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255B1 -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255B1
KR102096255B1 KR1020180087301A KR20180087301A KR102096255B1 KR 102096255 B1 KR102096255 B1 KR 102096255B1 KR 1020180087301 A KR1020180087301 A KR 1020180087301A KR 20180087301 A KR20180087301 A KR 20180087301A KR 102096255 B1 KR102096255 B1 KR 10209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op housing
manufacturing
cov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250A (ko
Inventor
김용담
허영행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정진넥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진넥스텍 filed Critical (주)정진넥스텍
Priority to KR102018008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2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1Lens caps as separate access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탑하우징의 제조과정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돌고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커버용 탑하우징(10)을 가공하는 탑하우징제조과정(100)과,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을 통하여 가공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하는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된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10)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20)를 사출성형하는 커버몰드성형과정(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탑하우징제조과정(100)과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 및 커버몰드성형과정(300)을 통하여 탑커버를 제조함으로써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킴에 있어 상기 탑하우징(10)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텐션클램핑케리어(30)를 통하여 안착되어 탑하우징(10)의 제조과정에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와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OP COVER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에 결합하는 텐션케리어조립과정과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에 결합된 탑하우징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를 사출성형하는 커버몰드성형과정으로 이루어져, 탑하우징의 제조과정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돌고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은 휴대단말기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카메라모듈은 기판과 접속되며 이미지소자가 실장된 카메라몰드와 상기 카메라몰드의 전방 측에 결합되어 초점 조절하는 렌즈부 및 상기 카메라몰드에 결속되는 카메라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탑커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는 금속제로 이루어진 탑하우징과 상기 탑하우징의 일측에 사출형성되는 커버몰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의 탑커버 제조방법은 탑하우징을 절단 절곡가공하고, 상기 절단 절곡가공된 탑하우징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의 일측면으로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은 탑커버를 구성하는 탑하우징을 절단 절곡가공한 후 절단 절곡가공된 탑하우징을 수작업에 의하여 금형에 안착시킨 수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하게 이루어져 있어 작업생산성이 떨어지고 탑하우징을 수작업에 의하여 금형에 안착시킴에 있어 탑하우징이 오염되어 불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68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이 탑하우징을 수작업에 의하여 금형에 안착시킨 수 사출성형을 통하여 제조하게 이루어져 있어 작업생산성이 떨어지고 탑하우징을 수작업에 의하여 금형에 안착시킴에 있어 탑하우징이 오염되어 불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커버용 탑하우징을 가공하는 탑하우징제조과정과,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을 통하여 가공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에 결합하는 텐션케리어조립과정,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에 결합된 탑하우징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를 사출성형하는 커버몰드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탑하우징제조과정을 정사각형의 띠를 이루며 일측면으로 몰드결속립이 형성되게 소재를 가공하는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과 상기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을 통하여 성형된 탑하우징을 측면에서 프레싱가공을 통하여 몰드결속돌기가 탑하우징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결속돌기가공과정, 상기 탑하우징에 텐션클램핑케리어의 핑커가 삽입 결속되는 핑거공을 천공형성하는 핑거공가공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텐션클램핑케리어를 중앙에 금형의 세팅돌기가 결합되는 세팅홀을 형성하는 케리어세팅부와 상기 케리어세팅부의 양측으로 탑하우징이 텐션 결속되는 텐션클램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텐션클램핑부를 케리어세팅부에서 돌출형성되어 탑하우징의 핑거공에 결합되는 고정핑거와 상기 고정핑거의 양측에 구비된 텐션핑거 및 상기 텐션핑거와 케리어세팅부 사이에 구비된 내측텐션부 및 상기 텐션핑거와 케리어세팅부에서 돌출형성된 텐션지지암 사이에 구비된 외측텐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탑하우징제조과정과 텐션케리어조립과정 및 커버몰드성형과정을 통하여 탑커버를 제조함으로써 탑하우징을 금형에 안착시킴에 있어 상기 탑하우징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텐션클램핑케리어를 통하여 안착되어 탑하우징의 제조과정에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와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정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 중 탑하우징제조과정의 상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탑하우징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핑케리어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핑케리어의 탑하우징 조립상태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핑케리어의 탑하우징 조립상태 상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클램핑케리어의 탑하우징 조립상태 상세 측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탑커버의 제조에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켓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하우징제조과정(100)과,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 및 커버몰드성형과정(30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은 정사각형의 띠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에 커버몰드(20)가 형성되는 탑하우징(10)을 가공성형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110)과 결속돌기가공과정(120) 및 핑거공가공과정(130)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110)은 정사각형의 띠를 이루며 일측면으로 커버몰드(20)가 사출성형되는 몰드결속립(11)이 형성되게 소재를 천공 및 드로잉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돌기가공과정(120)은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110)을 통하여 성형된 탑하우징(10)을 측면에서 절개 절곡의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탑하우징(10)의 각변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몰드결속돌기(12)를 가공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핑거공가공과정(130)은 탑하우징(10)에 텐션클램핑케리어(30)의 핑커가 삽입 결속되는 핑거공(13)을 천공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은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을 통하여 가공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속 구속하는 것이다.
상기 텐션클램핑케리어(30)는 중앙에 금형의 세팅돌기가 결합되는 세팅홀(31a)을 형성하는 케리어세팅부(31)와 상기 케리어세팅부(31)의 양측으로 탑하우징(10)이 텐션 결속되는 텐션클램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텐션클램핑부는 탑하우징(10)을 3점 결속 구속하는 하나의 고정핑거(32)와 2 개의 텐션핑거(33)로 구성되고, 상기 텐션핑거(33)를 텐션지지하는 내측텐션부(34a) 및 외측텐션부(34b)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텐션부(34b)를 지지하는 텐션지지암(34c)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핑거(32)는 케리어세팅부(31)에서 판상으로 돌출되어 탑하우징(10)의 핑거공(13)을 삽입 결속하는 것이다.
상기 텐션핑거(33)는 고정핑거(32)의 양측에 구비되어 탑하우징(10)의 양측에 형성된 핑거공(13)에 삽입되어 탑하우징(10)을 텐션 구속하는 것이다.
상기 내측텐션부(34a)는 텐션핑거(33)와 케리어세팅부(31) 사이에 구비되며 판을 지그재그로 절단 가공형성한 것이다.
상기 외측텐션부(34b)는 텐션핑거(33)와 텐션지지암(34c) 사이에 구비되며 판을 지그재르로 절단 가공형성한 것이다.
상기 텐션지지암(34c)은 케리어세팅부(31)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핑거(32)와 텐션핑거(33)는 탑하우징(10)의 핑거공(13) 보다 넓게 형성되고, 고정핑거(32)와 텐션핑거(33)의 단부 폭이 핑거공(13) 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핑거(32)와 텐션핑거(33)의 양측에 핑거곡면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몰드성형과정(300)은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된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10)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20)를 사출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몰드(20)는 열가소성수지와 열경화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커버용 탑하우징(10)을 가공하는 탑하우징제조과정(100)과,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을 통하여 가공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하는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된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10)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20)를 사출성형하는 커버몰드성형과정(3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킴에 있어 상기 탑하우징(10)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텐션클램핑케리어(30)를 통하여 안착되어 탑하우징(10)의 제조과정에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0 : 탑하우징
11 : 몰드결속립 12 : 몰드결속돌기 13 : 핑거공
20 : 커버몰드
30 : 텐션클램핑케리어
31 : 케리어세팅부 31a: 세팅홀
32 : 고정핑거
33 : 텐션핑거
34a: 내측텐션부 34b: 외측텐션부 34c: 텐션지지암
100 : 탑하우징제조과정
110 :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 120 : 결속돌기가공과정
130 : 핑거공가공과정
200 : 텐션케리어조립과정
300 : 커버몰드성형과정

Claims (5)

  1.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탑커버용 탑하우징(10)을 가공하는 탑하우징제조과정(100)과,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을 통하여 가공된 탑커버를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하는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 상기 텐션케리어조립과정(200)을 통하여 텐션클램핑케리어(30)에 결합된 탑하우징(10)을 금형에 안착시킨 후 탑하우징(10)의 일측 면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렌즈공이 형성된 커버몰드(20)를 사출성형하는 커버몰드성형과정(3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탑하우징제조과정(100)은 정사각형의 띠를 이루며 일측면으로 몰드결속립(11)이 형성되게 소재를 가공하는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110)과 상기 하우징드로잉성형과정(110)을 통하여 성형된 탑하우징(10)을 측면에서 프레싱가공을 통하여 몰드결속돌기(12)가 탑하우징(10)으로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결속돌기가공과정(120), 상기 탑하우징(10)에 텐션클램핑케리어(30)의 핑커가 삽입 결속되는 핑거공(13)을 천공형성하는 핑거공가공과정(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클램핑케리어(30)는 중앙에 금형의 세팅돌기가 결합되는 세팅홀(31a)을 형성하는 케리어세팅부(31)와 상기 케리어세팅부(31)의 양측으로 탑하우징(10)이 텐션 결속되는 텐션클램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몰드(20)는 열가소성수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몰드(20)는 열경화성수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클램핑부는 케리어세팅부(31)에서 돌출형성되어 탑하우징(10)의 핑거공(13)에 결합되는 고정핑거(32)와 상기 고정핑거(32)의 양측에 구비된 텐션핑거(33) 및 상기 텐션핑거(33)와 케리어세팅부(31) 사이에 구비된 내측텐션부(34a) 및 상기 텐션핑거(33)와 케리어세팅부(31)에서 돌출형성된 텐션지지암(34c) 사이에 구비된 외측텐션부(34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제조방법.
KR1020180087301A 2018-07-26 2018-07-26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09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01A KR102096255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01A KR102096255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50A KR20200012250A (ko) 2020-02-05
KR102096255B1 true KR102096255B1 (ko) 2020-04-02

Family

ID=6951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01A KR102096255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2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26B1 (ko) * 2011-12-02 2013-04-29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2427B1 (en) * 2006-10-13 2009-12-09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Camera module lens cap
KR101416309B1 (ko) * 2012-06-01 2014-07-09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자동차용 커넥터 일체형 카메라 제조방법
KR20180065686A (ko) 2016-12-08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26B1 (ko) * 2011-12-02 2013-04-29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용 셔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50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6513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19684B2 (en)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camera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JP6057880B2 (ja) 圧縮成形装置の樹脂材料供給方法及び供給装置
KR101819734B1 (ko) 스피커모듈 사운드홀 차폐부재와 그 장착방법 및 스피커모듈
KR101326888B1 (ko) 반도체 발광소자 패키지
US8699154B2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KR102096255B1 (ko) 조리개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용 탑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8708586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723149B1 (ko) 하우징과 pcb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카메라 모듈
CN108856593B (zh) 引脚成型装置
JP2007317974A (ja) サイドビュータイプledデバイス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2013161541A (ja) 接続端子
KR100823309B1 (ko) 반도체 소자 절단용 트레이
US11260639B2 (en) Apparatus for reducing fabric dimpling in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20071294A (ko) 감광 어셈블리, 이미징 모듈, 인텔리전트 단말 및 감광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과 몰드
KR101665629B1 (ko) 모바일 기기 카메라 부품의 코팅 지그
KR20120029208A (ko) 카메라 모듈용 필터 패키지 및 카메라 모듈
CN109413303B (zh) 感光组件、成像模组、智能终端及制造感光组件的方法和模具
JP200406377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12536A (ja) 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9935A (ja) 圧縮木製品の製造方法
US20080008892A1 (en) Powder-compresse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11674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0553268B1 (ko) 마크로 멜트 몰딩을 이용한 안테나 제조방법 및 안테나 구조
KR100890600B1 (ko) 반사판 제조방법 및 엘이디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