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21B1 -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 Google Patents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21B1
KR101647021B1 KR1020150168461A KR20150168461A KR101647021B1 KR 101647021 B1 KR101647021 B1 KR 101647021B1 KR 1020150168461 A KR1020150168461 A KR 1020150168461A KR 20150168461 A KR20150168461 A KR 20150168461A KR 101647021 B1 KR101647021 B1 KR 10164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orbit
area
window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흠
김용민
김준형
정윤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5016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01S19/258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relating to the satellite constellation, e.g. almanac, ephemeris data, lists of satellites in vie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0Integrity monitoring, fault detection or fault isolation of space seg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외 위성의 스케쥴을 검색하고 이를 궤도에 표출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지역을 지나갔거나 혹은 지나가게 되는 인공위성의 스케줄과, 그 궤도를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위성이 촬영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에 관한 것이다.
즉, 검색기간 및 시간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위성 궤도 데이터(TLE)에 의해 위성을 검색하되 위성이 존재하지않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반복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성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과,
지역 데이터로 부터 지역을 선택하되, 해당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 지역을 검색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궤도 분석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이와 같이 생성된 위성 스케쥴 리스트로부터 관심위성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을 주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Techniques for searching satellite schedule and expressing satellite orbit}
본 발명은 국내,외 위성의 스케쥴을 검색하고 이를 궤도에 표출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지역을 지나갔거나 혹은 지나가게 되는 인공위성의 스케줄과, 그 궤도를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위성이 촬영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가용 인공위성 수의 증가 및 기술 고도화에 따라 인공위성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은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환경, 해양, 임업, 기상, 재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한 인공위성 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수년 전부터 인지한 우리 정부는, 2013년 11월 제 6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확정한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2014 ~ 2040)』을 기반으로,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올해 초 확정하였다.
우주개발 시행 계획은 구체적 실행계획(Action Plan)으로, 한국형 발사체 개발 및 올해 3월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발사를 시작으로 앞으로 5기를 지속 개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또한, 범국가적 노력을 통해 다양한 위성을 보유하고 운영하게 되면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재난안전 분야에 해당 위성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는데,
이러한 위성을 재난안전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재난 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스케줄을 빠르게 검색하고, 그 궤도를 확인하여, 가장 적합한 위성의 영상을 빠르게 확보해야 하는 선결과제가 남게 된다.
이를 위해 재난이 발생한 지역을 지나는 위성들의 스케줄과 궤도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위성의 정확한 스케줄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관련 영상을 빠르게 주문하여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관심 있는 국내,외 인공위성의 궤도를 표출하고 특정 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은 비영리 영상과 상용위성 영상으로 구분되는데, 비영리 영상은 무료로 공개되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용위성 영상은 비용을 주고 구입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특정 지역에 대한 인공위성 영상이 필요하다면, 먼저 해당 지역을 통과했거나 통과하게될 위성의 스케줄이 확보되어야할 것인데,
비영리 영상(공개된 영상)이라면 그 위성의 스케줄 시간에 맞는 영상을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용위성 영상의 경우에는 정확한 스케줄에 따라 영상 촬영 주문을 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국가 기관 등이 위성관제를 하고 있어, 위성의 스케줄을 검색하는 것과, 그 궤도를 표출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정지역을 지나갔거나 혹은 지나가게 되는 인공위성의 스케줄과, 그 궤도를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위성이 촬영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위성들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특정 지역을 입력하여 분석을 수행하면, 관심 위성들이 특정 지역을 지나는 스케줄 리스트가 출력되어지는데, 해당 리스트는 해당 지역을 지나는 특정 위성의 스케줄 리스트를 확인하고 해당 리스트에는 추가적인 위성의 정보인 촬영각, 해당 지역을 지나기까지 남은 시간, 센서의 종류, 공간 해상도, 소유 국가, 영상을 주문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련 위성들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위성의 영상을 링크를 통해 용이하게 주문할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검색기간 및 시간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위성 궤도 데이터(TLE)에 의해 위성을 검색하되 위성이 존재하지않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반복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성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과,
지역 데이터로 부터 지역을 선택하되, 해당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 지역을 검색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궤도 분석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이와 같이 생성된 위성 스케쥴 리스트로부터 관심위성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을 주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성 궤도 데이터(TLE)는 위성의 궤도 스케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NORAD에서 제공하는 위성 궤도 데이터(TL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위성 궤도 데이터(TLE)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위성들의 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는데, 위성이 특정 지역을 지나가게 될 경우 그 지역의 위도와 경도를 확인하여 위성의 궤도 스케줄과 비교해줌으로서, 해당 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정확한 주기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
상기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위성 촬영각을 계산하여 추가하는 과정과, 위성 해상도를 추가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으며, 위성 센서 종류를 추가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영상 주문링크를 추가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역 데이터로 부터 지역을 선택하되, 원하는 지역이 지역목록에 없을 경우에는, 지도상에서 직접 해당 위치를 찾아 입력하거나 해당지역에 대한 경,위도를 조사하여 입력할 수 있을 것이며,
AGI 데이터 서버와 연동하여 위성 궤도 데이터를 전송받고, 궤도와 관련 정보들은 IP WALL을 통해 표출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지역을 지나갔거나 혹은 지나가게 되는 인공위성의 스케줄과, 그 궤도를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인공위성이 촬영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관심 있는 위성들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특정 지역을 입력하여 분석을 수행하면, 관심 위성들이 특정 지역을 지나는 스케줄 리스트가 출력되어지는데, 해당 리스트는 해당 지역을 지나는 특정 위성의 스케줄 리스트를 확인하고 해당 리스트에는 추가적인 위성의 정보인 촬영각, 해당 지역을 지나기까지 남은 시간, 센서의 종류, 공간 해상도, 소유 국가, 영상을 주문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관련 위성들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위성의 영상을 링크를 통해 용이하게 주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행되는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시나리오"창에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MOVIE"창에서 새로운 시나리오가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위성목록"창의 "생성"버튼을 눌러 "위성검색"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위성목록"창에 관심위성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정찰지역"창의 "추가"버튼을 눌러 "지역검색"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위성목록", "정찰지역"창에 관심위성, 관심지역이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정찰지역"창의 "분석실행"버튼을 눌러 "분석결과"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정찰지역"창의 "분석실행"버튼을 눌러 "촬영위성 목록"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MOVIE"창에서 "3D Viewer"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모니터 화면으로서, "MOVIE"창에서 "Location Viewer"창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검색기간 및 시간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과,
위성 궤도 데이터(TLE)에 의해 위성을 검색하되 위성이 존재하지않는 경우에는 이 과정을 반복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성리스트를 작성하는 과정과,
지역 데이터로부터 지역을 선택하되, 해당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 지역을 검색하여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궤도 분석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과,
이와 같이 생성된 위성 스케쥴 리스트로부터 관심위성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을 주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위성 궤도 데이터(TLE)는 위성의 궤도 스케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ORAD에서 제공하는 위성 궤도 데이터(TLE)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데이터는 다양한 국가기관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고, 매일 갱신되고 있어 그 신뢰도는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위성 궤도 데이터(TLE)가 NORAD에서 제공하는 위성 궤도 데이터(TLE)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다양한 위성 궤도 데이터(TLE)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성 궤도 데이터(TLE)를 기반으로 관심 있는 위성들의 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는데, 위성이 특정 지역을 지나가게 된다고 가정하면 그 지역의 위도와 경도를 확인하여 위성의 궤도 스케줄과 비교하여 해당 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정확한 주기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위성 촬영각을 계산하여 추가하는 과정과, 위성 해상도를 추가하는 과정과, 위성 센서 종류를 추가하는 과정과, 영상 주문링크를 추가하는 과정이 부가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위성 스케줄에 따라 위성의 궤도가 구해지고, 해당 위성의 상세 정보를 입력한 DB와 연계하여 위성에 탑재된 센서의 종류, 위성의 공간 해상도, 특정 지역을 지날 때의 촬영 각, 관련 위성 영상을 주문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상세한 위성 스케쥴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게되는 바, 인공위성이 촬영한 특정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국내,외 인공위성 촬영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시스템에서 실행되는데, 이는 관심있는 위성과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면 그 위성의 궤도를 표출하고 그 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스케줄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실행되는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AGI 데이터 서버와 연동하여 위성 궤도 데이터를 전송받고, 궤도와 관련 정보들은 IP WALL을 통해 표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2의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며, 구체적인 실행과정을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실행 파일을 실행시키면 전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메인화면 창, 위성의 궤도를 표출하는 3D Viewer 창, 선택한 지역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Location Viewer 창, 이렇게 3개의 창이 출력되는데, 메인화면 창은 도 3과 같다.
도 3을 보면, 최상부 좌측에 "시나리오"창(1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궤도 표출을 위한 시나리오 생성, 저장, 불러오기 기능이 실행되고,
최상부 중앙에는 "TLE Data Online Update"창(2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성 궤도 데이터 업데이트 기능이 실행되며,
그 우측에는 "실시간 표출", "3D Viewer 창 생성", "메인 프로그램 종료"창(3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먼저 "실시간 표출"에서는 위성 궤도를 실시간으로 표출하도록 하며, "3D Viewer 창 생성"에서는 3D viewer 창 생성 및 종료 버튼 기능을 수행하며, "메인 프로그램 종료"창에서는 메인 프로그램 종료 버튼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OVIE"창(4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성 궤도 표출 시스템 컨트롤 기능이 실행되고,
"위성 목록"창(5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관심있는 위성 목록 생성 및 삭제 기능이 실행되며,
"정찰지역", "분석실행"창(6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먼저 "정찰지역"창에서는 정찰 지역 추가 및 삭제 기능을 실행하고,
"분석실행"창에서는 설정된 위성 및 지역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하며,
"위성 목록"창(7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설정 지역을 지나는 위성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위성 상세 정보"창(8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성 목록에서 선택된 위성의 상세 목록을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하며,
"정찰 시간"창(9번으로 표시)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위성 목록에서 선택된 위성이 정찰 지역을 지나는 정찰 시간을 출력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3의 메인화면에서, "시나리오"창(1번으로 표시)의 '생성' 버튼을 누르면, 도 4와 같은 시나리오 시간 설정창이 뜨는데, 이때 원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달력에서 원하는 날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원하는 시간과 날짜를 선택한 후 "시나리오 생성"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시나리오 생성"버튼을 누르고 잠시 대기하면, 도 5에서와 같이 메인화면의 "MOVIE"창에 새로운 시나리오가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정확한 궤도 데이터가 필요하면, 도 3의 메인화면에서 "TLE Data Online Update"버튼을 클릭하여 TLE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위성을 검색 및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 3의 메인화면에서 "위성목록"의 "생성"버튼을 누르면 되는데, 이때 도 6와 같은 위성검색을 위한 "위성검색"창이 새로 출력된다.
위성은 이름이나, SSC(위성의 고유 넘버), 소유국가, 임무, 활동 유무를 입력해줌으로써, 그 조건에 해당되는 위성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결과 중에서 관심있는 위성이 있을 경우에는 "위성생성" 버튼을 눌러주면 되는데, 이때 도 3의 메인화면의 "위성 목록"에 관심위성이 도 7에서와 같이 자동적으로 추가된다.
지역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도 3의 메인화면에서 "정찰지역"의 "추가"버튼을 누르면 되는데, 이때 도 8과 같은 새로운 검색창이 활성화되므로 원하는 지역을 추가하거나 위치 생성하는것이 가능케된다.
도 8의 "지역선택"창에서 "지역목록"에 원하는 지역이 있을 경우에는 바로 선택하면 되는데, 이때 도 3의 메인화면의 "정찰지역"에는 선택지역이 표시될 것이다.
그런데 원하는 지역이 "지역목록"에 없을 경우에는 해당 지역을 수동으로 추가할 수 있는데,
첫째는 지도상에서 직접 해당 위치를 찾아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는 해당지역에 대한 경,위도를 조사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도 9는 도 3의 메인화면에서 "위성목록", "정찰지역"창에 관심위성, 관심지역이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분석실행’ 버튼을 누르면 해당 정찰지역을 지나는 위성의 스케줄을 분석하여, 도 10의 "분석결과" 창과 도 11의 "촬영위성 목록"창이 활성화되는데,
"촬영위성 목록"창은 위성의 이름, 3D viewer 창에서의 위성 궤도 색깔, 위성의 해상도, 센서 종류, 관심지역을 촬영하기까지 남은 시간, 촬영 각, 소유국가, 위성 영상 요청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 부분을 클릭 하면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이 가능하다.
3D Viewer창과 Location Viewer창의 동작은, 도 3의 메인화면의 "MOVIE"창에서 이를 컨트롤함으로써 가능케된다.
"MOVIE"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 되는 3D Viewer창, Location Viewer창은 각각 도 12, 13에 도시되어있는데,
여기에서 Location viewer 창은 "지역선택"창에서 울산지역을 관심지역으로 선택하여, 근처를 지나는 위성이 관심지역을 촬영하는 듯한 에니메이션을 보이면서 지나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위성의 궤도예측에 의한 자동화된 영상 촬영 스케줄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스케줄을 수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 매체를 통해 수행되어지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기법에 있어서,
    AGI 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NORAD에서 제공한 위성궤도 데이터를 전송받고 궤도와 관련된 정보들은 IP WALL을 통해 표출되고,
    모니터 메인화면에는 위성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한편, 시뮬레이션의 시간 조건을 부여하기 위한 시나리오창과, NORAD에서 제공된 위성궤도 데이터로부터 위성목록을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위성 검색창과, 상기 위성 검색창으로부터 선택되어진 위성목록을 표시하는 위성 목록창과, 정찰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정찰지역 분석 및 지역 선택창이 한 화면에 함께 표시되며,
    상기 시나리오창을 통해 검색기간 및 시간을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의 시간조건이 부여되는 제 1단계;
    상기 위성 검색창과 위성 목록창을 통해 NORAD로부터 제공된 위성궤도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어 제공된다음 관심 위성목록이 작성되어지는 제 2단계;
    상기 정찰지역 분석 및 지역 선택창을 통해 영상 촬영대상 지역이 선택되어지는 제 3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선택된 관심위성 목록중에서 제 3단계에서 선택된 지역에 대한 궤도분석 시뮬레이션이 실행되어지되, 상기 제 1단계에서의 시간조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만이 제공되어지는 제 4단계;
    상기 제 4단계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제 1단계의 시간조건에서 영상촬영대상 지역에 가장 근접한 위성이 선택되어진 다음, 이때 영상 주문링크가 실행됨으로써 즉시 영상 주문이 이루어지는 제 5단계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기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를 위한 영상 주문링크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지역 데이터로 부터 지역을 선택하되, 원하는 지역이 지역목록에 없을 경우에는, 지도상에서 직접 해당 위치를 찾아 입력하거나 해당지역에 대한 경,위도를 조사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8. 삭제
KR1020150168461A 2015-11-30 2015-11-30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KR10164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61A KR101647021B1 (ko) 2015-11-30 2015-11-30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61A KR101647021B1 (ko) 2015-11-30 2015-11-30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021B1 true KR101647021B1 (ko) 2016-08-24

Family

ID=5688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461A KR101647021B1 (ko) 2015-11-30 2015-11-30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819B2 (en) 2021-08-27 2023-04-04 Si Analytics Co., Ltd Method for scheduling of shooting satellite images based on deep learning
CN116668435A (zh) * 2023-08-01 2023-08-29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可交互的实时遥感产品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757A (ko) * 2001-12-0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의 궤도 예측에 의한 자동화된 영상촬영 계획 수립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6471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의 명령계획 자동변환을 고려한 임무계획 및 명령계획시스템과 그 자동 변환 방법
KR20130022635A (ko) * 2011-08-25 2013-03-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Norad tle 데이터 기반의 궤도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64463A1 (en) * 2010-07-12 2013-10-10 Astrium Sas Optical surveillance system for a space survey system for monitoring near-earth sp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757A (ko) * 2001-12-06 200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의 궤도 예측에 의한 자동화된 영상촬영 계획 수립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56471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의 명령계획 자동변환을 고려한 임무계획 및 명령계획시스템과 그 자동 변환 방법
US20130264463A1 (en) * 2010-07-12 2013-10-10 Astrium Sas Optical surveillance system for a space survey system for monitoring near-earth space
KR20130022635A (ko) * 2011-08-25 2013-03-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Norad tle 데이터 기반의 궤도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819B2 (en) 2021-08-27 2023-04-04 Si Analytics Co., Ltd Method for scheduling of shooting satellite images based on deep learning
CN116668435A (zh) * 2023-08-01 2023-08-29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可交互的实时遥感产品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668435B (zh) * 2023-08-01 2023-11-10 中国科学院空天信息创新研究院 可交互的实时遥感产品生成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7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nd developing accident scene visualizations
Morse et al. UAV video coverage quality maps and prioritized indexing for wilderness search and rescue
US9892558B2 (en) Methods for localization using geotagged photographs and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US20140176606A1 (en) Recording and visualizing images using augmented image data
Golparvar-Fard et al.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US8331611B2 (en) Overlay information over video
CN113196331B (zh) 利用卫星影像的应用服务提供装置及方法
US200801473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KR101821974B1 (ko) 다중해상도 위성영상 검색 및 배포 방법
CA312900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 service using satellite imager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1989691A (zh) 多角度对象识别
CN108352086A (zh) 确定并呈现太阳能通量信息
JP2018049623A (ja) 空間オブジェクト検索並べ替え方法及びクラウドシステム
US20200292321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2100199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al-time intelligent inspection assistant
KR101647021B1 (ko) 위성 스케줄 검색 및 궤도 표출 기법
US11023502B2 (en) User interaction event data capturing system for use with aerial spherical imagery
Mueller et al. IT system supporting acquisition of image data used in the identification of grasslands
JP2009099024A (ja) 災害情報収集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とその方法
Hankey et al. The all-sky-6 and the Video Meteor Archive system of the AMS Ltd.
WO2016098720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028319B1 (ko) 연관 영상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340527B1 (ko) 프레임 센서모델에 기반하여 드론에 의해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장치 및 방법
Se et al. Automated UAV-based video exploitation using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framework
Cornford Inverting resolution: accounting for the planetary cost of earth obser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