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248B1 - 침대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침대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248B1
KR102096248B1 KR1020180098683A KR20180098683A KR102096248B1 KR 102096248 B1 KR102096248 B1 KR 102096248B1 KR 1020180098683 A KR1020180098683 A KR 1020180098683A KR 20180098683 A KR20180098683 A KR 20180098683A KR 102096248 B1 KR102096248 B1 KR 10209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assembly
frame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13A (ko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샘터가구
김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샘터가구, 김장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샘터가구
Priority to KR102018009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2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F16B12/56Brackets for bedsteads; Coupling joints consisting of bolts or the like; Latch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평면상 설정된 궤적의 틀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틀형성부재, 이웃한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1끼움조립부, 및 이웃한 틀형성부재가 제 1끼움조립부에 의해 조립시 제 1끼움조립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이웃한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2끼움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침대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패널끼리를 끼움 조립하여 볼트 조립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패널끼리를 이중 끼움 조립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패널끼리의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각 패널을 3중의 구성하여 상호 결합된 채 이웃한 패널끼리 끼움 조립됨으로써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침대용 프레임 {FRAME OF BED}
본 발명은 침대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패널끼리를 끼움 조립하여 볼트 조립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패널끼리를 이중 끼움 조립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패널끼리의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각 패널을 3중으로 구성하여 상호 결합된 채 이웃한 패널끼리 끼움 조립됨으로써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하는 침대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 및 휴식을 취하기 위한 침대는 금속제 또는 목재로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된다.
또한, 침대는 크기가 대형이어서 주로 반제품 상태로 출하되어 설치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배송의 특징에 의하여 제조업체에서는 포장비와 배송비를 절감하고 있어 대다수의 침대들이 반제품이나 분해된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반제품의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제품의 특성상 프레임을 현장에서 견고하게 조립해야 하며,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작업자가 배송을 담당하여 제품의 배송과 설치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관련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719호를 통해 받침프레임, 기둥프레임과, 연결소켓 및 체결 나사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들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침대용 프레임은 설치작업이 어렵고 견고하게 조립되지 못하는 경우 프레임이 흔들려 마찰에 의한 마모와 소음이 발생하고, 침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침대용 프레임은 프레임을 구성요소들을 볼트 체결을 통해 조립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들의 분해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패널끼리를 끼움 조립하여 볼트 조립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자 하는 침대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패널끼리를 이중 끼움 조립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패널끼리의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침대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을 3중의 겹쳐지게 구성하여 상호 결합된 후, 이웃한 패널끼리 끼움 조립됨으로써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하는 침대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의 상판 또는 매트리스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을 이웃한 패널과 교차 끼움 조립함으로써 상판 또는 매트리스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침대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은: 평면상 설정된 궤적의 틀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틀형성부재;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1끼움조립부; 및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가 상기 제 1끼움조립부에 의해 조립시 상기 제 1끼움조립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2끼움조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틀형성부재는,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틀형성부재; 및 상기 가로틀형성부재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세로틀형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끼움조립부는, 상기 가로틀형성부재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로브라켓; 상기 가로브라켓에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립홈부; 상기 가로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틀형성부재에 구비되는 세로브라켓; 및 상기 가로틀형성부재를 지지한 채 상기 가로틀형성부재와 상기 세로틀형성부재를 끼움 조립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되는 세로조립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 2끼움조립부는, 상기 가로틀형성부재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부개방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개방끼움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틀형성부재에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틀형성부재와 상기 세로틀형성부재를 교차 끼움 조립하는 상부개방끼움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틀형성부재는, 가로외측부재; 상기 가로외측부재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가로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외측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가로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로틀형성부재와 교차 끼움 조립되며, 상측면이 상기 가로외측부재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가로내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세로틀형성부재는, 세로외측부재; 상기 세로외측부재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세로지지부재; 및 상기 세로외측부재에 대향하도록 상기 세로지지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로틀형성부재와 교차 끼움 조립되며, 상측면이 상기 세로외측부재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세로내측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은 종래 기술과 달리 침대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패널끼리를 끼움 조립하여 볼트 조립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끼리를 이중 끼움 조립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패널끼리의 마찰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을 3중의 겹쳐지게 구성하여 상호 결합된 후, 이웃한 패널끼리 끼움 조립됨으로써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패널의 상판 또는 매트리스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을 이웃한 패널과 교차 끼움 조립함으로써 상판 또는 매트리스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에서 보강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조립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에서 보강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요부 확대 조립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프레임(100)은 틀형성부재(200), 제 1끼움조립부(300) 및 제 2끼움조립부(400)를 포함한다.
틀형성부재(200)는 평면상 설정된 궤적의 틀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된다.
편의상, 틀형성부재(200)는 평면상 4각 형상을 이루도록 4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틀형성부재(200)는 가로틀형성부재(210) 및 세로틀형성부재(220)를 포함한다.
가로틀형성부재(210)는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고, 세로틀형성부재(220)는 가로틀형성부재(210)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며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는 각 축 방향에 대한 길이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물론,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는 목재나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끼움조립부(300)는 사각 궤적을 따라 배치된 4개의 틀형성부재(200) 중 이웃한 틀형성부재(200)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여 상호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제 2끼움조립부(400)는 이웃한 틀형성부재(200)가 제 1끼움조립부(300)에 의해 조립시 제 1끼움조립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고 상호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웃한 틀형성부재(200)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로틀형성부재(210)는 강성의 증가를 위해 가로외측부재(212), 가로지지부재(214) 및 가로내측부재(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로외측부재(212)는 프레임(100)의 가로변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판(10) 또는 매트리스가 가로변 측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가로외측부재(212)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가로메인레그(212a)를 바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이로 인해, 가로외측부재(212)는 바닥으로부터 가로메인레그(212a)의 높이만큼 유격됨으로써, 프레임(100)의 내부에 대응되는 바닥 청소가 가능하게 되고, 프레임(100)의 자중이 감소하게 된다. 가로외측부재(212)와 가로메인레그(212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가로지지부재(214)는 가로외측부재(212)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어 가로외측부재(21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나의 가로외측부재(212)에 접하는 가로지지부재(214)는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내측부재(216)는 가로지지부재(214)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이때, 가로외측부재(212)와 가로지지부재(214) 및 가로내측부재(216)는 가로체결부재(217)에 의해 상호 결속됨으로써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다. 아울러,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가로지지부재(214)와 가로내측부재(216)의 상측면이 가로외측부재(212)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가로외측부재(212)는 상판(10)이나 매트리스가 가로틀형성부재(210)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가로지지부재(214)와 가로내측부재(216)가 상판(10)이나 매트리스(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물론, 가로지지부재(214) 및 가로내측부재(2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가로체결부재(217)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세로틀형성부재(220)는 강성의 증가를 위해 세로외측부재(222), 세로지지부재(224) 및 세로내측부재(2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로외측부재(222)는 프레임(100)의 세로변 외측면을 형성하고, 상판(10) 또는 매트리스가 세로변 측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세로외측부재(222)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세로메인레그(222a)를 바닥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이로 인해, 세로외측부재(222)는 바닥으로부터 세로메인레그(222a)의 높이만큼 유격된다. 세로외측부재(222)와 세로메인레그(222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세로지지부재(224)는 세로외측부재(222)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어 세로외측부재(22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나의 세로외측부재(222)에 접하는 세로지지부재(224)는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세로내측부재(226)는 세로지지부재(224)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이때, 세로외측부재(222)와 세로지지부재(224) 및 세로내측부재(226)는 세로체결부재(227)에 의해 상호 결속됨으로써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다. 아울러, 상호 결속된 상태에서, 세로지지부재(224)와 세로내측부재(226)의 상측면이 세로외측부재(222)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세로외측부재(222)는 상판(10)이나 매트리스가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세로지지부재(224)와 세로내측부재(226)가 상판(10)이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이웃한 가로메인레그(212a)와 세로메인레그(222a)는 제 1끼움조립부(300)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이웃한 가로내측부재(216)의 가장자리와 세로내측부재(226)의 가장자리는 제 2끼움조립부(400)에 의해 상호 결속된다.
또한, 틀형성부재(200)는 놓인 상판(10)이나 매트리스가 하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에 가로보강대(218)와 세로보강대(228)를 조립한다.
가로보강대(218)는 가로외측부재(212)와 나란하도록 복수 개 배치되고, 양측이 대응되는 세로내측부재(226)에 끼워져 조립된다. 그리고, 세로보강대(228)는 세로외측부재(222)와 나란하도록 복수 개 배치되고, 양측이 대응되는 가로내측부재(216)에 끼워져 조립된다.
아울러, 가로보강대(218)는 세로보강대(228)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끼움조립구(219)를 형성하고, 세로보강대(228)는 가로보강대(218)에 대응되는 위치에 세로끼움조립구(229)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로보강대(218)와 세로보강대(228)는 교차되게 조립됨으로써 격자 형상을 이루어진다. 이때,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가로보강대(218)는 축 방향을 따라 서브레그(218a)를 하나 이상 연장 형성한다. 서브레그(218a)가 바닥에 접한 채, 가로보강대(218)는 세로보강대(228)를 지지함에 따라, 상판(10) 또는 매트리스는 견고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 1끼움조립부(300)는 이웃한 가로메인레그(212a)와 세로메인레그(222a)를 결속함에 따라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1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아울러, 제 2끼움조립부(400)는 이웃한 가로내측부재(216)의 가장자리와 세로내측부재(226)의 가장자리를 끼움 조립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상판(10)이나 매트리스 및 가로보강대(218)와 세로보강대(228)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제 1끼움조립부(300)는 가로브라켓(310), 조립홈부(320), 세로브라켓(330) 및 세로조립핀(340)을 포함한다.
가로브라켓(310)은 가로틀형성부재(210)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 특히 가로메인레그(212a) 각각에 구비된다. 이때, 가로브라켓(310)은 가로메인레그(21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가로메인레그(212a)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가로브라켓(31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지만, 내구성 증대를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가로브라켓(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조립홈부(320)는 가로브라켓(310)에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나 이상 구비된다.
세로브라켓(330)은 가로브라켓(310) 각각에 대응되도록 세로틀형성부재(220) 특히, 세로내측부재(226)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이때, 세로브라켓(330)은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세로외측부재(222) 특히, 세로메인레그(222a)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세로브라켓(330)은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지만, 내구성 증대를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한다.
세로조립핀(340)은 조립홈부(320)에 대응되도록 세로브라켓(33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세로조립핀(340)이 조립홈부(320)의 개방된 하측을 통해 조립홈부(320)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는 끼움 조립된다.
이때, 조립홈부(320)가 가로브라켓(310)에서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이유는 세로조립핀(340)이 가로브라켓(31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가로브라켓(31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조립홈부(320)는 세로조립핀(340)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해 개방측을 가이드부(322)를 형성한다. 가이드부(322)는 경사지게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조립홈부(320)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세로조립핀(340)이 조립홈부(320)에서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홈부(320)의 너비보다 큰 헤드(342)가 세로조립핀(34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로브라켓(310)은 조립홈부(320)를 형성한 부위를 세로브라켓(330)에 면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로브라켓(310)과 세로브라켓(330)의 결속력이 더욱 증대된다.
한편, 제 2끼움조립부(400)는 하부개방끼움홈부(410) 및 상부개방끼움홈부(420)를 포함한다.
하부개방끼움홈부(410)는 가로틀형성부재(210)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 특히, 가로내측부재(216)의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다. 하부개방끼움홈부(410)는 조립홈부(320)와 마찬가지로 하부 방향으로 개방된다. 물론, 하부개방끼움홈부(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개방끼움홈부(420)는 하부개방끼움홈부(410) 각각에 대응되도록 세로틀형성부재(220) 특히, 세로내측부재(226)의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다. 상부개방끼움홈부(420)는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된다.
그래서, 하부개방끼움홈부(410)와 상부개방끼움홈부(420)를 통해, 가로틀형성부재(210)의 가로내측부재(216)와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세로내측부재(226)가 교차 끼움 조립된다.
결과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틀형성부재(210)의 가로지지부재(214)는 상측면이 가로외측부재(212)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며 가로외측부재(212)의 내측면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로틀형성부재(210)의 가로내측부재(216)는 상측면이 가로지지부재(214)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가로지지부재(214)의 내측면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세로지지부재(224)는 상측면이 세로외측부재(222)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며 세로외측부재(222)의 내측면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세로틀형성부재(220)의 세로내측부재(226)는 상측면이 세로지지부재(224)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며, 레로지지부재(224)의 내측면에 면접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는 제 1끼움조립부(300)로써 일차적으로 끼움 조립됨과 동시에 제 2끼움조립부(400)로써 이차적으로 끼움 조립됨에 따라, 가로틀형성부재(210)와 세로틀형성부재(220) 간의 상호 결속력이 극대화되며, 조립성과 분해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판 100: 프레임
200: 틀형성부재 210: 가로틀형성부재
212: 가로외측부재 212a: 가로메인레그
214: 가로지지부재 216: 가로내측부재
218: 가로보강대 220: 세로틀형성부재
222: 세로외측부재 222a: 세로메인레그
224: 세로지지부재 226: 세로내측부재
228: 세로보강대 300: 제 1끼움조립부
310: 가로브라켓 320: 조립홈부
330: 세로브라켓 340: 세로조립핀
400: 제 2끼움조립부 410: 하부개방끼움홈부
420: 상부개방끼움홈부

Claims (5)

  1. 평면상 설정된 궤적의 틀을 이루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틀형성부재;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1끼움조립부; 및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가 상기 제 1끼움조립부에 의해 조립시 상기 제 1끼움조립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이웃한 상기 틀형성부재끼리를 끼움 조립 안내하는 제 2끼움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틀형성부재는,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는 가로틀형성부재; 및 상기 가로틀형성부재 각각의 축 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는 세로틀형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틀형성부재는, 가로외측부재; 상측면이 상기 가로외측부재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가로외측부재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가로지지부재; 및 상측면이 상기 가로지지부재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고, 상기 가로외측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가로내측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틀형성부재는, 세로외측부재; 상측면이 상기 세로외측부재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세로외측부재의 내측에 면접되게 배치되는 세로지지부재; 및 상측면이 상기 세로지지부재의 상측면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되고, 상기 세로외측부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세로내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외측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부재 및 상기 가로내측부재는 가로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상기 세로외측부재와 상기 세로지지부재 및 상기 세로내측부재는 세로체결부재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상기 가로외측부재와 상기 세로외측부재는 대응되는 가장자리끼리 상기 제 1끼움조립부에 의해 끼움 조립되고, 상기 가로내측부재와 상기 세로내측부재는 대응되는 가장자리끼리 상기 제 2끼움조립부에 의해 교차 끼움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끼움조립부는, 상기 가로외측부재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로브라켓;
    상기 가로브라켓에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립홈부;
    상기 가로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외측부재에 구비되는 세로브라켓; 및
    상기 가로틀형성부재를 지지한 채 상기 가로외측부재와 상기 세로외측부재를 끼움 조립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상기 조립홈부에 삽입되는 세로조립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끼움조립부는, 상기 가로내측부재 각각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되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부개방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개방끼움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세로내측부재에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로내측부재와 상기 세로내측부재를 교차 끼움 조립하는 상부개방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내측부재는 상측면이 상기 가로외측부재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내측부재는 상측면이 상기 세로외측부재의 상측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프레임.
KR1020180098683A 2018-08-23 2018-08-23 침대용 프레임 KR102096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83A KR102096248B1 (ko) 2018-08-23 2018-08-23 침대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83A KR102096248B1 (ko) 2018-08-23 2018-08-23 침대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13A KR20200022713A (ko) 2020-03-04
KR102096248B1 true KR102096248B1 (ko) 2020-04-02

Family

ID=6978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83A KR102096248B1 (ko) 2018-08-23 2018-08-23 침대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325B1 (ko) * 2021-02-10 2023-09-26 대건메디피아(주) 낙상 방지용 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90A (ja) * 2000-03-28 2001-10-09 Aisin Seiki Co Ltd ベッド
JP2003339478A (ja) * 2002-05-24 2003-12-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KR100563268B1 (ko) * 2004-01-08 2006-03-27 주식회사 진성기업 학생용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90A (ja) * 2000-03-28 2001-10-09 Aisin Seiki Co Ltd ベッド
JP2003339478A (ja) * 2002-05-24 2003-12-02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KR100563268B1 (ko) * 2004-01-08 2006-03-27 주식회사 진성기업 학생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13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614A1 (en) Platform-Type Shelf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0459255Y1 (ko) 파렛트 랙
KR102096248B1 (ko) 침대용 프레임
JP6789948B2 (ja) 紙材製プラットフォーム
KR20100008790U (ko) 조립식 랙 선반
KR101378394B1 (ko) 보강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1077107B1 (ko) 판형너트를 이용한 연결구조를 갖는 침대
KR101380674B1 (ko) 테이블다리
KR101096119B1 (ko) 케이스를 구비한 팔레트
KR100928908B1 (ko) 강도 및 시공성이 향상된 악세스 플로어 어셈블리
KR101970404B1 (ko)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KR101180268B1 (ko) 침대프레임
KR101400684B1 (ko)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KR101139014B1 (ko) 가변형 기둥폼
KR101031646B1 (ko) 조립식 스틸박스
KR10209138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테이블
KR101320940B1 (ko)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 및 목구조 모듈러 단위유닛의 제조방법
JPH0311A (ja) ワゴン
KR102593173B1 (ko) 조립식 파레트의 포스트프레임 보강부재
KR20050009431A (ko) 조립식 철제 침대
JP7203393B2 (ja) 組み立て式アルミニウムパレット
KR101363567B1 (ko) 포장박스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JP7496574B2 (ja) 耐力壁構造
JP7486330B2 (ja) 二段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