욱이, 상기 제1공간(171) 내지 제3공간(173)에 공기를 적절한 양(또는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어 상기 중공사막(110)의 오염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출 정도(유출량 및/또는 유출압)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각 중공사막(110)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Moreover, the ai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71 to the third space 173 in an appropriate amount (or pressure), so that the degree of air leakage (spill amount and / or flow)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110 Pressure)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of each hollow fiber membrane 110.

도 2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산기관의 산기공이 상기 산기관의 상부영역에 편중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산기공은 상기 산기관의 상부영역은 물론 중간영역 및 하부영역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2 to 6,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air holes of the air diffuser are biasedly disposed in the upper area of the air diffuser, but the air pores are the upper area of the air diffuser as well as the middle area And it can be formed in both the lower region.

또한, 도 2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에 산기공이 모두 구비되게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상기 지지부의 산기공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산기관에만 산기공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FIGS. 2 to 6, the case where all the acid pores are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is exemplified, but the acid pores are formed only in the acid engine without forming the acid pores in the support portion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또한,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산기공의 직경이 3가지로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상기 산기공의 직경은 2가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4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it is exemplified that three diameters of acid pores are form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wo diameters of acid pores, or four or more.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In the above,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embodiments not listed one by one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embraced by the appended claims.

110 : 중공사막 120 : 지지부
122,142 : 산기공 124 : 공기
130 : 콜렉터 140 : 산기관
150 : 공기공급부 151 : 제1산기공
152 : 제2산기공 153 : 제3산기공
160 : 격벽 161 : 제1격벽
162 : 제2격벽 163 : 제3격벽
171 : 제1공간 172 : 제2공간
173 : 제3공간 180 : 공기공급관
181 : 제1공급관 182 : 제2공급관
183 : 제3공급관
110: hollow fiber membrane 120: support
122,142: Mountain pore 124: Air
130: collector 140: a mountain organ
150: air supply unit 151: the first mountain mechanics
152: 2nd mountain pore 153: 3rd mountain pore
160: partition wall 161: the first partition wall
162: 2nd bulkhead 163: 3rd bulkhead
171: first space 172: second space
173: third space 180: air supply pipe
181: first supply pipe 182: second supply pipe
183: 3rd supply pipe

Claims (15)

중공사막;
상기 중공사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중공사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콜렉터; 및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외면에 공기가 유출되는 산기공을 구비하고, 일 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는 산기관;
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공은 상기 산기관의 높이(H)의 절반(H/2)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산기관의 내부를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는 공기공급관이 각각 연결되며,
인접한 상기 공간 중 하측에 위치한 공간의 상기 산기공은, 인접한 상기 공간 중 상측에 위치한 공간의 상기 산기공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Hollow fiber membrane;
A support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 collecto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And
An air pipe having an air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acid hole through which air flows on an outer surfac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or;
Including,
The acid pore is formed on the upper half of the height (H) of the air diffuser (H / 2),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air diffuser into different spaces is provided, and air supply pip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id pores of the space located below the adjacent space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cid pores of the space located above the adjacent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콜렉터의 중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diffuser i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의 외경은 상기 콜렉터의 외경의 5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2,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diffuser is 50% or less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산기공은 상기 지지부의 반경의 절반 이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cid pore to allow air to flow out, and the acid hole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in a half of the radius of the support portio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pores ar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dia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공은 서로 다른 간격(피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es are formed at different intervals (p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공은 상하로 이격된 제1산기공, 제2산기공 및 제3산기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acid pore i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cid pore, a second acid pore and a third acid pore spaced up and dow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기공, 제2산기공 및 제3산기공은 서로 다른 직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pore, the second pore, and the third pore is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different diam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공기가 유출될 수 있게 산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cid pores to allow air to flow ou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산기공은 상기 제1산기공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산기공은 상기 제2산기공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산기공의 직경은, 상기 제1산기공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3산기공의 직경보다 작은 중공사막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acid pore is located below the first acid pore,
The third acid pore is located below the second acid pore,
The diameter of the second acid pores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cid pores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acid por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산기관보다 길게 형성되는 중공사막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ffuser.
KR1020130001445A 2012-01-11 2013-01-07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2097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445A KR102097616B1 (en) 2013-01-07 2013-01-07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CT/KR2013/000201 WO2013105795A1 (en) 2012-01-11 2013-01-10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01380003360.0A CN103889558B (en) 2012-01-11 2013-01-10 Hollow fiber film assembly
PCT/KR2013/008861 WO2014106982A1 (en) 2013-01-07 2013-10-04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445A KR102097616B1 (en) 2013-01-07 2013-01-07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11A KR20140089711A (en) 2014-07-16
KR102097616B1 true KR102097616B1 (en) 2020-04-06

Family

ID=5173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445A KR102097616B1 (en) 2012-01-11 2013-01-07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61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499A (en) 2009-11-26 2011-06-0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method
WO2013105795A1 (en) 2012-01-11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90B1 (en) * 2004-02-02 2008-03-18 주식회사 코오롱 A submerge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0626306B1 (en) * 2004-08-16 2006-09-20 (주)필로스 An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water by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KR100999038B1 (en) * 2008-08-01 2010-12-09 (주)필로스 Membrane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499A (en) 2009-11-26 2011-06-09 Kobelco Eco-Solutions Co Lt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method
WO2013105795A1 (en) 2012-01-11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711A (en)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35824A1 (en) Hollow-fiber membrane module
KR20120089849A (en) High pressure liquid degassing membrane conta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e
US20160303515A1 (en) Filter system and vessel for the filter system
JP2015071167A (en) Filtration apparatus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herefor
JP5845673B2 (en) Air diffuser
KR101625603B1 (en) Module for fixing a bundle of a hollow fiber membrane and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6171011A1 (en) Filtration device
KR102097616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20180243698A1 (en) Filter unit
WO2016181803A1 (en) Filtration device
CN103889558B (en) Hollow fiber film assembly
JP2016087567A (en) Membrane module
WO2011150206A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O2018012178A1 (en) Aeration unit and filtration device
WO2011150210A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O2018092342A1 (en) Filtration module and filtration device
WO2016158308A1 (en) Diffuser tube and filtration unit
KR102045496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WO2016088579A1 (en) Filtration module and filtration device
US20190039025A1 (en) Filter unit
CN105828918A (en) Membrane separation device
JP6910850B2 (en) An air diffuser,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including the air diffuser, and a water treatment method.
WO2017126349A1 (en) Gas diffusion tube and filtration unit
JP2006281198A (en) Immersion type filter
CN105771664A (en) Curtain typ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33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11

Effective date: 2020031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