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525B1 - 자전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525B1
KR102096525B1 KR1020180059084A KR20180059084A KR102096525B1 KR 102096525 B1 KR102096525 B1 KR 102096525B1 KR 1020180059084 A KR1020180059084 A KR 1020180059084A KR 20180059084 A KR20180059084 A KR 20180059084A KR 102096525 B1 KR102096525 B1 KR 10209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addle
lock
frame
sadd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990A (ko
Inventor
안재동
윤재곤
신상훈
박한결
공준철
Original Assignee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52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자전거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바퀴가 마련된 자전거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안장이 마련된 안장봉에 장착되는 결합부재와, 사용자가 자전거를 미사용시 상기 자전거의 메인프레임 또는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 등에 감기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결합부에 고정되는 결속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안장봉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의 안장에 자물쇠 및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자전거 프레임 및 자전거 안장봉이 잠기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차체 및 안장을 동시에 보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잠금장치{Bicycle lock}
본 발명은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봉을 자물쇠의 고리로 사용하여 자전거 및 안장을 동시에 잠글 수 있는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인력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를 이동하도록 사용하는 수단이다. 또한, 자전거타기의 운동효과로 인해 운동 및 레저용으로 자전거의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자전거의 장점 중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비해 주차 및 보관하기 편리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 대비하여 분실사고가 잦은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자전거의 분실을 막기 위해 예전부터 자물쇠, 체인, 와이어 등의 다양한 잠금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들도 시판되는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쉽게 훼손되는 사례가 많다.
이에 따라, 새로운 자전거의 잠금장치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잠금장치에 대한 기술로는 "자전거 캐리어(한국 등록특허 제10-1323225호)" 및 "자전거용 잠금장치(한국 등록특허 제10-1615680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적재 기능 및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자전거 캐리어는 자전거 몸체와 결합되며,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 적재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락(lock) 기능을 제공하는 잠금부 및 적재부를 둘러싸면서 형성되고, 적재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재부와 분리된 이후에는 적재부와 분리된 잠금부와 결합되어 자전거를 외부 구조물에 묶을 수 있는 잠금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적재부와 분리된 이후에는 자전거를 지탱하는 스탠딩 기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자전거 차체는 보호할 수 있으나, 자전거의 안장을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프레임에 구속되고, 회전하는 구동축이 구비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과 결합하고 상기 구동축과는 다른 방향으로 설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자전거의 바퀴살과 바퀴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자전거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하고, 자전거 차체는 보호할 수 있으나, 자전거의 안장을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15680호 (2012. 02. 27) 한국 등록특허 제10-1615680호 (2014. 10. 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자전거의 안장봉을 자물쇠의 고리로 사용하여 자전거 프레임 및 자전거 안장봉이 잠기게 형성되고, 잠금장치의 체인, 관절체, 와이어 등이 손상되어도 자전거 안장봉이 자전거 차체와 결합할 수 없도록 하여 자전거의 분실을 최소화하는 자전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는, 바퀴가 마련된 자전거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안장이 마련된 안장봉에 장착되는 결합부재와 사용자가 자전거를 미사용시 상기 자전거의 메인프레임 또는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 등에 감기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결합부에 고정되는 결속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안장봉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자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결속부는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다수 개의 관절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는, 상기 결속부는 와이어 또는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는,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 재결합시, 상기 안장봉은 상기 프레임의 분리 전 위치로 결합되도록 상기 안장에는 위치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안장과 상기 프레임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정보를 판별하여 미리 세팅된 위치에 상기 안장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정부를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의 안장에 자물쇠 및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자전거 프레임 및 자전거 안장봉이 잠기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차체 및 안장을 동시에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가 자전거에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가 자전거의 프레임에 결속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위치고정수단이 표현된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위치고정수단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 잠금장치(1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자전거(1)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바퀴(20) 및 안장(11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바퀴(20)와 안장(110)이 설치되도록 자전거의 차체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20)는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자전거(1)가 운행되도록 지면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안장(11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사용자가 자전거(1)에 탑승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장(110)의 하측에는 상기 안장(110)과 프레임(10)이 결합되도록 소정 길이 연장되게 안장봉(111)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 잠금장치(100)는 결합부재(120)와 결속부(130)와 자물쇠(14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120)는 안장봉(111)에 장착된다.
상기 결속부(130)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재(120)에 고정된다.
상기 결속부(130)는 사용자가 자전거(1)를 미사용시 상기 자전거(1)의 프레임(10) 또는 자전거주차대, 전신주, 볼라드 등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 등에 감기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와이어(131)가 적용되나, 도 4에 도시된 체인(132)이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다수 개의 관절바(133)가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자물쇠(140)는 상기 결속부(130)의 타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자물쇠(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1)의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안장봉(111)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물쇠(140)는 자물쇠바디(141)와 다이얼(142)과 잠금돌기(143)를 포함한다.
상기 자물쇠바디(141)는 상기 안장봉(111)이 관통되도록 관통홀(144)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얼(142)은 상기 자물쇠바디(14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이얼(142)의 외측에는 숫자 또는 문자가 표기된다.
상기 잠금돌기(143)는 상기 자물쇠바디(141)의 관통홀(144)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다이얼(142)과 연동되게 작동된다. 상기 다이얼(142)을 조작하여 기설정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이 완성되면 상기 잠금돌기(143)는 상기 안장봉(1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잠금해제 되고, 상기 관통홀(144)에 삽입된 상기 안장봉(111)이 잠기도록 기설정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을 해체하면 상기 잠금돌기(143)는 상기 안장봉(111)이 상기 관통홀(144)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장봉(111)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자물쇠(140)와 상기 안장봉(111)의 잠금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안장봉(111)의 단부에는 잠금홈(11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쇠 또는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자물쇠(140)의 잠금 및 잠금 해제할 수 있으며 공지의 자물쇠 기능을 할 수 있는 제품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자전거(1)를 사용할 때, 안장(110)이 자전거(1)의 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자전거 잠금장치(100)는 상기 안장(110)의 하부에 수납된다. 상기 자물쇠(140)는 잠금 해제된 상태로 상기 안장봉(111)에 관통되도록 상기 자물쇠(140)의 본체에는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도면에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장(110)의 하부에는 상기 자전거 잠금장치(100)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자전거(1)를 사용하지 않고 거치시킬 때, 상기 안장(110)이 상기 자전거(1)의 프레임(10)과 분리되고, 분리된 상기 안장(110)에 설치된 안장봉(111)이 프레임(10) 또는 바퀴내측(21)을 관통한다. 이후, 상기 결속부(130)는 상기 프레임(10)에 감기도록 결속되고 상기 결속부(130)의 타단부에 구비된 자물쇠(140)가 상기 안장봉(11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자전거(1)를 거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결속부(130)가 훼손되어도 상기 안장봉(111)에 고정된 상기 자물쇠(140)로 인해 상기 안장(110)이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안장봉(111)이 훼손되면 상기 안장(110)과 상기 프레임(10)이 결합될 수 없다. 이로 인해, 잠금장치 훼손으로 인한 자전거(1) 전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자전거(1) 안장(110)만의 도난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100)의 세팅보조수단(200)이 표현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자전거 잠금장치(100)는 세팅보조수단(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팅보조수단(200)은 자전거(1)의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된 안장(110)을 재결합할 때, 상기 안장(11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되기 전의 위치로 결합되도록 상기 안장(110)의 하단에 마련된다. 상기 세팅보조수단(200)은 거리감지센서(210)와, 판별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210)는 상기 안장(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장(110)과 상기 프레임(10) 사이의 거리(d)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상기 판별부(220)로 전달한다. 상기 프레임(10)의 거리측정은 프레임바(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별부(22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10)에서 수신된 정보를 판별하여 미리 세팅된 상기 안장(11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되기 전의 위치에 상기 안장(110)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거리감지센서(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판별부(220)에서 판별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미리 세팅된 위치에 도달한 안장(110)이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된 안장고정수단(11)을 통해 상기 안장봉(111)을 고정시키고 자전거(1)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의 안장에 자물쇠 및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잠금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자전거 프레임 및 자전거 안장봉이 잠기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차체 및 안장을 동시에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자전거
10 : 프레임
11 : 안장고정수단
12 : 프레임바
20 : 바퀴
21 : 바퀴내측
100 : 자전거 잠금장치
110 : 안장
111 : 안장봉
111a : 잠금홈
120 : 결합부재
130 : 결속부
131 : 와이어
132 : 체인
133 : 관절바
140 : 자물쇠
141 : 자물쇠바디
142 : 다이얼
143 : 잠금돌기
144 : 관통홀
200 : 세팅보조수단
210 : 거리감지센서
220 : 판별부
230 : 디스플레이부
d : 거리

Claims (5)

  1. 바퀴가 마련된 자전거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안장이 마련된 안장봉에 장착되는 결합부재;
    사용자가 자전거를 미사용시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또는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에 감기도록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재에 고정되는 결속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에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이격되게 고정되거나, 상기 안장봉에 대한 고정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결속부의 타단부에 구비된 자물쇠;를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는 상기 안장봉이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다이얼이 마련되며,
    상기 다이얼을 조작하여 기설정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이 완성되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안장봉이 삽입될 수 있거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안장봉이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자물쇠는 잠금해제 상태가 되고,
    상기 안장봉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다이얼에서 기설정된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이 해체되면 상기 안장봉이 상기 관통홀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상기 안장봉을 고정하도록 상기 자물쇠는 잠금상태가 되는,
    자전거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순차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다수 개의 관절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와이어 또는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장봉이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으로 재결합시, 상기 안장봉은 상기 프레임의 분리 전 위치로 결합되도록 상기 안장에는 위치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안장과 상기 프레임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거리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정보를 판별하여 미리 세팅된 위치에 상기 안장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KR1020180059084A 2018-05-24 2018-05-24 자전거 잠금장치 KR10209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084A KR102096525B1 (ko) 2018-05-24 2018-05-24 자전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084A KR102096525B1 (ko) 2018-05-24 2018-05-24 자전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90A KR20190133990A (ko) 2019-12-04
KR102096525B1 true KR102096525B1 (ko) 2020-04-02

Family

ID=6900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084A KR102096525B1 (ko) 2018-05-24 2018-05-24 자전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5407A1 (en) * 2020-12-14 2022-06-16 Lyft, Inc. Micromobility transit vehicle rear triangle configu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893Y1 (ko) * 2001-04-17 2001-10-26 황욱 자전거 도난 방지장치
KR100966121B1 (ko) * 2009-11-26 2010-06-25 이창용 자전거의 안장 높이 조절 장치
KR101290345B1 (ko) 2012-05-30 2013-07-26 전근수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기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543A (ja) * 1998-04-22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盗難防止装置付き自転車
KR101615680B1 (ko) 2014-10-31 2016-04-26 이아림 자전거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893Y1 (ko) * 2001-04-17 2001-10-26 황욱 자전거 도난 방지장치
KR100966121B1 (ko) * 2009-11-26 2010-06-25 이창용 자전거의 안장 높이 조절 장치
KR101290345B1 (ko) 2012-05-30 2013-07-26 전근수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안장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90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605B2 (en) Combined bicycle pedal and lock
US10112667B2 (en) Bicycle storage device
US3739609A (en) Bicycle lock
US4773239A (en) Combination skateboard lock and trick device
KR102096525B1 (ko) 자전거 잠금장치
US20120318028A1 (en) Bipod lock
US20110309597A1 (en) Bicycle pedal with integrated cable lock
EP2052954A1 (en) Lock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locking arrangement
US20140076010A1 (en) Multi-access lock
TWM356663U (en) Bicycle parking rack capable of locking bicycle
CN113195346B (zh) 包括用于头盔的防盗装置的鞍乘型车辆
JP2019038360A (ja) 盗難防止装置
US4869453A (en) Bicycle stand and anti-theft device
KR101445453B1 (ko) 자전거 잠금 장치
KR101287623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자전거 페달장치
EP3409569B1 (en) Bike lock
GB2535155A (en) A bicycle
GB2557330A (en) Motorbike wheel lock and ground anchor
US11932337B2 (en)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bicycle therewith
US6880375B1 (en) Wheel lock device
US20230083241A1 (en) Cycle Battery Lock
US20090183535A1 (en) Unicycle lock
EP4147955A1 (en) Vehicle
CN101886500B (zh) 一种三轮车防盗装置
KR20130025593A (ko) 자전거용 타이어 공기주입구 보호 및 도난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