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564A -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564A
KR20090131564A KR1020080057497A KR20080057497A KR20090131564A KR 20090131564 A KR20090131564 A KR 20090131564A KR 1020080057497 A KR1020080057497 A KR 1020080057497A KR 20080057497 A KR20080057497 A KR 20080057497A KR 20090131564 A KR20090131564 A KR 20090131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th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alysis syste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주)지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주)지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대한민국(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Priority to KR102008005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564A/ko
Publication of KR2009013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상관측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각각 해당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시스템; 수신시스템이 수신한 각각의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부로부터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를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자료부; 전처리부의 기상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고 모니터링되어 생산된 기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기록하는 디비부;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로부터 실시간 검색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기록하는 분석부; 통합자료부의 기상정보를 실시간 감시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으로 생산된 기상정보를 디비부에 기록하는 모니터부;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입력하고 통합 모니터링하여 확인하며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기상정보의 장애 발생을 실시간 통보받는 관리부; 관리부에 접속하여 실시간 분석되고 기록된 기상정보의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인터넷; 기상위성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지구국; 지구국과 무선접속하여 지구 궤도상에서 관측된 3 차원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기상위성;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거나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합 관리되고 분석된 기상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제공받고 신속하게 확인하는 컴퓨터;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인공위성 기상정보의 보급을 대중화하고, 기상정보의 활용도를 높이며, 국내 기술에 의하여 기상위성의 정보를 웹기반으로 용이하게 응용 및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기상, 위성, 기상정보, 웹, 태풍, 영상, 윈도우, 분석

Description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ANALYZING WEATHER SATELLIT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위성이 관측한 3 차원의 기상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 특히 3 차원 대용량의 기상위성 자료를 실시간으로 통합관리하고 웹기반에 의하여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접근하며 분석된 기상위성 자료를 제공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는 오래 동안 인류가 태어나고 일생을 살아가며 후손을 이어가는 중요한 삶의 터전이며, 이러한 지구는 인간이 살기에 편안한 쾌적한 날씨 또는 기후의 환경을 제공하지만 온도, 바람, 습도 등이 포함되는 기후의 급속한 변화는 때로 인간에게 살기 어려운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는 태풍, 회오리바람, 황사, 안개, 폭우, 대설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현상을 기상변화 또는 기후변화라 하고, 급속한 기상의 변화는 천연적인 자연재해를 불러오며, 이러한 자연재해를 미리 확인 또는 예측하는 경우, 예방하거나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구상에서의 기후 변화는 매우 넓은 지역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고, 그 발생범위도 매우 크고 넓으며, 서서히 다가오지만 일단 다가오면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치어 인간의 생활을 바꾸게 된다.
지구상의 넓은 지역에서 온도, 바람, 습도 등의 환경변화를 감시 또는 관측하고 축적 관리하여 분석하는 경우 기후변화를 예측할 수 있고, 특히,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매우 넓은 지역의 기후변화를 3 차원의 공간정보와 이미지와 함께 감시하므로 기후변화의 예측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기후 관측의 활용도와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인공위성에 의한 기상자료는 3 차원 공간정보를 포함하므로 데이터의 용량이 매우 많다는 특수성에 의하여 분석, 표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한적인 경우가 많고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인공위성으로부터 확보한 대용량의 기상자료를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자료 정보의 공유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2003년부터 ‘위성자료를 이용한 대기 환경정보 시스템 구축’의 중장기 사업을 통하여 AQUA/TERRA, MTSAT-1R, FY-2C 등과 같이 인공위성 수신시스템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차세대 위성자료 독자 수신처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NOAA-12, 15, 16, 17호 및 FY-1D, QUIKSCAT, ORBVIEW-2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상정보의 분석 자료와 해수면 온도, 해상풍, 태풍분석 정보 등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2006년 제 4 차년도 정보화 사업으로 웹기반 기상위성 자료 처리 시스템의 개발을 준비 중에 있으며, 기존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수신 분석하는 시스템의 통합관리 및 웹기반 분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기상 인공위성으로부터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설명하면, 지구의 기상변화를 3 차원으로 관측하여 제공하는 인공위성(10)과, 상기 인공위성과 무선접속하여 관측된 기상 정보를 수신하는 지구국(20)과, 상기 지구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상위성 정보를 각각의 기상위성에 의하여 주어진 방식으로 분석하는 수신 시스템(30)과, 상기 수신 시스템이 수신한 기상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컴퓨터(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기상위성(10)은 지구의 지정된 궤도 위를 돌면서 3 차원적으로 지구의 기상을 관측하여 지구국(20)에 송신하고, 지구국은 기상위성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시스템(30)에 제공한다.
상기 수신 시스템(30)은 인공위성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관측되어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각각의 해당 방식으로 상기 지구국(20)으로부터 제공받으므로 수신하고 컴퓨터(40)에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40)는 해당 방식으로 분석 처리하고 모니터링하며 응용하거나 필요한 상태로 가공한다.
상기 기상위성(10)이 관측한 기상정보는 3 차원적으로 관측한 정보이므로, 즉, 지표면의 온도 및 습도, 지상으로부터 지정된 높이에서의 온도 및 습도, 지하에서의 온도 및 습도, 각각이 풍향 등등과 같이 입체적으로 관측하므로 정보 데이터의 량이 매우 많다.
상기와 같이 관측된 기상정보는 지구국(20)에 무선 송신되고, 지구국(20)에서 수신하여 수신시스템(30)에 제공하면, 상기 수신 시스템(30)은 정해진 방식으로 각각 수신한다. 상기 수신 시스템(30)은 일예로, AQUA 또는 TERRA 또는 MTSAT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기상위성(10)으로부터 해당 포맷 등으로 수신된 기상정보를 각각의 해당 수신 시스템(30)에 의하여 수신하므로 기상위성의 정보 내용 및 처리방식이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각각의 수신 시스템(30)이 수신한 기상위성 정보는 정보의 규격 및 내용이 상이하므로 수신된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신 시스템(30)에 의하여 수신되는 기상정보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기상정보를 통합관리하지 못하고 분산 관리하는 등과 같이 기상정보의 관리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다양한 종류의 수신 시스템(30)에 의하여 다수의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자료를 독립적으로 각각 분석, 관리 및 운용된다.
그러므로 기상위성으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 자료에 오류가 포함되거나 발생한 경우, 신속한 확인 및 대처에 어려움이 있는 동시에 각각 분석된 유효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집중 관리하지 못하여 정확한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에서 2008년 통신해양 기상위성(COMS) 발사 예정이므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기상위성 자료 처리의 국산화를 아직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문 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필요성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기상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3 차원의 대용량 기상정보를 웹기반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 분석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기상 인공위성으로부터 각각 수신한 기상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하고 수신된 기상정보의 오류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해외의존도가 높은 인공위성의 기상정보를 자체적으로 운용 가능하게 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언제 어디서 누구나 즉시 분석 및 확인하도록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기상관측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각각 해당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시스템; 수신시스템이 수신한 각각의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부로부터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를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자료부; 전처리부의 기상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고 모니터링되어 생산된 기상정보 를 데이터베이스로 기록하는 디비부;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로부터 실시간 검색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기록하는 분석부; 통합자료부의 기상정보를 실시간 감시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으로 생산된 기상정보를 디비부에 기록하는 모니터부;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입력하고 통합 모니터링하여 확인하며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기상정보의 장애 발생을 실시간 통보받는 관리부; 관리부에 접속하여 실시간 분석되고 기록된 기상정보의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인터넷; 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시스템의 기상위성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지구국; 지구국과 무선접속하여 지구 궤도상에서 관측된 3 차원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기상위성;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거나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합 관리되고 분석된 기상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제공받고 신속하게 확인하는 컴퓨터; 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로부터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가공하고, 영상처리하며, 투영법 처리하고, 전송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는 통합자료부의 기상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모니터링하고 생산된 모니터링 정보와 주기별로 수집된 기상정보를 상기 디비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하므로 분석된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접속된 컴퓨터가 기상정보를 요구하면 액티브 엑스 컨트롤러를 자동 설치시키며 요청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부는 모니터부로부터 장애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장애복구를 위한 해당 대응조치의 명령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는 수신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이진 데이터에 의한 표준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자료부는 전처리부의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파일 단위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기상정보 데이터의 처리 부하를 줄이는 미들웨어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관리부의 제어에 의하여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분석된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비부는 기록되는 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기상위성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기상정보를 입력하고 전처리되어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 보를 기록 관리하며 메타 정보로 변환된 기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수신과정;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기록된 기상정보를 영상처리와 투영법으로 분석하는 가공처리한 후에 전송하고 기상정보의 장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분석과정; 장애 발생으로 확인되면 장애 메시지를 발생하고 대응조치 명령에 의하여 극복하며 기상정보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생산된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모니터링 과정; 기록 관리되는 기상정보를 검색할 컴퓨터가 접속되면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검색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검색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상위성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기상정보는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각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방식으로 3 차원 관측한 기상정보를 해당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는 분석시스템에 의하여 각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방식으로 수신된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준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는 분석 시스템의 통합자료부에 영역을 할당하여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정보로 변환된 기상정보는 분석 시스템의 디비부에 영역을 할당하여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상정보 장애의 실시간 감지는 분석 시스템의 모니터부에 의하여 통합자료부에 기록된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감시하고 비교하여 기상정보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 메시지는 기상정보에 장애 발생을 확인한 모니터부에 의하여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응조치 명령은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의하여 장애 기상정보를 발생한 기상위성에서 정상적인 기상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모니터링은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의하여 통합자료부가 처리한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기상정보의 예상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상변화의 분석에 의하여 생산된 정보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디비부에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 제어에 의하여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기상 인공위성으로부터 3 차원 정보에 의하여 수신된 대용량의 기상정보를 웹 기반으로 제공하여 용이하게 확인하고 분석하도록 하므로 기상 인공위성 기상정보의 보급을 대중화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양한 인공위성으로부터 각각 수신된 기상정보를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므로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도를 높이는 산 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국내 기술에 의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를 처리하고 웹기반으로 신속하게 분석하므로 용이하게 분석된 기상정보를 응용하고 활용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이진 표준 데이터로 통합되어 기록 관리되는 기상정보 목록의 메뉴 도시도 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4 의 메뉴에 의하여 검색된 MTSAT 기상위성이 적외선으로 관측한 아시아 지역 기상정보의 영상 표시상태 도시도 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5에 의하여 검색된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 기상위성이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메뉴 상태 도시도 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6에 의하여 MTSAT가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가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한 상태 도시도 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과거에 기상위성이 관측하여 기록한 기상정보의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메뉴 도시도 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록된 기상정보 영상에 대한 텍스트 정보의 검색 메뉴 도시도 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텍스트 정보 검색과정에서의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접속 윈도우의 표시 상태 도시도 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하여 접속된 FTP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자료 목록의 표시상태 도시도 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의 목록 도시도 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2에서 다운로드된 파일에 의한 GTS 전문 자료가 영상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상태 도시도 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인덱스맵 윈도우에 현재 보이는 기상정보 영상의 일부를 지정하여 확대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오버뷰 상태 도시도 이며,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에 연관된 모든 파일 종류를 표시한 상태 도시도 이고,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을 분석하는 도구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6에서의 영상효과를 선택한 하부 메뉴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상정보 영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처리 상태 도시도 이며,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선택된 태풍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 표시 상태도 이고,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태풍의 영향권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그림과 데이터로 표시된 상태 도시도 이며,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작일시와 종료일시를 지정하여 검색된 태풍의 데이터 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된 상태의 도시도 이고,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MTSAT의 SDT 분석을 위한 PT 차트와 BF 차트의 예시도 이며, 도 2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SDT 분석창 윈도우의 표시상태 도시도 이고, 도 2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24 시간 전의 태풍영상과 현재 분석된 태풍영상을 비교분석하는 상태 도시도 이며, 도 2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종합분석하고 등록된 상태의 도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면, 기상위성(100), 지구국(110), 수신시스템(120), 전처리부(130), 통합자료부(140), 디비부(150), 분석부(160), 모니터부(170), 관리부(180), 인터넷(190), 컴퓨터(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기상위성(100)은 지구의 정지 궤도상에 회전하는 것으로, 지구의 지정된 궤도위에 있는 MTSAT-1R, METEOSAT-5, FY-2C 등의 기상위성과, NOAA-12, 15, 17, 18 및 FY-1D 등과 같이 극궤도에 위치하는 기상위성과, AQUA/TERRA, QUICKSCAT, SEAWIFS 등과 같이 지구 관측위성이 포함된다.
상기 각 기상위성(100)은 제조사, 제조연구단체, 제조국가 등이 서로 다르므로 동일한 기상정보를 관측하는 경우에도 처리되는 데이터 정보의 규격(FORM 또는 TYPE)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관측하는 기상정보의 종류와 내용이 서로 약간씩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지구국(110)은 상기 기상위성(100)과 지정된 주파수 또는 밴드로 무선접속하고, 일예로, KU 밴드 또는 C 밴드 등의 매우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접속하고, 상기 기상위성(100)이 관측한 기상정보를 무선 수신한다.
상기 수신시스템(120)은 상기 지구국(110)이 무선 수신한 기상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기상위성(100)이 관측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한다. 즉, 기상위성(100)이 일예로, MTSAT 방식이면, MTSAT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하고, METEOSAT 방식이면 METEOSAT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하며, FY-2C 방식이면 FY-2C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하고, IWTC 방식이면 IWTC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하며, AQUA 방식이면 AQUA 방식으로 처리하여 입력하는 등과 같이 해당 방식으로 입력하여 처리하므로 관측된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한다.
상기 전처리부(130)는 상기 수신시스템(120)이 각 기상위성(100)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입력하여 처리하므로 정보 데이터의 폼(FORM) 또는 형태(TYPE)가 각각 상이한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즉, 각각 상이한 데이터 형식을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상기 통합 자료부(140)는 상기 전처리부(130)가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를 제공받고 각각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동시에 상기 분석부(160)의 요청에 의하여 검색된 기상위성의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기록되는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상기 디비부(150)는 상기 전처리부(130)가 제공하는 기상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고, 상기 분석부(160)의 요청에 의하여 검색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모니터부(170)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모니터링에 의하여 생산된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한다.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기상위성(100)이 촬영한 영상정보에 촬영날짜, 시간, 카메라 종류, 렌즈, 조리개, 셔터 스피드, 초점거리, 측광모드, 카메라 조작모드, 해상도 등의 모든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이다.
상기 분석부(160)는 상기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를 각각 검색하여 선택된 자료를 가공하고 분석하며 관리부에 제공하는 것으로, 미들웨어를 구비하여 통합자료부와 디비부와 관리부의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부하를 줄이고, 촬영된 기상정보를 영상을 처리 및 투영법 처리하여 원하는 상태로 가공 분석하며,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상기 영상신호의 분석 처리에는, 영상의 사칙연산, 합성 영상, 적외선 강조 영상, 가시광선 강조 영상, 특정 정보를 강조한 영상 등이 있으며, 동일한 기상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신호를 서로 다른 처리방법으로 분석하여 최대 4 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 표출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에는 영상을 이동, 확대, 축소, 회전, 자르기, 좌우분할, 상하분할, 영상 내에서 지점간 거리와 면적을 산출하는 공간제원 산출, 거리 단위 설정, 면적 단위 설정 등의 기법이 더 포함된다.
상기 모니터부(170)는 상기 통합자료부(140)의 기상정보에 오류 또는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모니터링을 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부(180)의 요청에 의하여 제공하고, 상기 실시간 감시하는 기상정보에 오류 또는 장애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는 해당 메시지를 관리부(180)에 통보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을 하면서 상기 관리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생산된 정보는 상기 디비부(150)에 제공하여 기록되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부(170)는 통합자료부의 기상위성 정보를 설정된 소정 주기 단위 로 자동 갱신 저장하여 실시간 검색 등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관리부(180)는 상기 분석부(160)로부터 분석된 기상위성 자료를 검색하여 영상 등의 정보로 확인하고, 상기 모니터부(170)로부터 장애 발생을 통보하는 메시지가 입력되면 장애를 복구하는 해당 명령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컴퓨터(200)가 직접 접속하거나 상기 인터넷(190)을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액티브 엑스(ACTIV-X) 프로그램을 상기 접속한 컴퓨터(200)에 다운로드 시켜 대용량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기상위성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예로, 중첩, 변환 등에 의한 가공처리를 하는 경우, 그 생산된 결과를 모니터부를 통하여 상기 디비부(15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한다.
상기 컴퓨터(200)는 웹기반으로 인터넷(190)을 통하여 상기 관리부에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고 상기 분석부가 분석한 기상위성자료를 검색하거나 검색된 기상위성 정보를 자체 처리에 의하여 가공 등으로 분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웹기반 기상위성 자료 분석 시스템은, 일예로, MTSAT-1R 기상위성의 기상정보를 분석하는 경우, 합성영상, 강조영상, 황사분석, 안개분석 등으로 분석된 기상정보를 생성하고, NOAA 기상위성의 기상정보를 RGB 합성영상, 황사분석, 안개분석 등으로 분석하며, AQUA/TERRA MODIS 센서 관측 기상정보를 RGB 합성영상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이진 표준 데이터로 통합되어 기록 관리되는 기상정보 목록의 메뉴이며, 통합자료부에 기록된 것으로 다수 기상위성이 관측한 기상정보 중에서 특정한 기상위성이 관측한 기상정보를 검색하도록 선택하는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즉, 일예로, MTSAT, FY-2, METEOSAT, NOAA, AQUA 등등의 기상위성으로 각각 관측된 다양한 기상정보 중에서, MTSAT 기상위성이 아시아 지역을 촬영한 기상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상정보 중에서 적외선 영상신호로 이루어진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호출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는 상기 도 4 의 메뉴에 의하여 검색되고 호출된 것으로, MTSAT 기상위성이 적외선으로 관측한 아시아 지역 기상정보의 영상 표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5에 의하여 검색된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 기상위성이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메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6에 의하여 MTSAT가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가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모니터링하면서 생산된 정보는 디비부의 할당된 영역에 날짜,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메타정보로 저장된다. 즉, 과거에 기록된 기상정보 또는 모니터링으로 생산되어 기록된 기상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과거에 기상위성이 관측하여 기록한 기상정보의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메뉴 도시도 이다.
상기 도 8 을 상세히 설명하면, 기상위성의 종류, 지역을 나타내는 영역, 검색할 기상정보의 종류, 날짜 등이 포함되며, 검색하고자 하는 날짜에 시간 단위로 기록된 기상정보가 검색되어 파일단위로 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검색한 기상정보가 일예로, 태풍인 경우, 태풍의 성격 또는 규격을 텍스트로 설명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록된 기상정보 영상에 대한 텍스트 정보의 검색 메뉴 도시도 이다.
상기 도 9 를 상세히 설명하면, 메뉴에서 태풍정보의 기타 버튼을 입력하면 팝업메뉴가 표시된다. 상기 표시되는 팝업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GTS 전문 가져오기의 윈도우가 실행되며 상기 표시되는 윈도우에는 FTP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텍스트 정보 검색과정에서의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접속 윈도우의 표시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도 10 의 윈도우를 통하여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GTS 전문의 FTP 사이트에 연결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해당 버튼을 입력하므로 접속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하여 접속된 FTP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자료 목록의 표시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도 11을 상세히 설명하면, 검색된 자료가 파일단위로 표시되며, 상기 검색되어 표시된 파일 단위 자료 중에서 다운로드 받고자 선택된 파일이 청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선택되어 청색으로 표시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 우측 상단에 표시된 다운로드 버튼을 입력하면 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의 목록 도시도 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2에서 다운로드된 파일에 의한 GTS 전문 자료가 영상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상태 도시도 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인덱스맵 윈도우에 현재 보이는 기상정보 영상의 일부를 지정하여 확대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오버뷰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인덱스맵 윈도우에서 지정된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확대상태로 보이는 오버뷰의 영상이 변경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에 연관된 모든 파일 종류를 표시한 상태 도시도 이다.
즉, 현재 모니터에 표시되는 기상정보 영상이 3개의 파일을 중첩한 경우, 중첩된 3개 파일이 중첩된 순서대로 표시되며, 상기의 순서를 변경하는 경우 표시되는 영상의 중첩순서를 변경하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을 분석하는 도구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다.
기상정보 영상신호를 분석하는 도구가 일예로, 영상효과, VALUE 정보, TIME 그래프 등이 포함되는 영상분석, 태풍분석, 영상 팔레트 등과 같이 다양함을 보여 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6에서의 영상효과를 선택한 하부 메뉴의 구성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영상효과의 하부 메뉴에는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PIXEL)의 명암 분포를 분석하는 것으로 명도값이 고르게 퍼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한쪽으로 치우친 명도값을 넓게 분산시켜 영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기법과, 명도, 대비 등에 의한 영상효과 기법과, 필터 기법이 포함된다.
상기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기법에는 픽셀을 재분배하여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스트렌치(STRENCH) 기법, 명도값의 빈도수를 구하고 축적 히스토그램을 구하여 정규화하므로 향상시키는 노말라이즈(NORMALIZE) 기법, 균일하지 못한 명암값 분포를 균일화시켜 향상시키는 이퀄라이즈(EQUALIZE) 기법, 로그 함수를 이용하여 명암도를 일괄적으로 개선하는 로그(LOG) 기법, 루트값을 이용하여 명암도를 일괄적으로 개선하는 루트(ROOT) 기법 등이 포함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상정보 영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처리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영상효과 기법에 포함되는 명도는 밝은 것과 어두운 명도(BRIGHTNESS)의 정도를 가리는 기준이며, 영상을 밝게 또는 어둡게 처리하는 기법이고, 대비(CONTRAST)는 인접한 픽셀들 사이에서 색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서 본래 가지고 있는 고유한 색의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처리하는 기법이다.
상기 필터기법은 기상정보의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분류하고 필요 없는 정보는 버리고 필요한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체 영상이 부드럽게 보이도록 하는 블러(BLUR) 필터처리, 경계선 부분의 명도를 높이어 선명하거나 거친 영상을 생성하는 샤프(SHARPEN) 필터처리, 블러와 비슷하게 영상을 부드럽게 처리하는 소프트(SOFTEN) 필터처리, 외곽선을 뚜렷하게 하거나 영상을 강조하는 에지(EDGE) 필터처리, 엠보싱 효과를 내는 엠보스(EMBOSS) 필터처리, 거친 칼라 픽셀을 추가하여 오래 된 것으로 보이도록 하는 애드노이즈(ADD NOISE) 필터처리, 색상의 농도를 감소시켜 단순하게 보이도록 하는 메디안(MEDIAN) 필터처리, 배경에 비하여 크기를 축소시키는 에로션(EROSION) 필터처리, 배경에 비하여 크기를 확장시키는 디레이션(DILATION) 필터처리, 경계부분을 검은색으로 나머지는 흰색으로 바꾸는 콘투어(CONTOUR) 필터처리, 영상이 떨리는 효과를 내는 지터(JITTER) 필터처리, 영상의 위아래를 뒤집는 플립(FLIP) 필터처리, 영상을 좌우로 뒤집는 미러(MIRROR) 필터처리, 색상을 반전시키는 네거티브(NEGATIVE) 필터처리 등이 포함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영상분석의 밸류(VALUE) 정보는 커서가 표시된 지점에서 마우스의 왼쪽 버튼 입력으로 밝기 온도 값을 표시하 고, 타임 그래프(TIME GRAPH)는 커서가 표시된 지점의 시간대별 밝기 온도값을 그래프로 표시하며, 크로스(CROSS) 그래프는 두 지점 사이의 밝기 온도값을 그래프로 표시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태풍을 분석하는 경우, 분석태풍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분석 태풍 설정 윈도우가 표시되고, 분석하고자 하는 태풍의 이름을 입력, 수정, 삭제 또는 신규로 설정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태풍 중심 위치에서의 AODT를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 기상정보에서의 태풍으로 확인되는 영상의 중심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태풍 중심 기호가 표시되는 동시에 위도와 경도에 의한 좌표정보, 지정된 위치까지의 거리 및 방위각 정보 등이 검색되어 모니터링되도록 표시된다.
상기 첨부된 도 16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강도결정 메뉴를 선택하면, 공지된 AODT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분석된 결과가 표시된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선택된 태풍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 표시 상태도 이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 과정에서 분석되고 생성된 결과는 프린터로 출력하거 나 디비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첨부된 도 16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강풍반경 메뉴를 선택하면, 공지된 AODT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강풍 반경 측정 결과, 장반경, 단반경, 평균반경이 계산되어 표시된다.
상기 강풍반경은 태풍영향권에서 설정된 등온 온도 위치를 구하고, 등온온도가 같거나 낮은 부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색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등온선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태풍의 눈을 표시한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태풍의 영향권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그림과 데이터로 표시된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 태풍의 영향권을 분석한 상태는 현재의 기상정보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분석된 결과를 그림 파일로 기록하여 저장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히스토리 메뉴를 선택하면, 공지된 AODT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분석된 결과를 리스트 또는 그래프로 확인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DB 검색 메뉴를 선택하면, 공지된 AODT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태풍이 시작된 일시와 최종일시에 의하여 검색된 결과의 태풍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된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작일시와 종료일시를 지정하여 검색된 태풍의 데이터 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된 상태의 도시도 이다.
상기와 같이 표시된 태풍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정보를 선택하면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된 데이터 정보와 관측된 기상정보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엑셀저장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된 결과를 엑셀 파일로 저장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공지된 AODT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하여야 되는 옵션설정 메뉴가 표시된다.
상기 옵션설정 메뉴에는 태풍 중심위치를 분석하는 경우, 육상 분석을 제외(DISALLOW) 또는 포함(ALLOW)할지 설정하는 태풍 중심위치 육상 분석(ANALYSIS OVER LAND), 태풍의 중심위치를 수동(MANUAL)으로 설정하는지 자동(AUTOMATIC)으로 설정하는지를 결정하는 태풍중심위치 결정(STORM POSITION), 자동(AUTO), 대서양(ATLANTIC), 서태평양(WEST PACIFIC) 중에서 분석영역을 선택하는 태풍 분석영역 결정(ANALYSIS DOMAIN), 체크할 경우 타이 모델(TIE MODEL)이 수행(PERFORM)으로 변경되는 태풍 타이 모델(TIE MODEL), 분석자가 직접 SCENE TYPE을 설정하는 태풍 패턴 분석(SCENE SELECTION), AODT 분석 결과에 HISTORY를 적용하는 히스토리 선택(HISTORY SELECTION) 등의 메뉴가 포함된다.
MTSAT 기상위성이 관측한 적외선 기상정보에 대하여는 SDT 분석을 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SDT 분석의 중심설정 메뉴를 선택한다.
상기 SDT 분석은 태풍의 중심을 선택하는 CENTER, 세 점을 통과하는 원의 중심을 구하는 CIRCLE, 두 점에 의한 중심의 정밀도를 구하는 ACCR, 네 점에 의하여 구름의 크기를 구하는 SYSTEM으로 구분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SDT 분석의 강도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강도 측정 윈도우가 표시된다.
태풍의 강도측정은 PT 차트, BF 차트를 이용하는 것과 크기를 측정하는 것과 SPIRAL을 그려 사용하는 것과 24 시간 전의 영상을 비교하는 것 등의 메뉴가 있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MTSAT의 SDT 분석을 위한 PT 차트와 BF 차트의 예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SDT 분석 메뉴의 SDT 분석창 메뉴를 선택하면, SDT 분석창 윈도우가 표시된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SDT 분석창 윈도우의 표시상태 도시 도 이다.
상기 SDT 분석창 윈도우의 파일 버튼 입력으로 저장할 경로 정보를 입력하고, 시간설정 버튼 입력으로 시간정보를 입력하며, 타입번호와 태풍이름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첨부된 도 16 의 윈도우에서 태풍분석-SDT 분석-중심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CENTER 버튼을 입력하고,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태풍의 중심위치를 클릭하므로 특정된 중심위치의 값이 표시되면서 입력된다.
또한, ACCR 버튼을 입력하고 화면에서 두 개의 지점을 클릭하면, CENTER ACCURACY 계산값이 표시되는 동시에 입력된다.
또한, SYSTEM 버튼을 입력하고 구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네 개의 지점을 클릭하면, 구름의 크기를 계산한 값이 표시되는 동시에 입력된다.
상기 첨부된 도 23 에서의 패턴 버튼을 선택하여 내용을 입력하고, 이전에 분석한 결과가 있을 경우 모션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시간을 입력하며, INTENTS 버튼을 선택하면 DT 수 결정, 강도 측정, SIZE 창이 나타나고 해당 값을 입력한다.
상기 첨부된 도 16 의 메뉴에 도시된 것으로 SDT 분석 메뉴의 강도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비교할 대상인 24 시간 전의 영상을 중첩시키며, 상기 중첩되는 영상은 좌/우 분할 비교 모드 상태에서 왼쪽에 24 시간 전 영상, 오른쪽에 현재 분석된 영상이 각각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24 시간 전의 영상과 비교하여 MET 수를 결정하고, PT, T, CI 수를 결정하여 등록버튼을 입력하므로 분석결과를 등록한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24 시간 전의 태풍영상과 현재 분석된 태풍영상을 비교분석하는 상태 도시도 이다.
상기와 같은 GTS 전문 자료와 SDT 분석자료와 AODT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종합분석을 하는 경우, 우선 GTS 전문 자료와 SDT 분석자료를 불러와서 시간을 설정하고, 텍스트 자료를 입력하며, 강도지수 그래프를 그리고, 종합분석을 한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종합분석하고 등록된 상태의 도시도 이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통계분석 하는 경우, 통계분석 버튼을 클릭하면 통계분석 윈도우에 분석된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전체 목록의 통계를 분석하거나 또는 선택된 일부의 통계를 분석하며, 상기 목록 중에서 선택된 영상의 팔레트를 변경하거나 레이어를 설정 또는 변경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웹기반 기상 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은 다수의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목적 과 방식으로 관측된 3 차원의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지구국에서 수신하고, 수신시스템에 의하여 각 기상위성별 해당 방식으로 상기 수신된 기상정보를 입력한다(S100).
상기 수신되어 입력된 기상정보는 전처리부에 의하여 이진의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고(S110), 상기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기상정보는 통합자료부에 제공되어 통합 상태로 기록 관리되며(S120), 디비부에 제공되어 날짜와 시간이 포함되는 메타 정보로 기록 관리된다(S130).
상기와 같이 기록된 기상정보는 분석부에 의하여 영상처리, 투영법 처리 등으로 가공되고 검색요청에 의하여 검색되어 전송되며(S140), 모니터부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오류 또는 장애가 발행하였는지를 감시한다(S150).
상기의 실시간 감시 과정에서 장애 발생으로 확인되면(S160), 장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메시지를 발생하여 관리부에 통보하고(S170), 상기 관리부는 상기의 장애를 극복하거나 복구하는 해당 대응조치 명령신호를 발생한다(S180).
상기 관리부는 상기와 같이 기록된 기상정보를 통합하여 모니터링 및 분석하고(S190),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생산된 기상분석 정보는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디비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및 관리된다(S200).
상기 관리부는 직접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기반으로 접속한 컴퓨터가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S210), 액티브 엑스(ACTIVE-X)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S220) 검색된 해당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S230).
상기 분석부는 미들웨어를 구비하므로, 검색되어 제공되는 정보의 처리부하 를 줄이고, 상기 관리부와 함께 모니터링하는 방식은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작용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기상위성의 다양한 방식으로 관측된 3 차원의 기상정보를 외국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분석 및 모니터링하고, 웹기반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검색하고 분석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도 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이진 표준 데이터로 통합되어 기록 관리되는 기상정보 목록의 메뉴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4 의 메뉴에 의하여 검색된 MTSAT 기상위성이 적외선으로 관측한 아시아 지역 기상정보의 영상 표시상태 도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5에 의하여 검색된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 기상위성이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 촬영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메뉴 상태 도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6에 의하여 MTSAT가 아시아 지역을 적외선으로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과 NOAA가 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온도를 관측한 기상정보 영상을 중첩한 상태 도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과거에 기상위성이 관측하여 기록한 기상정보의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메뉴 도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록된 기상정보 영상에 대한 텍스트 정보의 검색 메뉴 도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텍스트 정보 검색과정에서의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접속 윈도우의 표시 상태 도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하여 접속된 FTP 사이트로부터 검색된 자료 목록의 표시상태 도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GTS 전문을 가져오기 위한 FTP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의 목록 도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2에서 다운로드된 파일에 의한 GTS 전문 자료가 영상에 중복되어 표시되는 상태 도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인덱스맵 윈도우에 현재 보이는 기상정보 영상의 일부를 지정하여 확대상태로 보이도록 하는 오버뷰 상태 도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에 연관된 모든 파일 종류를 표시한 상태 도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기상정보의 영상을 분석하는 도구의 구성 상태 도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상기 도 16에서의 영상효과를 선택한 하부 메뉴의 구성 상태 도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기상정보 영상의 명도를 향상시키는 히스토그램 처리 상태 도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선택된 태풍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 표시 상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태풍의 영향권을 AODT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그림과 데이터로 표시된 상태 도시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작일시와 종료일시를 지정하여 검색된 태풍의 데이터 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된 상태의 도시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MTSAT의 SDT 분석을 위한 PT 차트와 BF 차트의 예시도,
도 2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SDT 분석창 윈도우의 표시상태 도시도,
도 2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24 시간 전의 태풍영상과 현재 분석된 태풍영상을 비교분석하는 상태 도시도,
도 25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종합분석하고 등록된 상태의 도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기상위성 110 : 지구국
120 : 수신시스템 130 : 전처리부
140 : 통합자료부 150 : 디비부
160 : 분석부 170 : 모니터부
180 : 관리부 190 : 인터넷
200 : 컴퓨터

Claims (23)

  1. 기상관측 인공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각각 해당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시스템;
    상기 수신시스템이 수신한 각각의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로부터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를 기록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자료부;
    상기 전처리부의 기상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고 모니터링되어 생산된 기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기록하는 디비부;
    상기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로부터 실시간 검색된 기상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기록하는 분석부;
    상기 통합자료부의 기상정보를 실시간 감시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으로 생산된 기상정보를 디비부에 기록하는 모니터부;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입력하고 통합 모니터링하여 확인하며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기상정보의 장애 발생을 실시간 통보받는 관리부;
    상기 관리부에 접속하여 실시간 분석되고 기록된 기상정보의 전송경로를 설정하는 인터넷;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시스템의 기상위성으로부터 무선 수신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지구국;
    상기 지구국과 무선접속하여 지구 궤도상에서 관측된 3 차원 기상정보를 전송하는 다수의 기상위성;
    상기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거나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합 관리되고 분석된 기상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제공받고 신속하게 확인하는 컴퓨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통합자료부와 디비부로부터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가공하고, 영상처리하며, 투영법 처리하고, 전송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통합자료부의 기상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아 모니터링하고 생산된 모니터링 정보와 주기별로 수집된 기상정보를 상기 디비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분석부로부터 분석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하므로 분석된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접속된 컴퓨터가 기상정보를 요구하면 액티브 엑스 컨트롤러를 자동 설치시키며 요청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모니터부로부터 장애발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장애복구를 위한 해당 대응조치의 명령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수신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이진 데이터에 의한 표준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자료부는,
    상기 전처리부의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파일 단위로 할당된 영역에 기록 관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기상정보 데이터의 처리 부하를 줄이는 미들웨어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관리부의 제어에 의하여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분석된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비부는,
    상기 기록되는 정보를 메타 정보로 기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12.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기상위성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기상정보를 입력하고 전처리되어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며 메타 정보로 변환된 기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수신과정;
    상기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기록된 기상정보를 영상처리와 투영법으로 분석하는 가공처리한 후에 전송하고 기상정보의 장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분석과정;
    상기 장애 발생으로 확인되면 장애 메시지를 발생하고 대응조치 명령에 의하여 극복하며 기상정보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며 생산된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모니터링 과정;
    상기 기록 관리되는 기상정보를 검색할 컴퓨터가 접속되면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검색된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검색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위성으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기상정보는,
    상기 분석 시스템에 의하여 각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방식으로 3 차원 관측한 기상정보를 해당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상기 분석시스템에 의하여 각 기상위성으로부터 각각의 방식으로 수신된 기상정보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기상정보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통합자료부에 영역을 할당하여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로 변환된 기상정보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디비부에 영역을 할당하여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 장애의 실시간 감지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모니터부에 의하여 통합자료부에 기록된 표준화된 기상정보를 실시간 감시하고 비교하여 기상정보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메시지는,
    상기 기상정보에 장애 발생을 확인한 모니터부에 의하여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조치 명령은,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의하여 장애 기상정보를 발생한 기상위성에서 정상적인 기상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니터링은,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의하여 통합자료부가 처리한 영상신호를 확인하고 기상정보의 예상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 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변화의 분석에 의하여 생산된 정보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디비부에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에 직접 접속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23. 제 12 항 또는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분석 시스템의 관리부 제어에 의하여 액티브 엑스를 설치하고 기상정보를 검색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80057497A 2008-06-18 2008-06-18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31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97A KR20090131564A (ko) 2008-06-18 2008-06-18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97A KR20090131564A (ko) 2008-06-18 2008-06-18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564A true KR20090131564A (ko) 2009-12-29

Family

ID=4169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497A KR20090131564A (ko) 2008-06-18 2008-06-18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5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12B1 (ko) * 2011-09-01 2012-01-05 한국해양연구원 Web-gis기반 해양예보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32828B1 (ko) * 2011-09-01 2012-04-02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예보정보제공장치
KR101467122B1 (ko) * 2013-12-09 2014-12-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위성 정보 제공 방법
KR102013149B1 (ko) * 2018-12-27 2019-08-27 대한민국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31901B1 (ko) * 2020-01-08 2020-07-08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자료 분석을 위한 데이터 추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6224469A (zh) * 2023-05-09 2023-06-06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用于具有快速成像仪的卫星的观测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12B1 (ko) * 2011-09-01 2012-01-05 한국해양연구원 Web-gis기반 해양예보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32828B1 (ko) * 2011-09-01 2012-04-02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예보정보제공장치
KR101467122B1 (ko) * 2013-12-09 2014-12-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위성 정보 제공 방법
KR102013149B1 (ko) * 2018-12-27 2019-08-27 대한민국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31901B1 (ko) * 2020-01-08 2020-07-08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자료 분석을 위한 데이터 추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16224469A (zh) * 2023-05-09 2023-06-06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用于具有快速成像仪的卫星的观测系统
CN116224469B (zh) * 2023-05-09 2024-03-15 国家卫星气象中心(国家空间天气监测预警中心) 用于具有快速成像仪的卫星的台风观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01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fleet of drones for data collection
US114234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il damage verification on rooftops using computer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WI629495B (zh) 用於使用點觀測精緻化氣象預報之方法與系統
US9411072B1 (en) Real-time adaptive weather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20090131564A (ko) 웹기반 기상위성자료 분석 시스템 및 방법
EP37367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satellite image
CN113487251B (zh) 基于一键式遥感的自然灾害预警与应急响应方法与系统
CN10621051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拍照预览方法及移动终端
US20210279378A1 (en) Photovoltaic device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and program
CN111783634A (zh) 基于卫星遥感数据的火点检测方法
US118562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onitoring device
KR101737815B1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RU250401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мониторинг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230064675A1 (en) Pt/pt-z camera command, control &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54899B1 (ko) 지능형 cctv 기반 자동 수위감지 방법
US20200074559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mputing infrastructural damages
JP2019185281A (ja) 衛星画像変化抽出システムおよび衛星画像変化抽出方法、並びに衛星画像変化抽出システムにおけるフロントエンド部
CN113297946A (zh) 一种监控盲区识别方法和识别系统
CN115547003A (zh) 一种输电线路的防外破报警方法和系统
JP2014163922A (ja) 環境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84069B1 (ko) 지능형 영상 기반 시설물 진동 감시 방법
CN113516120A (zh) 扬尘检测方法、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系统
JP5188490B2 (ja) 映像監視配信装置
KR102419096B1 (ko) 지능형 국가재난안전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Roupioz et al. Quantifying the impact of cloud cover on ground radiation flux measurements using hemispherical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