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255B1 -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255B1
KR102097255B1 KR1020190179117A KR20190179117A KR102097255B1 KR 102097255 B1 KR102097255 B1 KR 102097255B1 KR 1020190179117 A KR1020190179117 A KR 1020190179117A KR 20190179117 A KR20190179117 A KR 20190179117A KR 102097255 B1 KR102097255 B1 KR 10209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housing
storage container
indent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윤
Original Assignee
박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09121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972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윤 filed Critical 박소윤
Priority to KR102019017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27Stackable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용기 함체(100); 상기 용기 함체(100)의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하부 모서리(e)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내입홈(200); 상기 내입홈(200)의 형성과 연계되어,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내입리브(300); 상기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 상에 종횡 배열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00); 및 상기 용기 함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Food containers for freezing}
본 발명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식품을 담아 보관하는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용기는 음식 등을 담아 얼려서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용기로, 플라스틱 재질의 사각 함체 형태로 제공된다.
냉동용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7-0036220호('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저장 용기'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가지고, 상면이 개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를 상기 몸체에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재; 및 상기 몸체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핸들은 상기 잠금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저장 용기의 용량이 극대화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 용기'는 용기의 몸체(60)가 단순한 육면체로 구성됨으로 인해,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졌고, 담긴 내용물과의 접촉면적이 넓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용기 내에 얼려진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용기 양쪽을 손으로 잡아 반대로 꺾는 동작을 통해 내용물을 용기에서 분리해야 하는데, 종래의 용기는 딱딱하여 내용물을 용기에서 분리하기가 어려웠다.
특히, 용기를 냉동 보관할 경우, 습기를 함유한 내용물이 용기에 달라붙는 결빙 현상이 수반되는데, 종래의 '저장 용기'는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큼으로 인해, 달라붙은 내용물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컷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6220호(공개일자 2017년04월03일, 발명의 명칭 :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분리가 용이하고, 다단 적층이 가능한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용기 함체(100); 상기 용기 함체(100)의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하부 모서리(e)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내입홈(200); 상기 내입홈(200)의 형성과 연계되어,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내입리브(300); 상기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 상에 종횡 배열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00); 및 상기 용기 함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입홈(200)은, 상기 하부 모서리(e)를 기준으로 제1 깊이만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내입홈(210)과, 상기 제1 깊이보다 깊은 제2 깊이만큼 상기 제1 내입홈(210)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하부 모서리(e)와 연결되게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내입홈(220)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입리브(300)는, 상기 제1 내입홈(210)과 대응되는 제1 내입리브(310)와, 상기 제2 내입홈(220)과 대응되는 제2 내입리브(320)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함체(100)의 인접한 두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v)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내입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은, 상기 측면(101)과 소정거리 이내로 정의되는 외측영역(102a)과, 상기 외측영역(102a)의 내부에서 소정높이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영역(102b)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돌기(400)는, 상기 내측영역(102b)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영역(102a)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500)은, 상기 용기 함체(100)의 상단 테두리에 억지끼움되는 외곽체결라인(510)과, 상기 외곽체결라인(510)의 내측에서 상기 외곽체결라인(5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면(520)으로 구분되고, 상기 용기 함체(100)와 상기 뚜껑(500)은, 서로 결합되어 단위 보관용기(C)를 이루며, 상기 단위 보관용기(C)는, 제1 면적을 갖는 대규격 보관용기(C1)와, 상기 제1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2 면적을 갖는 소규격 보관용기(C2)로 구분되어, 여러 규격의 보관용기가 다단 적층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따르면, 용기 함체의 하부 모서리에 내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를 구부려 얼려진 내용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파지홈 기능을 함으로써, 용기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함체의 하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내입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보관용기가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되, 소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이 대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의 절반으로 제작됨으로써, 냉동실 내에 보관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면서 제한된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냉동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포함된 용기 함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용기 함체에 적용되는 내입홈 유무 혹은 내입홈의 형태에 따른 굽힘강성의 변화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와 내용물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가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 다단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내입홈의 구성을 자세하게 도시한 부분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에 포함된 용기 함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용기 함체에 적용되는 내입홈 유무 혹은 내입홈의 형태에 따른 굽힘강성의 변화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와 내용물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가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어 다단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식품을 담아 보관하는 식품용기의 일종로서, 용기 함체(100), 다수의 내입홈(200), 다수의 내입리브(300), 다수의 지지돌기(400)와 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함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함체이다.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플라스틱 계열이고,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사각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구성된다.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은 측면(101)과 소정거리 이내로 정의되는 외측영역(102a)과, 외측영역(102a)의 내부에서 소정높이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영역(102b)으로 구분된다. 이는 용기 함체(100)의 하면의 강성을 높이고, 냉동실 바닥면과의 접촉면적 및 용기 함체(100) 내에 담기는 내용물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다수의 내입홈(200)은 용기 함체(100)의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하부 모서리(e)를 따라 형성되되,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내입홈(200)은 하부 모서리(e) 중에서 일부 영역(e')이 양 끝단이 서로 만나는 측면(101) 상의 원호(211)와 하면(102) 상의 원호(212)로 대체되어 원호(211)와 원호(212) 사이를 잇는 최단거리 선분(218)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내입홈(200)은 하부 모서리(e)의 일정 영역을 원호(211, 212) 경로를 따라 한 번의 절개 과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것이고, 이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내입리브(300)도 용기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내입홈(200)은 하부 모서리(e)를 기준으로 제1 깊이만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내입홈(210)과, 제1 깊이보다 깊은 제2 깊이만큼 제1 내입홈(210)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 모서리(e)와 연결되게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내입홈(220)으로 구분된다.
내입홈(200)은 용기 함체(100)의 유연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유연성이라함은 용기의 굽힘강성의 감소를 의미하는데, 내입홈(200)의 유무, 내입홈(200)의 형태에 따라 용기 함체(100)의 굽힘강성 차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d에 순서대로 도시하였다.
[3D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굽힘강성 시뮬레이션]
*공통조건 : 용기 함체(100)의 전체 부분 중, 한쪽 모서리 부분을 'ㄴ'자 형태로 단순화하였고, 부재의 단면 형상은 가로 100m, 세로 100mm로 하고 그 길이는 300mm로 설정하였다. 또한, 부재의 재질은 플라스틱 특성을 그대로 적용하였고, 부재의 양단 중 일단은 고정단으로 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하였으며, 부재의 타단 측에는 굽힘력이 작용하도록 설정하였다. 굽힘력은 약 2,800N의 크기로 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되, 각 면에 대하여 45도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설정하였다.
*차별조건
- 본 실시예(도 4a) : 다수의 내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용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
- 비교예 1(도 4b) : 내입홈 미형성.
- 비교예 2(도 4c) : 내입홈이 길게 연장된 형태로 단일 구성.
- 비교예 3(도 4d) : 다수의 내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용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육면체 형태로 각면을 이루도록 구성.
*시뮬레이션 결과표
본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부재의 타단 측
최대변위(mm)
109 61.7 86.4 72.4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처럼 용기 함체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다수의 내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형상은 용기 함체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했을 때, 부재의 타단 측 최대변위가 109mm로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굽힘강성이 가장 작다는 것을 의미하고 유연성은 가장 크다는 것을 것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하여, 내입홈이 미형성된 비교예 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타단 측 최대변위가 61.7mm로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내입홈이 길게 연장된 형태로 단일 구성된 비교예 2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타단 측 최대변위가 86.4mm로 비교적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변위값에는 크게 못 미친다는 알 수 있다.
내입홈이 육면체 형태로 각면을 이루는 비교예 3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의 타단 측 최대변위가 72.4mm로 비교적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내입홈을 각면 형태로 하는 것보다 곡면으로 하는 것이 유연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용기 함체의 하부 모서리에 내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를 구부려 얼려진 내용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파지홈 기능을 함으로써, 용기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에서는 용기 함체(100)의 일부만 단순화하하고 제2 내입홈(220)은 미적용한 상태로 최대변위를 측정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내입홈(220)까지 적용하면 용기의 유연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함체(100)의 인접한 두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v)에 형성되되,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내입홈(250)까지 더 포함되면, 용기의 유연성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용기 함체(100)에 형성되는 내입홈(200)은 또 다른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입홈(200)과 연계되어, 용기 함체(100)의 측면에는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다수의 내입리브(300)가 돌출된다. 내입리브(300)는 제1 내입홈(210)과 대응되는 제1 내입리브(310)와, 제2 내입홈(220)과 대응되는 제2 내입리브(320)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리브'라는 명칭은 일반적인 '갈빗대 형상'의 의미보다 더 넓게 '볼록한 형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 상에는 다수의 지지돌기(400)가 종횡 배열로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400)는 하면(102)의 내측영역(102b)에 형성되되, 하면(102)의 외측영역(102a)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짧게 구성된다.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냉동 보관할 경우, 습기를 함유한 내용물이 용기에 달라붙는 결빙 현상이 수반되는데, 종래에는 용기의 내측면이 단순 평면으로 구성되어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큼으로 인해, 달라붙은 내용물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컷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함체(100)에 내용물(m)을 담았을 경우, 내용물(m)의 바닥면은 다수의 지지돌기(400)에 의해 지지되고, 내용물(m)의 측면은 내입리브(300), 특히 제2 내입리브(3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함체의 하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내입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냉동 보관용기의 다단 적층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용기 함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500)을 포함하고 있는데, 뚜껑(500)은 용기 함체(100)의 상단 테두리에 억지끼움되는 외곽체결라인(510)과, 외곽체결라인(510)의 내측에서 외곽체결라인(5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면(520)으로 구분된다.
용기 함체(100)와 뚜껑(500)은 서로 결합되어 단위 보관용기(C)를 이루게 된다. 이때, 단위 보관용기(C)는 제1 면적을 갖는 대규격 보관용기(C1)와, 제1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2 면적을 갖는 소규격 보관용기(C2)로 구분된다.
소규격 보관용기(C2)는 2가지 규격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대규격 보관용기(C1)의 폭이 소규격 보관용기(C2)의 길이가 되고, 대규격 보관용기(C1)의 길이의 절반이 소규격 보관용기(C2)의 폭이 되는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대규격 보관용기(C1)의 길이가 소규격 보관용기(C2')의 길이가 되고, 대규격 보관용기(C1)의 폭의 절반이 소규격 보관용기(C2')의 폭이 되는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규격 보관용기(C1)와 소규격 보관용기(C2)는 상대적인 크기 개념으로서, 일정비율로 계속해서 축소하여 다양한 규격의 용기를 시리즈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보관용기가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되, 소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이 대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의 절반으로 제작됨으로써, 냉동실 내에 보관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면서 제한된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냉동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는, 용기 함체의 하부 모서리에 내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를 구부려 얼려진 내용물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유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내입홈이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파지홈 기능을 함으로써, 용기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함체의 하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의 내입리브가 형성됨으로써, 내용물과 용기 간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의 분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보관용기가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되, 소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이 대규격 보관용기의 면적의 절반으로 제작됨으로써, 냉동실 내에 보관용기를 다단으로 적층하면서 제한된 공간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냉동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용기 함체
200 : 다수의 내입홈
300 : 다수의 내입리브
400 : 다수의 지지돌기
500 : 뚜껑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의 용기 함체(100);
    상기 용기 함체(100)의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하부 모서리(e)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내입홈(200);
    상기 내입홈(200)의 형성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내입리브(300); 및
    상기 용기 함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500);을 포함하고,
    상기 내입홈(200)은, 상기 하부 모서리(e)를 기준으로 제1 깊이만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내입홈(210)과, 상기 제1 깊이보다 깊은 제2 깊이만큼 상기 제1 내입홈(210)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하부 모서리(e)와 연결되게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내입홈(220)으로 구분되고,
    상기 내입리브(300)는, 상기 제1 내입홈(210)과 대응되는 제1 내입리브(310)와, 상기 제2 내입홈(220)과 대응되는 제2 내입리브(320)로 구분되고,
    상기 용기 함체(100)의 인접한 두 측면(101)과 하면(102)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v)에 형성되되, 상기 용기 함체(100)의 내부를 향해 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내입홈(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 상에 종횡 배열로 돌출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함체(100)의 하면(102)은, 상기 측면(101)과 소정거리 이내로 정의되는 외측영역(102a)과, 상기 외측영역(102a)의 내부에서 소정높이 융기된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영역(102b)으로 구분되고,
    상기 지지돌기(400)는, 상기 내측영역(102b)에 형성되되, 상기 외측영역(102a)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00)은, 상기 용기 함체(100)의 상단 테두리에 억지끼움되는 외곽체결라인(510)과, 상기 외곽체결라인(510)의 내측에서 상기 외곽체결라인(5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덮개면(520)으로 구분되고,
    상기 용기 함체(100)와 상기 뚜껑(500)은, 서로 결합되어 단위 보관용기(C)를 이루며,
    상기 단위 보관용기(C)는, 제1 면적을 갖는 대규격 보관용기(C1)와, 상기 제1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제2 면적을 갖는 소규격 보관용기(C2)로 구분되어, 여러 규격의 보관용기가 다단 적층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분리가 용이한 냉동 보관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9117A 2019-12-31 2019-12-31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KR10209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17A KR102097255B1 (ko) 2019-12-31 2019-12-31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117A KR102097255B1 (ko) 2019-12-31 2019-12-31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255B1 true KR102097255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117A KR102097255B1 (ko) 2019-12-31 2019-12-31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27Y1 (ko) 2020-06-05 2021-11-17 추중휴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KR102449968B1 (ko) 2022-04-12 2022-10-06 정인석 2중 밀폐기능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546A (ja) * 2004-06-07 2005-12-15 Masao Sakai 冷凍用容器
KR20090087250A (ko) * 2008-02-12 2009-08-17 김영백 오징어 냉동용 받침판
KR20170036220A (ko)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17171391A (ja) * 2016-03-17 2017-09-28 中央化学株式会社 包装用容器とその搬送方法
KR200485349Y1 (ko) * 2017-05-15 2017-12-27 오영진 음식물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546A (ja) * 2004-06-07 2005-12-15 Masao Sakai 冷凍用容器
KR20090087250A (ko) * 2008-02-12 2009-08-17 김영백 오징어 냉동용 받침판
KR20170036220A (ko)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17171391A (ja) * 2016-03-17 2017-09-28 中央化学株式会社 包装用容器とその搬送方法
KR200485349Y1 (ko) * 2017-05-15 2017-12-27 오영진 음식물 포장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627Y1 (ko) 2020-06-05 2021-11-17 추중휴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KR102449968B1 (ko) 2022-04-12 2022-10-06 정인석 2중 밀폐기능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255B1 (ko) 냉동 보관용 식품용기
US10286541B2 (en) Toolbox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KR102103278B1 (ko) 분할형 포장박스
US20160176573A1 (en) Interlocking Stackable Produce Containers And High-Density Packing System Using Same
EP3184450B1 (en) Container
MX2012011308A (es) Cajon.
RU2598287C2 (ru) Складной ящик
US20150232230A1 (en) Container capable of being coup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a time
CN110220357A (zh) 冰箱
KR200491213Y1 (ko) 초밥용 포장용기
KR20049104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CN203258950U (zh) 冰箱
RU139540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5977122B2 (ja) 冷蔵庫
US20170081077A1 (en) A Lid and a Storage System
KR200494627Y1 (ko) 냉동식품 보관함 칸막이
WO2020105178A1 (ja) 冷蔵庫
KR200389025Y1 (ko) 포장용 칸막이
JP3210115U (ja) 発泡樹脂容器、包装容器及び包装済食品と発泡樹脂容器との組立体
CN110785267A (zh) 配件箱
JP7259276B2 (ja) 蓋付き容器
KR101552574B1 (ko) 적층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0471748Y1 (ko) 1회용 2단 도시락 용기
KR20100005631U (ko) 급식 샘플용 보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80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614

Effective date: 2021102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83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1013

Effective date: 2022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