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893B1 -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93B1
KR102096893B1 KR1020180145413A KR20180145413A KR102096893B1 KR 102096893 B1 KR102096893 B1 KR 102096893B1 KR 1020180145413 A KR1020180145413 A KR 1020180145413A KR 20180145413 A KR20180145413 A KR 20180145413A KR 102096893 B1 KR102096893 B1 KR 10209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dentification code
tracking
area
dupl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남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Priority to KR102018014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93B1/ko
Priority to PCT/KR2019/013667 priority patent/WO202010586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93B1/ko
Priority to US17/230,153 priority patent/US1166993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5Robust watermarking, e.g. average attack or collusion attack resist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28Adaptive watermarking, e.g. Human Visual System [HVS]-based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29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with selective or adaptive application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e.g. in selected regions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67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combined with processing of the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2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text images, e.g. watermarking text documents using letter skew, letter distance or row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3Image watermarking in relation to collusion attacks, e.g. collusion attack resist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4Image watermarking for copy protection or copy management, e.g. CGMS, copy only once, one-time cop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81Image watermarking whereby both original and watermarked images are required at decoder, e.g. destination-based, non-blind, non-oblivi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c) 복수의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 및 (d)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삽입 영역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식별 코드는 최종 선정된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AN IDENTIFICATION CODE FOR TRACKING A DUPLICATED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내부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여 이미지가 복제될 시, 이를 추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툰(webtoon)이란 인터넷의 웹(web)과 만화의 카툰(cartoon)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신조어로, 각종 멀티미디어의 효과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연재되는 만화를 뜻하고 있다.
최근 웹툰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웹툰의 이미지를 무단으로 복제하여 게시함으로써, 저작권의 침해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에는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에 대한 당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해당 워터마크를 삭제하거나 이미지의 변조를 통해 우회가 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워터마크가 가지는 취약점을 개선할 기술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c) 복수의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 및 (d)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삽입 영역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식별 코드는 최종 선정된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을 선정하고, 복수의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고,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삽입 영역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식별 코드는 최종 선정된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는,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운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의 특정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이미지에 삽입되는 식별 코드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에 타 사용자가 이미지에 포함된 식별 코드의 변조나 삭제가 어렵게 된다. 이를 통해 불법으로 이미지가 복제하거나 도용하는 경우를 종래의 워터마크 기술보다 쉽게 추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서 삽입 영역을 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환하여 식별 코드를 삽입한 예시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서버(100)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1)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에 식별 코드를 삽입할 복수의 삽입 영역을 선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게 된다.
또한, 해당 이미지가 포함하게 되는 이미지의 정보, 식별 코드 등을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 영역이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식별 코드는 최종 적으로 선정된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는 것을 뜻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에서 이미지를 제작한 제작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뜻할 수 있으며, 제작한 이미지를 서버(100)로 업로드하거나, 식별 코드가 삽입된 변형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도용이나 복제와 같은 문제가 발생 시, 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10)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10)은 단말들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10)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3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정보와 해당 이미지의 식별 코드가 삽입될 삽입 영역의 위치, 크기, 바이너리 코드가 저장될 수 있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위치, 크기, 변형된 바이너리 코드가 함께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의 정보는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자, 제목, 관련 이미지 정보, 이미지 생성시간 및 제작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미지 정보나 식별 코드에 대한 정보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40)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S310), 수신된 이미지의 변환 및 복수의 삽입 영역을 산출한다(S320).
여기서, 복수의 삽입영역은 엣지(edge)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값의 차이 이상을 가지는 이미지의 영역을 기준으로 산출하게 된다.
또한, 명확한 바이너리 값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는 흑백으로 변환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분할하는 등의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때, 산출되는 삽입 영역은 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영역을 제외하고 선정하게 된다.
복수의 삽입 영역 중 최종 삽입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삽입 영역에 식별 코드를 삽입하기 위한 이미지 변형을 수행한다(S330).
최종 삽입 영역은 복수의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식별 코드를 삽입할 수 있으나 이미지의 크기나 컷의 숫자에 따라 복수의 삽입 영역이 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선택된 최종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여 식별 코드를 이미지에 삽입하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식별 코드의 위치 및 크기에 매핑하여 최종 선택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삭제 후 별도로 생성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 도 4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이미지에 식별 코드의 삽입이 완료되면, 식별 코드가 및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S34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40)에 함께 저장하고,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란 이미지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자, 제목, 관련 이미지 정보, 이미지 생성시간 및 제작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정보이다.
단계(S340) 이후 서버(100)는 다음에 서술하는 방식을 통해 이미지의 복사 혹은 무단 도용을 추적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으로 인터넷과 같은 웹상에서 사용 중인 이미지를 누군가 복사하려는 행동을 수행할 시, 서버(100)가 이를 감지하여 추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서버(100)는 임의의 단말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복사하려는 신호가 발행될 경우, 임의의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임의의 단말이 식별 코드가 삽입된 특정 이미지를 복사하거나 도용하려는 행위를 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제조번호, 맥어드레스(mac address), ip, 전화번호 등의 정보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가 자동으로 수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임의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를 특정 이미지와 연관시켜 서버(100)에 저장하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은 외부 서버나 외부 단말이 사용 중인 이미지를 인식하여 복제나 도용된 이미지 맞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서버(100)가 허가 받지 않은 외부 서버 및 외부 단말로부터 임의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임의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식별코드가 기 저장된 특정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매칭하는 것이 있는지 판단하는 수행한다.
만약, 매칭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 결과에 따르는 특정 이미지와 연견된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복제 대상으로 간주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200)로 알리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추가 실시예로, 허가 받지 않은 외부 서버나 외부 단말로부터 서버(100)가 직접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관리자 단말 혹은 사용자 단말(200)의 신고 등의 방법을 통해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의 생성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식별 코드가 삽입되는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복사하여 복사 이미지를 생성한다(S410).
이때, 복사 이미지뿐만 아니라, 단계(S320)를 통해 산출된 복수의 삽입 영역에 대한 위치, 바이너리 코드, 크기를 임시 저장하되, 복수의 삽입 영역의 위치는 x, y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생성된 복사 이미지는 추후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원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삽입 영역의 이미지와 유사하면서, 임의의 난수가 포함된 식별 코드의 이미지를 생성한다(S42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 설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단계(S410)에서 생성한 복사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임의의 난수가 포함된 식별 코드의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사용자가 생성한 이미지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식별 코드의 이미지가 삽입되는 위치, 바이너리 코드 및 크기를 저장한다(S430).
이때, 식별 코드의 위치는 x, y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크기는 최종 선택된 삽입 영역의 크기와 일치시키게 된다.
추가 실시예로, 생성된 식별 코드가 삽입되는 위치, 크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작위로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이전에 적용된 식별 코드와 다른 크기나 위치를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에서 삽입 영역을 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림(a) 내지 그림(b)에서 이미지(500) 및 삽입 영역(510)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a)은 제작자로부터 수신한 이미지(500)의 원본의 예시가 될 수 있다.
그림(b)은 엣지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바이너리 값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500)를 흑백으로 변화시키는 것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이는 원본 이미지(500)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검출되는 바이너리 값이 광범위 하기에 이를 줄이기 위해 색상을 흑백으로 변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림(c)은 이미지(500)에서 검출된 복수 개의 삽입 영역(510)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무작위 선정을 통해 식별 코드가 삽입될 삽입 영역(510)을 선정한 예시가 그림(d)이 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삽입되는 삽입 영역(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영역의 이미지(500)를 변환하여 식별 코드를 삽입한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500)의 변환을 수행하지 않은 원본 삽입 영역(510)은 원본 영역(511)과 식별 코드를 삽입하기 위해 바이너리 코드를 변경한 변형 영역(512)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500)에서 변형되는 변경 영역(512)은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일반인의 육안으로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불법 복제나 도용을 하려는 사람이 이를 지나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적이 한층 용이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00: 서버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엣지(edge)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상기 이미지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으로 선정하는 단계;
    (c) 복수의 상기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 및
    (d) 변형된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영역은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식별 코드는 최종 선정된 상기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고,
    상기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는 기 설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변형전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임의의 난수가 포함된 식별 코드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뜻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영역은 문자가 포함되는 이미지 영역을 제외하고 선정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삽입 영역의 위치, 바이너리 코드, 크기를 임시 저장하되, 복수의 상기 삽입 영역의 위치는 x, y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c-1) 최종 선택된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복사하여 복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2) 기 설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복사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임의의 난수가 포함된 상기 식별 코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c-3) 상기 식별 코드의 이미지가 삽입되는 위치, 바이너리 코드, 크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는 x, y축의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크기는 최종 선택된 상기 삽입 영역의 크기와 일치시키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사용자가 생성한 이미지를 상기 식별 코드의 이미지로 대체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 및 크기에 매핑하여 최종 선택된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삭제 후 상기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이미지가 포함하는 고유 식별자, 제목, 관련 이미지 정보, 이미지 생성시간 및 제작자의 개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임의의 단말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복사하려는 신호가 발행될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임의의 단말과 연관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를 상기 특정 이미지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허가 받지 않은 외부 서버 및 외부 단말로부터 임의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임의의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식별코드가 기 저장된 특정 이미지의 식별코드와 매칭하는 것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매칭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결과에 따르는 특정 이미지와 연관된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복제 대상으로 간주하여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로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미지를 흑백으로 변환하고, 엣지(edge) 검출 알고리즘을 통해 기 설정된 바이너리 값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상기 이미지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 영역으로 선정하고, 복수의 상기 삽입 영역 중 무작위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를 변형하고, 변형된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가 포함하는 식별 코드, 이미지 정보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삽입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삽입 영역은 상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로 구성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식별 코드는 최종 선정된 상기 삽입 영역이 포함하는 기 설정된 크기의 바이너리 코드를 변형하여 생성하고, 상기 변형된 삽입 영역의 이미지는 기 설정된 이미지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변형전 상기 삽입 영역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형태를 가지면서도, 임의의 난수가 포함된 식별 코드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뜻하는, 복제된 이미지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 삽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180145413A 2018-11-22 2018-11-22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9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13A KR102096893B1 (ko) 2018-11-22 2018-11-22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PCT/KR2019/013667 WO2020105867A1 (ko) 2018-11-22 2019-10-17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US17/230,153 US11669931B2 (en) 2018-11-22 2021-04-14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identification code for tracking duplicated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413A KR102096893B1 (ko) 2018-11-22 2018-11-22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93B1 true KR102096893B1 (ko) 2020-04-06

Family

ID=7028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413A KR102096893B1 (ko) 2018-11-22 2018-11-22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9931B2 (ko)
KR (1) KR102096893B1 (ko)
WO (1) WO2020105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1678A1 (en) * 2021-08-03 2023-02-09 Dell Products, L.P. Intelligent orchestration of digital watermarking using a platform frame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53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16628A (ko) * 2017-04-17 2018-10-25 이익준 개인화 이미지 기반 사용자 접속 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343A1 (fr) * 2001-09-04 2003-03-07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d'insertion de messages binaires dans une image numerique
KR100655059B1 (ko) * 2004-03-29 2006-12-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데이터 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153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89272A (ko) * 2017-01-31 2018-08-08 리마 주식회사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80116628A (ko) * 2017-04-17 2018-10-25 이익준 개인화 이미지 기반 사용자 접속 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33201A1 (en) 2021-07-29
WO2020105867A1 (ko) 2020-05-28
US11669931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497B2 (en) Content anti-pira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Guo et al. A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detecting malicious modifications of database relations
US8090146B2 (en) Image watermarking
JP4810096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ための非同期化フィンガープリン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137415B2 (en) Using a security feature with a digital image file
KR102096893B1 (ko)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89272A (ko) 복제된 웹툰 추적 방법 및 프로그램
CN109461110B (zh) 确定图片的溯源信息的方法及装置
JP5248934B2 (ja) ビデオ処理権利を行使する方法及び装置
Queluz Spatial watermark for image content authentication
CN104125234A (zh) 一种动态图像安全验证方法及系统
Hernandez et al. A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image authentication in mobile devices
CN115511030A (zh) 防伪验证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8898537A (zh) 一种数字图像隐写方法
CN113760764A (zh) 应用程序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846464A (zh) 保护内容处理管道
US117347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watermarking of point clouds
Alfagi et al. Survey on relational database watermarking techniques
US11816756B1 (en) Anti-leak digital document marking system and method using distributed ledger
US11152034B2 (en) Chain-of-manipulation tracking of audio-video content
KR102421216B1 (ko) 인증 기반의 저작물 활성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515362B1 (ko)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보안 문서의 촬영을 통한 보안 문서 누출 방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JP5422948B2 (ja) 映像データ送信サーバ、映像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映像データ送信方法
Kim et al. Robust Index Code with Digital Images on the Internet.
Jana et al. Voronoi Diagrams Based Digital Tattoo for Multimedia Data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