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592B1 -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92B1
KR102097592B1 KR1020190120937A KR20190120937A KR102097592B1 KR 102097592 B1 KR102097592 B1 KR 102097592B1 KR 1020190120937 A KR1020190120937 A KR 1020190120937A KR 20190120937 A KR20190120937 A KR 20190120937A KR 102097592 B1 KR102097592 B1 KR 10209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download
sentinel
user terminal
satelli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흠
윤혜원
김진영
이달근
이미희
천은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2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센티넬(Sentinel)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입력을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받는 단계,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 및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NTINEL SATELLITE IMAGERY DOWNLOAD SERVICE}
본 발명은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레이더 및 광학 기반의 위성영상을 기 저장된 검색변수로 자동 세팅하여 수집하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지진, 화산, 지반침하, 씽크홀, 산사태 등과 같은 다양한 지반변위를 동반하는 재해 및 재난이 국내 뿐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여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IPCC 보고서에 의하면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전 지구적으로 재해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새로운 재난형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위성기술이 이용되고 있으며 광역적이고 정밀한 관측이 요구되는 재난분석에 인공위성 데이터의 접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용도의 위성이 지구상의 궤도를 돌고 있는데 레이더 위성영상이 기상상태와 주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반변위 및 지표변위까지 관측할 수 있으며, 특히 합성 개구 레이더(SAR)를 활용한 인공위성 중 유럽우주국의 센티넬(Sentinel) 위성은 무료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때, 센티넬 위성의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방법 및 다운로드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821974호(2018년01월25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512764호(2015년04월22일 공고)에는, 국내외의 선택된 궤도, 기간, 및 위성을 선택하여 비교분석되도록 오버레이하고, 선택된 위성영상을 다운로드시키며 조건에 대응하는 위성영상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재난유형별로 표출하는 구성과, 목표 구역에 대응하는 위성영상을 수집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고, 저장될 목록이 선택되는 경우 데이터 항목을 수신국으로부터 라우팅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현재 유럽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센티넬의 위성영상 플랫폼과는 서로 다른 인프라와 플랫폼이 적용됨으로 인하여 센티넬의 위성영상을 대용량으로 수집하기는 여전히 불가능하다. 또한, 센티넬의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서버가 해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해외서버 환경에서 주기적인 로그아웃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실시간의 연속성을 가진 위성영상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기 위해서는 인력이 투입되어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심지어는,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는 경우일지라도 1회 최대 2건의 위성영상만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플랫폼에서 제한하고 있고, 건수 뿐만 아니라 속도까지 165mb/s로 제한하고 있어 신속한 수급이 가능한 환경이 전혀 아니다. 이러한 수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자동 다운로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했지만, 이마저도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어 명령어 프롬프트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활용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명령어 프롬프트를 입력함이 없이 버튼만 선택하면 대용량 위성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모드로 선택할 경우 디폴트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로 자동검색 및 다운로드되므로 데이터 수집의 연속성 및 실시간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레이더 및 광학 기반 센티넬 위성을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하게 되므로 기상변화나 환경변화에도 강건하면서도 시각성도 높일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한반도 전역의 지반변위 분석과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신속한 재난분석 및 대응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센티넬(Sentinel)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입력을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받는 단계,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 및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명령어 프롬프트를 입력함이 없이 버튼만 선택하면 대용량 위성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 모드로 선택할 경우 디폴트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로 자동검색 및 다운로드되므로 데이터 수집의 연속성 및 실시간성을 만족할 수 있으며, 레이더 및 광학 기반 센티넬 위성을 선택하여 자료를 수집하게 되므로 기상변화나 환경변화에도 강건하면서도 시각성도 높일 수 있는 영상을 확보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한반도 전역의 지반변위 분석과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신속한 재난분석 및 대응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와 종래기술에 따른 위성영상 다운로드 서비스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센티넬 위성의 위성영상을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 제공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엑세스하는 경우, 로그인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변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하거나 자동 모드를 선택하여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을 영상 제공 서버(400)로 요청하여 응답으로 데이터를 피드백받아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이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성되는 경우 상술한 프로세스가 하나의 단말 또는 서버에서 일체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는,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을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는,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페이지는 Copernicus Open Access Hub의 Web Map 페이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와 종래기술에 따른 위성영상 다운로드 서비스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선택부(320), 모드부(330), 세팅부(340), 다운로드부(350), 디스플레이부(360), 데이터베이스화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는,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310)는, 센티넬(Sentinel)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센티넬 위성영상은 ESA(European Space Agency)의 Copernicus Open Access Hub, 즉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영상일 수 있고, 웹 지도(Web Map) 서비스를 통하여 무료로 수급이 가능하다. 센티넬 위성은 크게 레이더 기반과 광학 기반으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센티넬-1(Sentinel-1) 시리즈, 후자는 센티넬-2(Sentinel-2) 시리즈가 존재한다. 센티넬-1은 693km의 태양동기 궤도를 가지며, 각각 12일의 시간해상도를 가지며 전 지구적인 자연재해, 지진 등과 같은 지표변위에 대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촬영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센티넬-2는 센티넬-1이 SAR 센서를 탑재하여 레이더 기반인 것과는 달리 가시광 센서, 근적외선 센서, 단파장적외선 센서를 탑재한 광학위성이다. 이렇게 두 개의 시리즈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위성영상을 얻기 위하여 입력부(310)는, 우선 로그인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한다.
선택부(320)는,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받는다. 선택부(320)는,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받을 때, 레이더 기반 위성을 선택받은 경우, 다운로드 경로에 대하여 다운로드 타입(Type)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때, 다운로드 타입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SLC(Single Look Complex) 모드로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여기서, 센티넬 위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그리고, 센티넬 위성이 아닐지라도 상술한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위성이라면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모드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입력을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받을 수 있다.
세팅부(340)는,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할 수 있다.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는, 한반도 전체 영역, 남한 전체 영역, 북한 전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역별 영역이 지정된 GeoJSON 파일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다. 세팅부(340)에서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할 때,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될 다운로드 경로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는 영역에 포함된 체크박스가 선택되는 경우, 설정된 다운로드 경로에 저장되고, 체크박스가 해제되는 경우 검색 설정 데이터의 파일명과 동일한 명칭의 폴더가 생성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용량 위성영상을 구축한 후 실시되어야 하는 분석 프로세스에서 특정 지역별로 위성영상을 확보하여 분류할 때 분류자나 태그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파이썬(Python) 기반의 표준 라이브러리 기능을 구성하여, 센티넬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형태의 다운로드 기능에 대응하는 오픈 소스가 파이썬에서 구동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파이썬이나 GeoJSON 포맷도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쉘 스크립트 형태의 다운로드 기능에 대응하는 오픈 소스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및 포맷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운로드부(350)는,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부(350)는,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킬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저장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는 경로 상의 폴더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다운로드부(350)는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킬 때, 사용자 단말(100)에서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저장경로를 더블클릭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는 경로 상의 폴더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부분인데, 선택이나 더블클릭과 같은 정의는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로 대체되거나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60)는, 다운로드부(350)에서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킨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다운로드 대기 상태, 진행 상태, 및 로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로드 진행 상태는, 다운로드 요청 날짜 및 시간, 파일명, 다운로드 대기, 다운로드 시작, 다운로드 정지, 및 다운로드 중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그 데이터는, 다운로드 이벤트 발생 일자 및 시간,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내용, 및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상태는, 다운로드중, 다운로드 성공, 다운로드 실패, 다운로드 에러, 및 다운로드 정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역시, 상태 데이터(State Data)의 정의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 수정, 추가, 편집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데이터베이스화부(370)는, 다운로드부(350)에서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100)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킨 후,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리스트를 정렬하고 결측된 위성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리스트업하고 다운로드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손 데이터를 채울 수 있고 이후 분석이 실시될 때 연속성을 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류없이 분석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덧붙여서, 이렇게 수집된 위성영상은 파일 포맷을 통일하기 위하여 표준화가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촬영정보 획득을 위해 파일명 구조를 파악하고, 파일명 구조의 파악이 완료된 위성영상에 대하여 파일명 및 메타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처리의 경우 위성영상의 메타데이터 파일에 기반하여 썸네일용 이미질르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의 좌표 보정, 색상보정 등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미지 생성은 센티널-1의 경우 SAR 영상에 대한 가시적 확인을 위해, 원본파일 내 프리뷰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추출하며, 센티넬-2의 경우 밴드 구성(Band Composite)으로부터 가시영상 생성 후 형식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형식변환은 대용량의 센티넬-2 위성영상을 카탈로그에 직접 표출할 수도 있지만, 저용량의 PNG 파일 포맷 등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생성된 이미지는 자체적인 좌표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원본영상의 메타 데이터 파일에서 위치 좌표를 획득한 뒤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의 과정을 거쳐 좌표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지오레퍼런싱은 이미지의 각 모서리를 특정 좌표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과정을 거칠 때에는 본래의 해상도는 손실되기 때문에, 위치정보가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표출할 때에는 화이트 밸런스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원본파일의 압축 해제 및 기타 영상 처리가 완료된 영상폴더는 상위경로에 있는 센티넬 폴더로 자동 이동되며 이동됨과 동시에 연/월/일 형태의 폴더 구조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위성영상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본파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헤더 정보와 영상파일의 위치정보 등이 등록 되며 해당 데이터베이스와 카테고리 함수가 연계되어 최종적인 등록이 진행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성영상을 이후 분석에 이용되기 하기 위해 전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확보, 전처리, 모델링 과정으로 분류하는 경우, 데이터 확보 과정,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과정에서 시공간적 조건을 기준으로 데이터들을 탐색할 수 있는 시간 필터링(temporal filtering), 공간 필터링(geospatial filtering) 및 영상의 품질과 관련된 운량 필터링(cloud cover filtering)이 필요하다. 시간과 운량 필터링은 날짜 및 숫자로 표현되는 데이터에 대한 조건이므로 범위 슬라이더를 이용하고, 공간 필터링은 지리 좌표를 기반으로 한 조건이므로 관심 지역을 지도상에 직접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선별된 데이터에 대해서 주요 메타데이터를 제공하여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풋 프린트(footprint)와 데이터의 썸네일을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평가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는, 분광 지수 계산, 좌표 체계 변환, 클리핑, 리샘플링 과정과 머신러닝 모델링을 위해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인 배치 프로세스(batch process)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프로세스는 머신러닝 모델링 과정에 필요한 입력 자료를 작은 자료 군(batch)으로 집단화하여 군 단위로 영상을 분할하여 배열시키는 것으로 모델의 학습 속도 및 최적화에 영향을 주는 배치 사이즈(batch size)를 결정하기 전 수행되는 전처리 과정이다. 배치 프로세스로 인하여 위성영상의 클리핑 및 리샘플링을 할 때 후속 과정에서 모델링이 편리하게 진행될수 있도록 영상의 행과 열의 크기를 동일한 2의 거듭제곱 수로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영상의 행과 열의 크기를 동일한 2의 거듭제곱 수로 설정할 경우, 이후 머신러닝 모델의 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상하지 못한 오차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처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풀링(pooling) 계층을 이용할 수 있다. CNN의 풀링은 영상의 행과 열의 크기를 축소하는 연산이며 일반적으로 행과 열의 절반의 크기로 축소되기 때문에 영상의 행과 열의 크기가 2의 거듭제곱일 경우 정교한 풀링이 가능하며 보다 많은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과정에서, 분광지수 계산, 좌표 체계 변환, 클리핑, 리샘플링, 배치 프로세스는, GUI를 이용하여 전처리 매개변수를 일괄적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여러 단계의 전처리 과정을 자동화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의 공간해상도를 유지하며 영상의 행과 열의 크기를 2의 거듭제곱으로 만드는 클리핑 및 리샘플링 과정은 관심 지역, 공간해상도, 영상 행렬의 크기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간편한 전처리 매개변수 설정을 위하여 지도 기반의 GUI를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전처리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수동으로 속도 제한, 횟수 제한, 명령어 프롬프트 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재 등의 문제점이 존재했던 도 3b와 비교했을 때, 자료수급의 연속성 및 가시성에 대한 한계를 개선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다 직관적인 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개발언어는 종래기술에 따른 C++이 아닌 파이썬으로 변경하여 전체 기능 및 다운로드 방식이 새로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이썬 기반의 표준 라이브러리 기능을 구성하고 ESA에서 제공하는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형태의 위성영상 다운로드 기능에 대한 오픈 소스(Open Source)를 파이썬에서 구동이 가능하도록 변경된다.
우선, 도 3a의 플랫폼은, 도 3b의 플랫폼과 ESA, Copernicus Open Access Hub의 Web Map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하는 방식은 유사하지만, 다운로드를 위한 설정 기능이나 다운로드 현황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의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또한, 촬영된 위성영상의 검색 범위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하기 위해 사전적으로 촬영 범위에 대한 좌표 정보 및 촬영 궤도 정보를 획득하여 경로(Path)와 궤도(Orbit) 기반의 위치설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개발되었다. 이때 촬영 범위 설정을 위한 기반은 GeoJSON이 이용될 수 있다. GeoJSON은 위치정보를 가지는 위치(Point)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지형 및 위치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개방형 표준 형식으로,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오브젝트를 지원하는 파일 포맷이다. 주로 웹 플랫폼 환경에서 공간정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Shape 파일, KML 등과 연계되거나 변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GeoJSON을 통해 한반도 전역에 걸쳐 경로 및 궤적 기반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입력파일을 별도로 구축하여 시스템에 이용하도록 설정된다. 입력파일은 사용자의 위성영상 필요성에 따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반도 전체, 남한 전체, 북한 전체 및 지역별로 하여 총 23개의 GeoJSON 파일을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는 크게 검색설정 화면과,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메인화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4b의 Setting(①)에 의해 검색설정 화면인 도 4a로 전환되므로, 도 4b를 먼저 설명해야 하나 도 4b에서는 처음과 끝인 시작 및 결과 표시를 하는 영역이므로 도 4a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b의 Setting(①)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클릭 또는 터치)하게 되면, 도 4a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Login Information(①)의 프레임 내에는 ESA의 Copernicus Open Access Hub에 접속하기 위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이때, ESA 서버의 URL 위치와 Copernicus Web Map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는데, 최초로 설정된 후 사용자가 별도로 변환하지 않는다면 계속 유지된다. DownloadMode(②)는, 사용자가 별도로 다운로드 검색설정을 수행, 즉 수동 모드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할 것인지, 기본 설정대로 자동 모드로 자동 다운로드를 수행할 것인지 선택하는 기능이다. 이때, DownloadMode(②)에서 수동 모드(Manual)이 선택되는 경우, 도 4a의 Geojson Path(⑦) 또는 RelativeOrbitNumber(⑨)와, BeginDate(yyyymmdd)(⑧)의 설정에 따르게 되며, 자동 모드(Auto)가 선택되는 경우, Geojson Path(⑦) 또는 RelativeOrbitNumber(⑨)와, AutomaticDays(⑩)의 설정에 따르게 된다.
계속해서, PlatformName(③)은, 상술한 레이더 또는 광원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프레임이다. 레이더 기반 위성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Sentinel-1를, 광원 기반 위성을 선택하는 경우 Sentinel-2를 선택하면 된다. 이때, Sentinel-1이 선택되는 경우, ProductType(⑤)에 대해서 다운로드 타입(Type)을 설정할 수 있다. ProductType(⑤)은, 디폴트로 SLC로 설정되어 다운로드되며 필요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Filter(④)는 위성영상의 다운로드 검색 범위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GeoJSON과 OrbitNimber 중 하나를 선택받도록 구성된다. GeoJSON의 경우에는 Geojson Path(⑦)에 기 설정된 GeoJSON 파일이 이용되며, OrbitNimber의 경우에는 RelativeOrbitNumber(⑨)에서 기 설정된 궤도번호가 이용된다. DownloadPath(⑥)는, 다운로드 경로를 설정하는 프레임으로 우측에 위치한 체크박스가 활성화(체크)되면 설정된 경로에 바로 저장되며, 해제(체크해제)되면 GeoJSON 파일명과 동일한 명칭의 폴더가 생성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이후에 위성영상을 분석할 때, 특정 지역별 분류를 위한 분류자 역할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태그나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Geojson Path(⑦)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범위 설정을 위한 GeoJSON 파일 설정 부분으로, 해당 파일의 경로와 동일한 경로에 geojson(⑦-1) 폴더에서 GeoJSON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BeginDate(yyyymmdd)(⑧)은 사용자가 수동 모드로 위성영상을 다운로드할 때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나 기간 등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날짜의 포맷이 다르면 시스템에서 기계적으로 해석하기 어렵거나 전처리의 별도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YYYYMMDD로 표시해줌으로써 잘못된 포맷의 텍스트 입력으로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을 제거하도록 한다.
RelativeOrbitNumber(⑨)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에서 위성영상의 자동영상이 될 때, 검색범위가 되는 궤도번호를 설정하는 프레임이며, AutomaticDays(⑩)은, 자동 모드에서 위성영상의 자동영상이 될 때, 설정당일을 기준으로 몇일 전까지 촬영된 영상을 검색하는지, 즉 금일을 기준으로 기간을 몇 일 설정할 것인지를 입력받는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AutomaticDays(⑩)에 3으로 입력된 경우, 오늘을 포함하여 3일 전까지의 날짜에 대해서만 촬영 또는 업로드된 위성영상만 검색하는 기능이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가 모두 설정되고 나면 도 4b로 진행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설명했던 Setting(①)으로 도 4a의 설정이 완료되면,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기 시작한다. Stop(②)은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기 이전에는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설정이 도 4a에서 완료되면 Run(②)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Run(②)이 선택되어 위성영상의 다운로드가 시작되면, Stop(②)으로 변경되어 다운로드를 중지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게 된다.
ProductList(③)는 위성영상의 다운로드 목록을 출력하는데, 다운로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다운로드 대상 파일이 리스트업 및 표출되는 프레임 영역이다. 물론, 리스트업되는 다운로드 대상 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만족하는 위성영상인데, 화면의 구성은 도 4c와 같다. DownloadPath(④)는 다운로드 파일이 저장되고 있는 또는 저장된 경로로 이동하는 기능으로, 다운로드 파일의 현황을 숏컷(Shortcut)을 이용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파일이 어디에 저장되었는지를 찾아헤메지 않아도 된다. FileName(④-1)를 두 번 클릭(선택, 터치 등)하는 경우, 다운로드가 되고 있는 폴더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DownloadPath(④)는 다운로드 파일의 상위 레벨의 경로로, FileName(④-1)는 다운로드 파일의 동일 레벨의 경로로 진입하게 된다.
Status(⑤)는 다운로드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프레임 영역으로, 00.00% 포맷으로 출력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tatus(⑥)는 대기중인 다운로드 파일에 대한 상태(READY)를 표시하는 프레임 영역이고, Log(⑦)는 다운로드 로그를 기록 및 리스트업하는 프레임 영역이다. 다운로드 로그의 포맷은 도 4d와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로그 기록 데이터는 다운로드 이벤트를 포함하고, 다운로드 중 Fail 또는 Error 발생 시 로그 이벤트를 저장하여 다운로드를 실패한 영상에 대해 다시 자동으로 다운로드 리스트에 추가하고, 다운로드가 진행되도록 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결측자료 갱신 및 자료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화면이 도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운로드가 완료되고 나면 분석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때 안정적인 수행이 가능하도록 센티넬-1, 센티넬-2 위성영상에 대한 보유 리스트를 확보하고, 결측된 위성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여 자료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기 보유한 위성영상은 테스트용으로 극히 일부만을 확보한 상태였는데, 이러한 경우 분석에 중대한 오류나 연속성의 결함으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결과만이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센티넬-1 및 센티넬-2가 한반도를 촬영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최근까지의 위성영상 전체를 결측 데이터의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센티넬(Sentinel)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다(S5100).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고(S52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입력을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받는다(S5300).
또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하고(S5400),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킨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티넬 위성의 대용량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센티넬(Sentinel)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의 주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성영상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입력을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받는 단계;
    상기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하고,
    상기 센티넬 위성 중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을 선택받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더 기반 위성을 선택받은 경우, 다운로드 경로에 대하여 다운로드 타입(Type)을 설정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 타입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디폴트로 SLC(Single Look Complex) 모드로 상기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 검색범위에 대응하는 궤도번호 설정 데이터, 및 다운로드 될 위성영상의 기간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의 세팅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될 다운로드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 경로를 입력받는 영역에 포함된 체크박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다운로드 경로에 저장되고, 상기 체크박스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검색 설정 데이터의 파일명과 동일한 명칭의 폴더가 생성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저장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는 경로 상의 폴더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다운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저장경로를 더블클릭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다운로드되는 경로 상의 폴더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다운로드 대기 상태, 진행 상태, 및 로그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 진행 상태는, 다운로드 요청 날짜 및 시간, 파일명, 다운로드 대기, 다운로드 시작, 다운로드 정지, 및 다운로드 중복을 포함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는, 다운로드 이벤트 발생 일자 및 시간,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내용, 및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 이벤트 로그 상태는, 다운로드중, 다운로드 성공, 다운로드 실패, 다운로드 에러, 및 다운로드 정지를 포함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위성의 종류 및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변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이후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위성영상의 리스트를 정렬하고 결측된 위성영상에 대한 리스트를 리스트업하고 다운로드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경로 및 궤도 기반의 검색 설정 데이터는, 한반도 전체 영역, 남한 전체 영역, 북한 전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역별 영역이 지정된 GeoJSON 파일 포맷의 데이터이고,
    상기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파이썬(Python) 기반의 표준 라이브러리 기능을 구성하여, 상기 센티넬 위성의 위성영상을 제공하는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쉘 스크립트(Shell Script) 형태의 다운로드 기능에 대응하는 오픈 소스가 상기 파이썬에서 구동되도록 변경하는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 기반 위성 또는 광학 기반 위성은, 센티넬-1(Sentinel-1) 또는 센티넬(Sentinel-2)인 것인,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120937A 2019-09-30 2019-09-30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9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37A KR102097592B1 (ko) 2019-09-30 2019-09-30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937A KR102097592B1 (ko) 2019-09-30 2019-09-30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592B1 true KR102097592B1 (ko) 2020-04-07

Family

ID=7029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937A KR102097592B1 (ko) 2019-09-30 2019-09-30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39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방법 및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시스템
KR102561879B1 (ko) * 2022-11-22 2023-08-03 대한민국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난정보 통합처리 및 표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89B1 (ko) * 2009-11-03 2012-0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지표 변위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JP2013533479A (ja) * 2010-06-28 2013-08-22 テレ−リレヴァメント エウローパ−ティ.エルレ.エ. エッセ.エルレ.エルレ. 少なくとも1つの電磁波反射器を用いてsar画像により地表移動を測定する装置
KR101798405B1 (ko) * 2017-05-23 2017-11-16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위성 영상 수심 추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804522B1 (ko) * 2016-03-14 2017-12-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변위 추정 커널을 이용한 위성레이더 오프셋트래킹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40728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パスコ 地表変状可視化装置及び地表変状可視化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89B1 (ko) * 2009-11-03 2012-0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지표 변위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JP2013533479A (ja) * 2010-06-28 2013-08-22 テレ−リレヴァメント エウローパ−ティ.エルレ.エ. エッセ.エルレ.エルレ. 少なくとも1つの電磁波反射器を用いてsar画像により地表移動を測定する装置
KR101804522B1 (ko) * 2016-03-14 2017-12-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변위 추정 커널을 이용한 위성레이더 오프셋트래킹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40728A (ja) * 2016-09-08 2018-03-15 株式会社パスコ 地表変状可視化装置及び地表変状可視化プログラム
KR101798405B1 (ko) * 2017-05-23 2017-11-16 주식회사 환경과학기술 위성 영상 수심 추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39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방법 및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시스템
KR102409104B1 (ko) * 2020-11-17 2022-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방법 및 좌표 기반 위성 영상 저장 시스템
KR102561879B1 (ko) * 2022-11-22 2023-08-03 대한민국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난정보 통합처리 및 표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A web-based system for supporting global land cover data production
KR102097592B1 (ko) 센티넬 위성을 이용한 대용량 위성영상의 자동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1974B1 (ko) 다중해상도 위성영상 검색 및 배포 방법
CN109491994B (zh) Landsat-8卫星精选遥感数据集最简化筛选方法
CN111949817A (zh) 基于遥感影像的农作物信息展示系统、方法、设备及介质
CN112579677B (zh) 一种卫星遥感影像自动处理方法
CN114187532B (zh) 一种遥感影像时空样本生成与智能迭代分类方法及系统
CN115563120A (zh) 一种电网多源遥感空间数据统一组织方法、系统及设备
CN109688223B (zh) 生态环境数据资源共享方法及装置
Luciani et al. Large-scale overlays and trends: Visually mining, panning and zoomingthe observable universe
KR20090131564A (ko)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4251101B2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CN112199528A (zh) 一种大规模遥感数据在线获取方法
CN116401268A (zh) 数据检索方法以及装置
CN113407596B (zh) 基于交叉辐射定标的气象遥感数据精度检验分析系统
KR101647021B1 (ko)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DeRosa et al. Guide to sdo data analysis
Vannan et al. A web-based subsetting service for regional scale MODIS land products
Boryan et al. Implementation of a new automatic stratification method using geospatial cropland data layers in NASS area frame construction
Lukashevich et al. Modern Systems for Processing and Analyzing GEO-data Based on OLAP Technology.
CN117271458A (zh) 一种多源遥感信息数据共享系统及方法
CN118152599A (zh) 一种空间影像服务的智能化构建方法及系统
Beck et al. The canopy health monitoring (canhemon) project
Li et al. Utilizing Chines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for inspection of unauthorized constructions in Beijing
Murphy et al. Data storage,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for the Australia telescope compact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