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153A -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153A
KR20050107153A KR1020040032385A KR20040032385A KR20050107153A KR 20050107153 A KR20050107153 A KR 20050107153A KR 1020040032385 A KR1020040032385 A KR 1020040032385A KR 20040032385 A KR20040032385 A KR 20040032385A KR 20050107153 A KR20050107153 A KR 2005010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ue
data
image data
b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7153A/ko
Publication of KR2005010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03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 H04N1/32256Spatial or amplitude domain methods in halfton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67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combined with processing of the image
    • H04N1/32272Encryption or ciph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는 데이터 단말에서 생성되는 이미지에 따른 영상 값을 디지털 하프토닝 기법을 응용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악의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복제 또는 복원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nary image data in data terminal}
본 발명은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는 데이터 단말이 디지털 하프토닝 기법을 통해 이미지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원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제 3 자가 복제 또는 복원할 수 없도록 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문서등의 이진 텍스트 (binary text) 에 대한 디지털화가 진행됨에 따라 각종 문서들이 문서 작업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생성 된 결과물이 디지털 파일의 형태임에 따라 문서의 출처를 찾기가 어렵고, 불법 복제나 위변조가 용이하여 저작권자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서의 출처 및 유출 경로를 추적하는 일을 비롯하여, 문서 자체의 위변조를 방지하기란 어려운 일이라 하겠다.
특히, 관공서나 군기관 등에서 작성된 문서가 어떤 경로를 통해 온라인 상으로나 오프라인 상으로 유출되었을 경우, 누가 유출하였는지 그 문서의 작성자는 누구인지 등을 밝혀내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이 바탕 기술로 하고 있는 워터마킹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에 일정의 정보를 더하여 은닉함으로써 디지털 파일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본래 워터마크 (watermark) 는 고대에 파피루스 (종이) 를 만드는 과정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늘날에는 지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종이가 젖어 있을 때 인쇄를 하고 말린 후 양면에 인쇄를 하면 빛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 그림이 들어가는 데에 이용하기도 한다.
즉, 워터마킹이란 일련의 저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여기에 특별한 형태의 워터마크 (즉, 정보) 를 감추고 추출하는 모든 기술적 방법을 의미한다.
특히, 문서에 워터마킹을 하는 방법은 크게 나누어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과 텍스트를 변경하는 방법이 있으며, 한편 워터마크를 눈에 보이도록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로고나 바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텍스트의 라인 시프팅 (Line Shifting : 즉, 상하이동) 및 워드 시프팅 (Word Shifting : 즉, 좌우이동) 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고정된 라인 (즉, 컨트롤 라인 (control line)) 이나 고정된 워드 (즉, 워드 그룹 (word group)) 를 놓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워터마크의 유무를 체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고정점을 상하 라인 또는 좌우 반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워터마크로 삽입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라인은 제외됨으로써 삽입할 수 있는 정보 (즉, 워터마크) 의 양이 더욱더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텍스트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블록별로 마스킹을 적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문서 영상은 기본적으로 이진 영상 (Binary Image) 이기 때문에 '0' 과 '1' 로 구성되어 약간의 변형도 검은색의 점 또는 흰색의 점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이 방법은 글자에 왜곡이 심할 뿐 아니라 워터마크의 검출 성능면에서도 좋지 않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텍스트 또는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데이터의 위치 또는 순서를 변환하거나, 특정 암호 값을 추가시키는 방법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악의적으로 접근하여 데이터를 취득하기 용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 제 3 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여 특정 규칙에 따라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원 데이터를 용이하게 복호하거나, 복제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상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단말이 디지털 하프토닝 기법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여 제 3 자가 원 데이터를 복호 또는 복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단말이 올바르게 원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이진 영상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수개의 비교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고,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고, 각 픽셀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상 값을 파악하는 단계와, 각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과, 영상 값에 대응되는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혹화소 또는 백화소로 구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되는 이진 영상 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이진 영상 데이터 생성은, 영상 값이 최대 영상 값과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값을 백화소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데이터를 영상 값과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random)하게 선택하는 단계와, 영상 값이 최소 영상 값과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값을 흑화소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데이터를 영상 값과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다수개의 비교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타 데이터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와 이진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교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a)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보다 큰 경우, 이진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 영상 값을 '1'로 판단하고, b)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이진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 영상 값을 '0'으로 판단하여, 원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의 영상 값과, 기설정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흑화소 또는 백화소로 구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암호 처리부와, 타 데이터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와 기설정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보다 크면, 원 영상 데이터를 '1'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값이 비교 값보다 작으면, 원 영상 데이터를 '0'으로 판단하여, 원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원 이미지의 영상 값을 제공하는 복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의 암호 처리부는, 이미지의 영상 값이 최대 영상 값과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최대 영상 값과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random)하게 선택하고, 영상 값이 최소 영상 값과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최소 영상 값과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는, 기설정되는 다수개의 비교 값을 저장하는 비교 값 저장부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고,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고, 각 픽셀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상 값을 암호 처리부로 제공하고, 복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 단말(10)이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단말(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10')과 교환한다.
이때, 데이터 단말(10)은 생성되는 영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암호화 과정을 거쳐 타 데이터 단말(10')로 전송하고, 타 데이터 단말(10')로부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데이터 단말(10)간 암호화된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1)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단말(10)은 네트워크(1)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단말(10)은, 데이터 처리부(12), 이미지 처리부(13) 및 비교 값 저장부(11)를 포함하고, 데이터 처리부(12)는 암호 처리부(12a) 및 복호처리부(12b)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영상 또는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진 영상 값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이미지 처리부(13)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진 영상 값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 값 저장부(11)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비교 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비교 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 단말(10)이 이미지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는 이미지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과,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비교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12)는 디지털 하프토닝 기법에 따라 입력되는 이진 영상 값과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비교 값 저장부(11)는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 입력되는 화소 값과 비교하여 디더링(dithering)할 때 사용되는 임계 값을 저장하는 디서 매트릭스와 유사하게, 입력되는 이진 영상 값과 비교되는 비교 값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데이터 처리부(12)의 암호 처리부(12a)는 이미지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과, 그에 대응하는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암호화된 이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13)는 생성되는 이미지를 소정 크기 픽셀로 분할하고,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에 상응하는 영상 값을 순서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13)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크기가 64*64 비트 크기를 가지는 경우, 이미지 처리부(13)가 제공하는 영상 값은 0~25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3)는 이미지를 형성하여 각 픽셀의 이미지에 따른 영상 값을 데이터 처리부(12)로 제공한다.
즉, 이미지 처리부(13)는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구분하고, 각 픽셀에 형성된 이미지에 따른 영상 값을 데이터 처리부(12)로 제공한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13)는 좌측 상단의 픽셀에 형성된 이미지의 영상 값부터 우측 하단에 형성된 이미지의 영상 값 순으로 영상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13)의 크기가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즉,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비교 값의 범위가 32*32 비트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경우, 이미지 처리부(13)는 64*64 비트 크기의 이미지를 32*32 비트 크기의 4개 이미지로 구분하고, 각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구분하여 해당 픽셀에 형성된 이미지에 대한 영상 값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처리부(13)가 제공하는 영상 값은 해당 픽셀의 밝기에 상응하는 값이고, 일례에 따라 가장 어두운 영상 값이 0이고, 가장 밝은 영상 값은 25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의 암호 처리부(12a)는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과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과 연속 비교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신호를 암호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I(m,n))과 해당 이미지의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T(m,n))을 비교하여 백화소 또는 흑화소를 가지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I2(m,n))과 해당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T(m,n))을 비교하여, 영상 값(I2(m,n))이 비교 값(T(m,n))보다 큰 경우, 해당 픽셀의 영상 값에 상응하는 암호 값을 백화소로 판단한다.
이러한, 암호 처리부(12a)가 암호 값을 백화소로 판단하는 범위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T(m,n) < I(m,n) ≤ 255
상기 수학식 1에서 T(m,n)는 비교 값이고, I(m,n)는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이고, '255'는 이미지 처리부(13)로부터 입력되는 최대 영상 값이다.
즉,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I(m,n))이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T(m,n)보다 크고, 최대 영상 값보다 작은 영역인 'b' 영역내에 포함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 값(I(m,n))에 상응하는 암호 값을 백화소로 판단한다.
그리고, 암호 처리부(12a)는 암호 값이 백화소로 판단되면, 입력되는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b' 영역내의 랜덤(random)한 값을 취한다.
한편,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I1(m,n))과 해당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T(m,n))을 비교하여, 영상 값(I1(m,n))이 비교 값(T(m,n))보다 작은 경우, 해당 픽셀의 영상 값에 상응하는 암호 값을 흑화소로 판단한다.
이러한, 암호 처리부(12a)가 암호 값을 흑화소로 판단하는 범위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0 ≤ I(m,n) ≤ T(m,n)
상기 수학식 2에서 T(m,n)는 비교 값이고, I(m,n)는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이고, '0'은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입력되는 최소 영상 값이다.
즉,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I(m,n))이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T(m,n))보다 작고, 최소 영상 값보다 큰 영역인 'a' 영역내에 포함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 값에 상응하는 암호 값을 흑화소로 판단한다.
그리고, 암호 처리부(12a)는 입력되는 영상 값에 해당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a' 영역내의 랜덤한 값으로 취한다.
이때, 암호 처리부(12a)가 입력되는 영상 값(I(m,n))과 비교 값(T(m,n))의 경계에 대한 판단, 즉 영상 값(I(m,n))과 비교 값(T(m,n))이 동일한 경우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타 데이터 단말(10)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된 이진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 처리부(12a)가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값과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생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에 따른 이진 영상을 출력하면, 제 3 자가 원 이미지 영상을 복제하거나, 복호할 수 없는 영상이 출력된다.
즉, 제 3자가 네트워크(1)를 통해 악의적으로 교환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원 이미지를 복제할 수 없다.
한편, 데이터 단말(10)은 네트워크(1)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10)로부터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복호하여 이미지 처리부(13)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2)의 복호 처리부(12b)는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와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수신된 이진 영상 데이터의 원 영상 값을 파악한다.
그리고, 복호 처리부(12a)는 파악된 원 영상 값에 따른 영상 신호를 이미지 처리부(13)로 전송하고, 이미지 처리부(13)는 수신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미지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호 처리부(12a)가 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원 영상 값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D(m,n)'은 이진 데이터에서 복호되는 영상 값이고, 'E(m,n)'은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되는 암화화된 이진 데이터이고, 'T(m,n)'은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호 처리부(12b)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와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원 영상 값을 산출한다.
즉, 복호 처리부(12b)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 값(E1(m,n))이 비교 값(T(m,n))보다 크고, 최대 영상 값인 '255'보다 작은 영역인 'd' 영역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원 영상 값을 '1'로 판단한다.
그리고, 복호 처리부(12b)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 값(E2(m,n))이 비교 값(T(m,n))보다 작고, 최소 영상 값인 '0'보다 큰 영역인 'c' 영역내에 포함되어 있으면, 원 영상 값을 '0'로 판단한다.
복호 처리부(12b)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E(m,n))와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원 영상 값으로 복호한 이후에 복호된 원 영상 값에 따른 영상 신호를 이미지 처리부(13)로 제공한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3)는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데이터 단말(10)의 비교 값 저장부(11)에 비교 값을 설정한다(S 1).
이때, 사용자는 데이터 단말(10)에 설정하는 비교 값은, 네트워크(1)를 통해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교환하는 타 데이터 단말(10')과 동일한 비교 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데이터 단말(10)들이 동일한 비교 값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교환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올바르게 복호할 수 있도록 하고, 악의적으로 네트워크(1)에 접근하여 교환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3 데이터 단말(10)이 이진 영상 데이터로부터 원 영상 값을 복호하거나, 복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부(1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고(S 2),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여, 각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을 데이터 처리부(12)로 제공한다.
이미지 처리부(13)는 상기 도 3과 같이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고, 각 픽셀에 형성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상 값을 데이터 처리부(12)로 제공한다.
이때, 이미지 처리부(13)는 좌측 상단의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부터 우측 하단의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을 순서대로 제공하고,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의 범위가 이미지 처리부(13)에서 형성된 이미지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형성된 이미지를 비교 값의 범위내에 포함되도록 다수개의 이미지로 분할하고, 각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한 이후에 각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을 데이터 처리부(12)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처리부(12)의 암호 처리부(12a)는 이미지 처리부(13)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값과, 해당 픽셀에 대응되는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이진 영상 데이터인 암호 값을 생성한다(S 3).
이때, 암호 처리부(12a)는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조건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 값과,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암호 처리부(12a)는 영상 값이 비교 값보다 큰 경우, 영상 값에 해당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최대 영상 값과 비교 값 사이의 랜덤한 값을 취하고, 영상 값이 비교 값보다 작은 경우, 이진 영상 데이터를 최소 영상 값과 비교 값 상이의 랜덤한 값을 취한다.
그리고, 암호 처리부(12a)는 생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1)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10)로 전송한다(S 5).
한편, 데이터 단말(10)이 네트워크(1)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10')로부터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S 5), 복호 처리부(12b)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와 비교 값 저장부(11)에 저장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원 영상 값을 복호한다(S 6).
이때, 복호 처리부(12a)는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보다 큰 경우, 원 영상 값을 '1'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보다 작은 경우, 원 영상 값을 '0'으로 판단한다.
즉, 복호 처리부(12a)는 타 데이터 단말(10')이 원 영상 값에 대한 암호화 과정을 거치면서 생성한 이진 영상 데이터는 원 영상 값과 비교 값을 비교한 이후에 최대 영상 값 또는 최소 영상 값과 비교 값 사이의 랜덤한 값을 취했으므로, 이진 영상 데이터가 비교 값과 최대 영상 값 또는 최소 영상 값 범위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대 영상 값과 비교 값 사이에 포함되면, 원 영상 값을 '1'로 판단하고, 최소 영상 값과 비교 값 사이에 포함되면, 원 영상 값을 '0'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복호 처리부(12a)는 복호되는 원 영상 값에 따른 영상 신호를 이미지 처리부(13)로 제공한다.
이미지 처리부(13)는 복호 처리부(12a)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S 7).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단말이 디지털 하프토닝 기법을 통해 이진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악의적으로 이진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 3자가 원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신호를 암호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된 이진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네트워크 10, 10' : 데이터 단말
11 : 비교 값 저장부 12 : 데이터 처리부
12a : 암호 처리부 12b : 복호 처리부
13 : 이미지 처리부

Claims (7)

  1. 데이터 단말이 이진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비교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고, 상기 각 픽셀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상 값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각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값과, 상기 영상 값에 대응되는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혹화소 또는 백화소로 구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이진 영상 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 생성은,
    상기 영상 값이 최대 영상 값과 상기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값을 백화소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값과 상기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random)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영상 값이 최소 영상 값과 상기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값을 흑화소로 판단하고,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값과 상기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3. 데이터 단말이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비교 값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타 데이터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교 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a)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가 상기 비교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 영상 값을 '1'로 판단하고,
    b)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가 상기 비교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원 영상 값을 '0'으로 판단하여, 원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값 설정은,
    상기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타 데이터 단말에 설정된 다수개의 비교 값과 동일한 순번 정보에 따라 동일한 비교 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5. 데이터 단말에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되는 이미지의 영상 값과, 기설정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흑화소 또는 백화소로 구성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타 데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암호 처리부;
    상기 타 데이터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이진 영상 데이터와 기설정된 비교 값을 연속 비교하여, 상기 이진 영상 데이터가 상기 비교 값보다 크면, 원 영상 데이터를 '1'로 판단하고, 상기 이진 영상 값이 상기 비교 값보다 작으면, 원 영상 데이터를 '0'으로 판단하여, 원 영상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원 이미지의 영상 값을 제공하는 복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처리부는,
    상기 이미지의 영상 값이 최대 영상 값과 상기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최대 영상 값과 상기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random)하게 선택하고, 상기 영상 값이 최소 영상 값과 상기 영상 값에 대응하는 비교 값 범위내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값에 상응하는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최소 영상 값과 상기 비교 값 범위내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상기 암호화된 이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기설정되는 다수개의 비교 값을 저장하는 비교 값 저장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픽셀로 분할하고, 상기 각 픽셀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상 값을 상기 암호 처리부로 제공하고, 상기 복호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원 영상 데이터에 따른 원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장치.
KR1020040032385A 2004-05-07 2004-05-07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107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85A KR20050107153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385A KR20050107153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153A true KR20050107153A (ko) 2005-11-11

Family

ID=3728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385A KR20050107153A (ko) 2004-05-07 2004-05-07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174A (ko) * 2013-12-24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사용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096893B1 (ko) * 2018-11-22 2020-04-06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174A (ko) * 2013-12-24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사용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096893B1 (ko) * 2018-11-22 2020-04-06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0105867A1 (ko) * 2018-11-22 2020-05-28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복제된 이미지의 추적을 위한 식별 코드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
US11669931B2 (en) 2018-11-22 2023-06-06 Datakobol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identification code for tracking duplicate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1021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6282650B1 (en) Secure public digital watermark
JP4603079B2 (ja) デジタル透かしをテキスト文書に埋め込むためのおよびそのデジタル透かし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10046595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
Tseng et al. Secure and invisible data hiding in 2-color images
WO20051246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content security
Kim et al. Alteration-locating authentication watermarking for binary images
WO2003079277A1 (en) Digital watermarking of binary document using halftoning
Kim et al. A secure authentication watermarking for halftone and binary images
CN114880687A (zh) 文档安全防护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0792984B1 (ko) 영상 인증을 위한 정보 삽입 및 추출 방법
KR101809086B1 (ko) 실시간 이미지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제공 및 인증 시스템
CN114065148A (zh) 基于区块链的涉密文档安全管理与泄露追责方法
US11469879B2 (en) Text watermark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iding information into text documents
Rao et al. A novel information security scheme using cryptic steganography
KR20050107153A (ko) 데이터 단말의 이진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yothi et al.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Email Messages Encryption and Image Steganography Schemes for Image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Grover Data watermarking: Steganography and watermarking of digital data
Munir A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Authentication of GIF Images
Nagdive et al. Visual cryptography and steganography: a review
Kim et al. Authentication Watermarkings for Binary Images
Rasmi et al. HIGH DATA EMBEDDING USING LSB AND PIXEL INTENSITY BASED METHODS.
Tiwari et al. Data Hide Security Using Image Object
Pavlov et al. SOFTWARE IMPLEMENTATION OF MODIFIED LSB ALGORITHM WITH SHAMIRS SECRET SHARING
Kumar Information Hiding in Images Using Steganography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